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37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Report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3




서 언
올해 새천년개발목표(MDGs) 보고서에는 이정표가 될 만한 진     보입니다. 또한 그 동안의 진전 정도도 국가별, 지역별로 불균등
전 사항이 여럿 포함되어 있습니다. 절대빈곤을 2015년까지      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격차는 매우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감소시킨다는 목표를 5년 앞당겨     심각한 상태입니다.
실현하였음은 물론 식수를 구하기 어려운 인구 비율을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줄이려는 목표도 달성했습니다. 빈민 지역       2015년까지 새천년개발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
에 거주하는 2억 명 이상 사람들의 거주 상황도 개선되어 2020   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이는 새천년개발목표 8번(개발
년 달성 목표를 조기에 이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여아의     을 위한 국제파트너십 구축)의 달성여부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초등학교 등록률은 남아와 비슷해졌고 유아 및 산모 사망률도       현재 선진국들의 경제위기로 지금까지 달성된 발전이 감소하거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나 후퇴해서는 안 됩니다. 현재까지 우리가 노력하여 달성한 성
                                       공을 발판으로 더욱 앞으로 나아갑시다. 그리고 새천년개발목
 이러한 결과는 인간이 받고 있는 고통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      표가 달성되는 그 순간까지 최선을 다합시다.
음을 나타내며 새천년개발목표가 실현되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족하기에는 이릅니다. 현재 진행 상태
라면 2015년이 되어도 전 세계에서 6억 명 이상의 사람들은 여
전히 식수로 적합하지 않은 물을 마실 수밖에 없을 것이며 10억
명의 사람들이 일일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연명해야 할 것
입니다. 또한 많은 산모들이 출산 시 불가피하게 죽음을 맞게 될
것이며 아동들은 예방 가능한 병으로 고통 받거나 죽음에 이르
게 될 것입니다. 기아는 여전히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초등교육
이수 여부는 다른 모든 새천년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매우 중요하지만 아직 달성하지 못한 목표입니다. 안전한 공중
위생시설의 부족으로 보건 및 영양 공급의 발전이 더디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생물의 다양성은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인간과 자연생태계에 심각하고 지속적인 위협
을 가하고 있습니다.


 성 평등은 여성의 역량 강화 및 교육, 취업, 보건, 의사결정과                       반기문 | 유엔사무총장
정에 여성이 참여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여야 달성할
수 있는데 여전히 부정적인 결과가 보고되기에 달성이 요원해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1-2012   5




차 례

서언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_ 3
                                         Goal 6  IV/AIDS, 말라리아 및 기타 질
                                                H
총람 | 사주캉 유엔경제사회국 유엔사무차장 _ 6
                                                병 퇴치 _ 40
                                         세부목표 2015년까지 HIV/AIDS의 확산을 멈추고 감소세로
                                              
Goal 1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_ 8                          돌려놓는다 _ 40
                                         세부목표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이
                                              
세부목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하루 1달러 이하의
     
                                               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_ 43
     소득 생활자 비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_ 8
                                         세부목표 2015년까지 말라리아 및 다른 주요 질병의 발병 증
                                              
세부목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및 여성과 청년층을 포함
     
                                               가를 막고 이를 감소세로 전환시킨다 _ 44
     한 모두에게 ‘일다운 일자리(decent work)’를 제공
     한다 _ 10
세부목표 1990년에서 2015년까지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
     
     의 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_ 13            Goal 7 지속가능한 환경 보장 _ 48
                                         세부목표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을 국가정책 및 프로그램에
                                              
                                               통합시키고 환경 자원의 손실을 복원한다 _ 48
Goal 2 보편적 초등교육의 달성 _ 18                 세부목표  물다양성 감소를 억제하고 2010년까지 감소율을
                                              생
                                               현저하게 억제한다 _ 51
세부목표 2015년까지 전 세계 모든 아동들이 초등교육 전 과
     
                                         세부목표 2015년까지 안전한 식수 및 기초적인 위생 환경에
                                              
     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_ 18
                                               대한 접근성이 부족한 인구의 비율을 반으로 줄인다
                                               _ 54
                                         세부목표 2020년까지 적어도 1억 명의 빈민가 거주민의 삶의
                                              
Goal 3 성 평등과 여성능력의 고양 _ 22                     질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_ 58

세부목표 2005년까지 초등 및 중등교육에서 성에 따른 불균
     
     형을 없애고, 2015년까지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성
     평등을 이룬다 _ 22                        Goal 8 개발을 위한 국제파트너십 구축 _ 60
                                         세부목표 저개발국, 내륙국, 소규모 도서 지역 개발도상국들
                                              
                                               이 처해 있는 특수한 문제를 해결한다 _ 61
Goal 4 유아(영아) 사망률 감소 _ 28                세부목표  방적이고 공정하며 예측 가능하고 차별 없는 무
                                              개
                                               역 및 금융체계를 더욱 발전시킨다 _ 62
세부목표 2015년까지 1990년 기준 5세 미만 유아(영아) 사망
     
                                         세부목표 개발도상국의 부채 문제를 포괄적으로 처리한다 _ 64
                                              
     률의 3분의 2를 감소한다 _ 28
                                         세부목표 민간부분과 협력하여 신기술 특히 정보통신의 혜택
                                              
                                               을 누리도록 한다 _ 65

Goal 5 산모건강의 증진 _ 32
                                         독자에게 드리는 글 _ 68
세부목표 99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산모 사망률을 4분의 3
     1
                                         지역분류 _ 69
     감소시킨다 _ 32
6   총람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7




총 람                                                                                        불평등은 이러한 성과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인을 통해 2000년 이후 더욱 많은 아동들이 초등교육에 등록하                                                      ● 빈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였습니다. 그중 여아의 입학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모든 개발도                                                        빈민가에 거주하는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새천년개발목표 중 일부의 달성 속도를 둔화시키
                                                상국가에서 남학생 대비 여학생 취학률(남학생 100명당 여학생                                                       1990년 6억 5,000만 명으로 추산된 이래로 절대수는 지속적으
                                                                                           고 있습니다.
목표 기한이 3년 앞으로 다가온 지금 새천년개발                      수)이 1999년에는 91이었으나 2010년에는 97로 증가하였습니                                                    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 오차범위 ±3포인트 내에서 성 평등지수 97은 대체적으로
목표 달성에는 이미 커다란 성과가 있었습니다.                                                                    지역별, 국가별로 성과의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2008년과
                                                성 평등이 달성되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2009년 사이 여러 위기상황으로 인해 일부 새천년개발목표의             향후 더욱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기회가
    십여 년 전 전 세계 지도자들의 합의에 의해 제정된 새천년            ●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편적 초등교육의            달성 속도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있음은 물론 미래를 위한 새로운 의제를 채택할
개발목표는 그 달성 과정에서 이미 중대한 성과가 있었습니다.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루었습니다.
각국 정부·유엔 및 산하기구·민간기업과 시민 사회의 협력을                                                           ● 지난 20여 년간 취약 고용은 매우 더디게 개선되고 있습             기회도 있습니다.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취학률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
통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고 더 많은 사람들의 삶의 여건                                                           니다.
                                                역에서 1999년 58%에서 2010년 76%로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
                                                                                             2011년 전체 고용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 workers)     2015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장기적인
을 개선시켰습니다. 몇 가지 목표는 예정된 달성 시점보다 앞서              었습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초등학교 학령기 아
                                                                                           와 무급가족종사자(unpaid family workers)로 정의되는 “취약고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식량안보, 성 평등, 산모보건, 농촌지역
달성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동의 숫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학률을 높이는 성과를 달
                                                                                           용” 상태에 있는 노동자들의 비율이 개발도상국내 전체 고용의             개발,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 국제사
                                                성했습니다.
● 모든 지역에서 절대빈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58%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년 전 67%였던 상태에서 그리 많         회, 시민사회 및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기여가 더욱 필요합니다.
    빈곤 상황을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로 빈곤이 가장 심각한 사            ● 유아(영아)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이 개선되지 않은 수치를 보여줍니다. 여성과 청소년층은 다른              2015년 이후에도 우리의 노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새로운 의
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포함하여 개발도상지역 전체에서 처음으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5세 이하 유아(영아) 사망률이 전        계층보다 더 불안정하고 불공정한 보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제를 채택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새천년개발목표
로 절대빈곤층의 규모 및 빈곤율이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하               세계적으로 1990년 1,200만 명에서 2010년 760만 명으로 감소   계층입니다.                                        캠페인을 통해 경험했던 성공과 실패의 시간들은 향후 논의에
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            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개발도상지역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                                                          풍성한 의견을 불어 넣을 것입니다. 또한 향후 새로운 시도도
년 47%에서 2008년 24%(20억 명 이상에서 14억 명 이하로)로                                                   ● 2015년까지 산모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목표도 달성하기 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다. 가장 높은 5세 이하 유아(영아) 사망률을 기록했던 사하라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려울 것 같습니다.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1990-2000년 기간 동안 1.2%의 감
                                                                                             산모건강 및 산모 사망률 감소에 많은 발전이 있음에도 불구            ● 성 평등과 여성 역량 강화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소율을 보였으나 2000-2010년 기간 동안 2.4%의 감소율을 기
● 빈곤감소 목표가 달성되었습니다.                                                                        하고 그 진전 속도는 여전히 느립니다. 청소년 임신 감소와 피임            성불평등은 지속되고 있으며 여성은 여전히 교육기회, 직
                                                록하여 두 배 가까이 사망률을 감소시켰습니다.
    하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세계빈곤율                                                        도구 사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전보다 오히려 개선            장 및 재산권, 정치 분야 참여 등에서 차별받고 있습니다. 여성
(Global Poverty Rate)은 1990년 기준 수치의 절반 이하로 감소   ● 	 든 지역에서 HIV보균자들이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었
                                                  모                                        속도가 느리게 나타납니다.                                에 대한 폭력은 새천년개발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약화시킵
하였다고 추산됩니다. 이러한 결과가 최종 확인된다면 새천년                  습니다.                                                                                   니다. 2015년까지 또는 그 이후 목표에 대한 성공여부는 이렇게
개발목표의 첫 번째 목표인 “절대빈곤과 기아퇴치”는 2015년                                                         ● 농촌지역에서 개량된 식수 사용 비율은 여전히 낮습니다.              상호 연계된 문제의 대처능력에 달려있습니다.
                                                  2010년 말 기준 개발도상지역에서 650만 명의 사람들이
이전에 달성되는 성과를 거둘 것입니다.                                                                        2010년 도시 지역의 비위생적 식수 사용 비율은 4%에 불과
                                                HIV/AIDS 치료를 위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았습니다.
                                                                                           한 반면 농촌지역의 경우 19%에 다다랐습니다. 식수관련 새천            ● 새천년개발목표의 달성과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세
                                                이러한 수치는 2009년 12월 이래 1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혜
● 개량된 식수에 접근이 어려운 인구의 비율을 절반으로 감                                                           년개발목표 달성 정도 측정시 안전성, 신뢰성 및 지속가능성 등             계적인 의지와 공동 목적의 영향(power)을 보여주고 있
                                                택을 받은 것이며 이는 1년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사람이 치료를
    소시킨다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과 같은 요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안전한 식수를 사             습니다.
                                                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안전한 식수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이 어려운 인구의 비율                                                        용할 수 있는 인구의 실제 규모를 과도하게 평가할 가능성이 있             새천년개발목표는 국제 개발을 위한 시금석이 되어왔습니
                                                필요로 하는 모든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라는 목
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는 목표는 2010년에 달성하였습니다.                                                         습니다. 더욱이 개발도상국에 거주하는 사람 중 절반 이상이(약            다. 측정 가능한 목표로 제시된 명확한 의제와 목표 및 공동의
                                                표는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개선된 식수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년 76%에                                                        25억 명) 여전히 개선된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상태입           비전 제시는 이러한 성공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서 2010년 89%로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1990년과 2010년 사        ● 결핵의 발병률 증가를 막고 이를 감소세로 전환시킨다는            니다. 2015년까지 67%의 인구만이 개선된 위생시설을 사용할
                                                                                                                                          이제 국제사회에서는 새천년개발목표의 개발적인 목표가
이에 2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수도관이나 안전한 우물들을 이                목표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 있어 새천년개발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치인 75%에는 훨씬
                                                                                                                                         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달성되어야 한다는 공감대와 전망이
용하여 개량된 식수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2002년 이래 결핵의 발병률은 감소하였으며         못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형성되고 있습니다. 지도자들은 이러한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15년의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을 1990년
● 빈민가에 거주하는 2억 명의 상황이 개선되어 목표를 이                                                           ● 기아는 전 세계가 당면한 문제입니다.                        고 노력할 것입니다. 정부, 기업, 학계, 시민사회와 같은 각계각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 초과 달성했습니다.                                                                             세계식량기구(FAO)의 가장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06/2008        층에서 상호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협조하는 방법을 체득하고
    개발도상국의 도시 지역의 빈민가 거주민 비율이 2000년             ●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 수는 감소하고 있           년 전 세계 기아상태에 있는 인구가 8억 5,000만 명으로 전체          있습니다. 올해 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에 포함된 포괄적인 자
39%에서 2012년 33%로 감소하였습니다. 2억 명 이상의 빈민             습니다.                                     인구의 15.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러 지역에서 소득빈곤            료와 명확한 분석은 우리 모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지역 거주자들이 개량된 식수 및 위생시설, 견고하고 덜 협소한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 발병 건수는 2000년 이후로 17%        (income poverty)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아 인구의 수가       있습니다.
주거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2020년까지 적어            가 줄어들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률도          여전히 높은 이유는 기아 대책의 성과가 없었다는 반증입니다.
도 1억 명의 빈민가 거주민의 삶의 질을 현저히 향상시킨다“는              25%가 감소하였습니다. 2000년과 2010년 사이 말라리아가 발      아동들의 영양결핍상태 개선에 대한 진척도 느려지고 있습니                           사주캉 | 유엔경제사회국 유엔사무차장
목표를 훨씬 앞당겨서 달성했습니다.                             병한 99개국 중 43개국에서 말라리아 감염 건수가 50% 이상 감      다. 2010년 남아시아 지역의 아동 중 3분의 1이 저체중 상태에
                                                소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있었습니다.
● 남녀 간 초등교육에서 기회의 성 평등을 달성했습니다.
    개별 국가 및 국제사회의 노력 그리고 새천년개발목표 캠페
8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9




                                                                                                                      년의 47%에서 2008년의 24%로 줄었다. 2008년에는 2005   년부터 2008년까지 빈곤율이 51%에서 37%로, 52%에서
                              세부목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하루 1달러 이하의 소득                                                      년보다 절대 빈곤의 상황에서 사는 사람들이 약 1억 1,000만      26%로 각각 감소했다.

     Goal 1                   생활자 비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명 가량 감소했다. 개발도상국가의 절대 빈곤자 수는 1990년
                                                                                                                      의 20억 명 이상에서 2008년의 14억 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이런 주목할 만한 감소율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이남 아프
                                                                                                                                                               리카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의 빈곤 상태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전 지역에서 절대 빈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난 4년간 식량 및 연료 가격 상승과 극심한 경기 불황        퍼져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빈곤율은 2005년과 2008
                                                                                                                      으로 인해 일부 국가들의 취약 계층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빈        년 사이에 약 5% 정도 감소하여 48%에 못 미치는 수치를 기
                          하루 1.25달러 이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                                                              곤율 감소 속도가 지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빈곤율         록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빈곤율을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
                          (1990년, 2005년, 2008년, 단위: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는 점을 2008년 이후 최신 자료를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하락률이었다. 절대 빈곤 인구로 살펴보
                                                                                                      56
                                                                                                 52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계은행이 세계 빈곤율 업데이트 자료        면, 2005년의 3억 9,500만 명에서 2008년의 3억 8,600만 명
                                                                                            47
                                                                                                                      보다 훨씬 적은 표본으로 추산한 통계자료에서는 하루 1.25        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1981년 이래
                          남아시아
                                                                                                 51                   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전 세계 빈곤율은 2010년에        지속적인 증가 추세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38
                                                                        34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결         빈곤 퇴치라는 장기 목표를 이룰 가능성은 높다. 왜냐하
                          남아시아 (인도 제외)
                                                                                                 52                   과가 후속 연구를 통해 입증되면, 절대 빈곤율을 1990년도        면 개발도상국가들이 지난 10년간 광범위한 지역에서 이룩
                                                              29
                                                         26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시킨다는 새천년개발목표의 첫 번째 목          한 탄탄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고용
                          동남아시아                                                                                       표가 2015년 목표 시한보다 앞서 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을 방해하는 불충분한 건강상태와 교육 부족, 고갈 및 손상된
                                                                                       45
                                               19                                                                       그러나 절대 빈곤율이 최근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음에         자연 자원, 공공재를 낭비하고 민간투자를 저해하는 부패, 갈
                                          17
                          동아시아 (중국만 포함)                                                                               도 불구하고, 2015년에도 여전히 약 10억 명의 사람들이 하      등, 부정적인 거버넌스 방식과 같이 절대빈곤이 지속될 수 있
                                                                                                           60
                                         16
                                                                                                                      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살아갈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는 조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초과달성도 가능할 것
                                    13
                                                                                                                      이것은 전 세계 절대 빈곤율 16%에 해당되는 수치에 이른다.       으로 예상한다.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12                                                                                   절대 빈곤 속에 살고 있는 사람 5명 중 4명은 사하라 이남 아        각 지역마다 빈곤 퇴치 노력이 얼마나 잘 이행되는 지에
                               9
                             6                                                                                        프리카와 남아시아 지역에 밀집해 있다.                    대한 모니터링도 빈곤 감소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취약 국
                          서아시아 *
                          5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진척률이 훨씬 높다. 특히 중        가와 소규모 국가에서는 질적 및 양적으로 충분한 자료를 구
                          5
                          3
                                                                                                                      국의 개선 속도는 주목할 만하다. 절대 빈곤율이 1990년의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통계자료의 질을 향상하고 빈곤 상태
                          북아프리카                                                                                       60%에서 2005년의 16%로 급감하였고, 2008년까지 13%로    모니터링의 주요 기초 자료인 가계 조사를 보완하는 것이 가
                          5
                          3                                                                                           더 감소하였다. 인도와 남아시아(인도 제외) 지역에서는 1990      장 시급한 문제이다.
                          2
                          개발도상국 (중국 제외)
                                                                                  41
                                                                 31
                                                            28
                          개발도상국
                                                                                        47
                                                         27
                                                    24

                          0        10               20             30             40             50         60   70

                              1990년                 2005년                2008년          목표

                          * 서아시아의 경우 13개 국가 중 5개 국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함.
                          참고 | 오세아니아 지역은 지표를 합산하기 위한 국가 자료가 부족함.




                              세계은행이 빈곤 추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빈곤
                          율이 가장 높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포함한 모든 개발도상국가에
                          서 절대 빈곤에 처한 사람들의 수와 빈곤율이 감소했다. 개발도상국가
                          에서 하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
10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1




         세부목표                                                                                                       노동 생산성 부분에서 개발도상국가는 선진국                                                        이는 달성하기 어렵다.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및 여성과 청년층을 포함한 모두에게 ‘일다운 일자리(decent work)’를 제공한다.                                             에 비해 훨씬 뒤쳐진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노동 생산성 수준의 차이는 지
                                                                                                                                                                                                   난 20여 년간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선진국의 노동자 한 명당 생산량은 2011년 64,319
동아시아 지역은 근로 빈곤층(working poverty) 개선 부분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괄목한 성과를 거두었다.
                                                                                                                    1인당 생산량 (1991년, 2001년, 2011년)
                                                                                                                                                                                                   달러를 기록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평균 13,077달러로 측
                                                                                                                    2005년 구매력평가(PPP)후 조정된 고정달러 (단위 : 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정되었다. 각 국가 간의 물가 차이를 적용한다고 해도, 개발도
하루 1.25달러 이하로 생계를 유지하는 고용 근로자의 비율(단위:%)과 근로 빈곤층의 규모 (단위: 백만) (2000년-2011년)
                                                                                                                      5
                                                                                                                     5
                                                                                                                                                                                                   상국 노동자는 평균적으로 선진국 노동자 생산량의 5분의 1
     백만                                                                                       비율
                                                                                                                       6
800                                                                                            35   근로 빈곤층, 동아시아                                                                                   정도만 생산하는 것이다.
                                                                                                                    오세아니아
                                                                                                                      5                                                                              그러나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평균 생산성은 지역에 따른
                                                                                                    근로 빈곤층,
                                                                                               30                     5
                                                                                                    동아시아 제외 전 세계
                                                                                                                       6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 지난 10년간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
600                                                                                                 근로 빈곤층률, 동아시아   남아시아
                                                                                               25                                                                                                  브 제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생산성
                                                                                                                     4
                                                                                                                       5                                                                           개선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2001년과 2011년 사
                                                                                                    근로 빈곤층률,
                                                                                               20   동아시아 제외 전 세계         9

400
                                                                                                                    동남아시아                                                                          이의 10년간 동아시아 지역의 생산량은 2배 이상 증가했다.
                                                                                                    근로 빈곤층률, 전 세계     6
                                                                                               15                       7                                                                          아시아 지역 외 개발도상국가들의 생산성 성장이 비교적 저
                                                                                                                          10
                                                                                                                                                                                                   조한 이유는 근로빈곤층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10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200                                                                                                                      10
                                                                                                                       7
                                                                                               5                            14
                                                                                                                    동아시아
                                                                                               0                     3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6
                                                                                                                                  14
                                                                                                                    북아프리카
                                                                     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노동자는 4억 5,600만 명이었으며, 이                               17
                                                                                                                                        18
                                                                     는 2000년도 보다 2억 3,300만 명이 줄어든 것이고, 2007                                  21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년보다는 3,800만 명이 감소한 것이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
                                                                                                                              20
                                                                     로 근로 빈곤층이 감소할 수 있었던 이유는 동아시아에서 절                         21
                                                                                                                                 23
                                                                     대 빈곤 속에 살던 노동자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               서아시아
                                                                                                                                                     30
                                                                     다. 특히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로 2001년에                                                    35
                                                                                                                                                                40
                                                                     는 2000년에 비해 근로 빈곤층 수가 1억 5,800만 명이 감소
                                                                                                                    선진국
                                                                     했으며, 2007년과 2011년 사이에는 2,400만 명이 감소했다.                                                          48
                                                                                                                                                                               57
                                                                         세계적으로 하루 1.25달러 이하로 사는 노동자의 비율이                                                                                 64
                                                                                                                    개발도상국
                                                                     2000년과 2011년을 비교해보면 26.4%에서 14.8%로 감소하           6
                                                                                                                        8
                                                                     였다. 만약 동아시아가 제외된다면, 같은 시기에 감소 비율은
                                                                                                                               13
                                                                     25.0%에서 17.4%로 그 폭이 줄어든다.                      0        10              20       30        40        50        60        70

                                                                         비록 근로 빈곤층이 줄어들고 있다고 할지라도, 2008                   1991년                   2001년          2011년*

                                                                     년 이래로 감소 정도는 현저하게 낮아졌다. 경제위기(2000-             * 2011년의 통계는 추정치임.

                                                                     2007년) 이전의 경향에 따라 추산된 근로빈곤층 감소폭과 실
                                                                                                                        노동 생산성은 경제 성장을 측정하는 열쇠이며, 이를 통
                                                                     제 2011년 감소폭과는 약 1.6% 차이가 있다. 이는 경제위기
                                                                                                                    해 국가가 공정하고 공평한 보수를 지불하는 일다운 일자리
                                                                     전 예상보다 2011년 근로 빈곤층이 5,000만 명 정도 더 발생
         국제노동기구(ILO)가 새로운 방법론으로 조사한 최근 통                                                                            를 창출하는지의 능력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로
                                                                     한 것을 의미한다.
계에 의하면 2011년 전 세계에서 하루 1.25달러 이하(빈곤선)                                                                               빈곤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소는 노동 생산성에 대한 성장 없
12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3




취약고용(vulnerable employment)을 감소시키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청소년들은 가족 일을 돕게 되면서 취업 기회가                                                                                 많은 청소년들은 비공식적으로 가족이 운영하는 사업체

기 위한 노력이 정체되었다.                                                                  취약 고용층의 높은 비율은 비정규 근로직이 많다는 것을                                              적어진다.                                                                                                 나 농장에서 일을 시작한다. 20개 개발도상국가를 연령 및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근로자들은 전형적으로 사회보장                                                                                                                                                       고용 여부로 분류한 자료에 의하면 가족 사업체에서 일하는
전체 고용 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와 가족 종사자                                          에서 제외되거나, 저임금을 받고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저해                                                                                                                                                      청소년의 비율이 성인의 비율보다 높다.
(family worker) 비율 (1991년, 2011년. 단위 : %)                                                                                                                    전체 고용 중 가족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 청소년과 성인의 비교,
오세아니아                                                                        되는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                                                       일부 국가 선택 (2003년/2006년. 단위 : %)                                                                            최종적으로 자영업자 상태가 되기 전, 학교 교육을 마치
                                                        74                                                                                                   마다가스카르
                                                                                                                                                                                                                                                            98     고 노동 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기에는 실업 상태나 임시 및 비
                                                             77
                                                                                                                                                                                                                                             79
남아시아
                                                                  81
                                                                             여성이 취약 고용층에 포함될 가능성이 남성보                                                        부르키나파소
                                                                                                                                                                                                                                                                   정규직 기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86
                                                             76
                                                                             다 훨씬 크다.                                                                                                                                      44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부탄
                                                                  82                                                                                                                                                                        78                         세부목표
                                                             76                                                                                                                                                                  61
                                                                             전체 고용 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와 가족종사자                                                                                                                                                        1990년에서 2015년까지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
남아시아 (인도 제외)                                                                 (family worker) 비율, 여성과 남성의 비교 (2011년, 단위 : %)                                  우간다
                                                        73                                                                                                                                                                             65                              들의 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21
                                                   68
                                                                                                                                                   85        토고
동남아시아
                                                                                                                                       69                                                                                              64
                                                   68
                                              61
                                                                             오세아니아
                                                                                                                                                             말리
                                                                                                                                                                                  13
                                                                                                                                                                                                                                                                   영양실조 인구는 1990년 이래로 안정세를 보
                                                                                                                                                   84
동아시아
                                                   66
                                                                                                                                        71
                                                                                                                                                                                                           28
                                                                                                                                                                                                                                  62
                                                                                                                                                                                                                                                                   인다.
                                                                             남아시아
                                    49                                                                                                                       모잠비크
                                                                                                                                                  83                                                                             61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74                                                            28
                                   46                                                                                                                                                                                                                              개발도상국에서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와 비율
                                                                             동남아시아                                                                           캄보디아
                             42                                                                                                                                                                                                                                    (1990-92, 1995-97, 2000-02, 2006-08)
                                                                                                                                  66                                                                                             60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26
                                                                                                                        58                                                                                                                                                 백만                                           비율
             35                                                                                                                                              페루
                                                                             동아시아                                                                                                                                                                                  1,400                                                     25
           32                                                                                                                                                                                                               45
                                                                                                                  53                                                                        18
북아프리카
                                                                                                             46
                        37                                                                                                                                   파키스탄
                                                                             북아프리카                                                                                                                                    39                                           1,200         19.8
                   30
                                                                                                            44                                                                         15                                                                                                                                    20
동아시아 (중국 제외)
                                                                                            26                                                               인도
                        37                                                                                                                                                                                                                                         1,000                   16.8      16.5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35
                   30                                                                                                                                                                  16                                                                                                                      15.5
                                                                                                        43
서아시아                                                                                                                                                         니카라과
                                                                                                       41                                                                                                                                                                                                                    15
                              43                                                                                                                                                                            30                                                       800
                                                                             서아시아                                                                                                                                                                                                 848                836       850
              26                                                                                                                                                     6
                                                                                                       41                                                                                                                                                                                   791
선진국                                                                                                                                                          과테말라
                                                                                       22                                                                                                             25                                                             600
   11                                                                                                                                                                                                                                                                                                                        10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9
  10
                                                                                         32                                                                  필리핀
개발도상국                                                                                                                                                                                            22
                                                                                        32                                                                                                                                                                           400
                                                   67                                                                                                                    7
                                                                             선진국
                                         58                                                                                                                                                                                                                                                                                  5
                                                                               9                                                                             콜롬비아
0        20                  40          60                   80       100      11                                                                                                 14                                                                                200
                                                                                                                                                                     3
     1991년              2011년*                                               개발도상국
                                                                                                                                                             콩고
                                                                                                                             62
** 2011년 통계는 추정치임.                                                                                                                                                                13                                                                                   0                                                     0
                                                                                                                       56                                            2                                                                                                          1990-92   1995-97   2000-02   2006-0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멕시코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
     취약 고용은 전체 고용 시장에서 무급가족종사자와 자영                                                                                                                                            12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율
                                                                                 여성               남성                                                             4
자 비율의 합계로 정의되는데, 2011년 개발도상국의 취약 고                                                                                                                           가봉
                                                                                                                                                                             11
용은 전체 고용의 58%를 차지하였다.                                                            여성과 남성 간 취약 고용은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3                                                                                                         유엔식량농업기구가 2011년에 발간한 2006년과 2008년
                                                                                                                                                             니제르
     고용 시장에서 취약 고용 비율은 1991년과 2011년 사이                                       차이를 보인다. 이 지역의 2011년 취약 고용 비율은 남성이                                                              9                                                                                     영양 부족 상태에 대한 통계에서 전 세계 인구의 15.5%에 이
                                                                                                                                                                 1
에 서서히 감소했다. 하지만 비율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26%인 것에 비해 여성은 44%가 해당되었다. 서아시아의 경                                              아르메니아
                                                                                                                                                                                                                                                                   르는 8억 5,000만 명이 영양 부족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 이
                                                                                                                                                              2
2000년 이래 취약 고용의 수는 1억 3,600만 명이 증가하여                                         우 여성과 남성의 취약 고용이 각각 41%와 22%이다. 성별과                                             1
                                                                                                                                                                                                                                                                   것은 2008년 식량 생산 및 소비에 대한 통계와 2007-2008
                                                                                                                                                             0                                        20                   40         60          80         100
전 세계적으로 15억 2,000만 명에 이르렀다. 취약 고용층이                                          상관없이 취약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                                                                                                                                                      년 식량 가격 폭등 및 2008년 금융 위기의 여파를 실제적으
                                                                                                                                                                     청소년                               성인
널리 퍼져있는 국가들의 노동 인구가 늘면서 이러한 경향은                                              카 지역으로 여성과 남성이 각각 85%와 69%를 차지했다.                                                                                                                                                     로 반영한 첫 번째 분석 자료다.
14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5




     세계적으로 2008년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높은 경                                                        감소함에도 영양 부족 상태가 지속되는 이유를 알기 위해서                                                                                               개발도상국 5세 미만 저체중 아동의 비율은 1990년 29%
제 성장률을 유지해준 덕분에 다행히도 예상 결과만큼의 수                                                            는 기아의 원인과 다양한 요소 그리고 적절한 정책 및 조치                            개선된 방법론은 세계적인 식량 불안정 상태(food                                    에서 2010년 18%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개선은 연도별 비교
준에는 이르지 않았다.                                                                               시행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insecurity) 파악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가 가능한 모든 지역에서 보고되었지만, 2015년까지 세계적
                                                                                                                                                                                                                       인 목표 수치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다른 여러 요
                                                                                                                                                             유엔식량농업기구는 새롭게 개발한 방법론으로 실시한
많은 국가에서 식량 부족을 해결하려는 노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이 식량 및 금융                                                                                                    인들 중에서 도심-농촌 간의 차이와 빈곤 격차를 줄이려는
                                                                                                                                                           대규모 가계 소비 조사를 통해 기아 확산에 대한 새로운 통
은 느려지거나 정체되고 있다.                                                                           위기의 타격을 가장 강하게 입었다.                                             계치를 도출하는 중이다. 이 자료에서는 2009-2011년 평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 및 2012년 추정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개선된 통                            또한 연령별 신장 발육을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율 (1990년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                                        계에는 식량 접근의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영양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에서도 발육부진(stunting)으
-1992년, 2000년-2002년, 2006년-2008년, 단위 : %)                                                  (2003년-2008년, 단위 : 백만)                                          정보뿐만 아니라, 식량 재고와 식료품 이외의 사용 및 낭비                            로 평가받았다. 이 지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종 개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시아                                에 대한 더욱 정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상국가에서 간과되고 있다. 저체중보다 더 보편적 개념인
                                                                              31           600
                                                                         29
                                                                    27                              579    579
                                                                                                                                                                                                                       발육부진은 영양 결핍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발생하여 성장
                                                                                                                  578
남아시아 (인도 제외)
                                                                                                                                                                                                                       과 발달을 저해하는 질병을 더욱 정확하게 보여준다. 비록 발
                                                                   26                                                      567                 개발도상국 5세 미만 아동 5명 중 1명이 저체중
                                                           23                                                                            557                                                                           육부진 정도가 1990년 44%에서 2010년 29%로 떨어졌지만,
                                                          22
                                                                                                                                  556
                                                                                                                                               상태이다.
남아시아                                                                                       550                                                                                                                         수백만 명의 어린이들이 장기적인 영양 부족으로 인해 인지
                                                        22
                                                      21                                                                                                                                                               적 및 신체적 발달에서 약할 가능성이 있다.
                                                    20                                                                                         5세 미만 아동 중 저체중 아동의 비율                                                     단기 및 장기적인 아동기 영양결핍으로 인한 결과가 재앙
동남아시아                                                                                                                                          (1990년-2010년. 단위 : %)
                                                              24                                                                                                                                                       적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영양학적 보건은 여전히 사업추진에
                                                                                                                                               남아시아
                                          17
                                                                                                                                                                                                            51
                               14                                                          500                                                                                            32                           있어 우선순위가 낮다. 이제는 개발 의제 채택 시 영양이 우
동아시아 (중국 제외)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선되어야 할 시기이다.
        8
                                                                                                                                                                                     29
                              1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3                                                           240
                                                                                                                                                                             22                                          영양결핍 상태를 줄이기 위한 단순하면서도 비용 효율이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231
                                                                                                                                                                                          31                           높은 조치들은 임신 순간부터 영아 출생 후 만 2세까지의 기
                                               18
                                                                                                                                                               17
                    10
                                                                                                                                               북아프리카
                                                                                                                                                                                                                       간에 시행되는 것이 좋다. 그 기간에는 산모 영양 공급 및 보
                    10
                                                                                           220                                                    10                                                                   호 개선, 신생아 출생 직후(1시간 이내) 모유 수유, 생후 6개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214    212             213
                                                                                                    211                    210                  6
            12
         10
                                                                                                                                               서아시아                                                                    월간의 집중적인 모유 수유, 그리고 이후 18개월 동안 시기적
       8                                                                                                                                                           15
                                                                                                                                                       5                                                               절하고 올바르며 안전한 보충식 공급 및 미량의 영양소 보충
서아시아                                                                                       200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6                                                                                                                                                                                                              제 투여와 같은 조치들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룬 성취를 유
                8                                                                                                                                   11
            7                                                                                                                                   4                                                                      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조치들을 조속히 시행
북아프리카                                                                                                                                          동아시아
   5                                                                                      180                                                                 15                                                      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3
   5
   5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개발도상국                                                                                                                                            8
                                                    20                                           유엔식량농업기구의 평가에 의하면 식량을 수입에 크게                  3
                                          17                                                                                                   개발도상국
                                    15
                                                                                           의존하고 있는 소규모 국가들,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                                                      29
                                                                                                                                                                        18
0       5                10              15              20        25         30      35   역의 국가들이 치솟는 식량 가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0              10             20           30        40       50   60
     1990-1992년                          2000-2002년                      2006-2008년
                                                                                           고 발표했다. 그에 반해 아시아의 대규모 국가들은 제한적 무                               1990년             2010년             목표        추정 범위

                                                                                           역 방침을 통해 자국의 시장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으로                     참고 | 위 통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아동발달기준(Child Growth
     기아의 확산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인도 이외의 남아                                                                                                            Standard)에 따라 측정됨. 상기 경향 분석은 1985년부터 2010년까지 데오니스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                    등이 공저한 『국제전염병학(疫學) 저널』 (제 3권 p1260~1270)의
시아에서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동아시아의 경우 소득 빈곤                                                                                                              ‘아동영양실조의 지역적 및 세계적 경향에 대한 통계방법론’에서 사용한
                                                                                           카 지역의 영양 부족 인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아시                   다중회기모델(multilevel regression model)을 기초로 함.
(income poverty)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래로 영                                                   아 지역에서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될 수 있었다.                          지역적 통계의 경우 95%의 신뢰구간을 가짐. 이 통계는 기초자료, 국제표준인구
                                                                                                                                               (international standard reference population)와 통계방법론의 차이로 인하여,
양 부족 개선에 대한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빈곤율이                                                                                                               이전보고서에 제시된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Más contenido relacionado

Más de Jeongtae Kim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Jeongtae Kim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Jeongtae Kim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Jeongtae Kim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Jeongtae Kim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Jeongtae Kim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Jeongtae Kim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Jeongtae Kim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Jeongtae Kim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Jeongtae Kim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Jeongtae Kim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Jeongtae Kim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Jeongtae Kim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Jeongtae Kim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Jeongtae Kim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Jeongtae Kim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Jeongtae Kim
 
Annual Review of MYSC 2013
Annual Review of MYSC 2013Annual Review of MYSC 2013
Annual Review of MYSC 2013Jeongtae Kim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Jeongtae Kim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Jeongtae Kim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Jeongtae Kim
 

Más de Jeongtae Kim (20)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엠와이소셜컴퍼니 2018년 연례 보고서_Annual Report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MYSC 디자인솔루션랩 포트폴리오 (2018년)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집합적 임팩트: 자폐성 장애인의 IT테스터로서의 자립 모델 (SAP-MYSC)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적 사내기업가 Social Intrapreneurship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비주얼씽킹 Visual Thinking & Social Innovation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디자인씽킹 이노베이션 워크숍(Part 1: 디자인씽킹 세계관과 프로세스)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2015년 MYSC 연례보고서 (5th merry year)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
MYSC 사회혁신랩 컨설턴트/선임연구원 채용공고 (2015)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
Social entrepreneurship through design thinking: Shared Value and Korea's Cases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사회적 사내기업가정신(Social Intrapreneurship): 밀레니얼세대가 조직에서 살아가는 방법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공유가치창출(CSV)과 기업사회혁신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NPO와 소셜임팩트: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와 집합적 임팩트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
Koica, 영국문화원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과 개발협력이야기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인간중심의 시대 소셜이노베이션 (Human-centered Social Innovation)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
KOICA 국제개발협력 "수요기반 시장중심 적정기술 활용방안" 김정태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Leveraging Social Media for Development: Lessons Learned and Insight
 
Annual Review of MYSC 2013
Annual Review of MYSC 2013Annual Review of MYSC 2013
Annual Review of MYSC 2013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MYSC Overview Leaflet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주제강연] 기후변화와 창조경제 시대의 디자인 기회와 역할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사회혁신과 임팩트비즈니스 Impact Business for Social Innovation
 

2012-2013 유엔새천년개발목표보고서

  • 2.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3 서 언 올해 새천년개발목표(MDGs) 보고서에는 이정표가 될 만한 진 보입니다. 또한 그 동안의 진전 정도도 국가별, 지역별로 불균등 전 사항이 여럿 포함되어 있습니다. 절대빈곤을 2015년까지 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도시와 농촌 간의 지역격차는 매우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감소시킨다는 목표를 5년 앞당겨 심각한 상태입니다. 실현하였음은 물론 식수를 구하기 어려운 인구 비율을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줄이려는 목표도 달성했습니다. 빈민 지역 2015년까지 새천년개발목표를 달성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 에 거주하는 2억 명 이상 사람들의 거주 상황도 개선되어 2020 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이는 새천년개발목표 8번(개발 년 달성 목표를 조기에 이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여아의 을 위한 국제파트너십 구축)의 달성여부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초등학교 등록률은 남아와 비슷해졌고 유아 및 산모 사망률도 현재 선진국들의 경제위기로 지금까지 달성된 발전이 감소하거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나 후퇴해서는 안 됩니다. 현재까지 우리가 노력하여 달성한 성 공을 발판으로 더욱 앞으로 나아갑시다. 그리고 새천년개발목 이러한 결과는 인간이 받고 있는 고통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 표가 달성되는 그 순간까지 최선을 다합시다. 음을 나타내며 새천년개발목표가 실현되고 있음을 확실히 보여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족하기에는 이릅니다. 현재 진행 상태 라면 2015년이 되어도 전 세계에서 6억 명 이상의 사람들은 여 전히 식수로 적합하지 않은 물을 마실 수밖에 없을 것이며 10억 명의 사람들이 일일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연명해야 할 것 입니다. 또한 많은 산모들이 출산 시 불가피하게 죽음을 맞게 될 것이며 아동들은 예방 가능한 병으로 고통 받거나 죽음에 이르 게 될 것입니다. 기아는 여전히 전 세계적인 문제이며 초등교육 이수 여부는 다른 모든 새천년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매우 중요하지만 아직 달성하지 못한 목표입니다. 안전한 공중 위생시설의 부족으로 보건 및 영양 공급의 발전이 더디게 진행 되고 있습니다. 생물의 다양성은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은 인간과 자연생태계에 심각하고 지속적인 위협 을 가하고 있습니다. 성 평등은 여성의 역량 강화 및 교육, 취업, 보건, 의사결정과 반기문 | 유엔사무총장 정에 여성이 참여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여야 달성할 수 있는데 여전히 부정적인 결과가 보고되기에 달성이 요원해
  • 3.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1-2012 5 차 례 서언 |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_ 3 Goal 6 IV/AIDS, 말라리아 및 기타 질 H 총람 | 사주캉 유엔경제사회국 유엔사무차장 _ 6 병 퇴치 _ 40 세부목표 2015년까지 HIV/AIDS의 확산을 멈추고 감소세로 Goal 1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_ 8 돌려놓는다 _ 40 세부목표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이 세부목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하루 1달러 이하의 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_ 43 소득 생활자 비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_ 8 세부목표 2015년까지 말라리아 및 다른 주요 질병의 발병 증 세부목표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및 여성과 청년층을 포함 가를 막고 이를 감소세로 전환시킨다 _ 44 한 모두에게 ‘일다운 일자리(decent work)’를 제공 한다 _ 10 세부목표 1990년에서 2015년까지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 의 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_ 13 Goal 7 지속가능한 환경 보장 _ 48 세부목표 지속가능한 개발 원칙을 국가정책 및 프로그램에 통합시키고 환경 자원의 손실을 복원한다 _ 48 Goal 2 보편적 초등교육의 달성 _ 18 세부목표 물다양성 감소를 억제하고 2010년까지 감소율을 생 현저하게 억제한다 _ 51 세부목표 2015년까지 전 세계 모든 아동들이 초등교육 전 과 세부목표 2015년까지 안전한 식수 및 기초적인 위생 환경에 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_ 18 대한 접근성이 부족한 인구의 비율을 반으로 줄인다 _ 54 세부목표 2020년까지 적어도 1억 명의 빈민가 거주민의 삶의 Goal 3 성 평등과 여성능력의 고양 _ 22 질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_ 58 세부목표 2005년까지 초등 및 중등교육에서 성에 따른 불균 형을 없애고, 2015년까지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성 평등을 이룬다 _ 22 Goal 8 개발을 위한 국제파트너십 구축 _ 60 세부목표 저개발국, 내륙국, 소규모 도서 지역 개발도상국들 이 처해 있는 특수한 문제를 해결한다 _ 61 Goal 4 유아(영아) 사망률 감소 _ 28 세부목표 방적이고 공정하며 예측 가능하고 차별 없는 무 개 역 및 금융체계를 더욱 발전시킨다 _ 62 세부목표 2015년까지 1990년 기준 5세 미만 유아(영아) 사망 세부목표 개발도상국의 부채 문제를 포괄적으로 처리한다 _ 64 률의 3분의 2를 감소한다 _ 28 세부목표 민간부분과 협력하여 신기술 특히 정보통신의 혜택 을 누리도록 한다 _ 65 Goal 5 산모건강의 증진 _ 32 독자에게 드리는 글 _ 68 세부목표 990년에서 2015년 사이에 산모 사망률을 4분의 3 1 지역분류 _ 69 감소시킨다 _ 32
  • 4. 6 총람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7 총 람 불평등은 이러한 성과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인을 통해 2000년 이후 더욱 많은 아동들이 초등교육에 등록하 ● 빈민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였습니다. 그중 여아의 입학률이 매우 높았습니다. 모든 개발도 빈민가에 거주하는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새천년개발목표 중 일부의 달성 속도를 둔화시키 상국가에서 남학생 대비 여학생 취학률(남학생 100명당 여학생 1990년 6억 5,000만 명으로 추산된 이래로 절대수는 지속적으 고 있습니다. 목표 기한이 3년 앞으로 다가온 지금 새천년개발 수)이 1999년에는 91이었으나 2010년에는 97로 증가하였습니 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 오차범위 ±3포인트 내에서 성 평등지수 97은 대체적으로 목표 달성에는 이미 커다란 성과가 있었습니다. 지역별, 국가별로 성과의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2008년과 성 평등이 달성되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2009년 사이 여러 위기상황으로 인해 일부 새천년개발목표의 향후 더욱 긍정적인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기회가 십여 년 전 전 세계 지도자들의 합의에 의해 제정된 새천년 ●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편적 초등교육의 달성 속도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있음은 물론 미래를 위한 새로운 의제를 채택할 개발목표는 그 달성 과정에서 이미 중대한 성과가 있었습니다.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루었습니다. 각국 정부·유엔 및 산하기구·민간기업과 시민 사회의 협력을 ● 지난 20여 년간 취약 고용은 매우 더디게 개선되고 있습 기회도 있습니다. 초등학교 학령기 아동의 취학률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 통해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고 더 많은 사람들의 삶의 여건 니다. 역에서 1999년 58%에서 2010년 76%로 괄목할 만한 성장이 있 2011년 전체 고용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 workers) 2015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지속적으로 장기적인 을 개선시켰습니다. 몇 가지 목표는 예정된 달성 시점보다 앞서 었습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은 초등학교 학령기 아 와 무급가족종사자(unpaid family workers)로 정의되는 “취약고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 식량안보, 성 평등, 산모보건, 농촌지역 달성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동의 숫자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취학률을 높이는 성과를 달 용” 상태에 있는 노동자들의 비율이 개발도상국내 전체 고용의 개발, 환경 및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각국 정부, 국제사 성했습니다. ● 모든 지역에서 절대빈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58%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20년 전 67%였던 상태에서 그리 많 회, 시민사회 및 민간기업의 적극적인 기여가 더욱 필요합니다. 빈곤 상황을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로 빈곤이 가장 심각한 사 ● 유아(영아) 사망률이 획기적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이 개선되지 않은 수치를 보여줍니다. 여성과 청소년층은 다른 2015년 이후에도 우리의 노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새로운 의 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포함하여 개발도상지역 전체에서 처음으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5세 이하 유아(영아) 사망률이 전 계층보다 더 불안정하고 불공정한 보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제를 채택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새천년개발목표 로 절대빈곤층의 규모 및 빈곤율이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하 세계적으로 1990년 1,200만 명에서 2010년 760만 명으로 감소 계층입니다. 캠페인을 통해 경험했던 성공과 실패의 시간들은 향후 논의에 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 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개발도상지역에서 큰 변화가 있었습니 풍성한 의견을 불어 넣을 것입니다. 또한 향후 새로운 시도도 년 47%에서 2008년 24%(20억 명 이상에서 14억 명 이하로)로 ● 2015년까지 산모 사망률을 감소시킨다는 목표도 달성하기 어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다. 가장 높은 5세 이하 유아(영아) 사망률을 기록했던 사하라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려울 것 같습니다.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1990-2000년 기간 동안 1.2%의 감 산모건강 및 산모 사망률 감소에 많은 발전이 있음에도 불구 ● 성 평등과 여성 역량 강화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소율을 보였으나 2000-2010년 기간 동안 2.4%의 감소율을 기 ● 빈곤감소 목표가 달성되었습니다. 하고 그 진전 속도는 여전히 느립니다. 청소년 임신 감소와 피임 성불평등은 지속되고 있으며 여성은 여전히 교육기회, 직 록하여 두 배 가까이 사망률을 감소시켰습니다. 하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는 세계빈곤율 도구 사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전보다 오히려 개선 장 및 재산권, 정치 분야 참여 등에서 차별받고 있습니다. 여성 (Global Poverty Rate)은 1990년 기준 수치의 절반 이하로 감소 ● 든 지역에서 HIV보균자들이 치료 기회를 얻을 수 있었 모 속도가 느리게 나타납니다. 에 대한 폭력은 새천년개발목표를 달성하려는 노력을 약화시킵 하였다고 추산됩니다. 이러한 결과가 최종 확인된다면 새천년 습니다. 니다. 2015년까지 또는 그 이후 목표에 대한 성공여부는 이렇게 개발목표의 첫 번째 목표인 “절대빈곤과 기아퇴치”는 2015년 ● 농촌지역에서 개량된 식수 사용 비율은 여전히 낮습니다. 상호 연계된 문제의 대처능력에 달려있습니다. 2010년 말 기준 개발도상지역에서 650만 명의 사람들이 이전에 달성되는 성과를 거둘 것입니다. 2010년 도시 지역의 비위생적 식수 사용 비율은 4%에 불과 HIV/AIDS 치료를 위해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았습니다. 한 반면 농촌지역의 경우 19%에 다다랐습니다. 식수관련 새천 ● 새천년개발목표의 달성과정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려는 세 이러한 수치는 2009년 12월 이래 14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혜 ● 개량된 식수에 접근이 어려운 인구의 비율을 절반으로 감 년개발목표 달성 정도 측정시 안전성, 신뢰성 및 지속가능성 등 계적인 의지와 공동 목적의 영향(power)을 보여주고 있 택을 받은 것이며 이는 1년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사람이 치료를 소시킨다는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과 같은 요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안전한 식수를 사 습니다. 받은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2010년까지 HIV/AIDS 치료를 “안전한 식수에 대한 지속적인 접근이 어려운 인구의 비율 용할 수 있는 인구의 실제 규모를 과도하게 평가할 가능성이 있 새천년개발목표는 국제 개발을 위한 시금석이 되어왔습니 필요로 하는 모든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라는 목 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는 목표는 2010년에 달성하였습니다. 습니다. 더욱이 개발도상국에 거주하는 사람 중 절반 이상이(약 다. 측정 가능한 목표로 제시된 명확한 의제와 목표 및 공동의 표는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이는 개선된 식수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년 76%에 25억 명) 여전히 개선된 위생시설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상태입 비전 제시는 이러한 성공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서 2010년 89%로 증가하였기 때문입니다. 1990년과 2010년 사 ● 결핵의 발병률 증가를 막고 이를 감소세로 전환시킨다는 니다. 2015년까지 67%의 인구만이 개선된 위생시설을 사용할 이제 국제사회에서는 새천년개발목표의 개발적인 목표가 이에 2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수도관이나 안전한 우물들을 이 목표는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수 있어 새천년개발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치인 75%에는 훨씬 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달성되어야 한다는 공감대와 전망이 용하여 개량된 식수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2002년 이래 결핵의 발병률은 감소하였으며 못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형성되고 있습니다. 지도자들은 이러한 높은 기준을 달성하려 현재 추세대로라면 2015년의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을 1990년 ● 빈민가에 거주하는 2억 명의 상황이 개선되어 목표를 이 ● 기아는 전 세계가 당면한 문제입니다. 고 노력할 것입니다. 정부, 기업, 학계, 시민사회와 같은 각계각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 초과 달성했습니다. 세계식량기구(FAO)의 가장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06/2008 층에서 상호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협조하는 방법을 체득하고 개발도상국의 도시 지역의 빈민가 거주민 비율이 2000년 ●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 수는 감소하고 있 년 전 세계 기아상태에 있는 인구가 8억 5,000만 명으로 전체 있습니다. 올해 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에 포함된 포괄적인 자 39%에서 2012년 33%로 감소하였습니다. 2억 명 이상의 빈민 습니다. 인구의 15.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러 지역에서 소득빈곤 료와 명확한 분석은 우리 모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지역 거주자들이 개량된 식수 및 위생시설, 견고하고 덜 협소한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 발병 건수는 2000년 이후로 17% (income poverty)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아 인구의 수가 있습니다. 주거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즉, “2020년까지 적어 가 줄어들었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률도 여전히 높은 이유는 기아 대책의 성과가 없었다는 반증입니다. 도 1억 명의 빈민가 거주민의 삶의 질을 현저히 향상시킨다“는 25%가 감소하였습니다. 2000년과 2010년 사이 말라리아가 발 아동들의 영양결핍상태 개선에 대한 진척도 느려지고 있습니 사주캉 | 유엔경제사회국 유엔사무차장 목표를 훨씬 앞당겨서 달성했습니다. 병한 99개국 중 43개국에서 말라리아 감염 건수가 50% 이상 감 다. 2010년 남아시아 지역의 아동 중 3분의 1이 저체중 상태에 소되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있었습니다. ● 남녀 간 초등교육에서 기회의 성 평등을 달성했습니다. 개별 국가 및 국제사회의 노력 그리고 새천년개발목표 캠페
  • 5. 8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9 년의 47%에서 2008년의 24%로 줄었다. 2008년에는 2005 년부터 2008년까지 빈곤율이 51%에서 37%로, 52%에서 세부목표 1990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하루 1달러 이하의 소득 년보다 절대 빈곤의 상황에서 사는 사람들이 약 1억 1,000만 26%로 각각 감소했다. Goal 1 생활자 비율을 절반으로 감소시킨다. 명 가량 감소했다. 개발도상국가의 절대 빈곤자 수는 1990년 의 20억 명 이상에서 2008년의 14억 명 이하로 줄어들었다. 이런 주목할 만한 감소율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이남 아프 리카 지역과 남아시아 지역의 빈곤 상태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전 지역에서 절대 빈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지난 4년간 식량 및 연료 가격 상승과 극심한 경기 불황 퍼져 있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빈곤율은 2005년과 2008 으로 인해 일부 국가들의 취약 계층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빈 년 사이에 약 5% 정도 감소하여 48%에 못 미치는 수치를 기 하루 1.25달러 이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 곤율 감소 속도가 지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빈곤율 록했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빈곤율을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 (1990년, 2005년, 2008년, 단위: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는 점을 2008년 이후 최신 자료를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하락률이었다. 절대 빈곤 인구로 살펴보 56 52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세계은행이 세계 빈곤율 업데이트 자료 면, 2005년의 3억 9,500만 명에서 2008년의 3억 8,600만 명 47 보다 훨씬 적은 표본으로 추산한 통계자료에서는 하루 1.25 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1981년 이래 남아시아 51 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전 세계 빈곤율은 2010년에 지속적인 증가 추세가 감소세로 돌아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38 34 1990년 수치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결 빈곤 퇴치라는 장기 목표를 이룰 가능성은 높다. 왜냐하 남아시아 (인도 제외) 52 과가 후속 연구를 통해 입증되면, 절대 빈곤율을 1990년도 면 개발도상국가들이 지난 10년간 광범위한 지역에서 이룩 29 26 수준의 절반으로 감소시킨다는 새천년개발목표의 첫 번째 목 한 탄탄한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생산고용 동남아시아 표가 2015년 목표 시한보다 앞서 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을 방해하는 불충분한 건강상태와 교육 부족, 고갈 및 손상된 45 19 그러나 절대 빈곤율이 최근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음에 자연 자원, 공공재를 낭비하고 민간투자를 저해하는 부패, 갈 17 동아시아 (중국만 포함) 도 불구하고, 2015년에도 여전히 약 10억 명의 사람들이 하 등, 부정적인 거버넌스 방식과 같이 절대빈곤이 지속될 수 있 60 16 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살아갈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는 조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초과달성도 가능할 것 13 이것은 전 세계 절대 빈곤율 16%에 해당되는 수치에 이른다. 으로 예상한다.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12 절대 빈곤 속에 살고 있는 사람 5명 중 4명은 사하라 이남 아 각 지역마다 빈곤 퇴치 노력이 얼마나 잘 이행되는 지에 9 6 프리카와 남아시아 지역에 밀집해 있다. 대한 모니터링도 빈곤 감소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취약 국 서아시아 * 5 일부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진척률이 훨씬 높다. 특히 중 가와 소규모 국가에서는 질적 및 양적으로 충분한 자료를 구 5 3 국의 개선 속도는 주목할 만하다. 절대 빈곤율이 1990년의 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통계자료의 질을 향상하고 빈곤 상태 북아프리카 60%에서 2005년의 16%로 급감하였고, 2008년까지 13%로 모니터링의 주요 기초 자료인 가계 조사를 보완하는 것이 가 5 3 더 감소하였다. 인도와 남아시아(인도 제외) 지역에서는 1990 장 시급한 문제이다. 2 개발도상국 (중국 제외) 41 31 28 개발도상국 47 27 24 0 10 20 30 40 50 60 70 1990년 2005년 2008년 목표 * 서아시아의 경우 13개 국가 중 5개 국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함. 참고 | 오세아니아 지역은 지표를 합산하기 위한 국가 자료가 부족함. 세계은행이 빈곤 추세를 모니터링하기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빈곤 율이 가장 높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포함한 모든 개발도상국가에 서 절대 빈곤에 처한 사람들의 수와 빈곤율이 감소했다. 개발도상국가 에서 하루 1.25달러 이하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1990
  • 6. 10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1 세부목표 노동 생산성 부분에서 개발도상국가는 선진국 이는 달성하기 어렵다.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 및 여성과 청년층을 포함한 모두에게 ‘일다운 일자리(decent work)’를 제공한다. 에 비해 훨씬 뒤쳐진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노동 생산성 수준의 차이는 지 난 20여 년간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선진국의 노동자 한 명당 생산량은 2011년 64,319 동아시아 지역은 근로 빈곤층(working poverty) 개선 부분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괄목한 성과를 거두었다. 1인당 생산량 (1991년, 2001년, 2011년) 달러를 기록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평균 13,077달러로 측 2005년 구매력평가(PPP)후 조정된 고정달러 (단위 : 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정되었다. 각 국가 간의 물가 차이를 적용한다고 해도, 개발도 하루 1.25달러 이하로 생계를 유지하는 고용 근로자의 비율(단위:%)과 근로 빈곤층의 규모 (단위: 백만) (2000년-2011년) 5 5 상국 노동자는 평균적으로 선진국 노동자 생산량의 5분의 1 백만 비율 6 800 35 근로 빈곤층, 동아시아 정도만 생산하는 것이다. 오세아니아 5 그러나 이러한 개발도상국의 평균 생산성은 지역에 따른 근로 빈곤층, 30 5 동아시아 제외 전 세계 6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 지난 10년간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 600 근로 빈곤층률, 동아시아 남아시아 25 브 제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지역의 생산성 4 5 개선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2001년과 2011년 사 근로 빈곤층률, 20 동아시아 제외 전 세계 9 400 동남아시아 이의 10년간 동아시아 지역의 생산량은 2배 이상 증가했다. 근로 빈곤층률, 전 세계 6 15 7 아시아 지역 외 개발도상국가들의 생산성 성장이 비교적 저 10 조한 이유는 근로빈곤층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10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200 10 7 5 14 동아시아 0 3 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6 14 북아프리카 의 소득으로 생활하는 노동자는 4억 5,600만 명이었으며, 이 17 18 는 2000년도 보다 2억 3,300만 명이 줄어든 것이고, 2007 21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년보다는 3,800만 명이 감소한 것이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 20 로 근로 빈곤층이 감소할 수 있었던 이유는 동아시아에서 절 21 23 대 빈곤 속에 살던 노동자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 서아시아 30 다. 특히 중국의 급격한 경제 성장과 빈곤 감소로 2001년에 35 40 는 2000년에 비해 근로 빈곤층 수가 1억 5,800만 명이 감소 선진국 했으며, 2007년과 2011년 사이에는 2,400만 명이 감소했다. 48 57 세계적으로 하루 1.25달러 이하로 사는 노동자의 비율이 64 개발도상국 2000년과 2011년을 비교해보면 26.4%에서 14.8%로 감소하 6 8 였다. 만약 동아시아가 제외된다면, 같은 시기에 감소 비율은 13 25.0%에서 17.4%로 그 폭이 줄어든다. 0 10 20 30 40 50 60 70 비록 근로 빈곤층이 줄어들고 있다고 할지라도, 2008 1991년 2001년 2011년* 년 이래로 감소 정도는 현저하게 낮아졌다. 경제위기(2000- * 2011년의 통계는 추정치임. 2007년) 이전의 경향에 따라 추산된 근로빈곤층 감소폭과 실 노동 생산성은 경제 성장을 측정하는 열쇠이며, 이를 통 제 2011년 감소폭과는 약 1.6% 차이가 있다. 이는 경제위기 해 국가가 공정하고 공평한 보수를 지불하는 일다운 일자리 전 예상보다 2011년 근로 빈곤층이 5,000만 명 정도 더 발생 국제노동기구(ILO)가 새로운 방법론으로 조사한 최근 통 를 창출하는지의 능력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근로 한 것을 의미한다. 계에 의하면 2011년 전 세계에서 하루 1.25달러 이하(빈곤선) 빈곤층에 대한 지속적인 감소는 노동 생산성에 대한 성장 없
  • 7. 12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3 취약고용(vulnerable employment)을 감소시키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청소년들은 가족 일을 돕게 되면서 취업 기회가 많은 청소년들은 비공식적으로 가족이 운영하는 사업체 기 위한 노력이 정체되었다. 취약 고용층의 높은 비율은 비정규 근로직이 많다는 것을 적어진다. 나 농장에서 일을 시작한다. 20개 개발도상국가를 연령 및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근로자들은 전형적으로 사회보장 고용 여부로 분류한 자료에 의하면 가족 사업체에서 일하는 전체 고용 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와 가족 종사자 에서 제외되거나, 저임금을 받고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저해 청소년의 비율이 성인의 비율보다 높다. (family worker) 비율 (1991년, 2011년. 단위 : %) 전체 고용 중 가족종사자가 차지하는 비율, 청소년과 성인의 비교, 오세아니아 되는 열악한 근로환경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다. 일부 국가 선택 (2003년/2006년. 단위 : %) 최종적으로 자영업자 상태가 되기 전, 학교 교육을 마치 74 마다가스카르 98 고 노동 시장으로 진입하는 시기에는 실업 상태나 임시 및 비 77 79 남아시아 81 여성이 취약 고용층에 포함될 가능성이 남성보 부르키나파소 정규직 기간이 포함될 수도 있다. 86 76 다 훨씬 크다. 44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부탄 82 78 세부목표 76 61 전체 고용 시장에서 자영자(own-account)와 가족종사자 1990년에서 2015년까지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 남아시아 (인도 제외) (family worker) 비율, 여성과 남성의 비교 (2011년, 단위 : %) 우간다 73 65 들의 비율을 절반 수준으로 감소시킨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21 68 85 토고 동남아시아 69 64 68 61 오세아니아 말리 13 영양실조 인구는 1990년 이래로 안정세를 보 84 동아시아 66 71 28 62 인다. 남아시아 49 모잠비크 83 61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74 28 46 개발도상국에서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와 비율 동남아시아 캄보디아 42 (1990-92, 1995-97, 2000-02, 2006-08) 66 60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26 58 백만 비율 35 페루 동아시아 1,400 25 32 45 53 18 북아프리카 46 37 파키스탄 북아프리카 39 1,200 19.8 30 44 15 20 동아시아 (중국 제외) 26 인도 37 1,000 16.8 16.5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35 30 16 15.5 43 서아시아 니카라과 41 15 43 30 800 서아시아 848 836 850 26 6 41 791 선진국 과테말라 22 25 600 11 10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9 10 32 필리핀 개발도상국 22 32 400 67 7 선진국 58 5 9 콜롬비아 0 20 40 60 80 100 11 14 200 3 1991년 2011년* 개발도상국 콩고 62 ** 2011년 통계는 추정치임. 13 0 0 56 2 1990-92 1995-97 2000-02 2006-0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멕시코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 취약 고용은 전체 고용 시장에서 무급가족종사자와 자영 12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율 여성 남성 4 자 비율의 합계로 정의되는데, 2011년 개발도상국의 취약 고 가봉 11 용은 전체 고용의 58%를 차지하였다. 여성과 남성 간 취약 고용은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3 유엔식량농업기구가 2011년에 발간한 2006년과 2008년 니제르 고용 시장에서 취약 고용 비율은 1991년과 2011년 사이 차이를 보인다. 이 지역의 2011년 취약 고용 비율은 남성이 9 영양 부족 상태에 대한 통계에서 전 세계 인구의 15.5%에 이 1 에 서서히 감소했다. 하지만 비율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26%인 것에 비해 여성은 44%가 해당되었다. 서아시아의 경 아르메니아 르는 8억 5,000만 명이 영양 부족 상태에 있다고 밝혔다. 이 2 2000년 이래 취약 고용의 수는 1억 3,600만 명이 증가하여 우 여성과 남성의 취약 고용이 각각 41%와 22%이다. 성별과 1 것은 2008년 식량 생산 및 소비에 대한 통계와 2007-2008 0 20 40 60 80 100 전 세계적으로 15억 2,000만 명에 이르렀다. 취약 고용층이 상관없이 취약 고용률이 가장 높은 곳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 년 식량 가격 폭등 및 2008년 금융 위기의 여파를 실제적으 청소년 성인 널리 퍼져있는 국가들의 노동 인구가 늘면서 이러한 경향은 카 지역으로 여성과 남성이 각각 85%와 69%를 차지했다. 로 반영한 첫 번째 분석 자료다.
  • 8. 14 Goal 1 | 절대빈곤과 기아퇴치 유엔새천년개발목표 보고서 2012-2013 15 세계적으로 2008년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높은 경 감소함에도 영양 부족 상태가 지속되는 이유를 알기 위해서 개발도상국 5세 미만 저체중 아동의 비율은 1990년 29% 제 성장률을 유지해준 덕분에 다행히도 예상 결과만큼의 수 는 기아의 원인과 다양한 요소 그리고 적절한 정책 및 조치 개선된 방법론은 세계적인 식량 불안정 상태(food 에서 2010년 18%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개선은 연도별 비교 준에는 이르지 않았다. 시행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insecurity) 파악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가 가능한 모든 지역에서 보고되었지만, 2015년까지 세계적 인 목표 수치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부족하다. 다른 여러 요 유엔식량농업기구는 새롭게 개발한 방법론으로 실시한 많은 국가에서 식량 부족을 해결하려는 노력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이 식량 및 금융 인들 중에서 도심-농촌 간의 차이와 빈곤 격차를 줄이려는 대규모 가계 소비 조사를 통해 기아 확산에 대한 새로운 통 은 느려지거나 정체되고 있다. 위기의 타격을 가장 강하게 입었다. 계치를 도출하는 중이다. 이 자료에서는 2009-2011년 평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 및 2012년 추정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개선된 통 또한 연령별 신장 발육을 통해 아동의 전반적인 건강과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비율 (1990년 충분한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 계에는 식량 접근의 불평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영양학적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에서도 발육부진(stunting)으 -1992년, 2000년-2002년, 2006년-2008년, 단위 : %) (2003년-2008년, 단위 : 백만) 정보뿐만 아니라, 식량 재고와 식료품 이외의 사용 및 낭비 로 평가받았다. 이 지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종 개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시아 에 대한 더욱 정확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상국가에서 간과되고 있다. 저체중보다 더 보편적 개념인 31 600 29 27 579 579 발육부진은 영양 결핍뿐만 아니라 유아기에 발생하여 성장 578 남아시아 (인도 제외) 과 발달을 저해하는 질병을 더욱 정확하게 보여준다. 비록 발 26 567 개발도상국 5세 미만 아동 5명 중 1명이 저체중 23 557 육부진 정도가 1990년 44%에서 2010년 29%로 떨어졌지만, 22 556 상태이다. 남아시아 550 수백만 명의 어린이들이 장기적인 영양 부족으로 인해 인지 22 21 적 및 신체적 발달에서 약할 가능성이 있다. 20 5세 미만 아동 중 저체중 아동의 비율 단기 및 장기적인 아동기 영양결핍으로 인한 결과가 재앙 동남아시아 (1990년-2010년. 단위 : %) 24 적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영양학적 보건은 여전히 사업추진에 남아시아 17 51 14 500 32 있어 우선순위가 낮다. 이제는 개발 의제 채택 시 영양이 우 동아시아 (중국 제외)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선되어야 할 시기이다. 8 29 13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13 240 22 영양결핍 상태를 줄이기 위한 단순하면서도 비용 효율이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231 31 높은 조치들은 임신 순간부터 영아 출생 후 만 2세까지의 기 18 17 10 북아프리카 간에 시행되는 것이 좋다. 그 기간에는 산모 영양 공급 및 보 10 220 10 호 개선, 신생아 출생 직후(1시간 이내) 모유 수유, 생후 6개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214 212 213 211 210 6 12 10 서아시아 월간의 집중적인 모유 수유, 그리고 이후 18개월 동안 시기적 8 15 5 절하고 올바르며 안전한 보충식 공급 및 미량의 영양소 보충 서아시아 200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6 제 투여와 같은 조치들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이룬 성취를 유 8 11 7 4 지 및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조치들을 조속히 시행 북아프리카 동아시아 5 180 15 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3 5 5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 제도 개발도상국 8 20 유엔식량농업기구의 평가에 의하면 식량을 수입에 크게 3 17 개발도상국 15 의존하고 있는 소규모 국가들, 특히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 29 18 0 5 10 15 20 25 30 35 역의 국가들이 치솟는 식량 가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0 10 20 30 40 50 60 1990-1992년 2000-2002년 2006-2008년 고 발표했다. 그에 반해 아시아의 대규모 국가들은 제한적 무 1990년 2010년 목표 추정 범위 역 방침을 통해 자국의 시장을 보호하고 사회적 안전망으로 참고 | 위 통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아동발달기준(Child Growth 기아의 확산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인도 이외의 남아 Standard)에 따라 측정됨. 상기 경향 분석은 1985년부터 2010년까지 데오니스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 등이 공저한 『국제전염병학(疫學) 저널』 (제 3권 p1260~1270)의 시아에서 매우 높은 편이다. 또한 동아시아의 경우 소득 빈곤 ‘아동영양실조의 지역적 및 세계적 경향에 대한 통계방법론’에서 사용한 카 지역의 영양 부족 인구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반면, 아시 다중회기모델(multilevel regression model)을 기초로 함. (income poverty)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2000년 이래로 영 아 지역에서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될 수 있었다. 지역적 통계의 경우 95%의 신뢰구간을 가짐. 이 통계는 기초자료, 국제표준인구 (international standard reference population)와 통계방법론의 차이로 인하여, 양 부족 개선에 대한 조짐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빈곤율이 이전보고서에 제시된 수치와 상이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