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5
1. Introduction
자료 : 네이버
Problem Statement
• 소셜 미디어 이용증가
➢ 소셜 미디어 상의 비윤리적 표현 사용 증가
➢ 소셜 미디어 플랫폼 단위의 비윤리적 언어 감
지 및 차단기능 제공
• 활발히 이루어진 루머 연구에 비해 더 넓은 범주
인 비윤리적 표현을 판별하고 분석하는 연구는 미
미한 실정임
6. 6
1. Introduction
Contribution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상에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비윤리적 표현들을 탐지하기 위하여 비윤리적
표현 전파 그래프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함
1. 비윤리적 표현을 판별하는 성능 향상
2. 비윤리적 표현 판별에 그래프를 이용한 분석 방법 적용
3. 소셜 미디어 상의 아동 청소년의 비윤리적 표현 사용관련 연구로 확장 가능
10. 10
3. Experiment Plan
Baseline (비윤리적 표현 분류모델)
• KoELECTRA, KoBERT와 같은 모델들과 비교할 계획
• Precision
• Recall
• Accuracy
• F1-Score
Performance Evaluation
11. 11
3. Experiment Plan
Baseline (비윤리적 표현 전파 그래프)
• Betweeness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Pagerank 와 비교할 계획
• 해당 실험 결과를 통하여 비윤리적 측면의 전파에 있어 영향력이 큰 표현의 통계적 분석을 시도
할 계획
12. 12
4. Conclusion
Conclusion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상에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비윤리적 표현들을 탐지하기 위하여 비윤리적 표현
전파 그래프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함
• 비윤리적 표현 전파 모델을 통하여 비윤리적 표현을 판별하고 비윤리적 표현 전파 그래프로 나타냄
• 비윤리적 표현 전파 그래프를 분석하여 실제 파급력있는 비윤리적 표현임을 파악함
• 추후 아동 청소년 단위의 연구로 확장할 계획
13. 13
5. Future Works
Contributions
• 유저-댓글, 유저-대댓글이 연결된 그래프 구축
• 아동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이용자 수 증가 추세
➢ 소셜 미디어가 아동 청소년에게 주는 파급력이 강해짐
➢ 연령층이 낮아지는 소셜 미디어 상의 아동 청소년 단위 가해 및 피해 사례에 대한 대처 방안 모색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