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ha denunciado esta presentación.
Se está descargando tu SlideShare. ×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3 - Can AI and robots in movies be realized?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Eche un vistazo a continuación

1 de 42 Anuncio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3 - Can AI and robots in movies be realized?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Lecture 03 of the 1st NS-CUK Winter School on Ethics of AI and Robots (AI Ethics 2022)

Lecturer: Dr. Eun-Soon You
Date: Dec 22nd, 2022
Topic: Can AI and robots in movies be realized?
Syllabus: https://nslab-cuk.github.io/2022/12/06/WS/

Lecture 03 of the 1st NS-CUK Winter School on Ethics of AI and Robots (AI Ethics 2022)

Lecturer: Dr. Eun-Soon You
Date: Dec 22nd, 2022
Topic: Can AI and robots in movies be realized?
Syllabus: https://nslab-cuk.github.io/2022/12/06/WS/

Anuncio
Anuncio

Más Contenido Relacionado

Más reciente (20)

Anuncio

NS-CUK WS on AI Ethics 2022: Lecture 03 - Can AI and robots in movies be realized?

  1. 1. 강의 주제  인공지능 로봇과 함께하는 노동의 미래  노동의 개념  인간과 기계, 갈등의 역사  로봇세 도입의 문제  스크린 속으로  애니메이션 <Wall-E>  토론 주제  기술은 우리 인간을 더 인간답게 만드는가?  인간은 지구를 떠나서 ‘인간’으로 살 수 있을까?
  2. 2. 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 호모 파베르(Homo Faber)  영화 <2001:스페이스 오디세이>(1968)
  3. 3.  노동이란 무엇인가?  사람이 생활에 필요한 물자를 얻기 위하여 육체적 노 력이나 정신적 노력을 들이는 행위(네이버 국어 사전)  인류는 ‘노동’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 형벌로서의 노동 자유로서의 노동
  4. 4.  형벌로서의 노동  “너는 죽도록 고생해야 먹고 살 리라“(창세기 3장 17절)  평생 큰 바위를 산꼭대기까지 밀어 올려야 하는 시지프스  노동(labor)의 어원  라틴어 ‘구속‘, ‘고통’을 의미 티치아노(Tiziano)의 <시지프스>(1548~1549)
  5. 5.  자유로서의 노동  중세 시대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 (Augustinus, 254~430)의 <창세기 축자 해석>  낙원에서의 노동은 강제에 의한 노역이 아니라 ‘자유 의지’에서 우러난 것 아우구스티누스
  6. 6.  고대 그리스는 ‘노동’과 ‘일’을 구분  노동은 생물학적 필요에 의해 행 해지는 비천한 활동  노예의 과업  일은 자유로운 활동  자유인이 인간적인 성취를 추구 하기 위해 행하는 활동
  7. 7.  독 일 철 학 자 한 나 아 렌 트 (Hannah Arendt,1906~1975)  노동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것  필요에 의해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행위  일은 인간 의지가 수반된 활동  일에 자신의 욕망과 계획을 투영  독 일 철 학 자 칼 마 르 크 스 (Karl Marx, 1818~1883)  인간의 본질로 규정  노동은 인간 삶의 중심 가치  인간의 정체성과 자아실현 그 자체 한나 아렌트 칼 마르크스
  8. 8.  토론 주제 현대에서 일과 노동에 대한 의미는 어떠 한가?
  9. 9. 인간과 기계, 갈등의 역사
  10. 10.  인간과 기계의 갈등  기계화에 대한 공포와 불안  러다이트(Luddite) 운동  19세기(1811∼1817) 영국의 직물공업지대에서 일어났던 기계 파괴 운 동  산업혁명으로 인한 실업자 증가, 경제불황, 임금 하락  정체 불명의 지도자 N.러드라는 인물이 지도하여 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 당시 제조업의 일자리는 줄어들었지만 서비스업은 증가
  11. 11.  러다이트(Luddite) 운동의 리더 네드 러드(Ned Ludd)
  12. 12.  철도 노동자 존 헨리의 전설  ‘영혼 없는 기계’와의 대결에서 승리
  13. 13.  에밀 졸라(Emile Zola, 1840~1902))의 소설 『목로주점』 (1877)중에서  “이 엄청난 기계는 열 두 시간에 수백 킬로그램이라는 볼 트를 만들었다… 육체하고 쇠하고는 싸울 수 없는 것이라 고 마음에 타일러 체념을 하였을 때도 여전히 이것은 그에 게 커다란 슬픔을 주었다. 기어이 언젠가는 기계가 노동자 를 죽이리라. 이미 그들의 일급이 20프랑에서 9프랑으로 떨어졌다. 그러고도 더 내린다는 것이다.”
  14. 14.  영국의 적기조례정책(붉은 깃발법)  자동차의 발명으로 위기를 맞은 마부를 보호하 기 위해 제정된 법  세계최초의 도로교통법  시대착오적 규제의 대표적 사례
  15. 15.  영국의 자동차 산업을 지연시킨 적기 조례 정책(Red Flag Act)  자동차의 등장으로 마부들과 자동차 산업과의 갈등  1861년 적기 조례 법을 발표  최고 속도는 마차보다 빠르지 않도록 6.4km, 시가지에서는 3.2km로 제한  말들을 만나면 차량 정지  차량이 말을 놀라게 하는 연기나 증기 금지 자동차를 느림보로 만든 결과
  16. 16.  토론 주제 러다이트 운동의 의미 영국의 적기 조례 정책의 문제점
  17. 17. 육체 노동자의 위기에서 지식 노동자의 위기로
  18. 18.  산업사회의 이면을 풍자한 영화 <모던 타임즈>(1936)  ‘기계를 지배하는 인간’이 아닌 ‘기계가 되어야만 하는 인간‘  기계부품으로 전락한 인간의 노동  공장에서 나사를 풀고 조이는 일을 반복하는 ‘리틀 트럼프(찰리 채플린)’는 장시간의 노동 때문에 신경쇠약에 걸린 노동자다. 나사 모양과 비슷한 것만 보아도 스패너를 들 고 조이려는 바람에 공장의 거대한 톱니바퀴 속으로 빨려 들어간 일이 한두 번이 아니 다. 짬을 내어 쉬고 싶어도 24시간 내내 모니터로 감시하는 사장 때문에 휴식은 꿈도 꾸지 못한다. 쉴 새 없이 일만 하던 그는 결국 신경쇠약이 악화되어 정신병원에 실려간 다. 간신히 퇴원하지만 그를 받아 주는 일터는 없다.
  19. 19. •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학파 • 사이렌의 노래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밀랍으로 귀를 봉인한 선원과 밧줄에 몸을 묶은 오디세우스를 통해 자유를 희생한 자본주의 노동 자들의 모습을 읽어냄 오디세우스와 사이렌
  20. 20.  “기계 그 자체는 노동시간을 단축시키지 만 자본주의적으로 사용되면 노동시간을 연장시키며, 기계 그 자체는 노동을 경감 시키지만 자본주의적으로 사용되면 노동 강도를 높이며, 기계 그 자체는 자연력에 대한 인간의 승리이지만 자본주의적으로 사용되면 인간을 자연력의 노예로 만들 며, 기계 그 자체는 생산자의 부를 증대시 키지만 자본주의적으로 사용되면 생산자 를 빈민으로 만든다.” (칼 마르크스) 기계의 자본주의적 사용
  21. 21.  지식 노동자(Knowledge Worker)의 위기  자신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지식을 소유한 사람(미국의 경 영학자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지식이 무기가 아닌 시대 무엇을 해야 하는가?
  22. 22. • 인간의 지능을 초월한 기계 • 딥블루(Deep Blue) vs 카스파로프(1997) 퀴즈쇼 제퍼디에서 우승한 왓슨 (Watson)(2011)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
  23. 23.  창작의 영역으로 들어 온 인공지능 구글 인공지능 ‘딥드림(Deep dream)’이 그린 그림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hh, 1853~1890) 의 <별이 빛나는 밤에>(1889)
  24. 24. 렘브란트풍 그림을 그린 인공지능의 프로 그램 코드 • 넥스트 렘브란트 프로젝트 • 렘브란트의 화풍을 모방
  25. 25. <에드몽드 벨아미 초상(Edmond de Belamy)>(2018) “min G max D x [log (D(x))] + z [log(1 – D (G(z)))]”
  26. 26. 작곡하는 인공지능 ‘마젠타' 인공지능 시나리오 작가 ‘벤자민’ 영화 <선스프링>(Sunspring)(2016)
  27. 27.  토론 주제  인공지능이 창작의 주체가 된다면 어떤 문제들 이 생길까?
  28. 28.  “우리는 전례없이 부유해졌지 만 모든 부가 로봇을 소유한 사 람들에게 돌아가는 사회를 목 격하게 될지도 모른다.”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 “로봇을 통해 창출된 부가 소수의 사 람들에게만 축적된다면 미래는 ‘인 간 대 기계’가 아닌 ‘로봇을 소유한 인간 대 인간의 투쟁’이 될 것이다.” 인공지능학자, 제리 카플란(Jerry Kaplan) 인공지능 로봇 노동 사회의 불평등
  29. 29.  부의 재분배 문제  양극화 심화 자본가 노동자 로봇을 소유 한 자 로봇을 소유 하지 못한 자
  30. 30.  부의 재분배 문제  로봇세 도입  로봇세  인공 지능(AI) 로봇을 사용 해 높은 이익을 얻는 기업 에 부과하는 세금을 통칭  “인간과 같은 일을 하는 로 봇의 노동에도 세금을 매겨 야 한다”(빌 게이츠, 2017년 2월 인터뷰)  로봇 도입으로 인한 실직 속 도를 늦추고 실직자의 재교 육 등을 지원할 재원으로 활 용하기 위해 로봇을 소유한 사람이나 기업으로부터 걷 는 세금
  31. 31.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재 교육하거나 지원하는데 쓰일 수 있다.” “로봇산업의 경쟁력에 부정 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로봇 기술혁신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로봇세 도입
  32. 32.  유럽의회는 로봇세 도입을 반대하는 결의안을 채택  “인간을 대체하는 인공지능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기계 과세’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국내 국회 입법연구모임)
  33. 33. 여러분들의 생각은? 토론 주제
  34. 34.  스크린 속으로 애니메이션 <WALL-E>(2008) 주요 장면 감상
  35. 35.  월 -E (WALL-E: Waste Allocation Load Lifter Earth-Class, 지구 폐기 물 수거-처리용 로봇)  거대한 쓰레기장이 되어 버린 지구 에 홀로 남은 청소 로봇  영화 1부는 노동 로봇 월-E의 일상 과 사랑을 꿈꾸는 이야기  영화 2부는 지구를 탈출한 인류가 우주를 떠돌며 인공지능 오토가 통 제하는 초호화 우주선 액시옴 (Axiom)에서 먹고 마시고 소비하 며 즐기는 이야기
  36. 36.  기술은 우리 인간을 더 인간답게 만드는가? o 기술이 제공하는 완벽한 세상에 서 인간은 어떤 모습일까?  요람에서 무덤까지 기술의 편리 에 중독된 인간 토론 주제
  37. 37. I don’t want to survive! I want to live! 나는 생존이 아니라 생활을 하고 싶어!
  38. 38.  노동으로부터의 소외? 해방?  기술의 자율성  “현대 기술은 그 자체의 동력을 가 지고 스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더 이상 인간의 개입이나 결정이 무의미하다.” (자크 엘륄)  인간의 노동의 개입을 최소화하거 나 배제  기술이 필요를 창출  필요에 의해 기술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 필요를 창 출하고 인간은 새롭게 창출된 기술적 환경에 소비자로만 전락  인간에게 “사용하지 않을 자유” 를 불허
  39. 39.  토론 주제  인간은 지구를 떠나서 ‘인간’으로 살 수 있을까?
  40. 40.  자연을 정복한 인간 <라스코 동굴 벽화>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
  41. 41. 우주 개척의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