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ha denunciado esta presentación.
Se está descargando tu SlideShare. ×

20160113_모바일 트렌드 2016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Próximo SlideShare
2015 미디어 트렌드
2015 미디어 트렌드
Cargando en…3
×

Eche un vistazo a continuación

1 de 11 Anuncio

Más Contenido Relacionado

Presentaciones para usted (20)

Anuncio

Similares a 20160113_모바일 트렌드 2016 (20)

Más reciente (20)

Anuncio

20160113_모바일 트렌드 2016

  1. 1.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모바일 트렌드 2016 커머스, 미디어, 그리고 디바이스 KRDAG 장성만 (frontjang@naver.com)
  2. 2.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책 소개 모바일 트렌드 2016 (모바일, 온디맨드의 중심에 서다) 1. 2016 전반적 전망, 옴니채널을 넘어 온디맨드 시대로  요구가 있을 때는 언제든지 온디맨드 2. 커머스, 온디맨드 시대의 중심  O2O 중심의 온디맨드 서비스, 대세가 되다 / 온디맨드 서비스 사례와 시장 동향 / 온디맨드 서비스가 극복해야 하는 문제들 / 온디맨드 커머스 성공 전략 3. SNS, 소통보다는 자기표현  SNS의 핵심, 쿨하게 보이는 것 / 실명과 익명의 중간, 반폐쇄 SNS의 등장 / SNS를 넘어선 거대 공룡들 / 2016년 SNS 트렌드 예측 4. 미디어, 동영상 온리의 시대로  이미 대중화된 온디맨드 / 모두 동영상으로 집중 /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 중국 시장 / 2016년 모바일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전망 5. 모바일 결제, 춘추전국시대의 경쟁 돌입  핀테크를 넘어 온디맨드 시대의 결제로 / 기업, 산업, 국경의 경계를 허무는 간편결제 전쟁 / 모바일 결제의 환경을 좌우하는 인증 서비스 6. 인터넷 전문은행, 모바일 전문은행의 또 다른 이름  은행 서비스는 필요하지만 은행은 불필요한 시대 / 인터넷 전문은행은 모바일 전문은행이다 / 온디맨드 뱅킹의 종결자인 인터넷 전문은행 7. 스마트폰 시장, 마이너스에서 플러스 경쟁으로  스마트폰 시장에 감도는 변화의 기운 / 스마트폰 시장의 승자가 되기 위한 전략들 / 스마트폰의 ‘플러스’ 경쟁, 폰 그 이상의 가치를 향해 / 사물인터넷 생태계와 향후 스마트폰 전략 8. 이머징 디바이스, 온디맨드 서비스 성장의 새로운 축  혼전 양상에 돌입한 스마트워치 / 비디오 디바이스 / 모바일 디바이스로 발전하는 자동차 / 온디맨드 서비스와 이머징 디바이스
  3. 3.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책 소개 모바일 트렌드 2016 (모바일, 온디맨드의 중심에 서다) 1. 2016 전반적 전망, 옴니채널을 넘어 온디맨드 시대로  요구가 있을 때는 언제든지 온디맨드 2. 커머스, 온디맨드 시대의 중심  O2O 중심의 온디맨드 서비스, 대세가 되다 / 온디맨드 서비스 사례와 시장 동향 / 온디맨드 서비스가 극복해야 하는 문제들 / 온디맨드 커머스 성공 전략 3. SNS, 소통보다는 자기표현  SNS의 핵심, 쿨하게 보이는 것 / 실명과 익명의 중간, 반폐쇄 SNS의 등장 / SNS를 넘어선 거대 공룡들 / 2016년 SNS 트렌드 예측 4. 미디어, 동영상 온리의 시대로  이미 대중화된 온디맨드 / 모두 동영상으로 집중 / 벤치마킹의 대상이 된 중국 시장 / 2016년 모바일 미디어 콘텐츠 시장의 전망 5. 모바일 결제, 춘추전국시대의 경쟁 돌입  핀테크를 넘어 온디맨드 시대의 결제로 / 기업, 산업, 국경의 경계를 허무는 간편결제 전쟁 / 모바일 결제의 환경을 좌우하는 인증 서비스 6. 인터넷 전문은행, 모바일 전문은행의 또 다른 이름  은행 서비스는 필요하지만 은행은 불필요한 시대 / 인터넷 전문은행은 모바일 전문은행이다 / 온디맨드 뱅킹의 종결자인 인터넷 전문은행 7. 스마트폰 시장, 마이너스에서 플러스 경쟁으로  스마트폰 시장에 감도는 변화의 기운 / 스마트폰 시장의 승자가 되기 위한 전략들 / 스마트폰의 ‘플러스’ 경쟁, 폰 그 이상의 가치를 향해 / 사물인터넷 생태계와 향후 스마트폰 전략 8. 이머징 디바이스, 온디맨드 서비스 성장의 새로운 축  혼전 양상에 돌입한 스마트워치 / 비디오 디바이스 / 모바일 디바이스로 발전하는 자동차 / 온디맨드 서비스와 이머징 디바이스 미디어 디바이스 커머스
  4. 4.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2016 모바일 트렌드 온디맨드 커머스 모바일用 미디어 중저가 디바이스
  5. 5.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온디맨드 '요구가 있을 때는 언제든지' 온디맨드 (On-demand): • 수요자의 요구나 주문에 맞춰 언제든지 필요한 물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 언제든 내가 보고싶은 것을 볼 수 있는 VOD 서비스, 내가 필요한만큼 컴퓨터 자원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 옴니채널(오프라인+온라인)의 온디맨드에는 상품의 ‘즉시성’이 강조됨 • 온디맨드 경제: • 공급 중심이 아니라 수요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나 전략 • 수요자 입장에서는 공급자가 누구인지 상관이 없다 => 공유경제 공유경제: • 개인이 가진 유휴자원을 활용해 부가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 ‘기업’이 ‘물건’을 판매 => ‘누구나’가 ‘서비스’를 판매 == 우버화(Uberization): • 라이선스나 판매권이 없는 일반인이 재화나 서비스를 불특정 다수에게 판매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플랫폼 및 비즈니스 모델 • 고객과 고객 근처에 있는 서비스 제공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근접성, 즉시성 제공) 예) Uber, AirBnB… 온디맨드♥모바일: •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온.오프라인 서비스의 확인 및 주문가능 • 간편하고 친숙한 모바일 환경을 바탕으로 공유경제 플랫폼의 활성화
  6. 6.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커머스 가격 경쟁력과 편의성 공유경제의 확산 • 우버 • 우버x(택시), 우버러시(자전거배송), 우버이츠(음식배달), 우버풀(카풀), 우버카고(가구운반) • 관련 서비스 • 모두의 주차장(빈 주차장 공유), 페달링(와서 세차), 아마존 플렉스(일반인이 배송), 아마존 홈서비스 온디맨드 서비스 및 옴니채널의 활성화 • 배송/구매 대행 서비스 • 스타벅스 사이렌오더(미리 주문), 인스타카트(코스트코 물품 대리구매), 오퍼레이터(주문 제안/결제) •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온라인 단점 상쇄) • 텐페이(점원에게 직접 질문), 네이버 톡톡(오프라인 디스플레이 구경가능) • 빠른 배송 • 라쿠텐 라쿠빈 (20분내 배송), 쿠팡 로켓배송(+친절), CU-부탁해 제휴, GS홈쇼핑 한하요우(호텔 배송) 핀테크(FinTech, Financial+Technology)의 활성화 • 낮은 운영비를 통한 높은 이율 제공 및 새로운 고객층 유치 가능 • 모바일에서 발생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
  7. 7.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커머스 #2 간편결제 쓱=SSG, 신세계적 쇼핑포털 SSG.COM https://www.youtube.com/watch?v=VQ6mWb90vQU
  8. 8.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미디어 공급과 수요의 모바일 환경 적응 완료 동영상과 실시간 소통이 친숙해짐: •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SNS • 페리스코프(1인 방송앱), 미어캣(인터넷공개), 스냅챗(친구전용) • 유명인 생방송 서비스 • 네이버 V(마주보며 이야기하는 경험), 페이스북 멘션, 마이리틀 텔레비전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메신저 체류시간의 증가: • 연구결과: 메신저에서는 친구와의 소통보다 콘텐츠 소비에 비중 (킬러콘텐츠) • 콘텐츠가 없으면 더이상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는다 == Content is the king, • 온디맨드 메신저로의 확장 (O2O 서비스): • 카카오(대리운전, 배달, 청소), 라인(택시, 식당예약) • 플랫폼 맞춤형 컨텐츠로 사용자 유입: • 모바일 전용 컨텐츠 제작 및 독점적 컨텐츠 확보. e.g. 카드뉴스, 넷플릭스 드라마 • 스낵컬쳐를 위한 모바일 컨텐츠: • 큐레이션, 리스티클링의 필요성: 버즈피드, 피키캐스트, / 미디엄, 네이버 포스트, 카카오 브런치
  9. 9.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디바이스 성능은 이미 상향평준화. 차별성이 필요하다. 스마트폰 혁신부재, 가격경쟁은 필연적: • 프리미엄폰 출고가 인하, 중저가 라인업 강화 • 삼성, 애플, LG의 전략프리미엄폰 가격대 인하 / 갤럭시 AEJ시리즈, 루나 • 패블릿화, 이미지/영상기기화 • 갤럭시 노트, 아이폰 화면크기변화 / 갤럭시 Edge, LG V10, 소니 Xperia Z5 3세대 폰으로의 진화: • 1세대 피쳐폰, 2세대 스마트폰, 3세대 포스트 스마트폰 • 3세대 폰은 사물들을 위한 통신의 허브 및 코디네이터의 역할 수행 • 이머징 디바이스와의 결합 • 융합서비스가 가능해지며, 온디맨드 서비스를 더욱 쉽게 이용 가능 • 예) 스마트 워치 => 서비스 조작을 위한 컨트롤러로 사용 가능 •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더욱 잘 파악할 수 있게됨 -> 빅데이터와의 결합 • 예) 스마트 카 => 사용자 운전습관을 바탕으로 보험료 차등부과, 대출 서비스
  10. 10.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결론 킬러서비스/컨텐츠 is king 킬러서비스/컨텐츠는 사용자를 플랫폼에 유치/유지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누구나 플랫폼을 따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사용자를 유치하는것은 다른이야기. (플랫폼: 커머스 플랫폼, 미디어 플랫폼, 디바이스 플랫폼) 차별화된 킬러서비스/컨텐츠가 중요하며, 이것이 SNS에 유명인을 유치하고 전담 팀을 꾸리는 이유 보편화되고 가격경쟁이 심화된 현 시장에서, 킬러서비스는 사용자를 끌어오고, 떠나지 못하게 한다. (커머스: 로켓배송, 미디어: 페이스북, 디바이스: 삼성페이) 단,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서비스야말로 진정한 킬러서비스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력한 큐레이션 기능이 모든 플랫폼에 필수적으로 탑재될것이다. 커머스는 사용자를 찾아가고, 사용자는 원터치 결제로 실시간으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11. 11. Copyright@ 2015 All reserved by KrD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