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ha denunciado esta presentación.
Se está descargando tu SlideShare. ×

1장 기자데이터와만나다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Eche un vistazo a continuación

1 de 16 Anuncio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es a 1장 기자데이터와만나다 (20)

Anuncio

Más reciente (20)

Anuncio

1장 기자데이터와만나다

  1. 1. 언론정보학과 21010587 박상민 언론정보학과 21313218 최종우
  2. 2.  1. 용어소개  2. 챕터별 요약  3. 저자의 자문자답
  3. 3.  데이터 저널리즘 CAR(Computer Asisted Reporting: 컴퓨 터 활용 취재보도)을 통해 엄청난 양의 데이 터를 수집한 후 통계적으로 분석해 보도하는 저널리즘
  4. 4. 데이터 저널리즘의 역할 1. 저널리즘의 객관성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함 2. 오픈 데이터를 통해 정부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3.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독자들을 참여시켜 사람들의 정치적 참여를 장려
  5. 5. 저널리스트 vs 데이터 저널리스트  보고 들은 그대로의 진실만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것이 전통적인 저널리스트의 정체성이라면  데이터에 기반해 알아낸 진실을 기록하고 전달하 는 것은 ‘데이터 저널리스트’의 몫이다.
  6. 6.  매일의 사건을 취재하 고 기록해가는 사람  기사로 말하고 팩트 (Fact)-정보 : 해석화 된 데이터로 승부하는 직업 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 으로 시각화하여 전달 (글, 영상 이외의 다른 방법,, 인포그래픽, 비 주얼, 밈, 프리젠테이 션…) <저널리스트> <데이터 저널리스트>
  7. 7. 컴퓨터 활용보도 : Interviewing a data 전미탐사 보도기자 및 편집인 협회 IRE 사무총장을 지낸 브랜트 휴스튼에 따르면, 컴퓨터 활용보도는 데이터를 인터뷰해 뉴스로 제작하는 행위’이다 (Interviewing a data).
  8. 8.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_지리정보시스템  전 국토의 지리공간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수치지도 (digital map)로 작성하고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통 해 재해ㆍ환경ㆍ시설물ㆍ국토공간 관리와 행정서비스 에 활용하고자 하는 첨단정보시스템  QGIS? 오픈 소스 기반의 강력하고 편리한 지리정보체 계 소프트웨어
  9. 9. <QGIS로 시각화한 데이터>
  10. 10. 1.1. 데이터를 인터뷰하기 우리에게 절실한 건 현상만 따지는 하루살이 식 보도가 아니라 미래의 위험성을 미리 감지 하고 구조적인 문제점을 짚어줄 수 있는 근원 적이고 심층적인 보도이다. 광산의 카나리아 혹은 잠수함의 토끼 같은 역 할 말이다. 탐사 보도와 데이터 저널리즘의 역 할이 필요한 대목이다.
  11. 11. <원시 데이터>  원시 데이터는 그 자체로 대중들에게 아무런 시사점을 주 지 못한다
  12. 12. 1.2. GIS로 탄생한 유독물 공장 지도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면 뉴 스제작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고 부가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된 계기였다. – 공공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
  13. 13.  우리 동네 유독물 사업장 지도 http://www.ytn.co.kr/program/esriMap/map_popup.php
  14. 14. 1.3. 사회 연결망으로 들여다 본 북한 권력 베일에 가려진 북한 체제라도 제한된 자료나마 적 극적으로 분석하면 조금은 더 과학적으로 취재 보도 할 수 있는 길이 있다. -적극성 강조
  15. 15. 바쁘고 고된 기자의 일상 속에서도 눈앞의 현상만 쫓는 하루살이 언론을 탈피 할 길은 없을까? 언론인들이 조금만 더 시야를 넓히고 보다 유연하 게 사고하고 접근한다면 뉴스의 지평을 확장하고 그 깊이를 더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은 찾아진다는 것이 필자의 믿음이다.
  16. 16. Thank you

Notas del editor

  • 주소도 적고 크레더블한 표지를 만들어야 한다 / 함형건 홈피 연결 등 좋은 사이트 커버를 만들어야 오늘 배운거대로
  • 기상청 사이트의 지진 관측 데이터는 1978년 첫 관측이 시작된 이래 최근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1,100여 곳의 진앙지 기록을 담고 있다. 만약 기사를 작성 할 때 원시데이터 즉 이 표 자체만 기사에 실는다면 구독자들에게 있어서 아무런 시사점도 주지 못하며 단순한 숫자의 나열처럼 보일 뿐이다.
  • 최근 들어 정부, 기업에서 공개한 자료의 양이 증가함,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증대시킴


    중구난방식 시설 짓기의 허점 (탐사 보도와 데이터 저널리즘의 방식으로 접근했으면 이러지 않았을 것)
    (사회 이슈와 개인의 삶을 직접 결부시켜 생각하도록 돕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법이다.)
  • YTN이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든 인터랙티브 지도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데이터 저널리즘은 이 시대의 흐름 속에서 기자가 조우한 그 많은 가능성 중의 하나이다.
    데이터 저널리즘의 역할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