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인권적 모델을 기반한 탈시설화 전략 개발
(2014년, UN 장애인권위원회 )
자립생활 기반조성
(2014년 이후, 대구시)
문재인정부 탈시설 등 장애인 지역사회
정착생활 환경 조성 명시(2017년)
보건복지부 커뮤니티 케어 정책
장애인 지역사회통합돌봄정책
(2019년, 보건복지부)
장애인전환서비스지원센터 설립
(2009, 서울시)
비자발적 입소
재활중심의 서비스
인권문제
본인이 원하는 삶
(자기결정권)
정상화 ∙ 사회통합
재활모델
(분리, 수용)
자립생활모델
(사회통합,정상화)
3
Why (왜 탈시설 ∙ 자립 인가?)
탈시설∙자립에대한시대적흐름과 정책변화
4. 지역사회의 삶 vs 시설의 삶
탈시설·
자립이란
4
지
역
사
회
의
삶
시
설
의
삶
삶의 결정권을 가지고,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본인이 살고 싶은 삶을 살아가는 것
Why (왜 탈시설 ∙ 자립인가?)
5. What?(무엇을 하고 싶은가?)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자원연결을 통한 효율적인 전달체계 구축
탈시설•자립지원프로그램과 지역사회 Networking
탈시설·자립지원프로그램과 지역사회자원연결을 통한 탈시설·자립
탈시설∙자립지원프로그램
지역사회자원연결
탈시설•자립
사례관리시설생활인
시설 탈시설∙자립지원프로그램 자립
지역사회 자원연계
탈시설 자립욕구증가
탈시설•자립욕구증가
41.10%
57.49%
51.50%
46.40%
2014경상북도
2012년국가인권위
2015년 전주시
2018년 대구희망원
7. 희망원 탈시설•자립욕구 현황
탈시설∙자립욕구 조사 결과
비장애인〮정신장애인 정신질환34.8%(141명) 탈시설•자립 원함
희망원 전체 인원(405명)
희망원 전체인원
정신장애,정신질환,가티장애,입원자제외)
What?(무엇이 문제인가?)
정신장애인
78명(55.3%)
정신질환33명
(23.4%)
알코
올17
명(12
.1%)
중
복
장
애
대구사회서비스원
2019.11.29.
희망마을
250명
아름마을
84명
보석마을71명
대구사회서비스원
2019.11.29.
8. 자립 전 탈시설·자립프로그램 체험
개별화된 자립지원계획에 따른 지역
사회자원 연계
지역사회 Networking 구축
지속적인 사례관리
준비된 탈시설•자립
(Program 수료 & Networking 연계)
준비되지 않은 탈시설•자립
자립 전 불안감, 두려움
자립 후 지지체계에 대한 불안감
자립생활의 정보부족
자립을 위한 인프라 부족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과 지역사회 자원연결
→탈시설•자립실패 → 탈시설•자립성공
vs
8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 개발과 지역사회 Networking 구축 필요
What?(무엇이 문제인가?)
자립프로그램 수료와 지역사회 자원 연결을 통한 준비된
탈시설이 성공적인 자립의 밑거름
11.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가자모집
프로그램 설명회
탈시설· 자립지원 프로그램
6개월간 자립지원 프로그램 진행
2019.10 ~ 2020. 11
지역사회 Networking/사례관리
지역사회자원 연결/사례관리
1차
프로그램
2019.10.
~ 2020.4.
2차
프로그램
11
지체
장애
1명
지적
장애
1명
1차 참가자 6명
2차 참가자 6명
2020.5. ~
2020.11.
6명
6명
• 자립생활 정보습득
• 사회기술훈련
• 요리교실
• 자기관리훈련
• 일상생활훈련
• 자립캠프
• 단기 체험
• 개별화된 자립지원 계획
수립(장애, 욕구 등)
• 자립지원 계획에 맞춰 지
역사회자원 연결
• 사례관리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 개요
Solution
장애인
(정신장애제외)
24%
(210명)
정신장애
41%
(361명)
총 875명
비장애인
35%
(304명)
자립 희망자
12. 프로그램명 내 용
자립생활정보교육
ㆍ자립프로그램 설명 ㆍ장애등급 ㆍ수급권ㆍ자립정착금 ㆍ주거복지관련 정보
ㆍ자립생활센터 이용조건
사회기술훈련
ㆍ금전관리 ㆍ휴대폰 사용 ㆍ지역사회자원이용 ㆍ응급상황 대처 ㆍ영화예매 및 관람
ㆍ대중교통이용(버스, 지하철 이용) ㆍ여행
요리교실 ㆍ식단계획 ㆍ요리 메뉴정하기 ㆍ요리 레시피 교육 ㆍ마트 이용 ㆍ요리하기
자기관리훈련 ㆍ자기결정권 ㆍ건강관리 ㆍ스트레스 관리ㆍ성희롱 예방ㆍ인권교육 ㆍ동료상담
일상생활훈련 ㆍ개인위생 관리 ㆍ빨래 및 정리정돈 ㆍ청소 및 설거지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 내용
12
How?(어떻게할 것인가?)
14. 프로그램 사전 평가 프로그램 사후 평가자립지원 프로그램
• 자립생활척도
• 스트레스반응척도
• 프로그램 참여 이유
• 자립생활정보교육
• 사회기술훈련
• 요리교실
• 자기관리훈련
• 일상생활기술
• 자립생활척도
• 스트레스반응척도
• 프로그램만족도
• 프로그램참가 소감(FGI)
탈시설•자립지원 프로그램 평가방법
Evaluation?(평가는 어떻게할 것인가?)
15. ILP(개별생활계획)
단기 체험 홈
평가
캠프단기 체험홈
• 단기체험홈입주하기
• 낮과 밤에 할 일
• 1주간 할 일 계획하기
• 혼자서 외출하기
• 요리하기
• 과거 수녀원 활용
• 포항 호미곶
• 자연휴양림
• 바다여행
• 단기체험홈결과보고서
작성
탈시설•자립을 위한 단기 체험홈 프로그램
Practice?(탈시설·자립지원프로그램 실습은 어떻게 할 것인가?)
18. 자립프로그램 11명 수료, 자립 5명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가대상
유형별 장애인 11명
자립지원 프로그램 수행기간
5개월
탈시설 • 자립 성과
지역사회 5명 자립
기간
2018.12.06. ~
2019.04.19.
진행 총 31회
18
지체
장애
1명
정신장애
2명
지적장애
8명
지체
장애
1명
정신장애
2명
지적장애
7명
자립가정 반대로 입주대기
지적
장애
1명
정신재활센터
이용
남구, 북구
자립(IL센터) 남구
19. 지적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사례
• 20년 전 21살 때 희망원에 입소(현재 41세)
• 오빠에 의해 입소의뢰됨.
• 입소전 임신, 학대를 당함
• 언어장애로 의사소통이 어려움이 있음
• 오빠가 자주 면회를 오나 퇴소는 결사반대
• 퇴소시 민원제기하겠다고 협박
• 본인은 자립에 대한 확고한 의지
• 자립프로그램에 참여
19
20. 지적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사례
• 오빠의 반대에 대한 법적 문제 해결
• 발달장애인지원센터 권리옹호팀 사례회의요청
• 장애권리옹호기관 협력
•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3조
• 오빠는 방계가족, 법적 권한 없음
• 오빠에게 내용증명발송
• 지역사회 자립가정으로 자립
20
21. 지체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사례
• 28년 전 33살 때 희망원에 입소(현재 61세)
• 본인은 입소경위를 알지 못함.
• 소아마비로 의사소통이 어려움이 있음
• 가족의 면회가 전혀 없었음.
• 우측장애 하지 장애, 우측 팔도 사용이 어려움
• 장거리 외출시 휠체어 사용
• 지역사회 IL센터에 자립가정에 입주
21
24. 정신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사례
• 5남 2녀 중 막내
• 고등학교 졸업 후 군대 입대 후 정신과 문제
• 의가사전역 후 세운상가에서 일
• 사기꾼에게 아버지 부동산과 신용관련 사기
• 신용불량자가 되었고 그 후 정신과 문제 재발
• 노숙생활 하다가 희망원에 입소함.
• 자립프로그램참여후 지역정신재활시설 이용후
• 남구자립가정으로 입주
24
25. 지역정신재활센터
정신과 병 · 의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거나 치료받은 경험이 있으며 직업재활을 원하
는 현재 치료중인 만 18세 이상의 정신장애인
지역정신재활센터 공동생활가정
• 정신과 외래를 통해 약 복용 중인 정신장애인
• 일상적인 자기관리 및 복약관리를 스스 로 하는 18세 이상 여자 중
• 주거 서비스가 필요하신 분
• 요양시설 등에 입소 중인 정신장애인 중 사회복귀 서비스가 필요하신 분
26. 탈시설 대구 남구 장애인 자립주택 입주
26
• 매입임대 리모델링하여 승강기 없고 중증 지체장애인은 입주불가
• 정신장애인, 발달장애인 등 보행이 가능한 대상자 입주
27. • 최초 95년 11월 4일 입소.
• 95년 99년 재입소 후 귀가.
• 서울 청소부 일을 하던 중 허리통증 및 위 통증으로 사
회생활 영위할 수 없어 2004년 본원 입소함.
• 의사소통에 문제는 없으나 talkative 경우가 있음.
• 희망원 탈시설지원팀의 도움을 받아 2019년 6월 12일
현재 살고 있는 빌라에서 지냄.
• 현재 거주하는 빌라는 대구 행복주거복지센터 (서구종
합복지관)의 게스트하우스임.
• 1년단위로 무상으로 사용하고 계약함.
• 탈시설지원팀에서 퇴소후 사례관리중임.
• 앞산 정신재활시설 비콘을 이용중임.
희망원 탈시설 성공사례(이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