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S.(Map Overlay and Statistical System)
• Public domain 기반의 오픈소스 GIS
• 1977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79년에 첫 실용 버젼 발표
• Solomon Katz
• Dr. Carl Reed
• 그리고 다른 많은이들의 참여…
GRASS(Geographic Resources Analysis Support System)
• 1982년 미국 공병대가 시작한 오픈소스 GIS
• 1992년 미국 공병대가 Ver 4.1까지 발표
• 그후 미국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공식 중단
• 하지만 현재도 계속 업그레이드되고 활발하게 사용 중
• 어떻게??
GIS 시스템 간 ETL(Extract, Transform, Load) 문제
• MOSS나 GRASS 모두 ETL에서 어려움을 겪음
• 차라리 알고리즘 구현이 더 쉽다는 비명도…
• 독점 비공개 포맷,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이 이슈로 부각
The Open Geospatial …
•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1992년 GRASS 사용자 그룹이 The Open GRASS Foundation 설립
• 1994년 The Open GIS Consortium으로 확대 개편
• 2004년 The Open GeoSpatial Consortium으로 이름 변경
• 주로 독점 상업회사들이 회원사로 가입
• 현재 공간정보 표준화 기구로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
M.O.S.S.와 GRASS 개발 정체
• 표준화를 통해 많은 문제들이 해결
• GRASS에 대한 정부 지원 등이 끊어지며 두 선구적 SW 개발 정체
• 미 공병대, 1995년에 GRASS에 대한 지원 공식 포기 선언
The Internet:구원자의 등장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역사에서 일대 전환점
• 인터넷 등장으로 소스 코드 공유가 싸고, 빠르고, 쉬워졌음
• 이메일과 IRC를 이용한 거의 실시간적 의사 소통 시작
인터넷과 공간정보
• 구글의 구글맵, 구글어스, 구글스트뷰 등의 등장
• 오픈소스 진영의 GeoServer, OpenLayers 등의 등장
• 오픈데이터 진영의 OpenStreetMap 등장
• 표준화 진영(OGC)의 Spatial Data Infrastructure 등장 등
오픈소스GIS의 부상
• 곳곳에서 양질의 오픈소스GIS 프로젝트 등장
• 뛰어난 성능과 품질의 자랑
• 오픈소스GIS 관련 사업들도 심심찮게 나오기 시작
• 이에 따라 교육, 서비스, SLA 등이 제공되는 사업화 등장
• 그런데…
재단의 필요성
• 좋기는 한데 솔직히 신뢰가 잘 안 간다고 함
• 나오는 사업들이 다 작은 것들
• 단일화된 지지 목소리의 부재
• 다들 개발자들. 마케팅 따위의 부재
• …
• 더구나 독점GIS 기업들의 견제 시작
The 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 2005년 MapServer 커뮤니티 내에서 논의가 시작됨
• 오픈소스GIS 소프트웨어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 좋은 오픈소스GIS란 무엇인가?
• 개발자들은 프로젝트에 얼마나 많은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나?
• Java vs C++ 논쟁
• 하나 이상의 최고 SW가 필요하거나 혹은 있을 수 있는가 등…
OSGeo 재단 설립
• 2006년 2월 미국 시카고에서 설립
• 국제적이며,
• 포용적이며,
• 개방적이며,
• 활동하는 자에게 실질적인 권한을 주는 조직으로 설립
• 결성 당시에는 GRASS를 포함한 8가지 오픈소스GIS 프로젝트를 포괄
OSGeo(Open Source Geospatial Foundation)
2006년 2월 4일, 미국 시카고에서 창설
사명: 오픈 소스 지리공간 S/W의 개발
지원 및 광범위한 사용 증진
오픈 소스 GIS 및 오픈 GeoData의 사용
장려, 후원, 지원을 위한 비영리 민간 기
구
FOSS4G 커뮤니티의 커뮤니티로서 기능
OSGeo 재단
OSGeo 대표 소프트웨어들
• MapServer, GeoServer: 인터넷 지도 서버
• GeoNetwork: 카탈로그 관리 서버
• GDAL/OGR: ETL 라이브러리
• PostGIS: 공간정보 관리 DBMS
• QGIS: 데스크탑 GIS
• OpenLayers: 웹 매핑 자바스크립트
공간정보의 특징
• 데이터 구축에 시간과 돈이 많이 소요됨
• 데이터 재사용과 타 목적 재활용을 위해서는 표준이 매우 중요
• 일반적으로 공간정보는 긴 생명주기를 가짐
-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생산한 시스템보다 더 오래 지속됨
- 과거 자료와 씨름하는 게 일상적임(1960년대, 70년대 등)
Welcome to the FOSS4G Community!
• Open Source
• Open Data – OpenStreetMap
• Open Standards - OGC
• Open Collaboration – Incubation
• Open Education – Geo4All
• …
감사합니다.
일러두기:
• 본 자료는 OSGeo 여러 회원들의 도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특히, 많이 참조한 자료는 Arnulf Christl의 “35 years of Open Geospatial”,
“Software comes and goes. Mind the Data!”와 Jody Garnet의 “Welcome
to the FOSS4G Community”입니다.
• 위 자료는 http://metaspatial.net/와 http://slideshare.net에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