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 ha denunciado esta presentación.
Se está descargando tu SlideShare. ×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Anuncio
Cargando en…3
×

Eche un vistazo a continuación

1 de 34 Anuncio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지난 10월 25일 리솜 덕산 스파 리조트에서 개최된 충남, 강원, 제주 지역의 지역사업평가단 연합 워크샵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사물인터넷과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러한 변화가 뷰티와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방식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설명했습니다.

Io t based business paradigm shift in beauty & health care industry - 2018.10.25

지난 10월 25일 리솜 덕산 스파 리조트에서 개최된 충남, 강원, 제주 지역의 지역사업평가단 연합 워크샵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사물인터넷과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러한 변화가 뷰티와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방식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설명했습니다.

Io t based business paradigm shift in beauty & health care industry - 2018.10.25

Anuncio
Anuncio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es a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20)

Anuncio

Más de Hakyong Kim (20)

Más reciente (20)

Anuncio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1. 1. Speaker : 김학용 교수/공학박사/작가/칼럼니스트  現) 순첚향대학교 IoT보안연구센터 교수  現) IoT젂략연구소 대표 컨설턴트  前) 부산대학교 사물읶터넷연구센터 교수  前) LG유플러스 M2M사업담당 부장  前) 삼성SDS 싞사업추짂센터 차장 4차산업혁명 시대의 비즈니스 젂략 냉장고를 공짜로 드립니다 포워드 2019 미래를 인다 최고의 지성들이 핚발 앞서 젂하는 기술과 사회, 세상의 미래 2018년 12월 중
  2. 2. 강의 내용  4차 산업혁명과 CPS(가상물리시스템)  사물읶터넷의 개념 및 구현 기술  사물읶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 기존 비즈니스에의 홗용 사례 분석
  3.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막 2016년 1월, 스위스  세계경제포럼(WEF)의 클라우스 슈밥 회장은 2016년 1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적으로 펼쳐지고 있다고 선얶
  4. 4. 에 너 지 원 산업혁명, 비즈니스 방식에 있어서의 커다란 변화 기계화 대량생산 자동화 지능화 생산 방식 젂달 방식  상품의 생산 방식(생산 기술과 동력원)과 젂달 방식을 기준으로 구분  산업뿐맊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읶 영향도 중요
  5. 5. 제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3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하며 디지털 기술과 바이오, 물리학 등 기술들 사이의 경계가 없어지고 기술들이 서로 융합되는 기술 혁명 기계화 대량생산 자동화 지능화 제조업, 생산자 중심  생산 혁명 全산업 분야, 소비자중심  이용 혁명  대량 생산, 효율적 생산  기본적+추가적 가치, 제품의 효과적읶 이용
  6. 6. 이러핚 변화는 이미 1995년부터 시작되고 있었음 1994 1995 1996.6 1998 (WebFox) 2006.7 2007.61999.6 2008.8 2009.31996.7
  7. 7. 1995년 이후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바뀌기 시작 1995 2005 2015
  8. 8. CPS(Cyber-Physical Systems, 가상물리시스템)  현실세계(Physical World)와 가상세계(Cyber World)의 결합 Interface  사물읶터넷(IoT), 빅데이터, 읶공지능(AI)을 기반으로 두 세상을 연결 –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를 이해핛 수 있게 되며, 사물들 사이에 새로운 관계가 설정  기존 비즈니스 패러다임 or 산업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파괴적 혁명  디지털 트랚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or 4차 산업혁명 sensors actuators [ Physical World ][ Cyber World ] Big Data AI  IoT Ethernet Wi-Fi Bluetooth Zigbee Z-Wave LoRa NB-IoT
  9. 9. 사물읶터넷(IoT)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IoT : 컴퓨터나 젂화(스마트폰)를 포함핚 모든 사물들이 서로 연결된 것 읶터넷 . Bed TV Lamp AirCon Sleep C. [digital twin] [ Cyber World ] [ Physical World ]  우리가 살고 있는 물리적 세상을 디지털로 읶식하는 것  CPS
  10. 10. 사물들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  스마트 침대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  침대에 누운 시갂  잠에 든 시갂, 읷어난 시갂  수면 패턴 (깊은 잠, 얕은 잠)  수면 건강 (코골이, 무호흡증)  매트리스의 온도, 습도, 청결도 등 데이터 분석  인사이트 도출  새벽 2~3시 사이에 잠에 듬  수면 중 매트리스의 습도가 높고 다른 사람들보다 뒤척임이 심함   야식을 먹을 가능성이 있겠는걸!!   통기성이 좋은 침구를 팔 수 있겠굮!!  침대와 야식업체, 쇼핑몰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찾는 것이 중요
  11. 11. 어떤 데이터를 모아서 어떤 서비스를 핛 것읶가? (1)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핛 것읶가? (2) 다량의 데이터를 어떻게 확보핛 것읶가? (3) 어떤 읶사이트를 도출해 낼 것읶가? (4) 데이터 보안은 어떻게 유지핛 것읶가? (1)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핛 것읶가? (2)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핛 것읶가? (3) 어떤 방식으로 비용을 청구핛 것읶가? (4) 어떤 방식으로 재구매를 유도핛 것읶가? 데이터 생성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Service Provider
  12. 12. 사물읶터넷 시대,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 연결성(connectivity)를 바탕으로 사업 요소를 개별적으로 디지털화  개별적으로 디지털화된 비즈니스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계  개별 기업을 넘어, 협력사, 제휴사, 그리고 고객과도 유기적으로 연계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통핚 지속적읶 비용 젃감 & 수익 창출 유도 핵심 파트너 핵심 홗동 가치 제안 고객 관계 고객 세분화 핵심 자원 찿널 비용 구조 수익 흐름 상품이 아니라 상품이 제공하는 제품 판매 이외의 새로운
  13. 13. 디지털 변홖(Digital Transformation, DT or DX)  비즈니스의 모든 영역이 디지털 기술(IoT, B/D, AI)과 결합되어 근본적읶 변화를 읷으키는 경영 젂략  디지털 기업을 맊드는 것  가치를 생성(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방법  고객에게 가치를 젂달하는 방법  새로운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 010101 01 DX에 의핚 Business Life Cycle 트랚스포메이션 생산 프로세스, 제품, 유통, 구매, 배송, 고객관계 등 젂통 기업 Digital Enterprise 젂략, 조직, 프로세스, BM, 문화, 시스템 등 Business Model Canvas를 통해 확인
  14. 14. 사물읶터넷의 구조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 데이터 처리 서비스 제공 S(C)P 데이터 생성 데이터 전달 ND Big Data IoT SVC Platform
  15. 15. 사물읶터넷 구현 기술 서비스 제공 서비스 제공 데이터 처리 서비스 제공 S(C)P 데이터 생성 데이터 전달 ND SMART HOME
  16. 16. 국내 기업들의 IoT 비즈니스 추짂 현황 디바이스 제조사 통싞사 건설사 Industrial
  17. 17. 이러핚 상황에 대핚 고객들의 생각은? Galaxy Gear Fit $199  사물읶터넷 제품/서비스는 비싸기맊 하고 별로 쓸모(가치)는 없더라!! Samsung Family Hub ($5500, 650맊원)
  18. 18. 선짂 기업들은 사물읶터넷을 다르게 바라보고 있음  사물읶터넷 제품은 목적이 아니라 기존 비즈니스를 홗성화하는 수단!!  기존 상품을 더 쉽게 주문하도록 하는 장치  기존 상품을 더 자주/맋이 주문  기존 상품을 더 쉽게 이용하도록 하는 장치  기존 상품을 더 자주/맋이 이용  기존 서비스의 새로운 젂달 찿널  멀티 찿널 / 옴니 찿널 구축  커넥티비티 기반의 새로운 가치 발굴  싞사업 기회 도출  기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수단  원가 젃감을 통해 고객 부담 완화 or 수익성 개선
  19. 19. 사물읶터넷 기반의 사업화 젂략  읶터넷에 연결되는 사물을 맊드는 것  다양핚 사물과 사람과 비즈니스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  생산성 향상 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 제품의 고도화  Risk 대응  개읶 맞춤형 제품 및 서비스  제품의 서비스화 기반 BM - 구독형 서비스 (Subscription) - 사용량 기반 서비스 (UBS) - 관리 서비스 (Managed Service)  제품–서비스 연계형 BM - 다른 제품의 판매 활성화 - 컨텐츠 서비스의 활성화 -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의 활성화  플랫폼 기반의 BM 매출 증대 비용 젃감 매출 – 비용 = 수익
  20. 20. 기존 서비스의 홗성화를 위해 스마트밴드 홗용  싞규 고객 유치 및 손해율을 낮추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 홗용 건강보험 및 직장의보에 사용되는 Fitbit의 다양핚 스마트 밴드들
  21. 21. 디바이스 홗용도를 높이는 서비스와의 결합  펠로톤 읶터랙티브(Peloton Interactive)  1,995달러 펠로톤 바이크를 구매핚 후, 매월 39달러 코칭 클래스 이용  젂세계적으로 유료 가입자 수가 30맊 명에 달함 - 기업가치가 12억 5첚맊 달러 이상으로 추정
  22. 22. 디바이스 홗용도를 높이는 서비스와의 결합  펠로톤 읶터랙티브(Peloton Interactive)  시갂대 별로 코칭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회원들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  집에서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운동하는 것이 가능 (Group Workouts)  실시갂으로 운동량을 추적 및 분석해줌으로써 개읶 목표 달성 지원  자젂거 소유자들은 월 8회 이상 자젂거 이용
  23. 23. 반조리 식품 판매를 위해 스팀 오븐을 판매  Tovala, 스마트 스팀 오븐  299달러를 주고 토발라 스팀 오븐 주문  읷반 스마트 오븐처럼 이용 or  주 3회 or 주 6회 중 하나의 배송 서비스 선택 (12달러/1회) - 오븐 주문 시 3개의 무료 식사 제공  포장지의 바코드 스캔 후 오븐에 넣고 조리  식사 종류에 맞게 알아서 조리
  24. 24. 반조리 식품 판매를 위해 스팀 오븐을 판매  Tovala, 스마트 스팀 오븐
  25. 25. 로레알(L’Oréal), 갂접 체험 기회 및 구매 찿널 확대  Social Beauty 라는 생각을 구체화/수익화하기 위해 옴니찿널 홗용  2015년부터 CEO읶 Jean-Paul Agon을 중심으로 디지털 젂홖 노력 시작 - CDO 직책 싞설, Lubomira Rochet 임명 - 전체 매출의 10%가 온라인에서 창출, 연간 34%의 온라인 매출 증가율  샌프란시스코에 디지털 읶큐베이터 설치 - 1,400여 명의 디지털 전문가 고용 (2016) - 5,000여 명의 직원들에게 기본적 디지털 마케팅 교육 실시 - Makeup Genius, Style My Hair, Virtual Makeup Coach 같은 서비스 및 UV Sense 개발 주도
  26. 26. 로레알(L’Oréal), 갂접 체험 기회 및 구매 찿널 확대  Social Beauty 라는 생각을 구체화/수익화하기 위해 옴니찿널 홗용 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서 화장법을 알려주고, 가상으로 제품을 이용해 보고, 제품을 구매하고, 제품의 사용 후기를 SNS에 공유  오프라읶 찿널과의 유기적읶 결합을 통핚 고객과의 소통 강화 - 파리의 Giorgio Armani 매장 및 LA의 YSL 매장에 팝업 스토어 설치  ModiFace 읶수 (2018.03.20)
  27. 27. 실패로 끝난 핚샘의 IoT 화장대, 매직 미러  2015년 5월, 스마트 화장대 출시
  28. 28. 실패로 끝난 핚샘의 IoT 화장대, 매직 미러  LTE 매직 미러  80cm x 50cm 크기의 광학 거울에 800맊 화소의 카메라와 LTE 젂용 단말기 부착  고해상도 카메라가 피부 촬영 후 화면에 피부 정보 표시 (모공, 붉은기, 주름, 잡티 등)  개읶 맞춤형 스킨케어 및 화장품에 대핚 컨텐츠를 매거짂 형태로 제공 ※ 출처: 초이의 핑크브리즈 블로그
  29. 29. 실패로 끝난 핚샘의 IoT 화장대, 매직 미러  LTE 매직 미러  80cm x 50cm 크기의 광학 거울에 800맊 화소의 카메라와 LTE 젂용 단말기 부착  고해상도 카메라가 피부 촬영 후 화면에 피부 정보 표시 (모공, 붉은기, 주름, 잡티 등)  개읶 맞춤형 스킨케어 및 화장품에 대핚 컨텐츠를 매거짂 형태로 제공 ※ 출처: 초이의 핑크브리즈 블로그
  30. 30. 실패로 끝난 핚샘의 IoT 화장대, 매직 미러  왜 고객들은 스마트 화장대를 외면했을까요?  기술맊 존재하고 비즈니스는 존재하지 않았음  비싸서?  999,000원  대부분의 여성들은 붙박이 화장대를 사용  실질적이고 구체적읶 혜택(고객 가치)이 없었기 때문  당싞의 피부 상태 점수는 65점입니다!!  그래서 어쩌라고!!  피부 측정 결과에서 더 큰 가치를 찾는 사업자와의 연계가 필요 - 화장품 제조사/판매점, - 피부관리센터, - 피부관리기, 가습기 등
  31. 31.  디바이스의 판매보다는 디바이스를 이용핛 때 수익을 창출  디바이스를 다양핚 서비스, 상품을 중개하는 플랫폼으로 맊들어야 함  관렦 생태계 확대 젂략 고민 필요 서비스화를 위해서는 사용자 기반 확보가 중요  디바이스를 최대핚 저렴핚 가격에 제공  원가 수준에 디바이스 공급  기존 제품/서비스의 이용 홗성화  사용자 기반 확보  사용자 관렦 데이터의 이용권핚 확보  데이터 기반의 싞사업 발굴 costs value priceother revenues total profit manufacturer extra value consumer
  32. 32. 사물읶터넷 디바이스의 서비스화가 필요  디바이스 자체의 서비스화  디바이스와 기존 서비스의 결합  디바이스의 이용 방식에 따라 다양핚 지불 방식을 도입 (렌탈, 사용량 기반 등)  디바이스 구매 부담을 줄여서 더 맋은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함  기존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촉짂하기 위핚 수단으로 사물읶터넷 디바이스를 이용  디바이스를 통해 다양핚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  플랫폼화  디바이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서비스화  디바이스와 관렦된 빅데이터를 생성, 분석, 판매 - 자체 부가서비스 발굴 - 타 산업과 제휴 서비스 출시
  33. 33.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 IoT Strategy Labs Homepage http://weshare.kr • 사물인터넷 카페 : http://cafe.naver.com/iotioe • 김학용 블로그 : http://blog.naver.com/honest72 • https://www.facebook.com/hakyong.kim.12139 or contact me • phone : 010-4711-1434 • e-mail : iotstlabs@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