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6
Download to read offline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2017년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제4호 2017. 7.
2013년
∙제1호∙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의 IT(정보기술) 공약 분석
∙제2호∙ Gov 3.0시대 지역정보화의 이슈와 전망
∙제3호∙ 공공정보의 민간개방 사례와 향후 정책 전망
∙제4호∙ 지방자치단체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제5호∙ 국내외 IT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추진 동향 분석
∙제6호∙ 2013년 정보화 입법 추진 동향
∙제7호∙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민간 활용 촉진 방안
∙제8호∙ 공공분야 빅데이터 동향분석
∙제9호∙ 자치단체 가치향상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제10호∙ 지방3.0 시대의 지방자치단체 소셜 플랫폼
2014년
∙제1호∙ 2014년 정보화트랜드
∙제2호∙ 개인정보보호 인증(PIPL)도입에 따른 공공기관의 대응방안
∙제3호∙ 주민등록번호의 유출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개정
∙제4호∙ 새롭게 주목 받는 공영무선랜 추진 동향
∙제5호∙ LOD(Linked Open Data) 기반의 공공데이터 개방
∙제6호∙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이해와 국외 사례
∙제7호∙ 기초자치단체 공공데이터 제공 범위 사례
∙제8호∙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민자사업(BTL/BTO) 추진 동향
∙제9호∙ 데이터 시각화, 인식과 행동
∙제10호∙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도입과 활용사례
∙제11호∙ 사용자경험(UX) 기반의 서비스 전략 기획
∙제12호∙ 데이터 처리 기술 및 데이터 공개 방안
2015년
∙제1호∙ 공공데이터 개방 기술동향
∙제2호∙ 공간정보 활용 커뮤니티 사례
∙제3호∙ O2O와 로컬서비스 시대
∙제4호∙ 국가 공간정보 활용방안
∙제5호∙ 사물인터넷 활용사례 및 신규사례 개발 전략
∙제6호∙ 옴니채널 패러다임의 공공 서비스 활용방안
∙제7호∙ 사물인터넷상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이슈
∙제8호∙ 스마트 정보격차의 현황과 과제
∙제9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공공기관 활용사례
∙제10호∙ 공공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제의 의의와 시사점
∙제11호∙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 활용사례 및 지방자치단체 추진전략
∙제12호∙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추진현황 및 구축전략
2016년
∙제1호∙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정보화 대응전략
∙제2호∙ 2016년 빅데이터 트렌드 및 시사점
∙제3호∙ 인공지능 기술로 구현된 지역사회 정보서비스
∙제4호∙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사례와 지방자치단체 대응전략
∙제5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본 모바일 전자지방정부 추진과제
∙제6호∙ ICBM 현황과 스마트시티 구축방안
∙제7호∙ 제4차 산업사회, 스마트시티로 대응하다
∙제8호∙ 웨어러블 헬스케어 현황 및 미래전망
∙제9호∙ 실내 위치정보기술 현황과 활용사례
∙제10호∙ 드론을 활용한 지자체 지역정보화 추진방향
∙제11호∙ 가상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변화될 우리의 미래생활
∙제12호∙ 2017년 ICT Trend
2017년
∙제1호∙ 스마트공장과 지역 경제 파급 효과
∙제2호∙ VR/AR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제3호∙ 인공지능을 연계한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지역정보화 동향분석이 2016년부터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홈페이지
“정보화자료실-정책자료”(www.klid.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간의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및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발간현황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의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 -
■
■
■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김학용1)
목 차
Ⅰ. 새로운 시대의 도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작
2. 사이버물리시스템(CPS)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Ⅱ. 사물∙소물인터넷의 개념과 구현기술
1. 사물인터넷과 소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선통신기술
Ⅲ.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1. 지역정보화의 개념
2. 분야별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Ⅳ. 지역정보화를 위한 제언
1. 지역 경제 활성화
2. 지역 문제 해결
3. 공공 인프라의 스마트화
Ⅴ. 맺음말
- 요 약 -
사물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가 연결되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지역정보화의
방식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즉, 과거의 지역정보화가 지역민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모아서 제공하는 형태였다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지역민들이 불편해
하거나 바라는 것을 찾아내서 그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는 형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① 지역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하고, ② 그렇게 연결된 사물들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관리하
고, ③ 이들을 서비스화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는 지역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지역정보화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방식도 달라지게 할 것이다.
각 지자체들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사
물 ․ 소물인터넷 기술보다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체화 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해야 할 도시 시설물과 이
들을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기술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최첨단 시스
템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1) 순천향대학교 IoT보안연구센터 교수 겸 IoT전략연구소 대표, budopar@gmail.com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 -
I. 새로운 시대의 도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작
2016년 1월 스위스의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독일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WEF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천명했다. 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은 디지털, 물리학, 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하는 기술 혁명으로 우리
들이 일하거나 생활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서 혁명과도 같은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4차 산업혁명을 제조업의 관점에
서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제어 기술, 3D 프린팅 기술, 합성생물학 기술이
결합하면 신체조직을 만들 수 있는 바이오 3D 프린터를 개발할 수 있다거나 혹은
공장에 있는 모든 기계와 설비를 연결함으로써 완전 자동화를 바탕으로 하는 무인
공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 식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앞선 1차~3차 산업혁명은 에너지원의 진화와 생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시대로 설명되기 때문이다. 즉, 1차 산업혁명은 기계와
증기기관의 등장으로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었으며, 2차 산업혁명은 전기를 이용
한 컨베이어벨트의 사용으로 인해 분업화가 가능해지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시
점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분
업화된 생산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기로 설명한다.
그러다 보니 4차 산업혁명도 1~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상에서 설명하려는 이들이
많은 것이다. 이들은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
이 결합하여 완전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기라고 한다. 그러
나 대량생산이라는 개념은 더 이상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 개념이다. 물론, 지구
상에는 아직도 생필품이 부족한 나라들이 많아서 여전히 대량생산이 중요하기는 하
겠지만, 새로운 기술을 이끌어가는 나라에서는 대량생산의 중요성이 이전만 못한 것
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대량생산되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제품보다는 자신들이 구
매한 제품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느냐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제품이 제공
하는 기능이나 이용가치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더 이상 소유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3 -
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사용자들이 제품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생산프로세스
를 개선하고 개인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
는 것이 바로 사이버물리시스템(CPS)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바탕으로 하는 4
차 산업혁명인 것이다.
2. 사이버물리시스템(CPS)
1~3차 산업혁명이 기계나 증기기관, 전기와 내연기관, 컴퓨터와 로봇과 같은 주요
기술이나 에너지원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되는 것과 달리, 4차 산업혁명은 사이버물
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CPS)이라는 말로 규정된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사
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사이버물리시스템을 구
현하는 것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라 부른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그림 1>에 보이는 것처럼 가상세계(cyber world 혹은
virtual world)와 현실세계(physical world)가 결합해서 만들어지는 융합세상을 의미
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이라는 융합세상에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개체들
의 디지털 쌍둥이(digital twin)가 가상세계에 쌍으로 존재하게 된다. 즉, 전열기, 커
피포트, 스탠드, 고데기 같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한 디지털 쌍둥이들
(Heater, Coffee, Lamp, C. Iron 등)이 클라우드(cloud)로 일컬어지는 가상세계에 쌍
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 그림 1 > 사이버물리시스템의 개념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4 -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상태 변화가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털 쌍둥이에게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마찬가지로, 가상세계에 존재하
는 개체들의 상태 변화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물리적 쌍둥이들에게 즉시 반영되게
된다.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전열기가 과열되는 경우 전열기
는 이 사실을 가상세계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전열기의 디지털 쌍둥이인 Heater
의 상태 정보가 변경될 것이며,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인공지능은 이를 바탕으로 사
전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거나 스스로 판단해서 전열기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Lamp의 On/Off 상태를 계속해서 변
경시킨다거나 혹은 Audio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현실세계에 존재하
는 스탠드가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거나 혹은 오디오 장치에서 경고음이 나올 수
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과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털
쌍둥이가 연결되어 함께 동작하는 개념이 사이버물리시스템인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가 사이버물리시스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앞의 사례에서도 설명된 것처럼,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는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
털 쌍둥이들을 제어함으로써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일이 매우 간단하게 실현된다는 것이며, 완전히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수 있고,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상상들이 가능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중요하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igital Transformation)
앞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 혹은 디지털 전환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사이버물리시스템을 구
현하는 일련의 과정이나 노력을 의미한다고 했다. 즉,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것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을 디지털화하고 이들을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어떤 사물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시도는 3
차 산업혁명 시절, 즉 생산시설 자동화가 시작되었던 1960년대 이후부터 사용되어
오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막과 함께
주목을 받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생산시설 자동화처럼
비즈니스의 특정 영역만을 디지털화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디지털 트랜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5 -
< 그림 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개념
포메이션은 비즈니스의 모든 영역을 디지털화 하고, 협력사와 사용자를 포함하여 디
지털화된 모든 사업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개념이기 때문인 것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기업의 내부 프로세스만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원료나 부품 공급사, 유통사 등과 같은 협력사는 물론 고객들
까지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
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
의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기업과 고객이 디지털 기술로 연결
된다는 것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방법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
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변경시키게 된다.
II. 사물∙소물 인터넷의 개념과 구현기술
1. 사물인터넷과 소물인터넷의 개념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이 서로 연결된 네
트워크를 말한다. 여기서 ‘사물(Things)’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에 연결
되어 사용되는 것을 기본 특성으로 하는 장치에서부터 TV나 냉장고, 세탁기, 전구,
토스터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물론, 강아지나 화분과 같은 동식물, 책상이나 안경 같
은 사물들을 모두 포함한다. 사물의 개념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장소나 시간,
프로세스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까지도 포함한다.
이러한 사물들은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6 -
결되는데, 사물의 특성에 따라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도 다르고 통신 거리도 다르므
로 그에 맞는 무선통신 기술을 선택해서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물이 교환하는 데
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 이를 ‘소물(Small Things)’이라고 하며, 소물들이 서로 연결
된 네트워크를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IoST)이라고 부른다. 즉, 소물이
라는 것은 사물의 크기가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교환하는 데이터의 양이 적
어서 붙여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물(Small Things)들은 적게는 한 달에 한두 번에
서 많게는 하루에 1~20번 정도 아주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
양으로 따지면 수 킬로바이트(KB)에서 수 메가바이트(MB)에 해당한다.
< 그림 3 > 소물(Small Things)의 개념
<그림 3>에 보이는 것처럼 소물들에는 가정 내 혹은 사용자 주변처럼 아주 가까
운 거리에서 사용되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전기ㆍ수도ㆍ가스 미터기, 주차 미터기,
가로등 및 신호등 제어기, 위치추적 장치, 산업용 장치들처럼 아주 넓은 범위에 분
포되어 이용되는 것들도 있다. 흔히 스마트시티(Smart City)를 구축하거나 지역정보
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물들은 주로 후자에 속한다. 통상적으로 소물들은 배터리
한 개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동작하며, 이를 위해 뒤에서 소개할 저전력 통신기술들
을 사용한다.
사물인터넷을 논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물들을 왜 연결해야 하느냐’보다는
‘어떻게 사물들을 연결하느냐’에 집중한다. 아무래도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에 연결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7 -
< 그림 4 > 사물인터넷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
성(connectivity)을 의미하는 인터넷이라는 용어가 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ITU-T의 문서에서도 확인되는
데, ITU-T는 사물인터넷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ITU-T Y.2060, 2012 : 1).
“Internet of Things is a global infrastructure for the information society, enabling
advanced services by interconnecting (physical & virtual) things based on existing
and evolving interoper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즉, 사물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물들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들을 연결해서
고급 서비스(advanced services)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선통신기술
사물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결된 사물들을 이용해서 제공하는 고객 가치
일 것이다. 따라서 사물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고민하기 전에 먼저 어떤 목적을 위해
사물을 연결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활용 분야가 정해지면 그
목적을 위해 사용해야 할 사물이 결정되고 사물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그 다음
그 특성에 맞는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사물들은 유선 및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지만, 사물의 도
처성(ubiquity)을 감안한다면 무선통신기술이 기본적인 연결 수단이 될 것이다. 이런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8 -
< 그림 5 > WPAN 기술 분류
무선통신기술은 다시 그 특성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기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이동통신기술, 그리고 저속광역 무선통신기술(Low-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WPAN 기술과
LPWAN 기술, 그리고 사물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활용할 데이터를 생산하는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2.1. WPAN 기술
WPAN 기술은 IEEE 802.15 워킹그룹(Working Group)에 속하는 기술들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그러나 WPAN이라는 이름의 의미하는 것처럼 우리의 일상생
활 반경(personal area)에 해당하는 2~30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기술
을 나타내는데 포괄적으로 사용한다.2)
따라서, IEEE 802.15 WG에 포함되는 블루투
스(Bluetooth, 802.15.1), UWB(802.15.3), 지그비(ZigBee, 802.15.4) 기술 외에도 와이파
이(802.11), 지웨이브(Z-Wave) 같은 기술들도 포함해서 WPAN 기술이라 칭한다.
2) 이론적으로는 100미터 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10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안정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장애물이 없는 환경(Line-of-Sight)에서는 50미터에서 100미터 사이에서 통신이 되기도 한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9 -
이 중에서 와이파이는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기술이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
되는 802.11g 표준의 경우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하며, 802.11n의 경우 최대
600Mbps의 속도까지 지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이용해야
하고 두 개의 채널(channel)을 하나인 것처럼 묶어서 사용하는 채널 본딩(channel
bonding)도 적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최대 150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최근
에 통신사들이 열심히 판매하고 있는 기가와이파이(Giga Wi-Fi)는 802.11ac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802.11ac는 8개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채널 본딩을 통해 160MHz의
대역폭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6.7G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개
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최대 1.69G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속도가 빠른
만큼 전력소모도 커서 상전(常電)을 필요로 한다. 표준에 따라 2.4GHz 대역이나
5GHz 대역을 이용하며, 동시에 두 대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그비나 지웨이브 기술은 900MHz의 ISM 대역에서 주로 이용된다.3)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에 비해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며,
메쉬(mesh)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topology)를 지원하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용하다. 각각 최대 250kbps 및
100k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는 센서 장치나 소
물들을 연결할 때 유용하다. 와이파이에 비해 전력 소모가 낮아서 배터리로 동작시
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메쉬 기능을 사용할 때는 상전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 그림 6 > 블루투스 기술의 구분
출처 : Panasonic.
3) 지그비는 2.4GHz ISM 대역에서도 이용 가능하지만,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의 간섭을 피해 900MHz ISM 대역에서도
많이 이용된다.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0 -
마지막으로 블루투스는 스마트폰과 이어폰처럼 두 디바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직
접(Direct) 통신기술이다. 현재 블루투스 5.0 표준이 발표된 상태며, 대부분의 블루투
스 장치들은 블루투스 4.x 표준을 이용한다. 블루투스 4.0 이후의 블루투스 표준들은
블루투스 3.0(Bluetooth High Speed)과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이 두 가지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기도 하고 특정한 블루투스 기술 하나만 지원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의 단점인 비효율적인 전
력 소모를 보완한 기술로 최대 전송 전력이 10mW로 매우 낮다. 양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단방향 통신도 지원하며, 단방향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는 전력 소모량이 훨씬 더 줄어들게 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전
송하는 비콘(Beacon) 장치의 경우, 수은전지 하나로 최대 2~3년 동안 동작시키는 것
이 가능하다. 비콘은 간단한 장치이지만, 상품의 홍보, 실내 위치 추적, 분실 방지,
결제, 고객관계관리(CRM)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
다.
2.2. LPWAN 기술
WPAN 기술이 2~30m 이내의 거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선통신기술이라면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 기술은 말 그대로 저전력으로 넓은 영역
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개발된 무선통신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시티처럼 매우
넓은 영역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디바이스들은 배터리 교체 없이도 오랜 시간 동안
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저전력 특성과 장거리 통신 특성을 동시에 필요
하게 된다.
넓은 영역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반경 10km의 범위를 이야기하지만, 이 수치는 이
론적인 수치일 뿐이며 실제 환경에서는 반경 2~3km 정도의 범위에서 개별 디바이
스들을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저전력이라 함은 AA 혹은
AAA 건전지 2개로 10년 정도 동작할 수 있을 정도로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역시 실제로는 2~3년 정도 동작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현실적이
다.
LPWAN 기술은 저전력으로 매우 먼 거리까지 통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좁
은 채널 폭을 이용한다. 대표적인 LPWAN 기술인 LoRa의 경우 0.3~500kHz의 대역
폭을 이용하며, SigFox의 경우에는 0.1kHz의 매우 좁은 대역폭을 이용한다. LoRa나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1 -
구분 NB-IoT LoRa SigFox
통신 반경 ~10km 내외
배터리 수명 ~10년 내외
주파수 대역 LTE 면허 대역 920MHz 비면허 대역
대역폭 200kHz ~500kHz 100Hz
통신 속도 ~100kbps ~5kbps ~1kbps
< 표 1 > LPWAN 기술들의 특성 비교
SigFox와 달리 LTE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NB-IoT의 경우 150kHz 이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이처럼 좁은 대역폭을 이용하게 되면 단위 시간 동안에 전송 가능한 데이
터의 양은 적어지지만, 매우 적은 전력으로 멀리까지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
기 때문이다.
NOKIA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까지 사물인터넷 접속기기는 약 30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 중 LPWAN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는 약 70억 개에 달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OKIA, 2015). LPWAN 기술은 주로 전기, 수도, 가스계
량기, 자판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 의료 서비스용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등과 함께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스마트시티의 구축이나 4차 산업혁명시
대의 지역정보화를 위해서 필수적인 장치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사들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이미 SK텔레콤은 2016년에
LoRa 기반의 전국망을 구축 완료한 상태이며, 관련 요금제도 출시한 바 있다. 반면,
KT나 LG유플러스는 공동으로 NB-IoT 기반의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구축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빠르면 2017년 3분기에 전국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이미 LoRa 망을 가지고 있는 SK텔레콤은 2018년 중에 NB-IoT 기반의 사물인
터넷 전용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2.3. 센서 기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이 무엇이든 간에 우리가
사물들을 연결하고자 하는 것은 사물들이 생성한 데이터를 인터넷상으로 전송하고
그렇게 전송된 데이터에서 고객에게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어내기 위함이다. 이때
필요한 것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sensor)다. 센서는 어떤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
혹은 그 사물 주변의 환경적이거나 물리적인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장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2 -
< 그림 7 > 국내 기업(TRUEYES)이 개발한 불꽃 센서
치를 통칭하는 전자 소자로, 앞에서 이야기했던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 물리적인 세
상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센서는 크게 물리적인 센서와 소프트웨어적인 센서로 구분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온습도 센서나 압력 센서, 조도 센서, 그리고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 사용되는 가
속도 센서처럼 물리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센서를 말한다. 반면, 소프트웨어 센서
는 물리적인 센서에서 얻어진 값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작해서 만든 가상의 센서
다. 온도와 습도 값을 이용해서 계산한 불쾌지수 센서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센서
에 해당하며, 어떤 상황이나 문맥(context)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같은 맥락에서, 지금까지는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크기를 작게 하고 전력 소
모를 최소화 하는 등의 물리적인 성능을 개선하는데 많은 노력이 집중되었다면, 최
근에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비즈니
스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처럼 여러 개의 센서로부터 얻
어진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는 기술을 센서 퓨전(sensor fusion)이라고 하는데, 주변
의 상황을 복합적으로 인식해서 자율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차나 미국
의 아마존(Amazon)이 테스트로 운영하고 있는 무인 매장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
다.
이와 같은 센서 기술은 상업적인 목적 외에도 지역정보화를 위해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도시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도로의 교통 상황 확인, 도로에 발생한 포트홀(porthole)의 발견, 문화재
물 주요 시설에서의 화재 발생, 독거노인의 건강 확인, 미아 및 치매환자의 실시간
위치확인 등 상태 확인뿐만 아니라 상황 인지를 위해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3 -
III.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1. 지역정보화의 개념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지역정보화의 개념에 대
해 살펴보기로 하자. 지역정보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정
책적인 개념으로, 정보통신망 구축, 뉴미디어 보급 등 지역에서의 정보통신 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된 용어였다(김진태, 2006 : 58). 이후, 하드웨어 측면뿐만 아
니라 지역의 행정, 산업, 생활 분야의 총체적인 정보화 활동이라는 확대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지역정보화를 통해 지역 간 불균형을 완화한다
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정보화의 개념은 일본보다 다소 늦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
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2009년 4월에 국회심의를 통과한 국가정보
화 기본법 제16조 1항에 비교적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 국가정보화 기본법에 따르
면, 지역정보화란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 발전을 위해
행정ㆍ생활ㆍ산업ㆍ도시기반 분야별로 정보기반 및 정보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련의 정책적 활동을 말한다(한국행정학회, 2001).
사실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정보화는 지역사회의 총체적 정보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정보시대의 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 in an Information Age: A Handbook)>
의 저자인 슈넬렌(Snellen)이 말하는 정보화(Informatization)에 대한 개념 정의에 근
거하면, 지역정보화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
다(Snellen & van de Donk, 1998).
Ÿ 전산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 지역정보의 공급과정을 형성하거나 처리하는 정보
기술의 도입
Ÿ 지역정보공급과 관련하여 정보의 흐름과 정보관계를 조직화하거나 재정비
Ÿ 지역사회의 각 분야에 정보기술의 전문성을 도입
Ÿ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하나의 정책분야로서 지역정보정책의 개발
Ÿ 정보기술이 도입되는 지역에 있어서 지역사회구조의 변화 또는 조정
이와 같은 원칙 및 방향성을 바탕으로 20여 년간 지역정보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
지만, 말 그대로 지역이 정보화되고 지역주민들의 삶이 향상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회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4 -
의적인 시각이 많다. 지역정보화 초기에는 중앙 부처들의 필요에 따라 하향식
(Top-Down)으로 진행되는 바람에 지방자치단체들과의 밀접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못 했고 지역주민의 요구사항도 전혀 반영되지 못했다. 최근의 지역정보화는 지방자
치단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역시 지역민들의 필요보다는 지방자치단체장들
의 실적을 위한 전시성 사업들인 경우가 허다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가 차원의
일관성도 없고 타 지역과의 연계성도 떨어지며 관련 데이터의 공유도 제대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4
차 산업혁명이나 사물인터넷이라는 것은 수요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시티 실증사업들은 대부분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이거나 구체적인 혜
택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들은 단순히 어떤 것들을 연결할
것인가 보다는 어떤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생
각을 바탕으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
한, 지역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최대한 개방함으로써 지역민이 지역정보 서비스 개
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지금까지 국가 차원에서 혹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된 지역정보화 사업들은 여
러 문헌이나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된 바 있다. 반면,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는 일부 해외 사례들만 반복적으로 소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국내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
화 사례를 안전, 교통, 환경, 관광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2.1. 안전 분야
안전과 관련된 지역정보화는 어린이 안전, 홀몸어르신 보호, 여성 안전, 시설물 안
전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먼저 어린이 안전의 경우 서울시가 추진한 어린이 안심
통학 알리미 서비스와 청주시가 현재 준비 중인 노랑이 버스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서울시의 어린이 안심 통학 알리미 서비스는 초등학교 인근에 100여 개의 BLE 비콘
과 스캐너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의 통학 경로를 확인해 주는 서비스다. 청주시의 노
랑이 버스는 유치원생이 통학 버스에 방치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해 추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5 -
진되고 있다.
시설물 안전은 사물인터넷 센서나 CCTV를 이용하여 중요 문화재나 전통한옥의
화재나 고의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교량이나 터널 등의 시설물의 안전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다. 중요문화재나 전통한옥의 화재나 훼손과 관련해서는 서울시가 추진
한 북촌 IoT 실증사업에서도 2~3가지 유형의 시범 사업이 전개된 바 있다. 또한,
2016년 10월에 발표된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의 제1차 소방안전 특별관리 기본계
획에서도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신고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막거나 최소화 할 계
획이다.
2.2. 교통 분야
교통 분야와 관련해서는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주차장 공유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버스도착 알림 서비스라고도 불리는 버스정보시스템은 이미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실시 중에 있는 것으로 시내버스에 GPS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정
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차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배차 간격이 긴 마을버스에도 관련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하고 있
다.
교통과 관련해서 가장 시민들의 반응이 좋은 것은 주차장 공유 서비스다. 초기 주
차장 공유 서비스는 관공서나 공공기관의 주차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말에 무료
로 이용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도심지 내의 아파트 주차장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을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주간에 비어 있는 도심지 내의 주차
공간을 일반 주차장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비
용을 주차장 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4)
실제로
서울 성북구의 한 아파트는 주차장 공유를 통해 매월 325만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
으며, 이를 주민들의 아파트 관리비를 줄여주는데 활용하고 있다.
4) 개별주차공간에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무인주차단말기(센서)를 설치하여 관리한다.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6 -
< 그림 8 > 서울 성북구에서 추진하는 성북구 공유주차장 개념도
출처 : 머니투데이 (2015. 1. 27일자)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는 이미 출시되어 있는 주차장 공유 앱을 활용하면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며, 아파트 주차장 공유의 경우는 아파트 주차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을 스마트폰 앱으로 등록을 하면 아파트 출입구의 차량 번호 자동인식 시
스템이 이를 확인하고 주차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해서 서울시
는 지난해 임대아파트 주차장 공유사업 실행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정부도 올해
2월에 열린 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보고한 바 있다.
2.3. 환경 분야
스마트 쓰레기통은 환경 분야의 대표적인 사물인터넷 활용 사례로 도로 폭이 좁
은 유럽의 나라들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
트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뚜껑 안쪽에 설치된 센서가 쓰레기가 얼마나 차 있는지를
센싱함으로써 쓰레기 수거 시점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쓰레기 수거차의 이동 경로
를 최적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운행 및 교통 방해를 최소화 하는데 유용한 것으
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의 북촌과 경기도 고양에서 스마트 쓰레기통을
도입한 사례가 있으며, 고려대나 동국대 등 대학들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교를 중심으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소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환경 센서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공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는 학생들의 야외 활동과 교실 환기를 중단하고 자동으로 공기청정기를
가동함으로써 학생들의 건강을 지키자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새 정부에서 제시
한 4차 산업혁명 청사진에도 반영되어 있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7 -
< 그림 9 >. 고려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 설치된 스마트 쓰레기통
출처 : 이큐브랩.
2.4. 관광 분야
그동안 관광과 관련된 지역정보화는 지역의 명소나 유적지, 특산물, 맛집, 행사 정
보를 한 곳에 모아서 관광객들에게 웹이나 앱을 통해 제공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사
물인터넷 기반의 관광 정보화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스마트 미러, 블루
투스 비콘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술들을 활용하여 더욱 실감나고 편리한 서비스
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즉, 이러한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역의 명소나 유적지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가상으로 존재하는 사물들을 간접적으
로 이용하거나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북촌 VR 서비스로 북촌의 주요관광지, 북촌8경 등을 직접 방문
하지 않고도 VR로 선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다. 북촌의 주요관광지, 북촌8경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VR로 선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도 포함된다. 관광안내센터에
비치된 VR 장치는 관광객과 가상의 관광지를 연결해주는 수단이 된다. 관광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들이 가고자 하는 관광지를 선택해서 체계적인 관광을 할 수 있으며,
관광지와 관련된 주요 활동 및 상점, 맛집 관련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스마트폰으로 그곳에 설치된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
써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광지와 관련된 체험 프로그램이나
근처 상점의 할인쿠폰 등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용 길안내 앱이 많이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스마트폰을 보면서 관광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8 -
지를 이동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도 있고 방문지역을 피부로 느끼는 데 한계가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럴 때, 스마트 방향표지판은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형태로 방문객들에게 주요 관광지 및 도시 정보를 안내해 줄 수 있다. 스마트 방향
표지판에 설치된 목적지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관광안내 앱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스마트 방향표지판이 회전하는 식으로 목적지와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안내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림 10 > 스마트 방향표지판의 예시
출처 : BREAKFAST NY.
스마트 방향표지판은 주기적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신호를 전송하며 이를 수
신한 스마트폰은 관광안내 앱에서 검색한 목적지 정보를 스마트 방향표지판에게 전
달하게 된다. 이 정보를 전달받은 방향표지판은 LED 전광판으로 만들어진 안내판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목적지의 방향과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안내해 주게 된다. 목적
지를 안내해 줄 때, 맛집이나 상점을 소개하는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형태로 수익사
업을 진행할 수도 있고, 날씨나 온도, 지역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 스마트폰의 언어 설정 정보도 함께 이용한다면, 외국인 관광객들에 대해서도 해
당 국가의 언어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9 -
IV. 지역정보화를 위한 제언
지금까지의 지역정보화는 공급자 주도의 하향식 사업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보
니 수요자인 지역민들의 필요나 관심과 거리가 멀어 지역민들로부터 외면되고 결과
적으로 사업이 지속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앞으로 추진될 사물ㆍ소물
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수요자로부터의 상향식이어야 할 것이며, 사업의 지속
성 및 지역산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 지역 경제 활성화
그동안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역정보화 노력이 지역주민들로부터
외면 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정보화 사업들이 제공하는 혜택이라
는 것이 구체적이지 않고 막연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추진될 사물ㆍ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아주 적더라도 지역주민들의 수입이 늘어난다던지
생활비가 줄어드는 것처럼 구체적인 혜택이나 혹은 지역에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많
아져 활성화되었다고 느껴지는 것처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혜택들을 발굴하기 위
한 노력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앞에서 살펴 본 주차장 공유 서비스는 적지만 금전적인 혜택을 지
역주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방향표지판의 경우도 활용하는 방식에 따
라 지역 관광산업 및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 자체가 하나의 관광 상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 쓰레기통을 재활
용 쓰레기 분리수거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 때마다 포인
트 적립한 후 지역 상점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식으로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지역경
제 활성화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의 <그림 10>에 보이는 맛집 순번 대기 서비스는 간단한 아이디어 솔루션이
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마다 유명한
맛집이나 관광지의 경우 관광객들이 1~2시간 기다렸다가 해당 상점만 방문하고 돌
아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솔루션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이런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 줄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손님들이 매장에 설치된 태블릿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이
솔루션은 스마트폰으로 대기 시간과 매장 진입시간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인근 관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0 -
< 그림 11 > 맛집 순번 대기 서비스
광지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한다. 예상 대기시간을 확인한 고객들
은 기다려야 하는 시간 동안에 마음 편하게 매장 주변의 관광지나 상가를 돌아다닐
수 있게 된다. 매장의 결제(POS) 단말기와 연결된 솔루션은 대기 손님이 2~3팀 남았
을 때 다시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매장으로 돌아오도록 하게 된다.
2. 지역 문제 및 스마트 디바이드 문제 해결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은 지역민들이 생활하는 데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지역 시설물에 부착된 센서들이 시설물과 관
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차장 공유나 스마트
쓰레기통이 이에 해당하는 것들이며, 실제로 이런 사업들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좋게 나타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의 포트홀(pothole)이나 결빙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탑재된 OBD-II 장치가 설치된 택시들이 포트홀을 지
나가는 경우 충격 센서의 값이 크게 나타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여러 대의
택시에서 수집된 충격 정보들을 분석하면, 공통적으로 충격값이 큰 지역에 포트홀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스웨덴의 자동차 제조사인 볼보 자동차 그룹(Volvo
Car Group)은 이미 스웨덴 교통국 및 노르웨이 공공도로국과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재규어 랜드로버(Jaguar Land Rover)나 포드(Ford) 같은 회사들도 관련 기
능을 탑재한 차량들을 출시하고 있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21 -
< 그림 13 >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장치를 활용한 일본의 실버케어 사례
< 그림 12 > 볼보‧스웨덴 교통국 공동, 도로 상태 정보 공유 서비스 개념도
출처 : Volvo(2014).
이 외에도 스마트밴드나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실버케어 서비스
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마트밴드는 밴드에 내장된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생체 상태나 움직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이상 징후가 예
측되는 경우 관련 담당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관련 담당자의 업무 부담도 줄이면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치매노인들의 관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출처 : Financial Times & NWZ Online(2014).
일본의 몇몇 지방자치단체들은 노인들의 고독감을 덜어주기 위해 대화형 인공지
능 인형이나 로봇을 활용하기도 한다. 건강이나 뉴스 등 노인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로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명령을 통해 친구들이나 자녀들과의 통화도 가
능하고 노인들을 운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대화형 로봇의 경우 로봇에 내장된 적외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2 -
선 센서나 이산화탄소 센서 등을 이용하여 노인들의 움직임이 없거나 대화에 반응
하지 않는 경우 관련 담당자에게 통보하는 식으로 노인들의 건강 및 안전관리 목적
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3. 개방 및 표준화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지역정보화뿐만 아니라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
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기존의 지역정보화에
서는 사람들이 데이터 생성의 주체였다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사
물에 부착된 센서가 데이터 생성의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또 하나 다른 점이 있다
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수많은 사물들에 부착된 센서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전에 없이 방대하고 다양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데
이터의 구조(format)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효과적인 수집, 관리, 분석,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공공 데이터는 최대한 모든 시민이나 단체에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특정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다양한 공공 부서 및 시민단체, 지
역 기업들이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지역정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
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전국단위의 정보 서비스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지역정보화 담당부서들의 협력 체계를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V. 맺음말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이며, 기존에 주로 사용했던 IT나 SW 기술뿐만 아니라 사물ㆍ소물인터넷과 같은 새
로운 기술들을 활용하여 추진될 수 있다.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이 지역정보화를 위
해 사용되었던 다른 기술들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이 새로운 기술은 지역주민들의
니즈를 더 정확하고 더 빠르게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개체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는 지역 문제의 실상을 면밀하게 보여줄
것이며, 현장에 대한 경험과 결합한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은 문제 해결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23 -
따라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기
술 자체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느냐에 있을 것
이다. 즉,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구체적일 때,
인터넷에 연결해야 할 대상도 결정되고 연결하기 위한 무선 기술이나 통신 프로토
콜도 달라질 것이며 수집해서 분석해야 할 데이터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결과
적으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은 앞으로의 지역정보화를 위한 접근법 자체를 송두
리째 바꾸리라 생각한다.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는 관 주도의 하향식 보
다는 민 주도의 상향식이 바람직하며, 그보다는 민과 관이 함께 지역정보화를 추진
할 때 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보여주기식 사업들보다는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 문제 해결 등 현실적이며 실질적인 사업들을 중심으로 지
역정보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민이나 지역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공공데이터의 표준화 및 개방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4 -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 (2016). 제1차 소방안전 특별관리기본계획(2017~ 2021).
김진태. (2006). 지역정보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 관한 소고. 지역정보화지, 43, 58-61.
김학용. (2014. 04. 30.). “볼보(Volvo)의 도로상태 정보 공유 서비스”. 김학용 박사의
사물인터넷 세상, (http://blog.naver.com/honest72/100208556987)
이문희. (2010). 정보화, 과거와 현재. 대구경북연구원.
한국행정학회. (2001). 온라인행정학전자사전. http://www.kapa21.or.kr/epadic/index.php.
ITU-T Y.2060. (2012). 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
NOKIA. (2015). LTE-M-Optimizing LTE for the Internet of Things.
Snellen, I. T. M., & van de Donk, W. B. (Eds.). (1998). Public administration in
an information age: A handbook (Vol. 6). IOS press.
참고기사
김희정. (2015. 01. 27.). “월곡도 김 할머니, 관리비 어떻게 줄였나 보니...”.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newsPrint.html?no=2015012616205811353.
엄민우. (2017. 06. 04.). “KT, 사물인터넷으로 학교 미세먼지 관리”.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69800
Naughton, N. (2015. 06. 10.). “Jaguar Land Rover studies pothole detection tech”.
Automotive News, http://www.autonews.com/article/20150610/OEM06/150619983/.
Udy, J. (2016. 2. 19). “2017 Ford Fusion V6 Sport features potholes detection
system”. Motortrend, http://www.motortrend.com/news/2017-ford-fusion-v6-
sport-features-pothole-detection-system/.
※ 참고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함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Hakyong Kim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정명훈 Jerry Jeong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Hakyong Kim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Hakyong Kim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Donghan Kim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Donghyung Shin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Hakyong Kim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Hakyong Kim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Donghyung Shin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Kevin Kim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Hakyong Kim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Donghyung Shin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봉조 김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Hakyong Kim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jinilamp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JunSeok Seo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uxzeitgeist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Donghyung Shin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Daesung Yeon
 

What's hot (20)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사물인터넷의 활용법과 업무활용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IoT 기반 융합 서비스 기술 (응용사례)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사물인터넷, 이제는 서비스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스마트홈 전략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IOT(사물인터넷)-제1회 iTalks 세미나-Dhankim-2014-4-2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IoT 세상의 사업 기회와 고려 사항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강의 - 사물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 전략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
2015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및 비즈니스 전략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20141002 IoT 시장 기회와 고려 사항_Devmento 강의_O2O, Lineable 추가 버전
 
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IoT & 오픈소스
IoT & 오픈소스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
Internet-of-Things as a Business : 6 IoT Business Strategies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20150311 사물인터넷이 여는 새로운 세상 telco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 및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사물인터넷 비즈니스 사례 분석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사물인터넷 대중화를 막는 문제점과 해결방안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
IoT 제품 및 서비스 분석 (2013.9월 기준)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
Intel 2014 Business Review & IoT Tech Leadership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
[SK UX-HCI] 퍼스널 빅데이터와 라이프로그 HCI-UX 관점의 IOT 기술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시스테믹 혁신 관점에서 살펴본 IoT 세상_ver20140405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
사물인터넷 강의(사물인터넷 트렌드 그리고 비즈니스)
 

Similar to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과 지역정보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atelier t*h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활 김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봉조 김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Hakyong Kim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Jongseok Choi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Donghyung Shin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Donghyung Shin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봉조 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atelier t*h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atelier t*h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봉조 김
 

Similar to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과 지역정보화 (20)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과 주변 생태계의 변화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
사물인터넷 기반의 은행권 금융서비스 제공방안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과 io t 20170919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화 기술들 김학용, 박진수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IoT Introduction and Security
 
The bible of IoTs 2.0
The bible of IoTs 2.0The bible of IoTs 2.0
The bible of IoTs 2.0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사물 인터넷 뽀개기(취업 준비생 용)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2014년 ICT 산업 트렌드
2014년 ICT 산업 트렌드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인터넷 시장 및 국내외 개발 동향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2016년 ICT산업 메가트렌드 - 한국 정보산업연합회 ICT Industry Megatrend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M2M,iot 새로운 플랫폼 경쟁과 한계점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공간빅데이터 정책 및 기술동향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국내외 사물인터넷 정책과 시장동향과 주요 서비스 사례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특허전쟁 승리 위한 R&d 전략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
사물인터넷 산업의 주요동향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미래기술 분석을 통한 Ict및 융합기술 전망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
M2M(사물지능통신) 발전방향과 과제 - 글·권오상 부장 정책연구본부 방송통신연구부
 

More from Hakyong Kim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Hakyong Kim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Hakyong Kim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Hakyong Kim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Hakyong Kim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Hakyong Kim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Hakyong Kim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Hakyong Kim
 
테슬라, 제2의 아마존
테슬라, 제2의 아마존테슬라, 제2의 아마존
테슬라, 제2의 아마존Hakyong Kim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Hakyong Kim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Hakyong Kim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Hakyong Kim
 
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Hakyong Kim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Hakyong Kim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Hakyong Kim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Hakyong Kim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Hakyong Kim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Hakyong Kim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Hakyong Kim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Hakyong Kim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Hakyong Kim
 

More from Hakyong Kim (20)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
스마트홈 연동 표준 매터(Matter) 관련 소식 업데이트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
Matter, open source connectivity standard for smart home and io t 2021.07.0...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배하는 자가 플랫폼 업계를 지배한다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
Ces 2021 review - All Digital Paradigm in the On-tact Era - 2021.02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
CES 2021에서 확인된 Digital Healthcare 트렌드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
국내 스마트홈 사업자 동향 및 스마트홈 서비스 트렌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와 도입 사례 -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examples...
 
테슬라, 제2의 아마존
테슬라, 제2의 아마존테슬라, 제2의 아마존
테슬라, 제2의 아마존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
IoT가 4차 산업혁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정책적 대응방안 - 2019.07.25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혁신을 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5G 기술과 활용 (5G technology and services) - 2019.05.11
 
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로봇의 현재와 미래
로봇의 현재와 미래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
고객가치 중심의 5G 요금제를 기대한다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
IoT 기반의 스마트홈 디바이스 및 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확대방안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
스마트홈 제품+서비스 융합 비즈니스 전략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
사물인터넷 사업화 전략 과정 교육 제안서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
사물인터넷, 물리보안에 날개를 달다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사물인터넷 IoT 기반의 뷰티 헬스케어 산업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변화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
아마존 강의 : 아마존은 어떻게 1조 달러 기업이 되었나?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
사물인터넷 강의 : 제67회 한남피부과학회 (전주)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과 지역정보화

  • 1.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2017년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제4호 2017. 7.
  • 2. 2013년 ∙제1호∙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의 IT(정보기술) 공약 분석 ∙제2호∙ Gov 3.0시대 지역정보화의 이슈와 전망 ∙제3호∙ 공공정보의 민간개방 사례와 향후 정책 전망 ∙제4호∙ 지방자치단체 정보화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개선방안 ∙제5호∙ 국내외 IT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추진 동향 분석 ∙제6호∙ 2013년 정보화 입법 추진 동향 ∙제7호∙ 공공데이터 개방에 따른 민간 활용 촉진 방안 ∙제8호∙ 공공분야 빅데이터 동향분석 ∙제9호∙ 자치단체 가치향상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제10호∙ 지방3.0 시대의 지방자치단체 소셜 플랫폼 2014년 ∙제1호∙ 2014년 정보화트랜드 ∙제2호∙ 개인정보보호 인증(PIPL)도입에 따른 공공기관의 대응방안 ∙제3호∙ 주민등록번호의 유출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개정 ∙제4호∙ 새롭게 주목 받는 공영무선랜 추진 동향 ∙제5호∙ LOD(Linked Open Data) 기반의 공공데이터 개방 ∙제6호∙ 공공데이터 활용에 대한 이해와 국외 사례 ∙제7호∙ 기초자치단체 공공데이터 제공 범위 사례 ∙제8호∙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민자사업(BTL/BTO) 추진 동향 ∙제9호∙ 데이터 시각화, 인식과 행동 ∙제10호∙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도입과 활용사례 ∙제11호∙ 사용자경험(UX) 기반의 서비스 전략 기획 ∙제12호∙ 데이터 처리 기술 및 데이터 공개 방안 2015년 ∙제1호∙ 공공데이터 개방 기술동향 ∙제2호∙ 공간정보 활용 커뮤니티 사례 ∙제3호∙ O2O와 로컬서비스 시대 ∙제4호∙ 국가 공간정보 활용방안 ∙제5호∙ 사물인터넷 활용사례 및 신규사례 개발 전략 ∙제6호∙ 옴니채널 패러다임의 공공 서비스 활용방안 ∙제7호∙ 사물인터넷상에서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 이슈 ∙제8호∙ 스마트 정보격차의 현황과 과제 ∙제9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공공기관 활용사례 ∙제10호∙ 공공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제의 의의와 시사점 ∙제11호∙ 공공데이터와 빅데이터 활용사례 및 지방자치단체 추진전략 ∙제12호∙ 국가재난안전통신망 추진현황 및 구축전략 2016년 ∙제1호∙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지역정보화 대응전략 ∙제2호∙ 2016년 빅데이터 트렌드 및 시사점 ∙제3호∙ 인공지능 기술로 구현된 지역사회 정보서비스 ∙제4호∙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사례와 지방자치단체 대응전략 ∙제5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본 모바일 전자지방정부 추진과제 ∙제6호∙ ICBM 현황과 스마트시티 구축방안 ∙제7호∙ 제4차 산업사회, 스마트시티로 대응하다 ∙제8호∙ 웨어러블 헬스케어 현황 및 미래전망 ∙제9호∙ 실내 위치정보기술 현황과 활용사례 ∙제10호∙ 드론을 활용한 지자체 지역정보화 추진방향 ∙제11호∙ 가상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변화될 우리의 미래생활 ∙제12호∙ 2017년 ICT Trend 2017년 ∙제1호∙ 스마트공장과 지역 경제 파급 효과 ∙제2호∙ VR/AR 산업 활성화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제3호∙ 인공지능을 연계한 스마트시티 추진 전략 지역정보화 동향분석이 2016년부터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로 새롭게 시작합니다.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 홈페이지 “정보화자료실-정책자료”(www.klid.or.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간의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및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발간현황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 의 내용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3.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 - ■ ■ ■ 사물ㆍ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김학용1) 목 차 Ⅰ. 새로운 시대의 도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작 2. 사이버물리시스템(CPS)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Ⅱ. 사물∙소물인터넷의 개념과 구현기술 1. 사물인터넷과 소물인터넷의 개념 2.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선통신기술 Ⅲ.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1. 지역정보화의 개념 2. 분야별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Ⅳ. 지역정보화를 위한 제언 1. 지역 경제 활성화 2. 지역 문제 해결 3. 공공 인프라의 스마트화 Ⅴ. 맺음말 - 요 약 - 사물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전개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가 연결되는 사이버물리시스템(CPS)에 의해 특징지어지는데, 이는 지역정보화의 방식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즉, 과거의 지역정보화가 지역민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모아서 제공하는 형태였다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지역민들이 불편해 하거나 바라는 것을 찾아내서 그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는 형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① 지역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하고, ② 그렇게 연결된 사물들이 생성하는 데이터를 수집, 분석, 관리하 고, ③ 이들을 서비스화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는 지역정보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지역정보화를 위한 인프라의 구축 방식도 달라지게 할 것이다. 각 지자체들이 사물 ․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은 사 물 ․ 소물인터넷 기술보다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나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구체화 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인터넷에 연결해야 할 도시 시설물과 이 들을 연결하기 위한 무선통신기술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최첨단 시스 템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1) 순천향대학교 IoT보안연구센터 교수 겸 IoT전략연구소 대표, budopar@gmail.com
  • 4.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 - I. 새로운 시대의 도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시작 2016년 1월 스위스의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독일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WEF 회장인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를 천명했다. 4차 산업혁명(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은 디지털, 물리학, 바이오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하는 기술 혁명으로 우리 들이 일하거나 생활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서 혁명과도 같은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4차 산업혁명을 제조업의 관점에 서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제어 기술, 3D 프린팅 기술, 합성생물학 기술이 결합하면 신체조직을 만들 수 있는 바이오 3D 프린터를 개발할 수 있다거나 혹은 공장에 있는 모든 기계와 설비를 연결함으로써 완전 자동화를 바탕으로 하는 무인 공장을 만들 수 있다고 하는 식이다. 그도 그럴 것이, 앞선 1차~3차 산업혁명은 에너지원의 진화와 생산 기술의 발달로 인해 대량생산이 가능했던 시대로 설명되기 때문이다. 즉, 1차 산업혁명은 기계와 증기기관의 등장으로 본격적인 산업화가 시작되었으며, 2차 산업혁명은 전기를 이용 한 컨베이어벨트의 사용으로 인해 분업화가 가능해지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 시 점으로 이야기한다. 그리고 3차 산업혁명은 컴퓨터와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분 업화된 생산 프로세스를 자동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기로 설명한다. 그러다 보니 4차 산업혁명도 1~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상에서 설명하려는 이들이 많은 것이다. 이들은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 이 결합하여 완전자동화를 실현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시기라고 한다. 그러 나 대량생산이라는 개념은 더 이상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 개념이다. 물론, 지구 상에는 아직도 생필품이 부족한 나라들이 많아서 여전히 대량생산이 중요하기는 하 겠지만, 새로운 기술을 이끌어가는 나라에서는 대량생산의 중요성이 이전만 못한 것 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제 소비자들은 대량생산되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제품보다는 자신들이 구 매한 제품을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느냐에 더 많은 관심을 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품을 구매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제품이 제공 하는 기능이나 이용가치가 중요해지기 때문에 더 이상 소유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
  • 5.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3 - 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사용자들이 제품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생산프로세스 를 개선하고 개인 맞춤형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를 일으키 는 것이 바로 사이버물리시스템(CPS)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바탕으로 하는 4 차 산업혁명인 것이다. 2. 사이버물리시스템(CPS) 1~3차 산업혁명이 기계나 증기기관, 전기와 내연기관, 컴퓨터와 로봇과 같은 주요 기술이나 에너지원에 의해 그 특징이 결정되는 것과 달리, 4차 산업혁명은 사이버물 리시스템(Cyber-Physical System, CPS)이라는 말로 규정된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사 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빅데이터(Big Data),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과 같은 기술들에 의해 구현되는데, 이러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사이버물리시스템을 구 현하는 것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라 부른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은 <그림 1>에 보이는 것처럼 가상세계(cyber world 혹은 virtual world)와 현실세계(physical world)가 결합해서 만들어지는 융합세상을 의미 한다. 사이버물리시스템이라는 융합세상에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개체들 의 디지털 쌍둥이(digital twin)가 가상세계에 쌍으로 존재하게 된다. 즉, 전열기, 커 피포트, 스탠드, 고데기 같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에 대한 디지털 쌍둥이들 (Heater, Coffee, Lamp, C. Iron 등)이 클라우드(cloud)로 일컬어지는 가상세계에 쌍 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 그림 1 > 사이버물리시스템의 개념
  • 6.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4 -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상태 변화가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털 쌍둥이에게 실시간으로 반영된다. 마찬가지로, 가상세계에 존재하 는 개체들의 상태 변화는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물리적 쌍둥이들에게 즉시 반영되게 된다. 간단한 예를 들어 보자.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전열기가 과열되는 경우 전열기 는 이 사실을 가상세계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전열기의 디지털 쌍둥이인 Heater 의 상태 정보가 변경될 것이며,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인공지능은 이를 바탕으로 사 전에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거나 스스로 판단해서 전열기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Lamp의 On/Off 상태를 계속해서 변 경시킨다거나 혹은 Audio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그러면, 현실세계에 존재하 는 스탠드가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거나 혹은 오디오 장치에서 경고음이 나올 수 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과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털 쌍둥이가 연결되어 함께 동작하는 개념이 사이버물리시스템인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가 사이버물리시스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앞의 사례에서도 설명된 것처럼,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는 가상세계에 존재하는 디지 털 쌍둥이들을 제어함으로써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일이 매우 간단하게 실현된다는 것이며, 완전히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수 있고,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했던 다양한 상상들이 가능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상력이나 창의력이 중요하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3.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igital Transformation) 앞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 혹은 디지털 전환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사이버물리시스템을 구 현하는 일련의 과정이나 노력을 의미한다고 했다. 즉,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것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을 디지털화하고 이들을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 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어떤 사물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인터넷에 연결하려는 시도는 3 차 산업혁명 시절, 즉 생산시설 자동화가 시작되었던 1960년대 이후부터 사용되어 오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개막과 함께 주목을 받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생산시설 자동화처럼 비즈니스의 특정 영역만을 디지털화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디지털 트랜스
  • 7.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5 - < 그림 2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개념 포메이션은 비즈니스의 모든 영역을 디지털화 하고, 협력사와 사용자를 포함하여 디 지털화된 모든 사업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개념이기 때문인 것이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기업의 내부 프로세스만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원료나 부품 공급사, 유통사 등과 같은 협력사는 물론 고객들 까지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한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 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분석하여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 의 고객 가치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기업과 고객이 디지털 기술로 연결 된다는 것은 기업이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방법의 변화를 야기하게 되는데, 이 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변경시키게 된다. II. 사물∙소물 인터넷의 개념과 구현기술 1. 사물인터넷과 소물인터넷의 개념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들이 서로 연결된 네 트워크를 말한다. 여기서 ‘사물(Things)’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에 연결 되어 사용되는 것을 기본 특성으로 하는 장치에서부터 TV나 냉장고, 세탁기, 전구, 토스터기와 같은 가전제품은 물론, 강아지나 화분과 같은 동식물, 책상이나 안경 같 은 사물들을 모두 포함한다. 사물의 개념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장소나 시간, 프로세스 등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들까지도 포함한다. 이러한 사물들은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
  • 8.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6 - 결되는데, 사물의 특성에 따라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도 다르고 통신 거리도 다르므 로 그에 맞는 무선통신 기술을 선택해서 이용하게 된다. 이때, 사물이 교환하는 데 이터의 양이 적은 경우 이를 ‘소물(Small Things)’이라고 하며, 소물들이 서로 연결 된 네트워크를 소물인터넷(Internet of Small Things, IoST)이라고 부른다. 즉, 소물이 라는 것은 사물의 크기가 작아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라 교환하는 데이터의 양이 적 어서 붙여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물(Small Things)들은 적게는 한 달에 한두 번에 서 많게는 하루에 1~20번 정도 아주 소량의 데이터를 교환하게 된다. 이는 데이터 양으로 따지면 수 킬로바이트(KB)에서 수 메가바이트(MB)에 해당한다. < 그림 3 > 소물(Small Things)의 개념 <그림 3>에 보이는 것처럼 소물들에는 가정 내 혹은 사용자 주변처럼 아주 가까 운 거리에서 사용되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전기ㆍ수도ㆍ가스 미터기, 주차 미터기, 가로등 및 신호등 제어기, 위치추적 장치, 산업용 장치들처럼 아주 넓은 범위에 분 포되어 이용되는 것들도 있다. 흔히 스마트시티(Smart City)를 구축하거나 지역정보 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소물들은 주로 후자에 속한다. 통상적으로 소물들은 배터리 한 개로 수개월에서 수년간 동작하며, 이를 위해 뒤에서 소개할 저전력 통신기술들 을 사용한다. 사물인터넷을 논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물들을 왜 연결해야 하느냐’보다는 ‘어떻게 사물들을 연결하느냐’에 집중한다. 아무래도 사물인터넷이라는 용어에 연결
  • 9.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7 - < 그림 4 > 사물인터넷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술 성(connectivity)을 의미하는 인터넷이라는 용어가 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접근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은 ITU-T의 문서에서도 확인되는 데, ITU-T는 사물인터넷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ITU-T Y.2060, 2012 : 1). “Internet of Things is a global infrastructure for the information society, enabling advanced services by interconnecting (physical & virtual) things based on existing and evolving interoper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즉, 사물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물들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들을 연결해서 고급 서비스(advanced services)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사물인터넷을 위한 무선통신기술 사물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연결된 사물들을 이용해서 제공하는 고객 가치 일 것이다. 따라서 사물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고민하기 전에 먼저 어떤 목적을 위해 사물을 연결해야 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활용 분야가 정해지면 그 목적을 위해 사용해야 할 사물이 결정되고 사물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그 다음 그 특성에 맞는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사물들은 유선 및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지만, 사물의 도 처성(ubiquity)을 감안한다면 무선통신기술이 기본적인 연결 수단이 될 것이다. 이런
  • 10.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8 - < 그림 5 > WPAN 기술 분류 무선통신기술은 다시 그 특성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기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이동통신기술, 그리고 저속광역 무선통신기술(Low-Power Wide Area Network, LPWAN)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WPAN 기술과 LPWAN 기술, 그리고 사물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활용할 데이터를 생산하는 센서 기술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2.1. WPAN 기술 WPAN 기술은 IEEE 802.15 워킹그룹(Working Group)에 속하는 기술들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다. 그러나 WPAN이라는 이름의 의미하는 것처럼 우리의 일상생 활 반경(personal area)에 해당하는 2~30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한 기술 을 나타내는데 포괄적으로 사용한다.2) 따라서, IEEE 802.15 WG에 포함되는 블루투 스(Bluetooth, 802.15.1), UWB(802.15.3), 지그비(ZigBee, 802.15.4) 기술 외에도 와이파 이(802.11), 지웨이브(Z-Wave) 같은 기술들도 포함해서 WPAN 기술이라 칭한다. 2) 이론적으로는 100미터 거리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10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안정적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장애물이 없는 환경(Line-of-Sight)에서는 50미터에서 100미터 사이에서 통신이 되기도 한다.
  • 11.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9 - 이 중에서 와이파이는 고속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기술이다. 현재 가장 많이 이용 되는 802.11g 표준의 경우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하며, 802.11n의 경우 최대 600Mbps의 속도까지 지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이용해야 하고 두 개의 채널(channel)을 하나인 것처럼 묶어서 사용하는 채널 본딩(channel bonding)도 적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서 최대 150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최근 에 통신사들이 열심히 판매하고 있는 기가와이파이(Giga Wi-Fi)는 802.11ac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802.11ac는 8개의 안테나를 이용하고 채널 본딩을 통해 160MHz의 대역폭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6.7G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개 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최대 1.69Gbps의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통신 속도가 빠른 만큼 전력소모도 커서 상전(常電)을 필요로 한다. 표준에 따라 2.4GHz 대역이나 5GHz 대역을 이용하며, 동시에 두 대역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그비나 지웨이브 기술은 900MHz의 ISM 대역에서 주로 이용된다.3) 와이파이나 블루투스에 비해 낮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하며, 메쉬(mesh)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topology)를 지원하기 때문에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용하다. 각각 최대 250kbps 및 100kbps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흩어져 있는 센서 장치나 소 물들을 연결할 때 유용하다. 와이파이에 비해 전력 소모가 낮아서 배터리로 동작시 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메쉬 기능을 사용할 때는 상전을 이용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 그림 6 > 블루투스 기술의 구분 출처 : Panasonic. 3) 지그비는 2.4GHz ISM 대역에서도 이용 가능하지만,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의 간섭을 피해 900MHz ISM 대역에서도 많이 이용된다.
  • 12.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0 - 마지막으로 블루투스는 스마트폰과 이어폰처럼 두 디바이스를 직접 연결하는 직 접(Direct) 통신기술이다. 현재 블루투스 5.0 표준이 발표된 상태며, 대부분의 블루투 스 장치들은 블루투스 4.x 표준을 이용한다. 블루투스 4.0 이후의 블루투스 표준들은 블루투스 3.0(Bluetooth High Speed)과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가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이 두 가지 블루투스 기술을 지원하기도 하고 특정한 블루투스 기술 하나만 지원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의 단점인 비효율적인 전 력 소모를 보완한 기술로 최대 전송 전력이 10mW로 매우 낮다. 양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브로드캐스팅에 의한 단방향 통신도 지원하며, 단방향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는 전력 소모량이 훨씬 더 줄어들게 된다. 일정한 간격으로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전 송하는 비콘(Beacon) 장치의 경우, 수은전지 하나로 최대 2~3년 동안 동작시키는 것 이 가능하다. 비콘은 간단한 장치이지만, 상품의 홍보, 실내 위치 추적, 분실 방지, 결제, 고객관계관리(CRM)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 다. 2.2. LPWAN 기술 WPAN 기술이 2~30m 이내의 거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무선통신기술이라면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 기술은 말 그대로 저전력으로 넓은 영역 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개발된 무선통신기술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시티처럼 매우 넓은 영역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디바이스들은 배터리 교체 없이도 오랜 시간 동안 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저전력 특성과 장거리 통신 특성을 동시에 필요 하게 된다. 넓은 영역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반경 10km의 범위를 이야기하지만, 이 수치는 이 론적인 수치일 뿐이며 실제 환경에서는 반경 2~3km 정도의 범위에서 개별 디바이 스들을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저전력이라 함은 AA 혹은 AAA 건전지 2개로 10년 정도 동작할 수 있을 정도로 전력을 적게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 역시 실제로는 2~3년 정도 동작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현실적이 다. LPWAN 기술은 저전력으로 매우 먼 거리까지 통신을 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좁 은 채널 폭을 이용한다. 대표적인 LPWAN 기술인 LoRa의 경우 0.3~500kHz의 대역 폭을 이용하며, SigFox의 경우에는 0.1kHz의 매우 좁은 대역폭을 이용한다. LoRa나
  • 13.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1 - 구분 NB-IoT LoRa SigFox 통신 반경 ~10km 내외 배터리 수명 ~10년 내외 주파수 대역 LTE 면허 대역 920MHz 비면허 대역 대역폭 200kHz ~500kHz 100Hz 통신 속도 ~100kbps ~5kbps ~1kbps < 표 1 > LPWAN 기술들의 특성 비교 SigFox와 달리 LTE 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NB-IoT의 경우 150kHz 이하의 대역폭을 이용한다. 이처럼 좁은 대역폭을 이용하게 되면 단위 시간 동안에 전송 가능한 데이 터의 양은 적어지지만, 매우 적은 전력으로 멀리까지 신호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 기 때문이다. NOKIA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까지 사물인터넷 접속기기는 약 30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 중 LPWAN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는 약 70억 개에 달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NOKIA, 2015). LPWAN 기술은 주로 전기, 수도, 가스계 량기, 자판기, 지능형 교통 시스템, 의료 서비스용 실시간 모니터링 장치 등과 함께 이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러한 장치들은 스마트시티의 구축이나 4차 산업혁명시 대의 지역정보화를 위해서 필수적인 장치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사들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이미 SK텔레콤은 2016년에 LoRa 기반의 전국망을 구축 완료한 상태이며, 관련 요금제도 출시한 바 있다. 반면, KT나 LG유플러스는 공동으로 NB-IoT 기반의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구축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빠르면 2017년 3분기에 전국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이미 LoRa 망을 가지고 있는 SK텔레콤은 2018년 중에 NB-IoT 기반의 사물인 터넷 전용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2.3. 센서 기술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선통신기술이 무엇이든 간에 우리가 사물들을 연결하고자 하는 것은 사물들이 생성한 데이터를 인터넷상으로 전송하고 그렇게 전송된 데이터에서 고객에게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얻어내기 위함이다. 이때 필요한 것이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sensor)다. 센서는 어떤 사물의 동작이나 상태 혹은 그 사물 주변의 환경적이거나 물리적인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꿔주는 장
  • 14.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2 - < 그림 7 > 국내 기업(TRUEYES)이 개발한 불꽃 센서 치를 통칭하는 전자 소자로, 앞에서 이야기했던 사이버물리시스템에서 물리적인 세 상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센서는 크게 물리적인 센서와 소프트웨어적인 센서로 구분한다. 물리적인 센서는 온습도 센서나 압력 센서, 조도 센서, 그리고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에 사용되는 가 속도 센서처럼 물리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는 센서를 말한다. 반면, 소프트웨어 센서 는 물리적인 센서에서 얻어진 값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조작해서 만든 가상의 센서 다. 온도와 습도 값을 이용해서 계산한 불쾌지수 센서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센서 에 해당하며, 어떤 상황이나 문맥(context)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같은 맥락에서, 지금까지는 센서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크기를 작게 하고 전력 소 모를 최소화 하는 등의 물리적인 성능을 개선하는데 많은 노력이 집중되었다면, 최 근에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황을 더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를 비즈니 스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처럼 여러 개의 센서로부터 얻 어진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는 기술을 센서 퓨전(sensor fusion)이라고 하는데, 주변 의 상황을 복합적으로 인식해서 자율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주행차나 미국 의 아마존(Amazon)이 테스트로 운영하고 있는 무인 매장이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 다. 이와 같은 센서 기술은 상업적인 목적 외에도 지역정보화를 위해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도시 시설물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거나 도로의 교통 상황 확인, 도로에 발생한 포트홀(porthole)의 발견, 문화재 물 주요 시설에서의 화재 발생, 독거노인의 건강 확인, 미아 및 치매환자의 실시간 위치확인 등 상태 확인뿐만 아니라 상황 인지를 위해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15.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3 - III.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1. 지역정보화의 개념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지역정보화의 개념에 대 해 살펴보기로 하자. 지역정보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정 책적인 개념으로, 정보통신망 구축, 뉴미디어 보급 등 지역에서의 정보통신 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된 용어였다(김진태, 2006 : 58). 이후, 하드웨어 측면뿐만 아 니라 지역의 행정, 산업, 생활 분야의 총체적인 정보화 활동이라는 확대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더 나아가 지역정보화를 통해 지역 간 불균형을 완화한다 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지역정보화의 개념은 일본보다 다소 늦은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 로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2009년 4월에 국회심의를 통과한 국가정보 화 기본법 제16조 1항에 비교적 상세히 규정되어 있다. 국가정보화 기본법에 따르 면, 지역정보화란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문제 해결과 지역 발전을 위해 행정ㆍ생활ㆍ산업ㆍ도시기반 분야별로 정보기반 및 정보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일 련의 정책적 활동을 말한다(한국행정학회, 2001). 사실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런 의미에서 지역정보화는 지역사회의 총체적 정보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정보시대의 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 in an Information Age: A Handbook)> 의 저자인 슈넬렌(Snellen)이 말하는 정보화(Informatization)에 대한 개념 정의에 근 거하면, 지역정보화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 다(Snellen & van de Donk, 1998). Ÿ 전산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 지역정보의 공급과정을 형성하거나 처리하는 정보 기술의 도입 Ÿ 지역정보공급과 관련하여 정보의 흐름과 정보관계를 조직화하거나 재정비 Ÿ 지역사회의 각 분야에 정보기술의 전문성을 도입 Ÿ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하나의 정책분야로서 지역정보정책의 개발 Ÿ 정보기술이 도입되는 지역에 있어서 지역사회구조의 변화 또는 조정 이와 같은 원칙 및 방향성을 바탕으로 20여 년간 지역정보화가 진행되어 오고 있 지만, 말 그대로 지역이 정보화되고 지역주민들의 삶이 향상되었는지에 대해서는 회
  • 16.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4 - 의적인 시각이 많다. 지역정보화 초기에는 중앙 부처들의 필요에 따라 하향식 (Top-Down)으로 진행되는 바람에 지방자치단체들과의 밀접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못 했고 지역주민의 요구사항도 전혀 반영되지 못했다. 최근의 지역정보화는 지방자 치단체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역시 지역민들의 필요보다는 지방자치단체장들 의 실적을 위한 전시성 사업들인 경우가 허다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가 차원의 일관성도 없고 타 지역과의 연계성도 떨어지며 관련 데이터의 공유도 제대로 이루 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4 차 산업혁명이나 사물인터넷이라는 것은 수요자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아니나 다를까,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시티 실증사업들은 대부분 지역주민들에게 실질적이거나 구체적인 혜 택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들은 단순히 어떤 것들을 연결할 것인가 보다는 어떤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생 각을 바탕으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 한, 지역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최대한 개방함으로써 지역민이 지역정보 서비스 개 발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 분석 지금까지 국가 차원에서 혹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추진된 지역정보화 사업들은 여 러 문헌이나 세미나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된 바 있다. 반면,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 사례는 일부 해외 사례들만 반복적으로 소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국내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 화 사례를 안전, 교통, 환경, 관광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2.1. 안전 분야 안전과 관련된 지역정보화는 어린이 안전, 홀몸어르신 보호, 여성 안전, 시설물 안 전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먼저 어린이 안전의 경우 서울시가 추진한 어린이 안심 통학 알리미 서비스와 청주시가 현재 준비 중인 노랑이 버스가 대표적인 사업이다. 서울시의 어린이 안심 통학 알리미 서비스는 초등학교 인근에 100여 개의 BLE 비콘 과 스캐너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의 통학 경로를 확인해 주는 서비스다. 청주시의 노 랑이 버스는 유치원생이 통학 버스에 방치됨으로써 발생하는 사고를 막기 위해 추
  • 17.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5 - 진되고 있다. 시설물 안전은 사물인터넷 센서나 CCTV를 이용하여 중요 문화재나 전통한옥의 화재나 고의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교량이나 터널 등의 시설물의 안전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다. 중요문화재나 전통한옥의 화재나 훼손과 관련해서는 서울시가 추진 한 북촌 IoT 실증사업에서도 2~3가지 유형의 시범 사업이 전개된 바 있다. 또한, 2016년 10월에 발표된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의 제1차 소방안전 특별관리 기본계 획에서도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신고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막거나 최소화 할 계 획이다. 2.2. 교통 분야 교통 분야와 관련해서는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주차장 공유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버스도착 알림 서비스라고도 불리는 버스정보시스템은 이미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실시 중에 있는 것으로 시내버스에 GPS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차량의 위치정 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차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배차 간격이 긴 마을버스에도 관련 기술을 도입하기 시작하고 있 다. 교통과 관련해서 가장 시민들의 반응이 좋은 것은 주차장 공유 서비스다. 초기 주 차장 공유 서비스는 관공서나 공공기관의 주차장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말에 무료 로 이용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도심지 내의 아파트 주차장 및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을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주간에 비어 있는 도심지 내의 주차 공간을 일반 주차장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비 용을 주차장 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4) 실제로 서울 성북구의 한 아파트는 주차장 공유를 통해 매월 325만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 으며, 이를 주민들의 아파트 관리비를 줄여주는데 활용하고 있다. 4) 개별주차공간에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무인주차단말기(센서)를 설치하여 관리한다.
  • 18.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6 - < 그림 8 > 서울 성북구에서 추진하는 성북구 공유주차장 개념도 출처 : 머니투데이 (2015. 1. 27일자)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는 이미 출시되어 있는 주차장 공유 앱을 활용하면 손쉽게 구현이 가능하며, 아파트 주차장 공유의 경우는 아파트 주차장을 이용하고자 하는 차량을 스마트폰 앱으로 등록을 하면 아파트 출입구의 차량 번호 자동인식 시 스템이 이를 확인하고 주차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해서 서울시 는 지난해 임대아파트 주차장 공유사업 실행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정부도 올해 2월에 열린 11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관련 내용을 보고한 바 있다. 2.3. 환경 분야 스마트 쓰레기통은 환경 분야의 대표적인 사물인터넷 활용 사례로 도로 폭이 좁 은 유럽의 나라들과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도입이 확대되고 있다. 스마 트 쓰레기통은 쓰레기통 뚜껑 안쪽에 설치된 센서가 쓰레기가 얼마나 차 있는지를 센싱함으로써 쓰레기 수거 시점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쓰레기 수거차의 이동 경로 를 최적화함으로써 불필요한 차량 운행 및 교통 방해를 최소화 하는데 유용한 것으 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의 북촌과 경기도 고양에서 스마트 쓰레기통을 도입한 사례가 있으며, 고려대나 동국대 등 대학들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학교를 중심으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소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환경 센서를 설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공기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는 학생들의 야외 활동과 교실 환기를 중단하고 자동으로 공기청정기를 가동함으로써 학생들의 건강을 지키자는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새 정부에서 제시 한 4차 산업혁명 청사진에도 반영되어 있다.
  • 19.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7 - < 그림 9 >. 고려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 설치된 스마트 쓰레기통 출처 : 이큐브랩. 2.4. 관광 분야 그동안 관광과 관련된 지역정보화는 지역의 명소나 유적지, 특산물, 맛집, 행사 정 보를 한 곳에 모아서 관광객들에게 웹이나 앱을 통해 제공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사 물인터넷 기반의 관광 정보화는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 스마트 미러, 블루 투스 비콘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술들을 활용하여 더욱 실감나고 편리한 서비스 를 제공하고자 하고 있다. 즉, 이러한 기술을 통해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지역의 명소나 유적지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가상으로 존재하는 사물들을 간접적으 로 이용하거나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북촌 VR 서비스로 북촌의 주요관광지, 북촌8경 등을 직접 방문 하지 않고도 VR로 선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다. 북촌의 주요관광지, 북촌8경 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VR로 선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도 포함된다. 관광안내센터에 비치된 VR 장치는 관광객과 가상의 관광지를 연결해주는 수단이 된다. 관광객들은 이를 통해 자신들이 가고자 하는 관광지를 선택해서 체계적인 관광을 할 수 있으며, 관광지와 관련된 주요 활동 및 상점, 맛집 관련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스마트폰으로 그곳에 설치된 비콘 신호를 수신함으로 써 관광지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관광지와 관련된 체험 프로그램이나 근처 상점의 할인쿠폰 등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스마트폰용 길안내 앱이 많이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스마트폰을 보면서 관광
  • 20.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18 - 지를 이동하는 것은 안전상의 문제도 있고 방문지역을 피부로 느끼는 데 한계가 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럴 때, 스마트 방향표지판은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형태로 방문객들에게 주요 관광지 및 도시 정보를 안내해 줄 수 있다. 스마트 방향 표지판에 설치된 목적지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관광안내 앱에 목적지를 입력하면, 스마트 방향표지판이 회전하는 식으로 목적지와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안내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림 10 > 스마트 방향표지판의 예시 출처 : BREAKFAST NY. 스마트 방향표지판은 주기적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신호를 전송하며 이를 수 신한 스마트폰은 관광안내 앱에서 검색한 목적지 정보를 스마트 방향표지판에게 전 달하게 된다. 이 정보를 전달받은 방향표지판은 LED 전광판으로 만들어진 안내판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목적지의 방향과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안내해 주게 된다. 목적 지를 안내해 줄 때, 맛집이나 상점을 소개하는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형태로 수익사 업을 진행할 수도 있고, 날씨나 온도, 지역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한, 스마트폰의 언어 설정 정보도 함께 이용한다면, 외국인 관광객들에 대해서도 해 당 국가의 언어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21.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19 - IV. 지역정보화를 위한 제언 지금까지의 지역정보화는 공급자 주도의 하향식 사업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다보 니 수요자인 지역민들의 필요나 관심과 거리가 멀어 지역민들로부터 외면되고 결과 적으로 사업이 지속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따라서 앞으로 추진될 사물ㆍ소물 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수요자로부터의 상향식이어야 할 것이며, 사업의 지속 성 및 지역산업 생태계를 활성화시키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1. 지역 경제 활성화 그동안 다양하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지역정보화 노력이 지역주민들로부터 외면 받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보다도 지역정보화 사업들이 제공하는 혜택이라 는 것이 구체적이지 않고 막연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추진될 사물ㆍ 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는 아주 적더라도 지역주민들의 수입이 늘어난다던지 생활비가 줄어드는 것처럼 구체적인 혜택이나 혹은 지역에 돌아다니는 사람들이 많 아져 활성화되었다고 느껴지는 것처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혜택들을 발굴하기 위 한 노력에서 시작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앞에서 살펴 본 주차장 공유 서비스는 적지만 금전적인 혜택을 지 역주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방향표지판의 경우도 활용하는 방식에 따 라 지역 관광산업 및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그 자체가 하나의 관광 상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 쓰레기통을 재활 용 쓰레기 분리수거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재활용 쓰레기를 버릴 때마다 포인 트 적립한 후 지역 상점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식으로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지역경 제 활성화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의 <그림 10>에 보이는 맛집 순번 대기 서비스는 간단한 아이디어 솔루션이 지만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마다 유명한 맛집이나 관광지의 경우 관광객들이 1~2시간 기다렸다가 해당 상점만 방문하고 돌 아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솔루션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이런 문제를 일거에 해결해 줄 수 있다. 매장을 방문한 손님들이 매장에 설치된 태블릿에 자신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이 솔루션은 스마트폰으로 대기 시간과 매장 진입시간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인근 관
  • 22.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0 - < 그림 11 > 맛집 순번 대기 서비스 광지나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제공한다. 예상 대기시간을 확인한 고객들 은 기다려야 하는 시간 동안에 마음 편하게 매장 주변의 관광지나 상가를 돌아다닐 수 있게 된다. 매장의 결제(POS) 단말기와 연결된 솔루션은 대기 손님이 2~3팀 남았 을 때 다시 알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매장으로 돌아오도록 하게 된다. 2. 지역 문제 및 스마트 디바이드 문제 해결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은 지역민들이 생활하는 데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지역 시설물에 부착된 센서들이 시설물과 관 련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주차장 공유나 스마트 쓰레기통이 이에 해당하는 것들이며, 실제로 이런 사업들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좋게 나타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도로의 포트홀(pothole)이나 결빙상태를 관리할 수도 있다.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탑재된 OBD-II 장치가 설치된 택시들이 포트홀을 지 나가는 경우 충격 센서의 값이 크게 나타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여러 대의 택시에서 수집된 충격 정보들을 분석하면, 공통적으로 충격값이 큰 지역에 포트홀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스웨덴의 자동차 제조사인 볼보 자동차 그룹(Volvo Car Group)은 이미 스웨덴 교통국 및 노르웨이 공공도로국과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재규어 랜드로버(Jaguar Land Rover)나 포드(Ford) 같은 회사들도 관련 기 능을 탑재한 차량들을 출시하고 있다.
  • 23.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21 - < 그림 13 >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장치를 활용한 일본의 실버케어 사례 < 그림 12 > 볼보‧스웨덴 교통국 공동, 도로 상태 정보 공유 서비스 개념도 출처 : Volvo(2014). 이 외에도 스마트밴드나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 장치를 이용하여 실버케어 서비스 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마트밴드는 밴드에 내장된 생체정보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생체 상태나 움직임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되며, 이상 징후가 예 측되는 경우 관련 담당자에게 통보함으로써 관련 담당자의 업무 부담도 줄이면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서 치매노인들의 관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출처 : Financial Times & NWZ Online(2014). 일본의 몇몇 지방자치단체들은 노인들의 고독감을 덜어주기 위해 대화형 인공지 능 인형이나 로봇을 활용하기도 한다. 건강이나 뉴스 등 노인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로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음성명령을 통해 친구들이나 자녀들과의 통화도 가 능하고 노인들을 운동시키는 역할도 한다. 대화형 로봇의 경우 로봇에 내장된 적외
  • 24.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2 - 선 센서나 이산화탄소 센서 등을 이용하여 노인들의 움직임이 없거나 대화에 반응 하지 않는 경우 관련 담당자에게 통보하는 식으로 노인들의 건강 및 안전관리 목적 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3. 개방 및 표준화 지금까지 추진되어 온 지역정보화뿐만 아니라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 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기존의 지역정보화에 서는 사람들이 데이터 생성의 주체였다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사 물에 부착된 센서가 데이터 생성의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또 하나 다른 점이 있다 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에서는 수많은 사물들에 부착된 센서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전에 없이 방대하고 다양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데 이터의 구조(format)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효과적인 수집, 관리, 분석,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술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공공 데이터는 최대한 모든 시민이나 단체에 개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특정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된 다양한 공공 부서 및 시민단체, 지 역 기업들이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지역정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 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전국단위의 정보 서비스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지역정보화 담당부서들의 협력 체계를 만드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V. 맺음말 지역정보화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 이며, 기존에 주로 사용했던 IT나 SW 기술뿐만 아니라 사물ㆍ소물인터넷과 같은 새 로운 기술들을 활용하여 추진될 수 있다.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이 지역정보화를 위 해 사용되었던 다른 기술들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이 새로운 기술은 지역주민들의 니즈를 더 정확하고 더 빠르게 해결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지역정보화의 대상이 되는 다양한 개체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는 지역 문제의 실상을 면밀하게 보여줄 것이며, 현장에 대한 경험과 결합한 빅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은 문제 해결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 25. 사물‧소물인터넷의 활용 기술과 지역정보화 ■ ■ ■ - 23 - 따라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기 술 자체가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고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느냐에 있을 것 이다. 즉,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구체적일 때, 인터넷에 연결해야 할 대상도 결정되고 연결하기 위한 무선 기술이나 통신 프로토 콜도 달라질 것이며 수집해서 분석해야 할 데이터도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결과 적으로 사물ㆍ소물인터넷 기술은 앞으로의 지역정보화를 위한 접근법 자체를 송두 리째 바꾸리라 생각한다. 사물ㆍ소물인터넷 기반의 지역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서는 관 주도의 하향식 보 다는 민 주도의 상향식이 바람직하며, 그보다는 민과 관이 함께 지역정보화를 추진 할 때 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보여주기식 사업들보다는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 문제 해결 등 현실적이며 실질적인 사업들을 중심으로 지 역정보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민이나 지역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 공공데이터의 표준화 및 개방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26. ■ ■ ■ 지역정보화 이슈 리포트(제4호 2017.7) - 24 -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중앙소방본부. (2016). 제1차 소방안전 특별관리기본계획(2017~ 2021). 김진태. (2006). 지역정보화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에 관한 소고. 지역정보화지, 43, 58-61. 김학용. (2014. 04. 30.). “볼보(Volvo)의 도로상태 정보 공유 서비스”. 김학용 박사의 사물인터넷 세상, (http://blog.naver.com/honest72/100208556987) 이문희. (2010). 정보화, 과거와 현재. 대구경북연구원. 한국행정학회. (2001). 온라인행정학전자사전. http://www.kapa21.or.kr/epadic/index.php. ITU-T Y.2060. (2012). 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 NOKIA. (2015). LTE-M-Optimizing LTE for the Internet of Things. Snellen, I. T. M., & van de Donk, W. B. (Eds.). (1998). Public administration in an information age: A handbook (Vol. 6). IOS press. 참고기사 김희정. (2015. 01. 27.). “월곡도 김 할머니, 관리비 어떻게 줄였나 보니...”. 머니투데이, http://news.mt.co.kr/newsPrint.html?no=2015012616205811353. 엄민우. (2017. 06. 04.). “KT, 사물인터넷으로 학교 미세먼지 관리”. 시사저널, http://www.sisajournal-e.com/biz/article/169800 Naughton, N. (2015. 06. 10.). “Jaguar Land Rover studies pothole detection tech”. Automotive News, http://www.autonews.com/article/20150610/OEM06/150619983/. Udy, J. (2016. 2. 19). “2017 Ford Fusion V6 Sport features potholes detection system”. Motortrend, http://www.motortrend.com/news/2017-ford-fusion-v6- sport-features-pothole-detection-system/. ※ 참고문헌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