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icio
Explorar
Enviar búsqueda
Cargar
Iniciar sesión
Registrarse
Publicidad
Check these out next
[IGC 2016] 드럭하이 최영윤 - 인디출신개발사로서의 후속작, 톤톤해적단 포스트모텀
강 민우
what's indie game? korean ver
Kyung hwan Choi
[IGC2015] 방영훈-반도의흔한기획자표류기
강 민우
[IGC 2016] 우보펀앤런 정희권 - 세계 인디 보드게임 개발의 현황과 한국의 인디보드게임 개발자협동조합 운동에 대한 소개
강 민우
ndc14 포춘시리즈개발자의 풀타임인디개발생존기
Seok Kyu Chang
[IGC 2016] 메구스타 정진섭 - 1인 개발자 스타트Kit - 프로그래밍, 아트, 사운드 혼자 다 하는법
강 민우
[IGC 2016] 버프스튜디오 김도형 - 용사는 진행중2 포스트모템
강 민우
[IGC 2016] 허니잼게임즈 이형호 - 소규모 개발사의 게임 완성과 유지 보수 과정
강 민우
1
de
17
Top clipped slide
국내인디게임개발자의현실
20 de Mar de 2012
•
0 recomendaciones
11 recomendaciones
×
Sé el primero en que te guste
ver más
•
11,622 vistas
vistas
×
Total de vistas
0
En Slideshare
0
De embebidos
0
Número de embebidos
0
Descargar ahora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Denunciar
Tecnología
Mingu Heo
Seguir
Game Developer en Dev Arc
Publicidad
Publicidad
Publicidad
Recomendados
NDC2013 - 인디게임 프로젝트 중도에 포기하지 않는 방법
ChangHyun Won
19.7K vistas
•
260 diapositivas
팔기 위한 인디게임
Kim Jin Sung
3.8K vistas
•
19 diapositivas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강 민우
6.1K vistas
•
52 diapositivas
마비노기듀얼 이야기-넥슨 김동건
강 민우
2K vistas
•
42 diapositivas
[IGC 2016] 콰트로기어 이석호 - 어째서 인디?
강 민우
496 vistas
•
27 diapositivas
[IGC 2016] 산배 오범수 - 애플워치부터 VR까지 : 인디게임 1인 개발자의 3년간의 생존기록
강 민우
853 vistas
•
93 diapositivas
Más contenido relacionado
Presentaciones para ti
(20)
[IGC 2016] 드럭하이 최영윤 - 인디출신개발사로서의 후속작, 톤톤해적단 포스트모텀
강 민우
•
902 vistas
what's indie game? korean ver
Kyung hwan Choi
•
1.9K vistas
[IGC2015] 방영훈-반도의흔한기획자표류기
강 민우
•
2.7K vistas
[IGC 2016] 우보펀앤런 정희권 - 세계 인디 보드게임 개발의 현황과 한국의 인디보드게임 개발자협동조합 운동에 대한 소개
강 민우
•
887 vistas
ndc14 포춘시리즈개발자의 풀타임인디개발생존기
Seok Kyu Chang
•
1.9K vistas
[IGC 2016] 메구스타 정진섭 - 1인 개발자 스타트Kit - 프로그래밍, 아트, 사운드 혼자 다 하는법
강 민우
•
2.8K vistas
[IGC 2016] 버프스튜디오 김도형 - 용사는 진행중2 포스트모템
강 민우
•
627 vistas
[IGC 2016] 허니잼게임즈 이형호 - 소규모 개발사의 게임 완성과 유지 보수 과정
강 민우
•
1.3K vistas
[IGC2015] 아라소판단 김성욱-게임 기획을 변경하게 되는 요인
강 민우
•
3K vistas
김동건, 구세대 개발자의 신세대 플레이어를 위한 게임 만들기, NDC2011
devCAT Studio, NEXON
•
5.1K vistas
[IGC2015] 로드컴플릿 배정현-크루세이더 퀘스트 포스트모텀
강 민우
•
1.8K vistas
[IGC 2016] 골드로쉬 김현석 - 왜 항상 기획자는 욕을 들어야만 하는 걸까? –게임 기획의 포지션 변화-
강 민우
•
1.7K vistas
도톰치게임즈 1인개발
Seok Kyu Chang
•
6.6K vistas
[IGC 2016] 넷게임즈 김복식 - 중국 모바일 게임과 캐주얼 게임 디자인
강 민우
•
17.8K vistas
[IGC 2016] 블루사이드 황상훈 - 실전 시나리오 라이팅: PD가 원하면 나는 쓴다
강 민우
•
900 vistas
[IGC 2016] 스튜디오 EIM 정사인- 실패하지 않는 게임 사운드 제작 접근법
강 민우
•
1.3K vistas
NDC 2014) 별바람의 기묘한 모험 1991-2014
KwangSam Kim
•
22.8K vistas
[IGC2015] 디앤씨게임즈 이윤환-탐정의 왕과 범죄의 왕 그 3년의 기억
강 민우
•
1.1K vistas
[IGC 2016] 제페토 국정진 - FPS 게임으로 글로벌 시장에 도전하기 : ‘배틀 카니발’의 도전
강 민우
•
812 vistas
NDC 2010 이은석 - 마비노기 영웅전 포스트모템 1부
Eunseok Yi
•
8.6K vistas
Similar a 국내인디게임개발자의현실
(20)
게임개발자 직업체험의날 배포용
영욱 오
•
1.5K vistas
원소스멀티유즈모바일게임 컨셉기획서
s.s kim
•
8.9K vistas
게임에 관한 간단한 고찰
정욱 박
•
72 vistas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GAMENEXT Works
•
1.6K vistas
[NDC11] (온라인 게임 종사자를 위한) 소셜 게임의 오해와 진실
GAMENEXT Works
•
1.2K vistas
소셜 게임
SeungYeon Jeong
•
977 vistas
게임, 그 자체가 소프트웨어 교육의 장
Lee Deuk-Kyu
•
652 vistas
김윤상
Icon Busan
•
1K vistas
게임 BM 이야기
SeungYeon Jeong
•
10.6K vistas
스마트창작터 오버리듬
Jaehyun Park
•
381 vistas
[디지믹스] 국내Sng변천사와향후 (이교석 대표)
GAMENEXT Works
•
1.4K vistas
[PandoraCube] '게임메이커'에 대해 알아보자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
•
105 vistas
[파더메이드] 블루홀 10년차 개발자의 1인개발 이야기: [Father made]From major game company to indie...
찬수 이
•
128 vistas
[IGC2018] 파더메이드 이찬수 - 블루홀 10년차 개발자의 1인개발이야기
강 민우
•
730 vistas
야생과동물원
Seok Kyu Chang
•
1.1K vistas
인디게임 창작 공정과 사업도 중요 - Pig-Min Agency 강의 1회, 2011/10/28.
Kim Jin Sung
•
1.2K vistas
[GAMENEXT] 일본소셜게임의 국내입성 모험기 (이메진, AZA Games)
GAMENEXT Works
•
1.9K vistas
닌텐도완성본
yurbong
•
1.7K vistas
The Future of Social Gaming &Game App Review
Kit-bee Kim
•
390 vistas
김동건, 게임개발에 남은 기회들, KOG 발표
devCAT Studio, NEXON
•
2.9K vistas
Publicidad
Más de Mingu Heo
(12)
[NDC14] A Mass of Dead 스팀 입성 성공기
Mingu Heo
•
19.1K vistas
인디게임을 팔아보자 스팀그린라이트
Mingu Heo
•
9K vistas
Kgc12발표문서
Mingu Heo
•
697 vistas
4월 월말평가
Mingu Heo
•
554 vistas
20072017허민구 dead masspt_20120328_ver3.5
Mingu Heo
•
593 vistas
닥치고 정치 후기
Mingu Heo
•
699 vistas
a mass of dead컨셉
Mingu Heo
•
718 vistas
Kgc2011후기
Mingu Heo
•
443 vistas
추상화
Mingu Heo
•
1.8K vistas
기획자여 마케팅을 알라
Mingu Heo
•
807 vistas
기획자여 마케팅을 알라
Mingu Heo
•
469 vistas
개발자여!
Mingu Heo
•
554 vistas
Último
(20)
AWS Summit Seoul 2023 | 성공적인 AWS RDS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여정과 필수 고려사항
Amazon Web Services Korea
•
46 vistas
검색엔진에 적용된 ChatGPT
Tae Young Lee
•
77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Amazon Connect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한 컨택센터 구축 및 마이그레이션 방안
Amazon Web Services Korea
•
55 vistas
스프링 배치
Wonjun Hwang
•
24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투자를 모두에게, 토스증권의 MTS 구축 사례
Amazon Web Services Korea
•
86 vistas
Red Hat OpenStack 17 저자직강+스터디그룹_3주차
Nalee Jang
•
47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100만명이 사용하는 GenerativeAI 이루다를 만들면서 배운 것 : 스캐터랩의 AWS 활용법
Amazon Web Services Korea
•
50 vistas
2023 CHI학회 논문 리뷰_서울대 UX랩_유선경.pdf
ssuserbe08f6
•
58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KB의 통합 음성 AI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반의 똑똑한 AI상담원 콜봇
Amazon Web Services Korea
•
41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Global scale service의 중앙 집중식 Observability 구축
Amazon Web Services Korea
•
58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기업 고객 대상 기계학습 기반 콜센터 도입을 위한 여정
Amazon Web Services Korea
•
33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Confluent와 함께하는 실시간 데이터와 클라우드 여정
Amazon Web Services Korea
•
41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비즈니스 경계를 허무는 혁신: 단 하나의 선택, 슈퍼앱
Amazon Web Services Korea
•
67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SOCAR는 어떻게 2만대의 차량을 운영할까?: IoT Data의 수집부터 분석까지
Amazon Web Services Korea
•
75 vistas
부스트캠프 웹・모바일 8기 설명회 (2023년)
CONNECT FOUNDATION
•
271 vistas
MySQL 실행계획
Wonjun Hwang
•
32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AWS로 구축한 피플펀드의 신용평가 MLOps 플랫폼 개발 여정
Amazon Web Services Korea
•
70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Observability를 넘어선 클라우드 운영관리의 미래
Amazon Web Services Korea
•
45 vistas
AWS Summit Seoul 2023 | 데이터, 분석 및 AI를 통합하는 단 하나의 레이크하우스, Databricks on AWS 로 ...
Amazon Web Services Korea
•
75 vistas
ASP.NET Core와 Azure App Service와의 환상적인 만남
SangHoon Han
•
40 vistas
Publicidad
국내인디게임개발자의현실
국내 인디게임 개발자의
현실
Contents 팀/발표자 소개
• Team-Creator소개 • 발표자소개 인디게임에 대해 • 인디게임 현황 • 국내 인디게임 현황 결론
발표자 소개
Team-Creator 1994년 창설 91개의 작품 제작 249명의 팀원
발표자 소개
허민구 인디게임 개발자 7번의 인디게임 개발 참여 현재 좀비 게임 제작 중
인디게임 현황
활황!!!!! 마인크레프트, 월드 오브 구, 림보 등등
인디게임 현황
다운로드 유통망의 등장 앱스토어, 스팀 등 엔진의 발달 유니티, UDK 등
국내인디게임 현황 대학
졸업작품=인디게임의 전부인 것이 사실 국내에서 게임 만드는 사람은 적다. 인디게임공모전에 출제된 게임수가 아마 국내 인디게임의 숫자 일 것 같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게임업계에
들어올려는 사람자체가 소수이다 힘들지만 연봉은 박봉에 인식조차 나쁘다 여러 매체에서 이야기 된 만큼 힘들고, 박봉에 빠른 정년, 사람들의 손가락질 정말 게임을 사랑하는 사람밖에 올 수 없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적은
공모전 수와 낮은 위상 사실상 졸업작품전이 된 것이 사실 사실상 국내 유일의 인디게임공모전 하지만 위상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까다로운
심의제도 무료게임도 심의를 받아야 한다. 게임물 등급위원회는 인디게임 사이트인 니오티에 경고장을 보내서 큰 파장이 일었었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개인입장에서는
절대 싼 가격이 아닌 심의비 무료게임이어도 적어도 3만원 이상을 내야 한다. 보통의 액션게임을 만든다면 15MB라고 쳤을 때 8만원의 심의비가 든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한국에서
서비스하면 비용이 더 들어간다. 외국에서는 무료인데, 국내에선 유료?! 국내 인디게임인 Sugar Cube : bittersweet factory는 국내 게임이지만 국내에선 서비스가 되지 않는다.
국내인디게임 현황 국내
인디게임은 이제 기지개 중 스마트폰 시장을 통해서 활로 모색
국내인디게임 현황 청년
창업 지원이 활발해졌다 인디게임을 만들면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회는 많아졌다. 게임은 중점사업에서 밀려나서 추가 지원은 받기 힘들다. 앱이나 기능성게임은 예외다.
결론 국내에서 인디게임은 만들기
힘들다 그나마 최근엔 스마트폰 시장으로 나아졌지만… 원래 게임은 만들기 힘들다. 그런데 사회가 더 힘들게 하고 있다. 스마트폰도 2년뒤에 스마트폰 셧다운제도가 재논의 된다.
결론 열정 하나로 게임을
만들고 있다 게임을 좋아하지 않으면 절대 할 수 없다 열악한 환경이지만 사람들이 재미있게 하는 게임을 만들겠다는 열정 하나로 게임을 만들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Publicid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