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Npocenter Seoul
Npocenter Seoul서울시npo지원센터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 사업 설명회
pm 2:00 ~ 4:30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대강당 품다
목
2016
3/24
2016 사업설명회는
공모지원 사업에 대한 안내에서
변화된 환경 속 공익단체가 직면한 도전에
공감대를 확인하는 자리로 준비했습니다.
운영과 사업의 체질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는
단체, 전문가그룹과 함께
공익단체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 모색하는 시간,
‘NPO의 자리’ 에 초대합니다.
진행. 이재현 NPO스쿨 대표
여는 이야기 ‘NPO의 자리’
NPO지원센터의 제안
사업담당자와 함께 하는 테이블 미팅
1
조직의 비젼과 미션이 어떻게
일상의 업무를 변화시키는가
이현아 팀장_생명의 숲
NPO의 소셜 임팩트 프레임워
크를 장기간 적용
2
NPO가 지속가능하게 존재
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서
강희영 사무처장_여성환경연대
NPO 소셜 임팩트 프레임워크,
지속가능성보고서, 세대교체
워크숍을 적용
3
NPO는 2030 활동가들의
비빌 언덕이 되고 있는가
최위환 활동가_녹색연합
세대 간 워크숍을 통해 함께
일하는 문화와 단체 내
적용을 시도
4
NPO와 함께 뛰는
Pace Maker가 바라는 NPO
안정권 연구원_알트랩(alt.lab)
NPO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적 해결책을 모색
※
설명회 참석 시 주차권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가급적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6 사업설명회는 페이스북으로 생중계 될 예정입니다.
www.facebook.com/seoulnpocenter
서울시NPO지원센터 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조직
_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지원사업
_
조직역량강화컨설팅
‘임팩트테이블’
사람
_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활동
_
NPO 문제해결력 강화를 위한 시도
‘NPO의제 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
_
공익활동 더 쉽고 즐겁게
‘미트쉐어(Meet Share)’
2016, 활동가역량강화와 관련된
교육 ·지원 사업이 관계기반
성장지원 프로그램
‘활·력·신·공’으로 통합됩니다
임팩트테이블
“NPO에 딱맞는 명확한 툴이라 좋았어요.
사업의 성과 뿐만 아니라 단체 운영 전반을
점검할 수 있어 마음이 편해졌어요”
- 함께걷는아이들 유원선 사무국장
“단체 활동가들이 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됐고,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단체에 맞는
홍보 전략을 마련할 수 있었어요”
- 환경정의 황숙영 활동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지원
‘좋은 결과’로 이야기하던 경험때문에,
‘미완의 과정’과 ‘고민’을 드러내는 지속가능성
보고서가 쑥스럽기도 합니다. 그러나 보고서 작성
중에 얻었던 ‘행복하게 일하는 우리들의 철학과
태도가 사랑 받는 미디액트를 만든다’라는 믿음이
본 보고서를 여러분 앞에 내어 놓게 합니다.
- 미디액트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사 中
“어떻게 하면 비영리조직을 더 잘
운영할 수 있을까”
임팩트테이블,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지원사업은
NPO센터에서 진행하는 조직운영기반 강화
프로그램입니다.
성장과 생존사이에서 고민하는
공익단체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2016 조직역량강화컨설팅 ‘임팩트테이블’
임팩트테이블은 공익단체 동료들과 함께 진행하는 사례기반 컨설팅입니다.
5개 과정 중 관심있는 주제를 선택해 동료단체, 전문멘토와 함께
주제별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사례기반
학습
컨설팅의 성과가 자산으로
남을 수 있는 역량강화 제공
-
현장단체의 실제 사례를 기반
으로 한 케이스 토론을 통해
해결책 도출
피어 리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는 최고의 전문가는 자신
-
유사한 문제를 가진 단체들
의 상호 정보교류를 통한 실
질적 해결책 도출
맞춤형
멘토링
분야별 전문가들이 하나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
-
주제별 멘토의 진행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툴과 종합
적 해결책 도출
지원 대상
조직운영과 관련된 구체적 문제해결 의지를 가진 비영리단체 (서울시 소재 비영리단체)
과정 소개
전략기획/평가측정 모금/자원개발 커뮤니케이션/ 홍보 자원봉사/시민참여 세대전환/리더쉽
단체의 미션, 비전을
중심으로 성장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측정하는 컨설팅
단체 재정고민을
모금가의 시선으로
구체적인 실행전략
모색
단체별 상황진단을
통해 해결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과제를
공동협업으로 해결
단체에 생기를 주는
시민참여와 자원봉사
컨설팅
세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조직을
분석하고 더 건강한
조직의 운영방식을
모색
※ 세부 커리큘럼은 홈페이지 공지문을 참고해주세요.
멘토소개
이재현 (전략기획/평가측정)
이재현은 시민단체 경실련을 시작으로
대한상공회의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United Way Worldwide
국장으로 섬겼습니다. 현재 그는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겸임교수,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사업 심사위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교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의 미션은
원리기반 컨설팅을 통해 NPO의
사회적 영향력(social impact)의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정현경 (모금/자원개발)
서울시장애인복지시설협회
사무국장으로 사회복지 현장에서
모금활동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와 경영을 전공하였으며,
사회복지사를 시작으로 기부와
모금이라는 단어가 정착되기 전부터
복지와 자원개발을 어우르고
확대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론이 아닌 현장에서 풀어내는
모금해법을 위해 고민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모금을 디자인하라』,
『스크루지의 마음도 여는 한국의
모금가들』(공저), 『장애인복지와
개발』(공저) 등이 있으며, 현재
한국모금가협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위환 (커뮤니케이션/홍보)
환경과 생명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녹색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녹색시민들이 연결되어 모여서 떠들고
꿈꿀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해가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라 관계, 지식이 아니라
훈련이라 생각하며,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만큼 배우면서 해나가고
있습니다. 소셜한 시민운동을 고민하는
단체들과 함께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우는 비영리소셜마케팅” 강좌를 진행
했습니다.
천 희 (자원봉사/시민참여)
자원봉사를 통해 비영리조직이
성장하고 빛을 발하도록 돕는 일을
지역과 전국 단위 민간단체에서,
혹은 민관 조직을 넘나들며
꾸준히 해 왔습니다. 볼런티어 21,
지역자원봉사센터 등을 거쳐 현재
소셜이노베이션그룹 부대표이자
한국자원봉사관리협회 사무처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서현선 (세대전환/리더쉽)
비영리단체의 활동가들이
역량있게 성장하고 조직이
건강하게 운영되도록 돕는 일과
아름다운재단의 국제협력연구팀장,
Give2Asia 한국지역 컨설턴트,
여명학교 모금위원등을 거쳐 현재
진저티프로젝트의 팀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습조직을 구축하는 것을
다양하게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일정
일 정 내 용
2016. 3. 24 (목) ~ 4. 14 (목)
2016. 4. 18 (월) ~ 4. 22 (금)
2016. 4. 25 (월) ~ 4. 29 (금)
~ 2016. 5. 6 (목)
서류접수
서류심사 / 서류심사 결과발표
면접심사
참여단체 선정 및 공지
5월 중
5 ~ 10월  
8월 중
11월 중
오리엔테이션
사례기반 컨설팅 진행
중간공유회
 사례공유 컨퍼런스
문의 
공익활동지원팀 류강윤 070-7727-9483, ryuume@seoulnpocenter.kr
6 7
2016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지원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지원사업은
지속가능성 진단, 이해관계자 대화, 중요성 분석 등을 통해 보고서를 발간하고
조직을 정비하여 유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조직이 되는 계기를 만듭니다.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프로세스
검증 검토계획수립 내용작성 인쇄 발간
보고서 발간을 위한 워크숍 “NPO 체인지모듈 프로젝트” (20개 단체 선정)
회차 강의명 강의내용
1 오리엔테이션 - 보고서에 담고자 하는 것들, 같이 할 사람들
2 비전 워크숍 - 비전/미션/핵심가치 확인 및 재정립
3 비영리의 지속가능성 - 비영리의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성 진단
4 이해관계자 참여 - 이해관계자 분석 / 참여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5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성 - 이해관계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성
6 중요성 분석 - 우리 단체의 이슈리스트 구성
- 이해관계자 관심도 및 단체 영향력 분석
7 적용 워크숍 - 우리 단체에 적용해보기 (단체 구성원 동참 워크숍)
8 보고서 작성 - 목차 구성 / 주요 성과 작성
9 성과공유회 - 성과공유 및 전년도 사례설명회
10 지속가능성 진단 - 우리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해보는 시간
보고서 발간을 위한 집중 컨설팅 “NPO 주치의 프로젝트” (4개 단체 선정)
: 주치의 프로젝트는 워크숍 참가단체에 한해 신청 가능 (8월 중 공모예정)
지원대상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하여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 하고자 하는 NPO
(서울 소재 비영리단체)
일정
비고 일 정 내 용
공모·선정 2016. 3. 24 (목) ~ 4. 14 (목)  서류접수
2016. 4. 18 (월) ~ 4. 22 (금) 서류심사 / 서류심사 결과발표
2016. 4. 25 (월) ~ 4. 29 (금) 면접심사
~ 2016. 5. 6 (목) 참여단체 선정 및 공지
체인지모듈
워크숍
5월 중 NPO지속가능 체인지 모듈 워크숍 (10회)
주치의
프로젝트
7월 중 보고서 발간 집중컨설팅 단체 공모 (4개단체)
8 ~ 12월  보고서 발간 멘토링 (주치의 프로젝트) 진행
신청방법
2016년 4월 14일(목)까지 support@seoulnpocenter.kr 제출 (이메일 접수만 가능)
문의 
공익활동지원팀 류강윤 070-7727-9483, ryuume@seoulnpocenter.kr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단체
지구촌나눔운동, 일상예술창작센터,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새누리좋은사람들 (2014)
미디액트, 생태보전시민모임, 여성환경연대, 유엔인권정책센터 (2015)
8 9
2016 공익활동 협업공간 지원사업
n개의 NPO지원센터가 되다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성을 갖춘 분들을 모십니다.
지원대상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입주기간 내 공간필요성과 활동계획이
있는 아래 해당자
1 개인 또는 모임
2 비영리민간단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3 사업의 주된 대상이 비영리민간단체 및 공익활동
가인 스타트업 기업
지원대상의 예
•안식년 및 휴직 중인 시민사회단체 및 공익활동가
•공익활동 관련 연구자
•그 외, 디자이너 · IT전문가 등
선발기준
-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인가
- 입주기간 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명확하고
실행역량이 있는가
- 입주공간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의지가 있는가
- 공익활동 협업공간 입주자로서 적극성이 있는가
지원내용
지원규모 최대 10명 (개인 또는 모임)
※ 모임의 경우, 최대 3명까지 입주가능
지원기간 최종선정일로부터 6개월간 1회에 한해
재심사를 거쳐 연장신청 가능
지원내용
-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 협업공간 제공
면적: 79.2㎡/23.96평
- 운영시간 : (월~금) 9:00 ~ 21:00
- 업무관련 기본시설 제공 : 개인 사물함, 컬러프린터
및 복사기, 탕비실, 별도 회의실
- 입주 시 추진계획인 사업 진행시, 센터 교육장 및
강당 총 20시간 무료이용
- 1회에 한해 연장신청 가능
입주자 의무사항
- 협업공간 입주기간 중 계획한 프로젝트 추진
: 입주 후 사업계획 공유회, 입주 종료 시점에
사업결과 공유회 진행
- 협업공간 입주자 운영회의 참여 월 1회
- 협업공간 이용률이 낮을 경우, 입주기간 중이라도
선정이 취소 될 수 있습니다.
※ 그 외 사항들은 입주자 운영회의를 통해 함께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신청방법
신청기간 연중 상시지원
입주심사 연 4회 심사 및 선정 (3월/6월/9월/11월)
※ 단, 입주신청자가 일정 규모 이상일 경우 (신청서류 5건 이상) 심사일정이 앞당겨 질 수 있습니다.
신청유형 개인형, 모임형 中 택 1
신청방법 support@seoulnpocenter.kr 제출
이메일 접수만 가능
선발과정 및 일정
서류접수
[연중]
1차
서류합격자
발표
2차
면접
심사
최종
입주자 선정
및 발표
입주
최대 3주 정도 소요
접수 마감~입주선정 발표까지 2주 소요
* 연 4회 심사 : 3월, 6월, 9월, 11월
문의
서울시NPO지원센터 공익활동지원팀 김희정 070-7727-9481 snack73@seoulnpocenter.kr
담당자 한마디
+ 이 사업은 NPO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성 있는 분들께 공간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입주기간 동안(6개월) 시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가 분명하셔야 선정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체의 일상적인 사무공간을 지원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사전에 꼭 방문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선정되시면 6개월간 머물 공간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과 함께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지
업무에 적절한 환경인지를 사전에 확인하고 지원하시면 좋겠습니다.
사업담당자는 현장 방문하시는 입주신청기관을 열렬히 환영합니다.
10 11
2016 프로보노 연계 지원사업
프로보노의 재능과 NPO의 공익가치가 만나는 협력 공간.
프로보노의 재능은 더 가치있게, NPO의 운영은 더 단단하게.
단체에 필요한 프로보노 자원을 연계하여 NPO의 활동을 지원합니다.
사업명
Life’s Good 봉사단과 함께하는 프로보노 협력사업
* 이 사업은 LG전자 “Life’s Good 봉사단 Pro”와 함께 합니다.
지원대상
서울시 소재 비영리단체
지원내용
NPO의 운영에 필요한 기술, 역량강화 지원(상/하반기 각 10개 단체 내외)
연계방식
프로보노와 NPO간 매칭을 통한 기술/교육지원
연계분야
구분 분야 세부 지원내용
기술지원 디자인 기술지원 단체 CI 및 BI 제작, 브로셔 및 홍보물 제작
IT 기술지원 홈페이지 제작/리뉴얼 지원
(서버, 호스팅비용 자부담)
영상 기술 지원 동영상 제작 지원
번역 지원 자료 번역 (영어, 일본어, 중국어)
지식나눔
(교육 강좌 지원)
홈페이지 제작 실무
실전통계 입문
포토샵/일러스트의 활용
사진촬영
기타
*프로보노 모집 상황에 따라 세부 지원 분야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분야별 자원연계
NPO에게 필요한 법률, 회계 등과 같은
특화된 분야의 전문자원을 연계 및 지원합니다.
법률자문 지원
공익활동 관련 법률 자문 및 제도개선을 위한
법률 지원 서비스 연계(온라인 상담)
* 협력파트너 : 사단법인 선
회계자문 지원
- NPO의 조직운영기반 개선을 위한 회계전문가
1:1 연계 (최대 20개 단체 연계 지원)
- NPO 회계 및 세무세법 관련 분야 온라인 상담
서비스 연계
* 협력파트너 : 공익회계사네트워크 ‘맑은’
제출서류
① 신청서 1부(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
② 법인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사본 1부
신청방법
link@seoulnpocenter.kr로 이메일 접수 (접수일 추후 공지)
사업일정
내용 상반기 일정 하반기 일정
신청 접수 3월 - 4월 중 6월 - 7월 중
프로보노-선정단체 협약체결 / 연계 활동 진행 4월 – 7월 중 8월 – 11월 중
활동 공유회 8월 중 11월 중
* 최종 일정은 사업 공고문을 확인 바랍니다.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김미영 070-7727-7649, miyoung@seoulnpocenter.kr
NPO 운영길라잡이 워크숍
NPO의 핵심 운영원리 개선을 위한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하는 운영길라잡이 워크숍
(상하반기 각 1회)
[예] NPO가 알아야하는 개인정보 보호법, 운영규정
(인사노무), 세무회계관리 등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link@seoulnpocenter.kr
12 13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2016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복잡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변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공익활동의 가치를 실현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준비가 필요할까요?
공익활동가를 통한 의미있는 사회변화가 지속가능하도록 사람·경험·역량을 연결하는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에 초대합니다.
참여대상
변화와 성장에 대한 갈증이 있는 공익활동가
프로그램
“의미있는 사회변화를 위한 사회적 상상력”
사회변화를 이끄는 영향력 있는 공익활동가
학습과 성장의 기록
부커진 발간
학습과 경험의 공유
오픈 컨퍼런스
Knowing
Doing
Being
학습기제
세미나
워크숍
공동 프로젝트
네트워크 파티
...
방법
문화창조
역량
변화관리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
전문 분야별
멘토링
경험/지식/네트워크
상호학습
동기부여
역량
협력적해결
역량
• 공익활동과 관련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네트워크의 장
•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 변화역량을 키워나가는 상호학습의 장
• 배움을 실천으로 연결하는 기획의 장
공익활동가에 필요한 미래변화대응역량
문화창조 역량 변화관리 역량 동기부여 역량 협력적해결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
- 공익 이슈에 대한
문화적 접근
- 구체적인 일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대안을 찾고
실행하는 역량
-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역량
- 새로운 생각과 방식을
실험하고,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어
시도하는 능동성
- 공익활동에 새로운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는
능력
-일/생활 균형을 통한
지속적인 공익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내적
동기부여 역량
-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능력
- 소통에 대한 유연한
태도
- 설득과 감동을 불러
일으키는 스토리텔링
역량
- 스토리를 메시지로
전달하는 기획/구현
역량
담당자 한마디
활·력·신·공. 프로그램은 각 역량 분야별 10명의 담임 멘토와 함께 합니다.
짧게는 2주일, 길게는 3개월 이상의 과정으로 각 담임 멘토별 특성에 맞는 10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본 과정은 5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며, 세부 내용 및 일정은 추후
서울시NPO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예시] 협력적해결역량 과정 : OOO와 함께하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함께 일하기
동기부여역량 과정 : OOO와 함께하는 나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 Deep Change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김미영 070-7727-7649, miyoung@seoulnpocenter.kr
활동가 장학지원사업
활동가 학습성장 지원을 위해 학사, 석사 과정 진학
예정인 활동가들을 장학생으로 추천합니다.
문의 : 공익생태계조성팀 link@seoulnpocenter.kr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과정 장학지원사업
- 전형 응시 예정자인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장학생 후보 추천
- 등록금 40%면제(총 5학기, 입학금 본인 부담)
경희사이버대학교
학사·석사 과정 장학지원사업
- 전형료, 입학금 면제, 등록금 40% 면제
16 17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2016 의제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
서울의 변화를 위해 함께 질문하고 해결해나갈
사람을 찾습니다.
공감의 힘, 당사자의 시선으로
다시 서울을 바라본다면,
변화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들여다본다면,
늘 하던 질문의 틀을 다시 짠다면,
열린 공간에서 끊이없이 의견을 주고 받을
사람과 자리가 생긴다면?
사회의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함께 만들어 갈 사람과 자리를
지원합니다.
좋은 일을 즐겁게 하다
의미 있는 컨텐츠를 확산하다
미트쉐어는 공익활동을 한 번 해볼까 하는 결심이
부담되지 않도록, 쉽고 즐겁게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 공익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작하고 싶은
시민과 모임
- 긍정적 사회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공익활동
프로젝트를 하고 싶은 시민과 모임
지원내용
모임 모임당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
연간 150개 모임
프로젝트 프로젝트당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
연간 20개 프로젝트
모임 개설, 참가자 모집부터 결과 콘텐츠 공유까지
모두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meetshare.kr) 이용
지원과정
모임
미트쉐어 웹페이지(www.meetshare.kr) 로그인(회원가입
필수) → [모임 만들기] 클릭 후 내용 작성 → 심사(주 1회)
→ 모임 진행 → 지원금 결산 → 결과 컨텐츠 업로드
프로젝트
미트쉐어 웹페이지(www.meetshare.kr) 로그인(회원가입
필수) → [프로젝트 만들기] 클릭하여
신청서 다운로드 후 작성 → 이메일로 제출 (support@
seoulnpocenter.kr) → 심사(월 1회) → 프로젝트 진행
→ 진행 과정 플랫폼에 업데이트 → 지원금 결산
→ 결과 컨텐츠 업로드
우리가 찾는 사람
사회 문제를 재해석하고, 시민과의 소통 속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NPO,
해결 하고자 하는 사회문제를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시민
우리가 찾는 의제
변화가 필요한 사회 문제, 시민들의 삶과 일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공익형 생활의제
우리가 함께 하는 방법
하나,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질문 제시
: 해결 하고자 하는 서울의 문제와 그 현황을
담은 제안서 제출
둘, 오픈테이블,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에서 내용 공유
셋, 새로운 해결책과 함께 할 사람들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내용
-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의 활동비
(의제 PM 선정 지원)
- 문제 재해석 및 새로운 해결책을 논의 하는 과정
지원(경비 지원)
신청 방법
제안서를 작성하여 4월 19일까지
act@seoulnpocenter.kr로 이메일 접수
일정
- ‘사회 변화 위한 질문’접수 : ~ 4월 19일(화)까지
- 오픈테이블,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 : 5월 10일
- 각 의제별 논의 과정 : 6월~10월(총 5개월간)
- 2016 NPO의제포럼x서울 : 11월 말(예정)
사업일정
모임	 - 4~11월 상시 지원
	 - 주 1회 심사(매주 수요일 예정)
프로젝트	 - 4~9월 총 6개월간 신청 가능
(프로젝트는 11월 15일에 종료)
	 - 월 1회 심사(매월 중순 무렵 예정)
기획 미트쉐어 : 분기별 진행
제2회 미트쉐어 컨퍼런스 : 2016년 12월 예정
심사기준 및 유의사항
모임 모임의 공익성, 결과 컨텐츠의 유익성, 확산성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공익성, 결과 컨텐츠의 유익성,
확산성, 실행 계획의 구체성
유의사항
- 모임 및 프로젝트 종료 후 한 달 이내에 결산과
컨텐츠 업로드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 개설자는 모임,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컨텐츠가 확산될 수 있도록 플랫폼(meetshare.kr)
에 컨텐츠를 공유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로 선정되면 신의성실의 원칙에 기반하여
센터와 약정서를 체결합니다.
지원 불가사항
영리적 활동 / 단체의 사업 관련 활동(교육, 프로젝트,
회원 관련 프로그램 포함) / 특정 정당, 종교 관련
모임 또는 행사 / 취미, 친목 모임
문의
모임 공익활동지원팀 고효정
070-7727-7645 hyojunggo@seoulnpocenter.kr
프로젝트 공익활동지원팀 조아라
070-7727-9482 ararayo@seoulnpocenter.kr
2016 시민공익활동지원 플랫폼 미트쉐어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이주희
070-7727-7644, jhlee@seoulnpocenter.kr
20 21
기획미트쉐어 #01
미트쉐어 × VOTE
좋은 일을 즐겁게 하다
의미있는 컨텐츠를 확산하다
나의 일상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나의 목소리를 내어 정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자리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개발 이야기
X 권오현 빠띠 개발자
정치는 곧 정보, 정보를 모아보자
X 정형진 정치넷 개발자
19대 국회의원의 활동은 어땠을까
X 장승훈 코드나무 개발자
일상에서 정치를 이해하는 방법
X 오창민 성북구청년지원협의체 공동위원장
그리고 이 외 일상에서 정치하는 방법을 아는 누구나
일시 : 2016.04.01 (금) 오후 2시~4시
장소 :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품다
참가신청 : http://bit.ly/1S5IYuP
1 de 11

Recomendados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por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npo의제네트워크구축지원사업 Npocenter Seoul
851 vistas11 diapositivas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_가이드라인_v02 por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_가이드라인_v02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_가이드라인_v02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_가이드라인_v02 Npocenter Seoul
2.2K vistas5 diapositivas
활력신공 Pt 2(소개) por
활력신공 Pt 2(소개)활력신공 Pt 2(소개)
활력신공 Pt 2(소개)Miyoung Kim
1.6K vistas10 diapositivas
2016 세 모임 지원사업설명회_자료집 por
2016 세 모임 지원사업설명회_자료집2016 세 모임 지원사업설명회_자료집
2016 세 모임 지원사업설명회_자료집Npocenter Seoul
930 vistas18 diapositivas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por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
이해관계자 설문 참고자료Npocenter Seoul
744 vistas10 diapositivas
6월 업무보고자료 3 por
6월 업무보고자료 36월 업무보고자료 3
6월 업무보고자료 3세형 이
2.3K vistas13 diapositivas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지속가능발전 연구원 por
지속가능발전 연구원지속가능발전 연구원
지속가능발전 연구원Gori Communication
868 vistas9 diapositivas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por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actioncan
5.8K vistas105 diapositivas
시민행동 2010 por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actioncan
2.8K vistas12 diapositivas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por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
행복한 우리마을 건강3.0 - 경상북도 국민디자인단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870 vistas28 diapositivas
'세상을 바꾸는 나침반, 통계활용능력' 2018 국민디자인단 추진 계획 - 통계교육원-대전광역시교육청 por
'세상을 바꾸는 나침반, 통계활용능력' 2018 국민디자인단 추진 계획 - 통계교육원-대전광역시교육청'세상을 바꾸는 나침반, 통계활용능력' 2018 국민디자인단 추진 계획 - 통계교육원-대전광역시교육청
'세상을 바꾸는 나침반, 통계활용능력' 2018 국민디자인단 추진 계획 - 통계교육원-대전광역시교육청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721 vistas17 diapositivas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por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actioncan
400 vistas26 diapositivas

La actualidad más candente(20)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por actioncan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2013-2014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
actioncan5.8K vistas
시민행동 2010 por actioncan
시민행동 2010시민행동 2010
시민행동 2010
actioncan2.8K vistas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por actioncan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2010씨티경희인턴교육보고서
actioncan400 vistas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por 세형 이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세형 이427 vistas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por 세형 이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따뜻한동행 복지리포트 6월
세형 이941 vistas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por Npocenter Seoul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만들다)
Npocenter Seoul387 vistas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por actioncan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20071222 하반기정책협의회회의자료(게시)
actioncan259 vistas
SNS와 일자리창출 por 영진 유
SNS와 일자리창출SNS와 일자리창출
SNS와 일자리창출
영진 유347 vistas

Destacado

기관브로셔 최종본 por
기관브로셔 최종본기관브로셔 최종본
기관브로셔 최종본준영 이
1.8K vistas24 diapositivas
The Cambridge White Paper por
The Cambridge White PaperThe Cambridge White Paper
The Cambridge White PaperDavid Waldherr
362 vistas5 diapositivas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por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JongBum Kang
3.3K vistas39 diapositivas
경영과 비전 6조 ppt por
경영과 비전 6조 ppt경영과 비전 6조 ppt
경영과 비전 6조 ppt한빈 김
1.7K vistas10 diapositivas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 por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Dong Pill Park
6K vistas13 diapositivas
조직역량 강화 방안 por
조직역량 강화 방안조직역량 강화 방안
조직역량 강화 방안Seoungcheol Lee
3.8K vistas2 diapositivas

Destacado(13)

기관브로셔 최종본 por 준영 이
기관브로셔 최종본기관브로셔 최종본
기관브로셔 최종본
준영 이1.8K vistas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por JongBum Kang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스마트교육 추진전략(2011.6.29. 대통령보고)
JongBum Kang3.3K vistas
경영과 비전 6조 ppt por 한빈 김
경영과 비전 6조 ppt경영과 비전 6조 ppt
경영과 비전 6조 ppt
한빈 김1.7K vistas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 por Dong Pill Park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
[Proposal] 핵심가치 내면화 수준 진단 및 프로그램 개발
Dong Pill Park6K vistas
NPO Media 2015: 한국 비영리 조직 실무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 por daumfoundation
NPO Media 2015: 한국 비영리 조직 실무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NPO Media 2015: 한국 비영리 조직 실무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
NPO Media 2015: 한국 비영리 조직 실무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해 및 활용도 조사 발표
daumfoundation4.4K vistas
조직 민첩성, 신사업 성공의 핵심역량 por combi95
조직 민첩성, 신사업 성공의 핵심역량조직 민첩성, 신사업 성공의 핵심역량
조직 민첩성, 신사업 성공의 핵심역량
combi952.2K vistas
[Proposal] MBTI를 활용한 소통 프로그램 por Dong Pill Park
[Proposal] MBTI를 활용한 소통 프로그램[Proposal] MBTI를 활용한 소통 프로그램
[Proposal] MBTI를 활용한 소통 프로그램
Dong Pill Park6.5K vistas
팀 개발을 위한 GitHub 사용법 por Eugene Park
팀 개발을 위한 GitHub 사용법팀 개발을 위한 GitHub 사용법
팀 개발을 위한 GitHub 사용법
Eugene Park1.5K vistas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por Kevin Kim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공개SW 전환방법 및 전략
Kevin Kim11.4K vistas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조직관리 por thecirclefoundation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조직관리[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조직관리
[로컬챌린지프로젝트 교육자료] 기업역량강화교육 Lcp3기 2코스_조직관리
thecirclefoundation2.9K vistas
GitHub 실습 교육 por 승엽 신
GitHub 실습 교육GitHub 실습 교육
GitHub 실습 교육
승엽 신31.2K vistas

Similar a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por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Seoul_Youth_Zone
2K vistas6 diapositivas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por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
[비소사이어티] 역량 기반 사회적경제 교육 사례비소사이어티(B Society)
648 vistas35 diapositivas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 por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Npocenter Seoul
889 vistas59 diapositivas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por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준열 김
1.9K vistas31 diapositivas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 por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규문 최
1.2K vistas7 diapositivas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por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thecirclefoundation
1.8K vistas61 diapositivas

Similar a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20)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por Seoul_Youth_Zone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모집공고] 서울시 청년공간 무중력지대 대방동 입주단체 (1개팀) 모집안내
Seoul_Youth_Zone2K vistas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 por Npocenter Seoul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
[서울시NPO지원센터]0403_지원사업설명회_발표PT
Npocenter Seoul889 vistas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por 준열 김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2013서울사회적경제현황과정책흐름 서울사회적기업개발센터 20130221
준열 김1.9K vistas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 por 규문 최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
[일산교육원] 지역 소셜비즈니스 기초과정 2기모집 안내문 150227
규문 최1.2K vistas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por thecirclefoundation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안산YWCA_청소년 사회적기업 진로체험 멘토링_활동사례집
thecirclefoundation1.8K vistas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por Won Seok Yang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열정과 겸손을 갖고 생각을 실천하는 사람
Won Seok Yang1.1K vistas
170101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por SeungWon Lee
170101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170101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70101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SeungWon Lee596 vistas
Sdpc 포트폴리오모음(lr) por saewoo me
Sdpc 포트폴리오모음(lr)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dpc 포트폴리오모음(lr)
saewoo me1K vistas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por SESNET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2013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기업 프로보노 활동사례집-세상을 한뼘 더 키우는 프로보노 활동 이야기
SESNET2K vistas
2016 SPEAKS Conference por koreaspeaks
2016 SPEAKS Conference2016 SPEAKS Conference
2016 SPEAKS Conference
koreaspeaks790 vistas
2013 1122 동국대 협동조합 경영아카데미-마실연구소 por 형탁 김
2013 1122 동국대 협동조합 경영아카데미-마실연구소2013 1122 동국대 협동조합 경영아카데미-마실연구소
2013 1122 동국대 협동조합 경영아카데미-마실연구소
형탁 김860 vistas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por Small Biz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사회적경제 인재육성 로드맵과 육성방안(사회혁신공간 THERE 정상훈)
Small Biz3.4K vistas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por Sue Hyun Jung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Sue Hyun Jung862 vistas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por Sue Hyun Jung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소셜벤처경연대회 정수현 Snsonblog
Sue Hyun Jung308 vistas
161030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por SeungWon Lee
161030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161030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161030 창업 지원 사업 소개(전달)
SeungWon Lee429 vistas
(가)좋은기업센터 창립기획안 por actioncan
(가)좋은기업센터 창립기획안(가)좋은기업센터 창립기획안
(가)좋은기업센터 창립기획안
actioncan354 vistas
2015년 총회 사업계획 por actioncan
2015년 총회 사업계획2015년 총회 사업계획
2015년 총회 사업계획
actioncan179 vistas

Más de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Npocenter Seoul
232 vistas18 diapositiv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Npocenter Seoul
263 vistas14 diapositiv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Npocenter Seoul
289 vistas20 diapositiv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Npocenter Seoul
541 vistas49 diapositiv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Npocenter Seoul
171 vistas12 diapositiv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 por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Npocenter Seoul
154 vistas12 diapositivas

Más de Npocenter Seoul(20)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디모스, 홍진아)
Npocenter Seoul232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씨닷 (엔스파이럴, 빠띠, 옐로우독)
Npocenter Seoul263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단법인 올키즈스트라 김해)
Npocenter Seoul289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진저티 프로젝트
Npocenter Seoul541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다음세대재단_드로잉 워크숍
Npocenter Seoul171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느...
Npocenter Seoul154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협력세션 : 알트랩
Npocenter Seoul139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엔스파이럴, 수잔 바스터필드)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엔스파이럴, 수잔 바스터필드)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엔스파이럴, 수잔 바스터필드)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엔스파이럴, 수잔 바스터필드)
Npocenter Seoul236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Npocenter Seoul102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닷페이스, 조소담)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닷페이스, 조소담)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닷페이스, 조소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닷페이스, 조소담)
Npocenter Seoul245 vistas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por Npocenter Seoul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스튜디오-엘, 야마자키 료)
Npocenter Seoul233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녹색연합, 배제선)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녹색연합, 배제선)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녹색연합, 배제선)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세션1 (녹색연합, 배제선)
Npocenter Seoul201 vistas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por Npocenter Seoul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Npocenter Seoul276 vistas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por Npocenter Seoul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한국어) 2017 NPO 국제컨퍼런스 - 기조연설 (산티아고 시리, Santiago Siri)
Npocenter Seoul30 vistas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최종본 por Npocenter Seoul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최종본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최종본
2017 서울시npo지원센터 사용설명서 최종본
Npocenter Seoul936 vistas
2016_미트쉐어_컨퍼런스_프로그램_모음 por Npocenter Seoul
2016_미트쉐어_컨퍼런스_프로그램_모음2016_미트쉐어_컨퍼런스_프로그램_모음
2016_미트쉐어_컨퍼런스_프로그램_모음
Npocenter Seoul1.3K vistas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 실타래여행 자료 por Npocenter Seoul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 실타래여행 자료[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 실타래여행 자료
[2016 미트쉐어 프로젝트] 실타래여행 자료
Npocenter Seoul243 vistas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재무제표기본개념 por Npocenter Seoul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재무제표기본개념[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재무제표기본개념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재무제표기본개념
Npocenter Seoul612 vistas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월별신고업무리스트 por Npocenter Seoul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월별신고업무리스트[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월별신고업무리스트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월별신고업무리스트
Npocenter Seoul486 vistas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사례별업무처리및운영방법 por Npocenter Seoul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사례별업무처리및운영방법[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사례별업무처리및운영방법
[미트쉐어 컨텐츠 공유] 공익법인교육 사례별업무처리및운영방법
Npocenter Seoul567 vistas

2016 npo센터 사업설명회_브로셔

  • 1. 서울시NPO지원센터 2016 사업 설명회 pm 2:00 ~ 4:30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대강당 품다 목 2016 3/24 2016 사업설명회는 공모지원 사업에 대한 안내에서 변화된 환경 속 공익단체가 직면한 도전에 공감대를 확인하는 자리로 준비했습니다. 운영과 사업의 체질을 꾸준히 개선하고 있는 단체, 전문가그룹과 함께 공익단체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 모색하는 시간, ‘NPO의 자리’ 에 초대합니다. 진행. 이재현 NPO스쿨 대표 여는 이야기 ‘NPO의 자리’ NPO지원센터의 제안 사업담당자와 함께 하는 테이블 미팅 1 조직의 비젼과 미션이 어떻게 일상의 업무를 변화시키는가 이현아 팀장_생명의 숲 NPO의 소셜 임팩트 프레임워 크를 장기간 적용 2 NPO가 지속가능하게 존재 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서 강희영 사무처장_여성환경연대 NPO 소셜 임팩트 프레임워크, 지속가능성보고서, 세대교체 워크숍을 적용 3 NPO는 2030 활동가들의 비빌 언덕이 되고 있는가 최위환 활동가_녹색연합 세대 간 워크숍을 통해 함께 일하는 문화와 단체 내 적용을 시도 4 NPO와 함께 뛰는 Pace Maker가 바라는 NPO 안정권 연구원_알트랩(alt.lab) NPO 지속가능성을 위한 대안적 해결책을 모색 ※ 설명회 참석 시 주차권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가급적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16 사업설명회는 페이스북으로 생중계 될 예정입니다. www.facebook.com/seoulnpocenter 서울시NPO지원센터 페이지를 구독해주세요. 조직 _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지원사업 _ 조직역량강화컨설팅 ‘임팩트테이블’ 사람 _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활동 _ NPO 문제해결력 강화를 위한 시도 ‘NPO의제 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 _ 공익활동 더 쉽고 즐겁게 ‘미트쉐어(Meet Share)’ 2016, 활동가역량강화와 관련된 교육 ·지원 사업이 관계기반 성장지원 프로그램 ‘활·력·신·공’으로 통합됩니다
  • 2. 임팩트테이블 “NPO에 딱맞는 명확한 툴이라 좋았어요. 사업의 성과 뿐만 아니라 단체 운영 전반을 점검할 수 있어 마음이 편해졌어요” - 함께걷는아이들 유원선 사무국장 “단체 활동가들이 홍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됐고,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단체에 맞는 홍보 전략을 마련할 수 있었어요” - 환경정의 황숙영 활동가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지원 ‘좋은 결과’로 이야기하던 경험때문에, ‘미완의 과정’과 ‘고민’을 드러내는 지속가능성 보고서가 쑥스럽기도 합니다. 그러나 보고서 작성 중에 얻었던 ‘행복하게 일하는 우리들의 철학과 태도가 사랑 받는 미디액트를 만든다’라는 믿음이 본 보고서를 여러분 앞에 내어 놓게 합니다. - 미디액트 지속가능보고서 발간사 中 “어떻게 하면 비영리조직을 더 잘 운영할 수 있을까” 임팩트테이블,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지원사업은 NPO센터에서 진행하는 조직운영기반 강화 프로그램입니다. 성장과 생존사이에서 고민하는 공익단체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3. 2016 조직역량강화컨설팅 ‘임팩트테이블’ 임팩트테이블은 공익단체 동료들과 함께 진행하는 사례기반 컨설팅입니다. 5개 과정 중 관심있는 주제를 선택해 동료단체, 전문멘토와 함께 주제별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사례기반 학습 컨설팅의 성과가 자산으로 남을 수 있는 역량강화 제공 - 현장단체의 실제 사례를 기반 으로 한 케이스 토론을 통해 해결책 도출 피어 리뷰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는 최고의 전문가는 자신 - 유사한 문제를 가진 단체들 의 상호 정보교류를 통한 실 질적 해결책 도출 맞춤형 멘토링 분야별 전문가들이 하나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 - 주제별 멘토의 진행에 따라 제공되는 다양한 툴과 종합 적 해결책 도출 지원 대상 조직운영과 관련된 구체적 문제해결 의지를 가진 비영리단체 (서울시 소재 비영리단체) 과정 소개 전략기획/평가측정 모금/자원개발 커뮤니케이션/ 홍보 자원봉사/시민참여 세대전환/리더쉽 단체의 미션, 비전을 중심으로 성장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평가측정하는 컨설팅 단체 재정고민을 모금가의 시선으로 구체적인 실행전략 모색 단체별 상황진단을 통해 해결가능한 커뮤니케이션 과제를 공동협업으로 해결 단체에 생기를 주는 시민참여와 자원봉사 컨설팅 세대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조직을 분석하고 더 건강한 조직의 운영방식을 모색 ※ 세부 커리큘럼은 홈페이지 공지문을 참고해주세요. 멘토소개 이재현 (전략기획/평가측정) 이재현은 시민단체 경실련을 시작으로 대한상공회의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United Way Worldwide 국장으로 섬겼습니다. 현재 그는 경희사이버대학교 NGO학과 겸임교수, 서울시 공익활동지원사업 심사위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교수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의 미션은 원리기반 컨설팅을 통해 NPO의 사회적 영향력(social impact)의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정현경 (모금/자원개발) 서울시장애인복지시설협회 사무국장으로 사회복지 현장에서 모금활동가로 일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와 경영을 전공하였으며, 사회복지사를 시작으로 기부와 모금이라는 단어가 정착되기 전부터 복지와 자원개발을 어우르고 확대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론이 아닌 현장에서 풀어내는 모금해법을 위해 고민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모금을 디자인하라』, 『스크루지의 마음도 여는 한국의 모금가들』(공저), 『장애인복지와 개발』(공저) 등이 있으며, 현재 한국모금가협회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최위환 (커뮤니케이션/홍보) 환경과 생명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녹색연합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녹색시민들이 연결되어 모여서 떠들고 꿈꿀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실험을 해가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전달이 아니라 관계, 지식이 아니라 훈련이라 생각하며, 하고싶은 일을 할 수 있는 만큼 배우면서 해나가고 있습니다. 소셜한 시민운동을 고민하는 단체들과 함께 “맨땅에 헤딩하면서 배우는 비영리소셜마케팅” 강좌를 진행 했습니다. 천 희 (자원봉사/시민참여) 자원봉사를 통해 비영리조직이 성장하고 빛을 발하도록 돕는 일을 지역과 전국 단위 민간단체에서, 혹은 민관 조직을 넘나들며 꾸준히 해 왔습니다. 볼런티어 21, 지역자원봉사센터 등을 거쳐 현재 소셜이노베이션그룹 부대표이자 한국자원봉사관리협회 사무처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서현선 (세대전환/리더쉽) 비영리단체의 활동가들이 역량있게 성장하고 조직이 건강하게 운영되도록 돕는 일과 아름다운재단의 국제협력연구팀장, Give2Asia 한국지역 컨설턴트, 여명학교 모금위원등을 거쳐 현재 진저티프로젝트의 팀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학습조직을 구축하는 것을 다양하게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일정 일 정 내 용 2016. 3. 24 (목) ~ 4. 14 (목) 2016. 4. 18 (월) ~ 4. 22 (금) 2016. 4. 25 (월) ~ 4. 29 (금) ~ 2016. 5. 6 (목) 서류접수 서류심사 / 서류심사 결과발표 면접심사 참여단체 선정 및 공지 5월 중 5 ~ 10월   8월 중 11월 중 오리엔테이션 사례기반 컨설팅 진행 중간공유회  사례공유 컨퍼런스 문의  공익활동지원팀 류강윤 070-7727-9483, ryuume@seoulnpocenter.kr 6 7
  • 4. 2016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지원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 지원사업은 지속가능성 진단, 이해관계자 대화, 중요성 분석 등을 통해 보고서를 발간하고 조직을 정비하여 유기적이고 지속가능한 조직이 되는 계기를 만듭니다.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프로세스 검증 검토계획수립 내용작성 인쇄 발간 보고서 발간을 위한 워크숍 “NPO 체인지모듈 프로젝트” (20개 단체 선정) 회차 강의명 강의내용 1 오리엔테이션 - 보고서에 담고자 하는 것들, 같이 할 사람들 2 비전 워크숍 - 비전/미션/핵심가치 확인 및 재정립 3 비영리의 지속가능성 - 비영리의 지속가능성 / 지속가능성 진단 4 이해관계자 참여 - 이해관계자 분석 / 참여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5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성 - 이해관계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효과성 6 중요성 분석 - 우리 단체의 이슈리스트 구성 - 이해관계자 관심도 및 단체 영향력 분석 7 적용 워크숍 - 우리 단체에 적용해보기 (단체 구성원 동참 워크숍) 8 보고서 작성 - 목차 구성 / 주요 성과 작성 9 성과공유회 - 성과공유 및 전년도 사례설명회 10 지속가능성 진단 - 우리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진단해보는 시간 보고서 발간을 위한 집중 컨설팅 “NPO 주치의 프로젝트” (4개 단체 선정) : 주치의 프로젝트는 워크숍 참가단체에 한해 신청 가능 (8월 중 공모예정) 지원대상 단체의 지속가능성을 점검하여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 하고자 하는 NPO (서울 소재 비영리단체) 일정 비고 일 정 내 용 공모·선정 2016. 3. 24 (목) ~ 4. 14 (목)  서류접수 2016. 4. 18 (월) ~ 4. 22 (금) 서류심사 / 서류심사 결과발표 2016. 4. 25 (월) ~ 4. 29 (금) 면접심사 ~ 2016. 5. 6 (목) 참여단체 선정 및 공지 체인지모듈 워크숍 5월 중 NPO지속가능 체인지 모듈 워크숍 (10회) 주치의 프로젝트 7월 중 보고서 발간 집중컨설팅 단체 공모 (4개단체) 8 ~ 12월  보고서 발간 멘토링 (주치의 프로젝트) 진행 신청방법 2016년 4월 14일(목)까지 support@seoulnpocenter.kr 제출 (이메일 접수만 가능) 문의  공익활동지원팀 류강윤 070-7727-9483, ryuume@seoulnpocenter.kr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단체 지구촌나눔운동, 일상예술창작센터,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새누리좋은사람들 (2014) 미디액트, 생태보전시민모임, 여성환경연대, 유엔인권정책센터 (2015) 8 9
  • 5. 2016 공익활동 협업공간 지원사업 n개의 NPO지원센터가 되다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전문성을 갖춘 분들을 모십니다. 지원대상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입주기간 내 공간필요성과 활동계획이 있는 아래 해당자 1 개인 또는 모임 2 비영리민간단체,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3 사업의 주된 대상이 비영리민간단체 및 공익활동 가인 스타트업 기업 지원대상의 예 •안식년 및 휴직 중인 시민사회단체 및 공익활동가 •공익활동 관련 연구자 •그 외, 디자이너 · IT전문가 등 선발기준 - NPO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인가 - 입주기간 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명확하고 실행역량이 있는가 - 입주공간에 대한 필요성과 활용의지가 있는가 - 공익활동 협업공간 입주자로서 적극성이 있는가 지원내용 지원규모 최대 10명 (개인 또는 모임) ※ 모임의 경우, 최대 3명까지 입주가능 지원기간 최종선정일로부터 6개월간 1회에 한해 재심사를 거쳐 연장신청 가능 지원내용 - 서울시NPO지원센터 2층 협업공간 제공 면적: 79.2㎡/23.96평 - 운영시간 : (월~금) 9:00 ~ 21:00 - 업무관련 기본시설 제공 : 개인 사물함, 컬러프린터 및 복사기, 탕비실, 별도 회의실 - 입주 시 추진계획인 사업 진행시, 센터 교육장 및 강당 총 20시간 무료이용 - 1회에 한해 연장신청 가능 입주자 의무사항 - 협업공간 입주기간 중 계획한 프로젝트 추진 : 입주 후 사업계획 공유회, 입주 종료 시점에 사업결과 공유회 진행 - 협업공간 입주자 운영회의 참여 월 1회 - 협업공간 이용률이 낮을 경우, 입주기간 중이라도 선정이 취소 될 수 있습니다. ※ 그 외 사항들은 입주자 운영회의를 통해 함께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신청방법 신청기간 연중 상시지원 입주심사 연 4회 심사 및 선정 (3월/6월/9월/11월) ※ 단, 입주신청자가 일정 규모 이상일 경우 (신청서류 5건 이상) 심사일정이 앞당겨 질 수 있습니다. 신청유형 개인형, 모임형 中 택 1 신청방법 support@seoulnpocenter.kr 제출 이메일 접수만 가능 선발과정 및 일정 서류접수 [연중] 1차 서류합격자 발표 2차 면접 심사 최종 입주자 선정 및 발표 입주 최대 3주 정도 소요 접수 마감~입주선정 발표까지 2주 소요 * 연 4회 심사 : 3월, 6월, 9월, 11월 문의 서울시NPO지원센터 공익활동지원팀 김희정 070-7727-9481 snack73@seoulnpocenter.kr 담당자 한마디 + 이 사업은 NPO의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성 있는 분들께 공간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 입주기간 동안(6개월) 시도하고자 하는 프로젝트가 분명하셔야 선정가능성이 높습니다. + 단체의 일상적인 사무공간을 지원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사전에 꼭 방문하시기를 권장합니다. 선정되시면 6개월간 머물 공간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과 함께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지 업무에 적절한 환경인지를 사전에 확인하고 지원하시면 좋겠습니다. 사업담당자는 현장 방문하시는 입주신청기관을 열렬히 환영합니다. 10 11
  • 6. 2016 프로보노 연계 지원사업 프로보노의 재능과 NPO의 공익가치가 만나는 협력 공간. 프로보노의 재능은 더 가치있게, NPO의 운영은 더 단단하게. 단체에 필요한 프로보노 자원을 연계하여 NPO의 활동을 지원합니다. 사업명 Life’s Good 봉사단과 함께하는 프로보노 협력사업 * 이 사업은 LG전자 “Life’s Good 봉사단 Pro”와 함께 합니다. 지원대상 서울시 소재 비영리단체 지원내용 NPO의 운영에 필요한 기술, 역량강화 지원(상/하반기 각 10개 단체 내외) 연계방식 프로보노와 NPO간 매칭을 통한 기술/교육지원 연계분야 구분 분야 세부 지원내용 기술지원 디자인 기술지원 단체 CI 및 BI 제작, 브로셔 및 홍보물 제작 IT 기술지원 홈페이지 제작/리뉴얼 지원 (서버, 호스팅비용 자부담) 영상 기술 지원 동영상 제작 지원 번역 지원 자료 번역 (영어, 일본어, 중국어) 지식나눔 (교육 강좌 지원) 홈페이지 제작 실무 실전통계 입문 포토샵/일러스트의 활용 사진촬영 기타 *프로보노 모집 상황에 따라 세부 지원 분야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분야별 자원연계 NPO에게 필요한 법률, 회계 등과 같은 특화된 분야의 전문자원을 연계 및 지원합니다. 법률자문 지원 공익활동 관련 법률 자문 및 제도개선을 위한 법률 지원 서비스 연계(온라인 상담) * 협력파트너 : 사단법인 선 회계자문 지원 - NPO의 조직운영기반 개선을 위한 회계전문가 1:1 연계 (최대 20개 단체 연계 지원) - NPO 회계 및 세무세법 관련 분야 온라인 상담 서비스 연계 * 협력파트너 : 공익회계사네트워크 ‘맑은’ 제출서류 ① 신청서 1부(개인정보활용동의서 포함) ② 법인등록증 또는 고유번호증 사본 1부 신청방법 link@seoulnpocenter.kr로 이메일 접수 (접수일 추후 공지) 사업일정 내용 상반기 일정 하반기 일정 신청 접수 3월 - 4월 중 6월 - 7월 중 프로보노-선정단체 협약체결 / 연계 활동 진행 4월 – 7월 중 8월 – 11월 중 활동 공유회 8월 중 11월 중 * 최종 일정은 사업 공고문을 확인 바랍니다.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김미영 070-7727-7649, miyoung@seoulnpocenter.kr NPO 운영길라잡이 워크숍 NPO의 핵심 운영원리 개선을 위한 분야별 전문가와 함께하는 운영길라잡이 워크숍 (상하반기 각 1회) [예] NPO가 알아야하는 개인정보 보호법, 운영규정 (인사노무), 세무회계관리 등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link@seoulnpocenter.kr 12 13
  • 7.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 8. 2016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 복잡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변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공익활동의 가치를 실현해 나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준비가 필요할까요? 공익활동가를 통한 의미있는 사회변화가 지속가능하도록 사람·경험·역량을 연결하는 “활동가 역량강화를 위한 신나는 공부, 활·력·신·공”에 초대합니다. 참여대상 변화와 성장에 대한 갈증이 있는 공익활동가 프로그램 “의미있는 사회변화를 위한 사회적 상상력” 사회변화를 이끄는 영향력 있는 공익활동가 학습과 성장의 기록 부커진 발간 학습과 경험의 공유 오픈 컨퍼런스 Knowing Doing Being 학습기제 세미나 워크숍 공동 프로젝트 네트워크 파티 ... 방법 문화창조 역량 변화관리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 전문 분야별 멘토링 경험/지식/네트워크 상호학습 동기부여 역량 협력적해결 역량 • 공익활동과 관련된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네트워크의 장 •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 변화역량을 키워나가는 상호학습의 장 • 배움을 실천으로 연결하는 기획의 장 공익활동가에 필요한 미래변화대응역량 문화창조 역량 변화관리 역량 동기부여 역량 협력적해결 역량 스토리텔링 역량 - 공익 이슈에 대한 문화적 접근 - 구체적인 일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대안을 찾고 실행하는 역량 -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역량 - 새로운 생각과 방식을 실험하고,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어 시도하는 능동성 - 공익활동에 새로운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하는 능력 -일/생활 균형을 통한 지속적인 공익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내적 동기부여 역량 -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협력하여 일하는 능력 - 소통에 대한 유연한 태도 - 설득과 감동을 불러 일으키는 스토리텔링 역량 - 스토리를 메시지로 전달하는 기획/구현 역량 담당자 한마디 활·력·신·공. 프로그램은 각 역량 분야별 10명의 담임 멘토와 함께 합니다. 짧게는 2주일, 길게는 3개월 이상의 과정으로 각 담임 멘토별 특성에 맞는 10개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본 과정은 5월부터 진행될 예정이며, 세부 내용 및 일정은 추후 서울시NPO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예시] 협력적해결역량 과정 : OOO와 함께하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함께 일하기 동기부여역량 과정 : OOO와 함께하는 나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 Deep Change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김미영 070-7727-7649, miyoung@seoulnpocenter.kr 활동가 장학지원사업 활동가 학습성장 지원을 위해 학사, 석사 과정 진학 예정인 활동가들을 장학생으로 추천합니다. 문의 : 공익생태계조성팀 link@seoulnpocenter.kr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시민사회학과 과정 장학지원사업 - 전형 응시 예정자인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장학생 후보 추천 - 등록금 40%면제(총 5학기, 입학금 본인 부담) 경희사이버대학교 학사·석사 과정 장학지원사업 - 전형료, 입학금 면제, 등록금 40% 면제 16 17
  • 10. 2016 의제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 서울의 변화를 위해 함께 질문하고 해결해나갈 사람을 찾습니다. 공감의 힘, 당사자의 시선으로 다시 서울을 바라본다면, 변화의 현장을 지속적으로 들여다본다면, 늘 하던 질문의 틀을 다시 짠다면, 열린 공간에서 끊이없이 의견을 주고 받을 사람과 자리가 생긴다면? 사회의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함께 만들어 갈 사람과 자리를 지원합니다. 좋은 일을 즐겁게 하다 의미 있는 컨텐츠를 확산하다 미트쉐어는 공익활동을 한 번 해볼까 하는 결심이 부담되지 않도록, 쉽고 즐겁게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 공익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시작하고 싶은 시민과 모임 - 긍정적 사회 변화를 만들 수 있는 공익활동 프로젝트를 하고 싶은 시민과 모임 지원내용 모임 모임당 최대 30만 원까지 지원 연간 150개 모임 프로젝트 프로젝트당 최대 150만 원까지 지원 연간 20개 프로젝트 모임 개설, 참가자 모집부터 결과 콘텐츠 공유까지 모두 가능한 온라인 플랫폼(meetshare.kr) 이용 지원과정 모임 미트쉐어 웹페이지(www.meetshare.kr) 로그인(회원가입 필수) → [모임 만들기] 클릭 후 내용 작성 → 심사(주 1회) → 모임 진행 → 지원금 결산 → 결과 컨텐츠 업로드 프로젝트 미트쉐어 웹페이지(www.meetshare.kr) 로그인(회원가입 필수) → [프로젝트 만들기] 클릭하여 신청서 다운로드 후 작성 → 이메일로 제출 (support@ seoulnpocenter.kr) → 심사(월 1회) → 프로젝트 진행 → 진행 과정 플랫폼에 업데이트 → 지원금 결산 → 결과 컨텐츠 업로드 우리가 찾는 사람 사회 문제를 재해석하고, 시민과의 소통 속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NPO, 해결 하고자 하는 사회문제를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시민 우리가 찾는 의제 변화가 필요한 사회 문제, 시민들의 삶과 일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공익형 생활의제 우리가 함께 하는 방법 하나,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질문 제시 : 해결 하고자 하는 서울의 문제와 그 현황을 담은 제안서 제출 둘, 오픈테이블,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에서 내용 공유 셋, 새로운 해결책과 함께 할 사람들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내용 -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의 활동비 (의제 PM 선정 지원) - 문제 재해석 및 새로운 해결책을 논의 하는 과정 지원(경비 지원) 신청 방법 제안서를 작성하여 4월 19일까지 act@seoulnpocenter.kr로 이메일 접수 일정 - ‘사회 변화 위한 질문’접수 : ~ 4월 19일(화)까지 - 오픈테이블, 서울의 변화를 상상하는 10가지 질문!! : 5월 10일 - 각 의제별 논의 과정 : 6월~10월(총 5개월간) - 2016 NPO의제포럼x서울 : 11월 말(예정) 사업일정 모임 - 4~11월 상시 지원 - 주 1회 심사(매주 수요일 예정) 프로젝트 - 4~9월 총 6개월간 신청 가능 (프로젝트는 11월 15일에 종료) - 월 1회 심사(매월 중순 무렵 예정) 기획 미트쉐어 : 분기별 진행 제2회 미트쉐어 컨퍼런스 : 2016년 12월 예정 심사기준 및 유의사항 모임 모임의 공익성, 결과 컨텐츠의 유익성, 확산성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공익성, 결과 컨텐츠의 유익성, 확산성, 실행 계획의 구체성 유의사항 - 모임 및 프로젝트 종료 후 한 달 이내에 결산과 컨텐츠 업로드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 개설자는 모임, 프로젝트의 과정과 결과를 담은 컨텐츠가 확산될 수 있도록 플랫폼(meetshare.kr) 에 컨텐츠를 공유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로 선정되면 신의성실의 원칙에 기반하여 센터와 약정서를 체결합니다. 지원 불가사항 영리적 활동 / 단체의 사업 관련 활동(교육, 프로젝트, 회원 관련 프로그램 포함) / 특정 정당, 종교 관련 모임 또는 행사 / 취미, 친목 모임 문의 모임 공익활동지원팀 고효정 070-7727-7645 hyojunggo@seoulnpocenter.kr 프로젝트 공익활동지원팀 조아라 070-7727-9482 ararayo@seoulnpocenter.kr 2016 시민공익활동지원 플랫폼 미트쉐어 문의 공익생태계조성팀 이주희 070-7727-7644, jhlee@seoulnpocenter.kr 20 21
  • 11. 기획미트쉐어 #01 미트쉐어 × VOTE 좋은 일을 즐겁게 하다 의미있는 컨텐츠를 확산하다 나의 일상이 무너지지 않기 위해 나의 목소리를 내어 정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자리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 개발 이야기 X 권오현 빠띠 개발자 정치는 곧 정보, 정보를 모아보자 X 정형진 정치넷 개발자 19대 국회의원의 활동은 어땠을까 X 장승훈 코드나무 개발자 일상에서 정치를 이해하는 방법 X 오창민 성북구청년지원협의체 공동위원장 그리고 이 외 일상에서 정치하는 방법을 아는 누구나 일시 : 2016.04.01 (금) 오후 2시~4시 장소 : 서울시NPO지원센터 1층 품다 참가신청 : http://bit.ly/1S5IY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