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Human)과 공간(Environment)의 관계와 영향에 대한 건축, 심리학, 뇌과학, 인지과학, 인간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접근 방식을 ‘각본 있는’ 토론의 형식으로 소개한다. 지난 1년간 신경건축연구회에 모임을 진행하면서 오가던 질문들을 공유하고, 해법을 찾는 과정과 새로운 질문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경계를 넘나드는 분야간 공감의 태도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N-side 임지현(홍익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이동민(서울대학교 인지과학 협동과정 석사과정) 정계삼(서울대학교 뇌과학 협동과정 석사과정) A-side 황지은(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김한결(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석사과정) 이상희(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정보연구실 연구원) 황동욱(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강사) 시놉시스: 신경건축학연구에 던지는 질문들 – 인간과 공간에 대한 여러 분야의 정의와 개념 – 인간의 공간적 경험에 대한 관점들 – 사용자 경험측정에 대한 건축이론의 고전 [ Pattern Language, The Image of the City, Space Syntax ] – 공간인지와 인지지도 [Cognitive Map] – 뇌의 구조와 공간에서의 행동 [Memory, Motivation] – 공간적 경험에 대한 신경과학적 실험방법과 사례 [VR, fMRI] – 시각기관을 통한 공간 인식과 이미지 인식의 차이 – 계획가와 사용자 간의 간극 – 새롭게 정리하는 질문들: 무엇을 위한 신경+건축 연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