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idad
Publicidad

Más contenido relacionado

Presentaciones para ti(20)

Similar a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20)

Publicidad

Más de 강 민우(20)

Último(20)

Publicidad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1.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1년 전, 내가 알았으면 좋았을 이야기
  2. 김동준 KIM DONG JUN Junior Game Designer 2014 KOG 게임 기획 인턴 2015 엔씨소프트 게임 기획 인턴 2015 컴투스 게임 기획 공채 입사 2016 컴투스 게임기획팀 소속 한마디로 … 쪼렙 기획자 LV 99 기획자 현재 나
  3. 지망생 현업인 입사 지망생 때 고민했던 부분과 실제 입사하고 느낀 부분 요 앞이 궁금한 요 뒤가 궁금한 그리고, ‘이런 부분을 준비했으면..’ 하는 아쉬운 점
  4. 기획자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그래서 먼저 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리하여 정한 주제
  5. 고민의 시작
  6. 디지털 아트 학과 입학 그래! 게임을만들자! 김동준(23세,기획자란 개념도 모르던 시절)
  7. 교수님게임이만들고싶어요 그럼그래픽을공부하셈 (3D그래픽교수님) 폴리곤 3천개의 UV맵을 뜯다보니 뭔가 아닌 것 같습니다. 3D 애니메이션도 2편 제작했습니다. 그런데..
  8. 교수님뭔가아닌것같아요 그럼프로그래밍을… 이번엔 처음부터 뭔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리하여 자체 조사에 들어갑니다.
  9. 기획은 ‘게임의 재미를 설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심지어 전공도 무관!) 내직업은이걸로결정이다!
  10. 그런데 여기서 큰 문제점에 도달합니다 “도대체 기획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지?”
  11. 각종 서적 및 컨퍼런스 발표와 인터넷 자료들… 신대륙 발견 기획서를 써보기(역기획서 등) 게임을 많이 플레이하기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기
  12. 게임을 직접 만들어보기 재미있습니다! 여건이 된다면 꼭 도전해보세요. (다만, 이 때의 경험이 기획적인 공부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3. 기획서를 써보기(역기획서 등) 기획서를본적도없는데어떻게쓰냐 분석서?역기획서?그게뭐임 기획서잘쓰는법좀…
  14. 게임을 많이 플레이 하기 스펙쌓기도바쁜데… 이게진짜도움이됨? 이미많이하고있는데…
  15. 기획서 작성하기 Inven Game Conference
  16. 기획서는 어떻게 쓰나요? 쓸 때마다 매번 다릅니다..
  17. 하지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것들은 있습니다 기획자가 생각한 것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방법으로 보는 사람에게 설득과 전달을 하는 것 그래서 다음과 같은 능력이 필요합니다
  18.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New Stage 기획자가 생각한 것을,
  19.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방법으로
  20. 보는 사람에게 설득과 전달을 하는 것
  21. 어떤 기획서가 잘 쓴 기획서일까? 저도 알고 싶습니다.. 그렇다면
  22. 지망생 때 상상했던 기준 기획서는 실제 게임을 만들 수 있어야 함(전문적이여야 함) 복잡하고 체계적이며, 온갖 수식이 들어간 기술문서 VBA / 엑셀 / LUA 등을 해야 경쟁력 있어보임
  23. 눈에 보이지 않는 기획에 대한 불안감 형식/프로그램/기능/기술에 빠져드는 이유?
  24. 실제 입사해서 여러 가지 기획서를 써봄 목적성, 기술보다 읽는 사람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 분석서 작성/발표 빌드 플레이/개선 게임 제작
  25. 무작정 현업의 기획서를 따라 쓰기보다, 왜 기획서를 쓰며, 무엇을 보여줄 것인지 고민하는 과정이 필요
  26. 예를 들어 인벤토리 역기획서를 쓴다고 생각해봅시다.
  27. 인벤토리 시스템 기획의도 : 아이템을 보관/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BM요소 : 편의성을 위한 인벤토리 확장 등 시스템 플로우 아이템 획득 인벤토리 체크 인벤토리 저장 인벤토리 부족 아이템 획득X
  28. 여기에 그치지 않고 더 전문적으로 보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각종 테이블을 추가하고 변수이름과 수식을 넣습니다
  29. 그리고 이런 반응을 원합니다 아니이렇게완벽하게 구현가능한기획서를쓰는신입이라니! 당장채용해!!
  30. 하지만 현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왜특별한것없는인벤토리를 포트폴리오로냈을까? 꼼꼼하게는썼는데…
  31. 기술적인 표현보다 기획적인 고민이 필요 누구나 예측 가능인벤토리 시스템 즉, 해당 시스템을 기술적으로 작성해도 기획적 능력을 보여주기 어려움
  32. 그럼 역기획서를 왜 쓰나요?
  33. 흔히 역기획서는 해당 게임을 만들 수 있는 ‘기획서’ 당연히 어렵습니다
  34.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이 시스템은 무슨 역할을 할까?’ 자연스럽게 게임 플로우, 기획 의도라는 핵심을 보게 하기 위함
  35. 정예 던전을 클리어하면 캐릭터 조각을 획득 -> 조각수를 모으면 진급 다음과 같은 시스템이 있습니다.
  36. 캐릭터 진급은 조각을 통해 가능하며 진급하면 캐릭터가 강력해진다. 또한 캐릭터 진급에 필요한 조각 숫자는 다음과 같다. => 공식 : 캐릭터 태생 등급 × 10 × 등급 보정치 캐릭터 진급에서 조각을 활용하는 이유는 게임 특성상 캐릭터 숫자가 제한되어 있고, 제한된 숫자의 캐릭터를 오랜 성장형태로 이끌어가기 위함이다. 따라서 조각 수급을 할 수 있는 정예 던전에도 횟수제한을 둔다. ※ 진급 시스템 ※ 진급 시스템 -> 해당 시스템의 ‘사실’만 적은 형태 -> 해당 시스템의 의도와 역할에 대해서 역기획한 형태
  37. 분석서 및 다른 기획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게임선정 -> 게임플레이 -> 게임 시스템을 하나씩 언급 -> 완성 “이 게임은 A란 시스템이 있는데 이러이러한 역할을 한다”의 반복 ‘사실’만 반복하는 형태이며, 흔히 리뷰라고 불리는 형태
  38. 게임선정 -> 게임플레이 -> ‘이 게임은 왜 성장을 힘들게 해놨을까?’ ‘어떤 장치를 통해 유저에게 심리전을 만들까?’ 게임의 특징/핵심 등을 찾아내고 그것을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내는 것 분석 주제(시사점)선정 -> 분석 -> 결과
  39. 기획서의 종류, 기술 기획서를 통해 내 ‘기획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가
  40. 게임 많이 하기
  41. 게임 많이 해보세요~ 이미매일게임으로밤을새고있죠 롤마스터티어임 취업준비도바쁜데… 가장 많이 듣는 조언 NO1
  42. 게임을 많이 했다면 엄청난 장점 인벤토리 시스템 B게임 인벤토리 시스템 A게임 인벤토리 시스템 C게임 같은 시스템이라도 비교/분석을 통해 새로운 점을 이끌어 낼 수 있음 인벤토리 시스템 이미 경험한 시스템의 경우 기획하는 것이 용이함 = 아이템을 보관/관리
  43. 의사소통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도탑식 성장 / VIP시스템 / 서머너즈워 강화 방식 WOW 퀘스트 시스템 / 웹게임 RPG 등 (게임을 해보지 않으면 알아듣기 어려움) 따라서, 의미 있는 게임들은 억지로라도 해볼 가치가 있습니다.
  44. 게임을 많이 했다. 게임을 다양하게 했다. 게임을 (충분히)깊게 했다. 기획자의 게임에 관한 시야 이야기 게임을 깊게(핵심을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하게
  45. 여러분이 입사하자마자 다음과 같은 업무를 받게 됩니다. 다음주까지 A게임에 있는 조합시스템 분석해서 보여줘요
  46. 이 때, 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핵심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주는 것이 게임 플레이 경험입니다. 팀장님 WOW분석을 위해 1년 동안 플레이 해보겠습니다.
  47. A게임의 조합시스템 ×5 내용 : 3성 캐릭터를 모아서 더 강한 4성 캐릭터를 만드는 시스템 문서 제목 : A게임 조합 시스템 지정된 3성 캐릭터 5개를 조합하여 4성 캐릭터를 얻는 시스템
  48. 활용되지 않는 캐릭터에게 가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밸런스 이슈 / 성장 시스템 플로우 / 캐릭터 획득 과정에서의 문제 등 플레이 경험 내용 : 성장 사이클에서 남아도는 3성을 활용하기 위한 컨텐츠 문서 제목 : 성장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조합시스템 특정 3성 캐릭터를 지정한 이유 활용되지 않는 캐릭터가 존재하는 이유
  49. 결국 게임 플레이 경험은, ‘게임을 얼마만큼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능력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
  50. 마치며,
  51. 별거 없는 강연 끝까지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업계 동료로 만나길 고대하겠습니다. (발표에 도움을 주신 분들과 컴투스/인벤 관계자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52. 감사합니다 [컴투스 게임기획팀 기획자] 김 동 준 onlyb1ack onlyb1ack onlyblack@com2us.com
Publicid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