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소비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윤리적인 가치 판단에 따라
의식적인 선택을 하는 것, 또는 윤리적으로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
나 자신만을 생각하는 무분별한 소비를 지양하고 지구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착한 소비를 말함.
꼭 소비가 아니더라도 넓은 의미로 윤리적 소비를 가능하게 하는 윤리
적 생산과정까지 모두 포함됨.
윤리적 소비 속의
공유 경제
아무리 값비싸고 좋은 물건이라
도 사용하지 않으면 그저 쓰레기
일 뿐. 필요 없는 물건을 사지 않거
나, 정말 필요하다면 충분히 따져
서 양질의 제품을 구입해 오래도
록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
따라서 공유 경제가 윤리적 소비
의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안 쓰는 물건들이나 함께 나눠 쓸
수 있는 것들을 나누어 쓰면서 불
필요한 소비를 줄이고 더 나은 환
경, 더불어서 함께하는 공동체를
위한 소비가 가능하게 된다.
공유경제란?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
해 쓰는 것
협업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특징인
20세기 자본주의 경제에 대한 대
비책
즉, 물품은 물론, 생산설비나 서
비스 등을 개인이 소유할 필요
없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자
신이 필요 없는 경우 다른 사람
에게 빌려 주는 공유소비의 의미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환경오염
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
운동으로 확대
소유에서 공유로!
바쁜 현대사회에서 점점 공동체로
부터 단절된 일상을 살아가게 되고,
개인으로서 행하는 소비와 소유에
만 길들여지는 우리네 삶의 모습이
그리 달갑지도, 행복하지도 않다는
깨달음에서 출발.
자율적 협력과 지역별 자치와 공동
체를 통해, 사회 내의 공공재 보존
이 가능함.
기존의 자원을 이용해 더 많은 사람
들에게 더 큰 이익을 가져오게 되는
이점.
공유경제가 활성화되면 새로운 형
태의 일자리와 부가소득 창출 가능.
글로벌 경기침체와 커져가는 환경
오염 문제의 대안.
서울시는 최근 공유 도시 서울을 선포하여 여러 공유 사
업들을 추진하고 있음.
공유 허브라는 사이트를 통해 나눔 카, 한 지붕 세대공감
등의 사업들을 지원하며 공유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노
력을 펼침.
시간, 공간, 재능, 물건, 정보 등 누구나 소유하고 있는 것
을 함께 나누어 활용함으로써 쓰지 않고 놀리는 자원을 효
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며, 이웃과 공동
체 의식도 형성하고, 환경에도 이로운 활동인 '공유'가 활
성화된 도시를 추구.
공유 서울
한 때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카풀의 진화된 형태로 내가 차를 쓰
지 않는 시간에 남들과 차를 공유하는 것.
카 쉐어링을 처음 도입한 ‘zipcar’회사가 세계적으로 큰 호응을
얻음.
치솟는 기름값과 각종 보험료와 세금, 도심의 심각한 주차 난에
서 카 쉐어링이 해방시켜 줌.
카 쉐어링
사회적 자본, 경험 및 지혜를 공유하
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어떤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우리는 그
정보를 찾기 위해 엄청난 수고가 필
요함
그러나 위즈돔에서는 수많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음.
정보를 찾느라 여러 군데를 돌아다
녀야 하는 수고를 줄이고 서로 도움
을 주고 도움을 받음으로써 불필요
한 시간,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음.
WISDOM
여행하고자 하는 곳의 현지인의 도움을 받아 소파에서 무료 숙
박을 하는 카우치 서핑의 사업화 된 형태로 근처를 관광하는 사
람에게 남는 방을 공유하는 플랫폼.
현재 192개 국가, 33000여 개의 도시에서 사업이 진행 중.
AIRBNB
"What is the problem?"
공유 경제에서의 권한은 공유대상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하게 있음.
모두가 자신의 권한을 내세워 공유대상을 이용한다면
금방 공유대상의 가치가 떨어질 것.
신뢰성의 부재
①모두의 권한은 소중하지만, 서로 서로의 권
한을 보호해주는 마인드 확립
②같은 권한을 가진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서
로를 감시하는 체계 마련.
③사용자들 간의 유대를 형성하고,
정형화된 행동양식을 정함.
해결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