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문화기본권 + 창조적인 예술가들의 재생산구조 구축
•문화예술 교육 . 체험프로그램
•공연예술프로그램
•축제 . 공연기획
•지역문화사업
•협동조합 교육 . 컨설팅 사업
자바르떼
5. • 2010 년 5 월 나무시어터라는 이름으로 창단
• 2013 년 10 월 대전시 마을기업 지정
• 이사 8 명 , 감사 1 명 , 조합원 3 명 , 단원 5 명 , 기타 회원 20 여
• 창작극에서부터 정극 , 무대극 , 퍼포먼스 등 다양한 활동
• 매출 연 1 억 2000 만원 ( 매출 대비 순이익은 그리 많지 않음 )
• 회비 , 조합비 , 후원금 등으로 운영비를 채움 .
• 2013 년 6 월부터 ' 그루 ' 라는 내부 가상화폐 제도 운영 . 조합원들
이 봉사나 다른 재능을 공유해가며 나무시어터 협동조합을 이끌어옴 .
그루가 모여 100 만원 가량 될 경우 , 이를 현금으로 바꿔갈 수 있음
연극협동조합 나무시어터
6. 1. 롤링다이스는 공동체이면서 기업 , 동시에 실험실 .
”롤링다이스는 조합원이 연대의 마음으로 삶을 나누는 “공동체 입니다 .
”동시에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한 “기업 입니다 .
”우리가 “실험 하려는 것은 경쟁 사회의 도식에서 벗어난 삶 입니다 .
2. 경제적 차원의 주요 목표는 지속 가능성 .
성장은 이윤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의미 실현의 폭을 늘릴 때만 추구합니
다 .
의미가 희생되는 성장을 추구하지 않습니다 .
3. 우리의 연대는 비판하는 연대 .
우리는 논쟁과 비판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
” ”그러나 비판은 “구체적 이거나 “대안이 있어야 합니다 .
막연한 반대나 지적은 비판이 아니라 비난입니다 .
4. 타협하고 양보 .
비판하고 논쟁하되 , 타협하고 양보합니다 .
타협과 양보는 갈등을 피하려는 게 아닙니다 .
”현실에서 “일 이 되게 하는 데 필요합니다 .
전자출판 롤링다이스
7. 5. 주요 의사 결정은 합의로 .
무조건적 다수결의 폭력을 휘두르지 않습니다 .
소수의 의견에도 귀 기울이고 함께 심의합니다 .
6. 반쯤 열린 공동체 .
기존 조합원이 추천하는 인물은 새로운 조합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되 ,
전원이 동의해야 합니다 .
하지만 모두가 열린 마음으로 , 특별한 결격사유가 없는 한 ,
새로운 조합원을 받아들이는 것이 원칙입니다 .
7. 장인정신으로 만드는 책 .
우리는 우리 자신과 소비자를 즐겁게 하는 것 , 감동하게 하는 것을 만듭
니다 .
8. 총책임자 접근법을 기본으로 .
조합원은 맡은 기능을 하는 부속품이 아닙니다 .
각 개인이 모두 공동의 생산품을 함께 만드는 주체입니다 .
기능을 다했음에 대해서가 아니라 , 만들어진 생산품에 대해 함께 책임집
니다 .
8. 9. 현실과 공존하면서도 탈주 .
현실의 시스템을 부인하지 않습니다 .
그러나 늘 탈주를 상상하고 실천합니다 .
10. 사회 속의 롤링다이스 .
사회 전체에 어떤 외부효과를 미치는지 늘 생각합니다 .
우리 안의 연대뿐 아니라 전체 사회 안의 연대를 다지고자 합니다 .
9. 확실히 저희의 시작은 취미 공동체였어요 . 그런데 2 년을 기한으로 잡은 것이 여
기까지 와버렸고 , 판도 상당히 커져 버렸어요 . 물론 조합원 열 명을 모두 상근직
으로 만들 수 있을만한 수익은 나지 않고 있어요 . 물론 열 명 상근직분의 일을 하
고 있지도 않죠 . 상근으로 따지면 두 명 정도의 일거리를 하고 있고 , 그 정도 상근
직이라면 떠받칠 수 있을 것도 같은 수익은 , 내는 것 같아요 . 롤다를 지금과 같은
형태로 꾸려갈 것인가 , 아니면 더 본격적인 모색을 해볼 것인가는 계속 고민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
종이책 출판에서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은 , 글쎄요 . 과거의 모델이 3 천부나 2 천
부에서 손익분기가 났다면 , 이제 그 정도 부수를 올릴 수 있는 책은 정말 소수죠 .
그렇다면 1 천부나 5 백부에서 손익분기가 날 수 있게 모델이 바뀌어야 해
요 . 기존의 출판 프로세스를 유지한다면 불가능한 일일 수 이겠죠 . 그렇다
면 어떻게 프로세스를 바꾸고 더 적은 부수에서도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게 하겠느냐 , 거기에 협동조합이라는 모델이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
11. B2G 사례 : 라 바라카 협동조합
입장 수입료로 전체 운영
비의 7~8% 를 감당
시나 정부에서 30~35%
보조받고 있음 .
볼로냐 시에서 테스토니
극장을 빌려주는 대가로 ,
유럽 투어공연 , 학교프로그
램 , 연극 공연 , 페스티벌
등의 행사 때마다 문화도시
볼로냐에 대한 소개를 의무
적으로 해야 함
12. B2B 사례 : 소셜벤처 인디내셔널
인디펜던트 (Independent)+ 인터내셔널 (International)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 , 공익 실현
인디내셔널 아티스트 매칭 프로젝트
: CSR 을 하려고 하는 기업과 프리랜서 예술가의 연계 .
13. B2C 사례 : 룰루랄라 예술협동조합
한 방에 한 그림 걸기 프로젝트
: 그림을 사는 것이 부담스러운 사람들에게 가벼운 가격과
크지 않은 작업의 형태를 소개하는 전시 .
15. 공동기획 : 히트레코드
‘ 개방 협업 프로덕션 회사
[open collaborative production company]’
작가 , 음악가 , 일러스트레이터 , 포토그래퍼 , 비디오 에디터 등 모든
종류의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히트레코드에 올림
이 리소스를 이용하여 히트레코드에서 단편 영화 , 음악 , 책 , 공연 등 다
양한 형태의 작품으로 파생 .
창작물의 가치 극대화 , 개방성 , 파급력 있는 유통채널
16. 공동생산 : 프랑스 사업고용협동조
합
프로젝트 접수와 진단 => 역량 및 협업 부분 테스트 => 프로젝트 진
행 .
창업보육센터 + 프리랜서협동조합 +…
17. 공동판매 : 엣시
전 세계의 아티스트 핸드메이드 제품 판매 인터넷
쇼핑 커뮤니티 엣시 (Et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