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idad

웹접근성

CEO @Kit Works Inc. en Kit Works inc.
6 de Feb de 2023
Publicidad

Más contenido relacionado

Último(20)

Publicidad

웹접근성

  1. Web Accessibility
  2. 접근성이란 뭘까? 도구나 수단등을 활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얻기 위함
  3. 하지만 . . .
  4.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들의 접근성을 높여야만 . . . 어떻게 하지 . . ?
  5. 접수 서면심사 기술심사 인증
  6. 웹 접근성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동등하게 이용
  7. 장애환경 접근성 어떻게 높이지..? 우선 환경을 알아야 !
  8. Sight
  9. Touch
  10. hearling
  11. 접근성을 어떻게 높여야 할까 ?
  12.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13. 초점 이동
  14. 접근성을 간과하면 안되는 이유 link link
  15. Thank you ~! 출처 - https://www.ciokorea.com/news/231874 - http://tbs.seoul.kr/news/newsView.do?typ_800=&idx_800=3488549&seq_8 00=20481252 - https://nuli.navercorp.com/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822480&memb erNo=3501412

Notas del editor

  1. accessibility
  2. 가까이 다가기 위한 성질이나 특성 제품이나 서비스 ~ 장애인을 위한 접근성을 높이는 이유도 있지만 그로 인해 부가적인 효과를 많이 본다. 자막 or 색맹 등등~
  3. 일상생활에서의 접근성 정보: 핸드폰 청각: 에어팟 시각: 안경
  4. 모든 사람이 다 똑같지 않다.. 신체적이나 정신적으로 차이가 있어 불편한 사람도 있음
  5. 안좋은 분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들어 눈이 불편하거나 몸이 불편하거나.. 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편리하게 생활할 수 잇게 끔 도구나 수단 서비스등을 활용하는데요. 하드웨어적으로는 한계가 있다. 정보화 사회이기때문
  6. 예시를 좀 더 보시겠습니다. (그림 설명) 그래서 정보 접근성이 높여야만 한다. 왜냐하면 앞서보셧듯이 하드웨어적으로는 한계가 그어져있다. 예를들어… 사진으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내비게이션 안내를 하는 솔루션? 서비스 (정보의 한계성은 없기때문에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꼭 장애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몸이 불편하거나 더욱 편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
  7. Ppt 읽기 이후 (하지만.. 어떻게 높여야 하는지 막막하다..) 그래서 접근성 종류 3가지를 나누어 인증해주는 업체들이 있다
  8. 가이드 및 인증을 해주는 단체, 업체들이 있다.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 종류로 나뉜다. 이중에서 웹접근성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접근성의 종류 소프트웨어 접근성 지침 키보드 기능,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포커스 변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비트맵 이미지 응용, 스크린 텍스트 출력,시스템 설정 변경,동영상 표시, 색깔 정보, 화면색과 대비, 깜빡거림, 전자서식
  9. 그러한 인증절차는 다음과 같다. https://wave.webaim.org/ 접근성 검사 서면심사 : 자가진단 결과 확인 및 서류심사 기술심사 : 전문가 심사 및 사용자심사
  10. 이러한 것들을 이용하려면 결국에는… 웹사이트에 대한 웹 접근성, 표준이 지켜져야만 가능하다.
  11. 현재 모든 웹사이트 대부분이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래서 접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은 우리 모두의 문제로 봐야 하며 모두를 유익하기 위한 목적
  12. (그러므로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웹 접근성은 우리 모두의 문제로 봐야 하며 모두를 유익하기 위한 목적)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 Perceivable: 인지 Operable: 작동되는, 촉각 Understandable: 정상적인, 당연한, 이해하기 쉬운 Robust: 탄탄한, 강력한
  13. 특징 웹 접근성 관련 장애요소 분류 tts,
  14. 이러한 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하는 웹페이지나 앱에서 전제 조건이 필요함 바로 접근성 높이기!
  15. IR: Image Replacement(대체 텍스트 제공) 그외에 z-index 나 overflow: hidden, 높이 너비 0 오해 할만한 요소 : display: none; visibility: hidden ⇒ 컨텐츠를 구별 못하게됨.
  16. Tab-index 샘플 더 보여줄꺼면 캐스퍼 페이지로 설명 ㄱㄱ
  17. http://tbs.seoul.kr/news/newsView.do?typ_800=&idx_800=3488549&seq_800=20481252 https://www.ciokorea.com/news/231874
Publicid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