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40
2012. 6. 18        하반기 경제전망



2012년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김윤기 769.3063   mackyg@deri.co.kr     문정희 769.3083   mjhsilon@deri.co.kr
채현기 769.3002   coolheuy@deri.co.kr   이진호 769.3054   betterljh@daishin.com
Contents


           I.    세계경제전망   02

           II.   유가전망     05

           III. 유럽경제      10

           IV. 미국경제       17

           V.    중국경제     24

           VI. 국내경제       30
I.
세계경제 전망
세계경제 전망        2012년 세계경제는 유럽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성장률이 하락할 전망

                   IMF는 미국과 일본 등의 경기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유로지역 경기침체(긴축정책과 수출부진)로 선진국
                   성장률은 전년대비 하락 예상함. 특히 유럽 재정위기 중심국인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 전망

                   신흥시장국은 비교적 견실한 성장으로 세계경제성장을 견인할 전망

               2012년 세계경제 전망

                                                               IMF                           OECD     Global Insight


              세계                                         3.5(3.9)                              3.4         2.9(3.0)



              선진국                                        1.4(1.6)                          1.6(1.8)              -
              미국                                         2.1(1.7)                          2.4(1.7)        2.2(1.7)
              일본                                       2.0(-0.7)                         2.0(-0.7)       2.5(-0.7)
              유로지역                                     -0.3(1.4)                         -0.1(1.5)       -0.1(1.6)
              독일                                         0.6(3.1)                          1.2(3.1)        1.0(3.1)
              프랑스                                        0.5(1.7)                          0.6(1.7)        0.0(1.7)
              이탈리아                                     -1.9(0.4)                         -1.7(0.5)       -1.8(0.5)
              스페인                                      -1.8(0.7)                         -1.6(0.7)       -1.5(0.7)


              신흥시장국                                      5.7(6.2)                               -                -
              중국                                         8.2(9.2)                         8.2(9.2)         8.1(9.3)
              인도                                         6.9(7.2)                         7.1(7.3)         7.2(6.8)
              브라질                                        3.0(2.7)                         3.2(2.7)         3.3(2.7)
              자료: IMF(2012.4월), OECD(2012년 5월), Global Insight(2012.5월), 대신경제연구소(DERI)
              주: ( )안은 2011년 수치.



3
세계경제 전망
     세계교역량 전망                                                                        인플레이션율 전망

       (%)                                                                             (%)                               선진국           신흥개도국
                                                                                      10
       15     10.6          9.3                     12.9
                     7.8           7.9                                                 8
       10                                                       5.8           5.6
                                          2.9                          4.0
        5                                                                              6

        0                                                                              4
       -5
                                                                                       2
      -10
                                                 -10.5                                 0
      -15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자료: :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Global Imbalances                                                               세계 주요 경제권 경기침체 확률(2012)

                                   미국                      원유수출국                      (%)
        (% of World GDP)
                                   독일+일본                   동유럽+스페인+영국                 60                         55
        3                          중국+EMA                  기타
                                                                                      50
        2
                                                                                      40
        1
        0                                                                             30

       -1                                                                             20       15.3                             13.7
       -2                                                                             10                                                                     3.2
       -3     EMA: 한국, 홍콩, 인니, 말련, 필리핀, 싱가폴, 타이완, 태국                                                                                           0
                                                                                       0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미국           유로지역                일본         신흥국           라틴국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4
II.
국제유가 전망
<국제유가>                           2012년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석유 수요 증대 등은 유가 상승 요인
    수요 개선 기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발전용 및 수송용 연료 소비 증가가 세계 석유 수요 증대를 견
                                     인할 것으로 전망




     여전히 완만한 석유 소비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                                선진국보다 중국 등 신흥국 수요 개선 가능성 높아

      (백만배럴/일)                                                 (백만배럴/일)                                                 (백만배럴/일)
                                                                                         China          U.S.
                                     World Total
                                                                4                        Other          World                        92
        3.0                          OPEC Countries
                                     North America              3
                                     Russia and Caspian Sea                                                                          90
        2.5                                                     3
                                     Latin America
                                     North Sea                  2                                                                    88
        2.0                          Other Non-OPEC
                                                                2
        1.5                                                     1                                                                    86

                                                                1                                                                    84
        1.0
                                                                0
        0.5                                                    -1                                                                    82

                                                               -1
        0.0                                                                                                                          80
                                                               -2
      -0.5                                                     -2                                                                    78
                   2010       2011              201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EIA,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IA, 대신경제연구소(DERI)




6
<국제유가>                                  최근 국제유가(WTI유 기준)는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영향으로 배
    변동성 요인                                  럴당 90달러 하회

                                            6월 기점으로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 완화, 미 연준의 3차 양적완화 정책 등 주요국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국제유가의 하락 압력은 점진적으로 완화될 전망. 특히 3/4분기 미 드라이빙 시즌과 허
                                            리케인 시즌 도래 등으로 반등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위험자산 선호 심리 재개가 단기 국제 유가 방향성 결정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로 인한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지 여부
                                                                    도 국제유가의 주요 결정 요인

       (달러/배럴)                                            (INDEX)     (달러/배럴)                           (달러/유로)

       160                               WTI유               15000    120            WTI유                       1.6

                                         미 다우존스 지수(우)                               달러/유로 환율(우)
       140                                                           110
                                                            13500
                                                                                                               1.5
       120                                                           100
                                                            12000
                                                                                                               1.4
       100                                                            90
                                                            10500
       80                                                             80
                                                                                                               1.3
                                                            9000
       60                                                             70
                                                                                                               1.2
       40                                                   7500      60

       20                                                   6000      50                                       1.1
             07    08       09      10          11   12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7
<국제유가>                                     CERA(Cambridge Energy Associates)에 브라질, 나이지리아, 멕시코만 등의 신규 심해 유전 사업의
    적정유가 추정                                    한계유가는 60달러 이상, 캐나다 오일샌드 개발은 90달러 내외로 추정

                                               OPEC 국가들의 재정균형을 감안한 유가 수준은 현재 배럴당 80달러 내외 수준. 향후 재정지출 증가
                                               등의 이유로 OPEC의 선호유가도 점진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




     OPEC 재정균형 유가                                                             주요 산유국의 한계유가 수준

                                                                               (달러/배럴)
      (달러/배럴)
      120                                                                      100                                                      한계유가
                                                                재정균형유가

      100                                                                       80

       80                                                                       60

       60
                                                                                40

       40
                                                                                20
       20
                                                                                 0




                                                                                     캐나다


                                                                                           나이지리아


                                                                                                   베네주엘라


                                                                                                           앙골라


                                                                                                                 미 멕시코



                                                                                                                         영국 북해


                                                                                                                                 리비아


                                                                                                                                       중국


                                                                                                                                            사우디
        0




                                                                                                                   만
                                                    UAE
            바레인


                  시리아


                        알제리


                              이라크


                                    사우디


                                          오만


                                               이란




                                                          카타르


                                                                 리비아


                                                                       쿠웨이트




     자료: Reuters,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ERA, 대신경제연구소(DERI)
                                                                              주 : 한계유가는 경제성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유가 수준을 의미




8
<국제유가>                                2012년 국제유가(WTI유 기준)는 연평균 배럴당 100달러 대를 하회할 전망
    연평균 100달러                             하반기 글로벌 경기 회복세 유효, 달러화의 제한적 약세 등으로 완만한 상승 흐름이 예상되나, 높은 재

    하회 예상                                 고 수준, 선진국 수요 둔화 등으로 과거에 비해 상승폭은 제한될 전망




                                 2011년           2012            2012            2012            2012            2012년
                                  평균              1/4             2/4            3/4              4/4             평균

    CGES(12년 5월)                   95.0           119             112             99              85              104

    CERA(12년 6월)                   95.0           103             93              80              82              90

    EIA(12년 5월)                    95.0           103             104             105             105             104

    PIRA(12년 5월)                   95.0           103             96              103             100             100

    Deutsche Bank (12년 5월)         95.0           103             106             106             106             105

    JP Morgan (12년 5월)             95.0           103             103             114             120             111

    BNP Paribas (12년 5월)           95.0           103             105             105             113             107

    대신경제연구소 (12년 6월)               95.0           103             95              102             98              99

    주: CGES(런던 소재 세계에너지센터, CERA(미 캠브리지 에너지연구소), EIA(미 에너지정보청), PIRA( 석유산업연구소), CGES만 Brent유 기준, 나머지는 WTI유 기준임.
    자료: Bloomberg, 한국석유공사, 대신경제연구소(DERI)




9
III.
유럽경제 전망
<유럽경제>          유럽 재정위기의 연속 – 정부부채 위기, 은행권 위기, 그리고 실물경기 위기까지
 위기의 연속          그리스 정치 불안 – 유로존 잔류는 희망하나 과도한 긴축안은 반대, 좌파연합 집권 가능성 커져

                 스페인의 은행 구제금융, 유럽 은행의 재자본화 – 은행, 금융 안정을 위한 추가 유동성 지원 불가피

                 프랑스 좌파성향 올랑드 집권, 유럽 정치적 리스크 부각, 독일식 先긴축 채무조정 방식 반대 확산



                  유럽 재정위기의 확산           위기 차단을 위한 정책공조             위기의 연속, 정치적 불안
                  (2011.07~2011.11)      (2011.12~2012.03)            (2012.04~ )


                  그리스 디폴트 우려           그리스 ‘무질서한’ 디폴트 우려        그리스 정치불안, 유로존 탈퇴 우려


                                                                스페인 은행 부실, 유럽 은행 재자본
          위기   스페인, 이탈리아 재정위기 확산       프랑스 및 EFSF 신용강등 우려
                                                                         화

               고위험 국가의 국채, 은행 신용강
                                       경기하강 진입, 실물경기 침체           긴축과 성장의 先순위 논쟁
                       등


                  그리스 긴축조건 완화           그리스 질서있는 디폴트 수용           스페인 은행 구제금융 지원


                                                                ECB MRO 증액, ESM 은행 대출 협
          대응     EFSF 증액 및 역할 강화      ECB 1, 2차 LTRO 1조 유로 시행
                                                                           의


               ECB 증권매입(SMP), 금리인하    신(新)재정협약, ESM 조기시행 합의     긴축완화 및 성장협약에 대한 논의




11
<유럽경제>                                                       유럽 대다수 국가가 신재정협약 조건에 위배 – 정부부채 및 재정적자 초과 (GDP 대비 60%, -3%)
 정부부채 위기와                                                     지난 4월부터 스페인 위기가 부각되며 유럽 국채 CDS와 은행 CDS가 전반적으로 상승

 은행의 위기                                                       특히 과다채무국(GIPSI)의 은행 부실이 매우 심각 – 국채 손실, 경기상황 악화에 따른 보유자산 손실

                                                              스페인 은행 위기 – 모기지 부실로 약 800억 유로 손실 추정, 결국 정부의 은행 구제금융 신청(06.09)




      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정부부채, 재정적자 적정선 초과                                                        2012년 4월부터 유럽 은행 CDS 및 국채 CDS 재상승

          (%)                                                                      (%)      (%p)

                                       GDP 대비 정부부채(좌)                                        600
      180.0     165.3                                                                -12                 유럽 은행 CDS 5yr
                                       GDP대비 예산적자(역계열)                                                   유럽 국채 CDS 5yr
      150.0                                                                          -9      500
                        120.1
      120.0                            107.8                                         -6
                                98.0                                                         400
                                                 81.2   85.8   80.6   85.7
        90.0                                                                         -3
                                                                             68.5
                                                                                             300
        60.0                                                                         0

        30.0                                                                         3
                                                                                             200


         0.0                                                                         6       100
                  그       이       벨          포     독      프      헝      영      스
                  리       탈       기      르         일      랑      가      국      페
                  스       리       에      투                스      리             인               0
                          아              갈
                                                                                                10.1   10.5   10.8   10.12   11.4   11.8   11.12   12.4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2
<유럽경제>                                                          유럽 재정위기가 금융위기에서 실물경기 위기로 전이 – 1Q 0.0% 성장은 2009년 4분기 이후 최저
 실물경기 위기                                                         5월까지 PMI 제조업 지수는 10개월 연속 기준치 하회, 6월 센틱스 투자기대지수도 하락폭 확대

                                                                 주요 경제지표의 최근 월까지 부진으로 2분기 성장률은 1분기 하회 전망 – 전년비 마이너스 성장

                                                                 위기의 악순환 – 성장 부진은 결국 부채 증가를 가속화 (세수 감소, 이자비용 증가 등)




      2011년 2분기부터 유럽 경제성장률 급격히 둔화                                                              유럽 제조업 업황 부진 및 기업의 투자심리 위축 심각

       (%,q/q)                                                                      (%,y/y)     (index=50)                                           (index=0)
                                                   유로존 GDP (전분기비, 좌)                                              유럽 PMI제조업 (좌)
         1.0             0.9                                                           3.0       65                                                      30
                                                   유로존 GDP (전년동기비)
                                                                                                                  센틱스 투자기대지수
         0.8                                     0.7                                             60                                                      20
                                                                                       2.5
                                                                                                                                                         10
         0.6                                                                                     55
                 0.4             0.4                                                   2.0
                                                                                                                                                         0
         0.4                             0.3                                                     50
                                                                                       1.5                                                               -10
         0.2                                             0.1     0.1                             45
                                                                              0.0                                                                        -20
                                                                                       1.0
         0.0                                                                                     40
                                                                                                                                                         -30

       -0.2                                                                            0.5       35                                                      -40

       -0.4                                                            -0.3            0.0       30                                                      -50
               2010 1Q         2010 3Q         2011 1Q         2011 3Q    2012 1Q                  08.1        09.1        10.1        11.1   12.1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3
<유럽경제>                                      남유럽 과다채무국(GIPSI)은 재정 의존도가 높아 과도한 긴축 계획이 실물경기에 심각한 부진을 야기
 긴축과 성장의                                     그리스의 긴축안 재협상 요구, 스페인의 은행 위기 등도 경기침체가 주된 요인 – 反긴축 여론 확산

 우선순위 논쟁                                     2012년 유로존 경기침체 확률 55%, 2013년 디플레이션 확률 27% - 경제 펀드멘털 훼손 우려

                                             긴축과 성장의 우선순위 논쟁 – 유럽의 경기안정을 위해 ‘긴축 완화 및 성장 지원’ 채택 가능성 높아




      2012년 과다채무국(GIPSI)의 재정긴축 목표와 GDP 하락률                       2012년 유로존 경제는 경기침체에 이를 확률 55%

      (%)                                                        (%)
      10.0                                                      60.0
               7.3                                                                55.0                         경기침체 확률(2012년)
                                                 6.4
                           5.4
       5.0
                                      4.8
                                                          3.7   50.0                                           디플레이션 확률(2013년)


                                                                40.0                           35.0
       0.0

                                                                30.0                 26.8
                                      -2.9               -3.0
      -5.0                -4.3                                                                                            21.2
                                                -6.4            20.0   15.3                 13.7
     -10.0
                                               재정적자 감축목표
                                                                10.0       6.0                                      5.5
                                               GDP 하락률                                                           3.2         3.3
                                                                                                      0.01.5
               -12.4
     -15.0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0.0
      (%p)
                                                                         미국       유로존         일본      신흥국        남미        기타

     자료: 한국은행,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4
<유럽경제>                                                                        유럽의 위기는 3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완화될 전망
 위기는 3Q부터                                                                      1) 과다채무국(GIPSI)의 국채만기 도래액은 2분기 최고치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완화 기대                                                                         2) ECB 금리 인하 시행 예상 – 금리인하시 금융비용 감소, 경기부양 효과 기대

                                                                               3) 유로화 약세에 따른 경상수지 개선 – 환율 영향에 따른 부(富)의 증가 예상



      3Q 부터 유럽의 위기 완화를 기대하는 근거 : 1) 국채만기 규모 감소, 2) ECB 금리인하 시행, 3) 유로화 약세에 따른 경상수지 개선


                                                                                          (%,y/y)                                          (10억유로)                                (USD/EUR)
       (%,y/y)                                                            (10억 유로)
                                                                                           5.0                          유럽 전역 소비자물가         10         유로존 경상수지(좌)                      1.1
        3.0                                                 GIPSI 만기(좌)             240
                                          221                                                                           독일 소비자물가                       달러/유로 환율 (역계열)      유로화 약세
                                                            유로존 GDP                 220
        2.5                                                                                4.0                          ECB 정책금리(%)          5                                          1.2
                  195
        2.0                                                                         200
                                                            177                            3.0                                               0                                          1.3
                                                                                    180
        1.5                                                       158
                                                      147               146         160    2.0                                             -5                                           1.4
        1.0                   135
                                                127                                 140
                        124
        0.5                         113                                                    1.0                                             -10                                          1.5
                                                                                    120
                                                                              104
        0.0                                                                         100    0.0                                             -15                                          1.6
      -0.5                                                                          80
                                                                                          -1.0                                             -20                                          1.7
      -1.0                                                                          60
                                                                                                 07.1   08.1   09.1   10.1   11.1   12.1     07.1    08.1   09.1   10.1   11.1   12.1
              2Q 10             2Q 11                   2Q 12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5
<유럽경제>                                         유럽 경기 싸이클은 상저하고 예상 – 전기비로 2Q 저점 이후 완만한 성장 회복 전망
 하반기 회복에도                                       하지만 과다채무국(GIPSI)은 연간 마이너스 성장 예상 – 이탈리아, 스페인의 마이너스 성장 불가피

 연간 마이너스                                        2012년 유럽 27개국 경제성장률은 0.0%, 유로존 17개국 경제성장률은 -0.3% 전망

 성장 전망                                          유럽 위기가 지연될 경우 성장 부진은 더 악화될 수 있음




      유로존 GDP, 전기비는 2분기 저점, 전년비로 3분기 저점 예상                                           과다채무국의 경기침체가 유럽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배경

         (%,y/y)                                                       (%,q/q)         (%,y/y)

         2.5                                  유로존 GDP 전기비                    1.5        4.0                                               3.0                               2011          2012

                                              유로존 GDP 전년비(좌)                                     1.5           1.5                                1.7
         2.0                                                                 1.2        2.0
                                                                                                                                 0.70.6     0.6     0.4   0.4     0.7
                                                                                                   0.0
                                                                                        0.0
         1.5                                                                 0.9
                                                                      0.7                                       -0.3
                                                                                       -2.0                                                                -1.3    -1.0
                                                                                                                                                                               -1.6
         1.0                                                                 0.6
                                                                                       -4.0                                                                                        -3.3
         0.5                                                                 0.3                                                                                                           -4.4
                                                0.1             0.1                    -6.0

         0.0                                                                 0.0                                                                                                          -6.9
                                                                                       -8.0
                                                                                                   E                 E              영       독       프       이       스               포       그
                                                         -0.1
        -0.5                                                                 -0.3                      U         M                  국       일       랑       탈           페           르       리
                                                  -0.2                                                     2             U                          스       리           인           투       스
                                                                                                           7                 1                              아                       갈
        -1.0                                                                 -0.6
                                                                                                                             7
               2010            2011             2012                  2013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6
IV.
미국경제 전망
<미국경제>        미국의 경제성장은 개인소비 및 민간투자 회복이 기여, 특히 개인소비지출 기여가 긍정적
 민간경제활동의       민간투자는 설비투자 둔화에도 건설투자 회복이 플러스 기여, 재고 조정도 원활

 점진적 회복        순수출 성장 기여도는 미미한 수준 – 수출과 함께 수입도 증가 (내수 경기회복, 달러화 강세 영향)

               반면 정부지출은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 주 정부 및 지방 정부 지출이 전반적으로 감소


           2011 2Q ~ 2012 1Q 미국 GDP의 지출항목별 성장률 (전반기 연율, %, q/q, ann)

                (%p,q/q,ann)
                 4.0
                                                                            2011 2Q         2011 3Q
                                                                            2011 4Q         2012 1Q
                 3.0


                               1.9     1.9
                 2.0

                                                                                      1.0
                 1.0
                                                                 0.4
                                                         0.2            0.2
                 0.0


               -1.0                             -0.8
                                                                                                      -1.1

               -2.0
                        GDP          개인소비     정부지출     설비투자    건설투자    재고         수출            수입

           자료: 미국 경제분석국(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18
<미국경제>                                                 미국의 경기선행 싸이클과 동행 싸이클은 엇갈린 행보 지속 (~2012.04.)
 美 경기                                                   동행 싸이클은 비교적 견조한 흐름 – 제조업 생산활동 및 신규고용 증가 영향

 싸이클의                                                   선행 싸이클은 매우 완만한 속도로 둔화 – 금융지표 및 실물경기 선행지표 증가세가 전반적으로 둔화

 현 주소                                                   대외 불안 요인이 진정된다면 미국의 선행경기 싸이클은 2Q 저점, 하반기 점진적으로 회복 예상




      동행 싸이클은 비교적 견조, 선행 싸이클은 완만하게 둔화                                                   대외 불안 요인이 진정된다면 선행 싸이클은 2분기 저점 예상

         (%,y/y)                                                             (%,y/y)      (%,y/y)
                                                                                            20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
          20               경기선행지수(좌)                                           9
                           경기동행지수                                                                                          경기선행지수 (전반기 연율)
          15
                                                                               6
          10                                                                                10
                                                                               3
            5
                                                                                              0
            0                                                                  0

          -5                                                                   -3
                                                                                           -10
         -10
                                                                               -6
         -15                                                                               -20
                                                                               -9
         -20

         -25                                                                   -12         -3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Conference Board,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onference Board,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9
<미국경제>                                                민간투자 증가세는 양호한 수준 – 설비투자, 건설투자, 재고 등이 전반적으로 풍부한 상황
 투자와 소비의                                               2분기 신규고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투자의 확장국면은 지속 – 투자의 급격한 위축은 없을 전망

 선 순환 싸이클                                              고용 증가와 경기 안정 등으로 소비지출 개선 – 소비자신용 증가 및 저축률 하락

                                                       투자에서 소비로 이어지는 경기 선순환 싸이클은 미국 경제의 펀드멘털 개선을 시사




     민간투자 회복과 신규고용 증가, 2분기 조정에도 확장세 지속                                              소비자 신용 증가와 저축률의 하락 – 소비 증가의 주요 배경

                                                                                      (10억 달러)                                                      (%,y/y)
        (%.y/y)                                                            (천명)
                                                                                        40                  소비자 신용(좌)                                    0
          15                  분기 신규 취업자수                                    1500
                                                                                                            가처분소득 대비 저축률(역계열)
                              고정투자 (재고제외, 좌)
          10                                                                1000        30
                                                                                                                                                         2
           5                                                                500         20

           0                                                                0                                                                            4
                                                                                        10

          -5                                                                -500
                                                                                         0
                                                                                                                                                         6
        -10                                                                 -1000
                                                                                      -10
        -15                                                                 -1500                                                                        8
                                                                                      -20
        -20                                                                 -2000
                                                                                      -30                                                                10
        -25                                                                 -25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EA,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0
<미국경제>                                        지난 1~2차 QE 시행 시점에 비해 실업률 하락, 근원 PCE는 상승 – QE3 시행에 대한 명분 부족
 ‘제한적 QE3’                                     최근 FOMC 의사록, 추가 경기부양 조치를 위한 조건으로 ‘경기 악화, 금융시장 충격’ 명시

                                               다만 침체된 건설경기, 주택시장 부양을 위해 “부실 MBS 매입” 등은 가능한 시나리오

                                               ‘제한적 QE3’ – 경기(통화량)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부실자산 매입 조치




     1~2차 QE 시행 시점에 비해 QE3에 대한 명분은 부족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제한적 QE3’는 가능한 시나리오

        (%)                                                         (%,y/y)      (10억 달러)                                            (10억 달러)

         12                        실업률 (좌)                              3.0      14,000             실질 GDP (좌)                            900

                                   근원PCE                                                            건설투자
                                                      '11.08.O.T.
                                                                                 12,000                                                   700
          9                                                             2.0

                                                                                 10,000                                                   500
                                                                                                         2006년 이후 건설
          6                                                             1.0                               투자 55% 급감
                                                                                  8,000                                                   300


                     '09.03.QE1          '10.11.QE2
          3                                                             0.0       6,000                                                   100
              08.1    09.1        10.1         11.1          12.1                         95   97   99    01     03   05   07   09   11


     자료: FRB,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21
<미국경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약 3조 달러의 재정긴축 장기 플랜 수립 (2011. 09. 오바마 플랜)
 재정긴축에 따른                             한편 2012년까지 세제 감면 등 경기부양 조치 시행 – ‘先 성장 後 긴축’, 정부부채 증가 감안

 정부지출 감소                              2013년부터 세제 혜택 축소, 민간 이전소득 감축 등 재정긴축 시행 – 세수 증대, 세출 감소

                                      2011~2013년까지 정부지출 감소 – 미국 경제성장에 있어 정부지출의 마이너스 성장기여 예상




     2011년에 이어 2012년에도 정부지출은 마이너스 성장 예상                     2013년까지 정부지출 감소, 2014년부터 정부지출 증가 전망

        (%p)                                                   (%,y/y)                                                        (%/GDP)
         1.0                              지방정부 기여도              2.0                 정부지출 증가율(좌)                                      0.0
                                          연방정부 기여도
         0.8                                                                        정부부채 장기계획(역계열)                                   10.0
                                          정부지출 증가율              1.5
         0.6
                                                                                                                                     20.0
         0.4                                                    1.0
                                                                                                                                     30.0
         0.2
                                                                0.5                                                                  40.0
         0.0
                                                                                                                                     50.0
       -0.2                                                     0.0
                                                                                                                                     60.0
       -0.4
                                                              -0.5
       -0.6                                                                                                                          70.0

       -0.8                                                   -1.0                                                                   80.0
               1992     1997   2002       2007       2012             1982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자료: 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EA, CBO, 대신경제연구소(DERI)




22
<미국경제>          2012년 1Q GDP가 속보치 2.2% (ANNA, 전기비 연율) 성장에서 수정치 1.9%로 하향
 상저하고 싸이클,       2분기 이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전기비 연율로 1.8% → 2.1% → 2.4% 등 완만한 성장 예상

 연간 2.1% 전망      개인소비지출과 민간투자가 성장 주도, 정부지출은 연간 마이너스의 역성장 예상

                 상저하고의 경기 싸이클이 예상되나 전반적으로 매우 완만한 경기 흐름 예상



              2012년 미국 주요 경제지표 전망치

                                                                                2012
                                                2011
                                                           1Q         2Q (F)    3Q (F)    4Q (F)    연간 (F)

                                    %, y/y         1.7          2.0       2.0       2.1       2.0       2.1

                실질 GDP              %, q/q             -        0.5       0.4       0.5       0.6        -

                                  %, q/q, ann      1.7          1.9       1.8       2.1       2.4       2.1

                                 개인소비지출            2.2          1.8       2.2       2.1       2.0       2.0
                  구성항목
                                   민간투자            4.8          8.8       7.7       9.6       6.6       8.1
                  (%,y/y)
                                   정부지출           -2.1      -2.3         -2.3      -2.9      -2.5      -2.5

                GDP Consensus     %, q/q, ann      1.7          1.9       2.2       2.4       2.5       2.2

                                  소비자물가            3.2          2.8       2.3       2.0       2.2       2.1

                                   근원PCE           1.4          1.9       1.8       1.8       1.8       1.8
                주요지표
                                    실업률            9.0          8.1       8.1       8.1       8.0       8.1

                                   기준금리           0.25      0.25         0.25      0.25      0.25      0.25

              자료: 미국 경제분석국(BEA), Bloomberg
              전망: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3
V.
중국경제 전망
<중국경제>                             2012년 1/4분기 GDP 성장률은 8.1% 기록 금융위기 직전 수준에 근접, 2/4분기 유로존 재정위기 우
 하반기 내수                             려 등 대외 불확실성 등으로 저점은 2/4분기에 형성될 가능성 상존


 성장 회복세                             내수 주도의 성장 구도 전환에서의 경제 성장 감속 과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2012년 8%
                                    대 초반의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유효

     중국 GDP 성장률 저점 확인은 2/4분기에 가능                         중국 경제는 내수 주도의 성장 구도 전환 진행

        (y/y, %)                           GDP(전년대비)       (%)
      14                                   GDP(전분기대비)                              투자            소비   순수출
                                                           120
                           11.9
      12
                                                           100        5.8
      10                                                                                  25.2          44.8
                                                   8.1     80
                7.9
       8                                                              56.8
                                                           60
       6                                                                                  53.7
                                                           40
       4                                                                                                61.1
                                                           20         37.3
       2                                                                                  21.1
                                                            0                                           -5.9
       0
           09                10      `11            12    -20
           1Q                1Q      1Q             1Q             1978~2001            2002~2007     2008~2011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EIC, 대신경제연구소(DERI)




25
<중국경제>                                     PMI 제조업 경기는 단기간 수요 둔화, 재고 조정 등으로 회복세가 더뎌질 것으로 판단되나, 정부의 통
 재고 조정 이후                                   화긴축 완화 및 대외 불확실성 감소 등으로 하반기 회복 추세는 유효


 반등 국면 예상                                   글로벌 제조업 경기와 중국 제조업 경기 동조화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하반기 글로
                                            벌 경기 회복세와 맞물린 반등 가능성 높아




     중국 제조업 경기 재고 조정 이후 하반기 반등 예상                                    글로벌 제조업 경기와 G2 제조업 경기 동조화

      (INDEX)                                                          (INDEX)            2011.3월
                                                    05~10년 평균                             2012.3월
     58                                             2011년             53                  아시아 신흥국 산업생산 증가율 간의 상관관계        0.82
                                                    2012년
                                                    기준선               52                                                  0.79
     56

                                                                      51                                                  0.76
     54
                                                                      50                                                  0.73

     52
                                                                      49                                                  0.7


     50                                                               48                                                  0.67




                                                                                 글로벌 제조




                                                                                          글로벌 제조




                                                                                                     글로벌 제조




                                                                                                                 G-2 제조
                                                                                           업 PMI -




                                                                                                      업 PMI -




                                                                                                                  업 PMI
                                                                                           신규주문




                                                                                                      수출주문
                                                                                  업 PMI
     48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26
<중국경제>                                       중국 부동산 규제 지속 등 투자 감소에 따른 고정자산투자 감소세는 불가피한 상황. 그러나 정부의 인
 정책효과로                                        프라 투자 확대, 보장성 주택 건설 투자 등은 고정자산 투자의 급격한 둔화를 제한할 전망


 내수 경제 성장                                     중국 내 인플레이션 완화와 더불어 정부의 소비 부양책 등의 영향으로 향후 실질 소매판매는 점진적으
                                              로 개선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부동산 투자 감소에 따른 고정자산 투자 감소세는 불가피                                 인플레이션 완화, 정부의 소비 부양 정책에 힘입어 실질 소매
                                                                    판매는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

        (y/y, %)                                         (y/y, %)     (y/y, %)        중 소비자신뢰지수                        (INDEX)
                                                                                      소매판매(우)
      60                                                      120    115                                                     25
                        신규건설계획                                                        실질 소매판매(우)
      55                고정자산투자                                100
      50                                                      80                                                             20
                                                                     110
      45
                                                              60
      40                                                                                                                     15
                                                              40
      35
                                                                     105
                                                              20
      30
                                                                                                                             10
                                                              0
      25

      20                                                      -20    100
                                                                                                                             5
      15                                                      -40

      10                                                      -60
                                                                      95                                                     0
           04      05     06   07   08   09    10   11   12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7
<중국경제>                                             2012년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3.3%에 이르는 등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 높아 이는 정부의
 인플레이션                                              정책 운신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 그러나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은 아니므로 물가 관리에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전망
 압력 완화 지속                                           이미 두 차례 지급준비율 인하와 6월 금리 인하(25bp) 등 통화긴축 완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유동성 환
                                                    경 개선에 따른 실물경기지표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




     중국 내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완화되고 있어                                                정부의 통화 긴축 완화 등 경기 부양 효과 기대

      (y/y, %)                                                                 (%)                                                             (y/y, %)
      15                                                                      25                                                                     10
                      소비자물가                                                                  지급준비율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우)
                                                                                                                                                     8
      10                                                                      20             대출금리(우)
                                                                                                                                                     6

       5                                                                      15
                                                                                                                                                     4

                                                                                                                                                     2
       0                                                                      10

                                                                                                                                                     0
      -5                                                                       5
                                                                                                                                                     -2

     -10                                                                       0                                                                     -4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8
<중국경제>                                               최근 중국의 수출은 1/4 분기 부진한 흐름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양상. 그러나 2012년 중국 순수출의
 하반기 수출                                               경제성장 기여도는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 상존


 완만한 회복                                               대유럽 수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 과정 및 경기 회복 과정이 중국 수출 회복의
                                                      열쇠가 될 전망




     수출은 1/4 분기 부진한 흐름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모습                                                 결국 유로존 재정위기 및 경기 회복이 중국 수출 회복에 열쇠

       (y/y, %)                                                          (10억 달러)      (y/y, %)                                                대 유럽
                            무역수지(우)                                                                                                            대 미국
       100                  수출                                                          80                                                     대 아시아
                                                                               66
                            수입
        80
                                                                                        60
                                                                               48
        60

                                                                               30       40
        40

        20                                                                     12       20

         0
                                                                               -6        0
      -20
                                                                               -24    -20
      -40

      -60                                                                      -42    -4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9
VI.
국내경제 전망
<국내경제>                                         2012년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제환경 악화에 따라 전년대비 3.2% 성장 전망
경제성장률                                          내수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나 유럽 경제위기로 수출은 부진할 전망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내수 3.1%p, 순수출 0.2%p 전망)

                                               경제성장 패턴은 하반기 유럽 경제위기 완화,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상저하고’형을 보일
                                               전망 (전분기비 기준 성장: 상반기 0.8%, 하반기 1.2%)



     국내총생산(GDP) 성장 전망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                                                      (%)         (%p)
                            전분기비(좌축)           전년동분기비                     6
        4.5                                                       1.6
                                                                                  2011      2012         5.0
                                                                          5
               1.3                                                1.4
        4.0                                           1.2
                                                                          4
                                                                  1.2
                                                            1.1                                                3.0         3.1
        3.5                                                               3
                                                                  1.0
                      0.8   0.8         0.9                                           1.9                            2.0
                                                                          2                                                      1.8
                                                0.7               0.8           1.5
        3.0                                                                                        1.1
                                                                  0.6     1
                                                                                                                                       0.2
        2.5
                                  0.3                             0.4     0
                                                                                             -0.3
        2.0                                                       0.2    -1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소비            투자         수출          내수         순수출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1
<국내경제>                          민간소비는 실질구매력 증대(교역조건, 물가안정세, 원화가치 상승)와 양호한 고용여건을 바탕으로 점
민간소비                            진적으로 확대될 전망

                                2012년 민간소비는 전년대비 2.7% 증가 전망 (상반기 2.2%, 하반기 3.2%)

                                부동산 침체와 가계부채 축소 정책 등은 소비제약 요인




     민간소비와 교역조건                                        민간소비와 소비자기대심리

      (%,y/y)                              (%,y/y)       (%,y/y)
       8                                         20       8                                           120
                               민간소비                                                     민간소비
       6                                         15       6                                           115
                               교역조건(우축)                                                 소비자기대심리(우축)
       4                                         10       4                                           110

       2                                         5        2                                           105

       0                                         0        0                                           100

      -2                                         -5      -2                                           95

      -4                                         -10     -4                                           90

      -6                                         -15     -6                                           85
           2009         2010    2011      2012                2009     2010      2011          2012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2
<국내경제>                                     설비투자는 전년도 기저효과, 하반기 원화가치 상승으로 인한 자본재수입 비용 감소, 세계경기 회복에
투자                                         따른 수출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6.7% 증가 예상

                                           건설투자는 지난 2년간의 감소에서 벗어나 2.3% 증가할 전망. 토목건설이 정부의 SOC예산 축소로 부
                                           진이 예상되나, 민간 건축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인 국내 건설수
                                           주액 증가 추세)




     설비투자 전망                                                  건설투자 전망

      (%,y/y)
                                                              (%,y/y)                                     (%,y/y)
       40
                                                                8                    건설투자                    50
       30
                                                                                     국내건설수주액(우축)
                                                                4                                            30
       20

       10                                                       0                                            10

        0
                                                               -4                                            -10
      -10                                      설비투자
                                               수출
      -20                                                      -8                                            -30
                                               기계류내수출하

      -30
                                                              -12                                            -50
            2009       2010         2011        2012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3
<국내경제>                               수출(통관기준)은 상반기 중 유럽 경제위기 악화, 해외수요 부진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1.5%증가에 그
대외부문                                 친 뒤, 하반기에는 글로벌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8.5% 증가로 확대될 전망

                                     하지만 2012년 연간으로는 상반기 극심한 수출부진으로 전년도(19.0% 증가)보다 크게 둔화된 4.8%
                                     증가에 그칠 전망. 무역수지는 전년대비 100억 달러 축소된 연간 208억 달러 흑자 예상

                                     경상수지는 내수확대로 인한 상품수지 흑자 폭 축소와 여행수지 개선 등 서비스수지 적자 폭 축소로 연
                                     간 192억 달러 흑자가 예상됨.

     수출입 증가율과 무역수지 전망                                           경상수지 전망

                                                                 (억달러)                                    경상수지
        (상반기)                             무역수지     (억달러)                                                  상품수지
                                          수출(통관)                 500
        40                                              400                                               서비스수지
                                          수입(통관)
                                                                 400
        30                                              300
                                                                 300
        20                                              200
                                                                 200
        10                                              100
                                                                 100
         0                                              0
                                          (상반기) (하반기)              0
       -10                                              -100
                                                                -100
       -20                                              -200
                                                                -200
       -30                                              -3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7     08    09    10   11      12


     자료: 지식경제부,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4
<국내경제>                                 2012년 소비자물가는 경기부진에 따른 총수요압력 하락, 정부의 보육료, 급식비 지원 등 정책효과, 전
물가                                     년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4.0% 상승)대비 1.4%p 하락한 2.6% 상승 전망

                                       하지만 높게 유지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율,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중동 정세변화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 등 물가불안 요인들도 상존




     상품성질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여도                                   소비자물가 전망

                                                             (%,y/y)`                                        (%,y/y)`
                                                                                             소비자물가(좌축)
       (%,%p)                                                5                                                   30
                                                                                             유가(WTI)
        5                                2011년
                                                                                             원/달러환율
                                         2012년 1~5월 평균
        4
                                                                                                                 20
        3                                                    4


        2                                                                                                        10

        1
                                                             3
        0                                                                                                        0

                농축수산물         전기수도가스        공공서비스
      -1
            소비자물가        공업제품          집세         개인서비스      2                                                   -10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5
<국내경제>                               고용여건은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실업률은 하락할 전망 (2012년 취업자
고용                                   수 33만 명 증가, 실업률 3.4% 예상)

                                     전반적으로 고용여건은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수출부진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가 영세 자영업 위주의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에서 증가하는 등 고용의 질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함.

                                     경제성장률 하락에 따라 향후 취업자 수 증가세는 둔화될 전망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감 추이                                  실업률 및 취업자수 전망

       (만명)                                                 (만명)                                                             (%)
       60           서비스업       제조업                              50                                                           3.8
                                                                                   취업자수
                                                                                                               42
       50
                                                                40                 실업률
                                                                                                                             3.6
       40                                                                                               32            33
                                                                     30     30
                                                                30                 28
       30
                                                                                                                             3.4
       20                                                       20
                                                                                          14
       10                                                                                                                    3.2
                                                                10
       0
                                                                                                                             3.0
                                                                0
     -10

     -20                                                    -10                                                              2.8
            2010              2011           2012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36
<국내경제>       기준금리는 현 수준인 3.25%에서 연내 동결될 전망
통화정책         유럽 경제위기 악화와 미국과 중국경제의 경기회복세 지연 등 대외경제의 불확실성 확대로 당초 예상
             했던 올 4분기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통한 금리 정상화는 지연될 전망

             국내 경제기초여건, 높게 유지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율,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저금리 부작용 등을
             고려할 때 대외경제 환경 개선 시 적정금리 수준으로의 정책변화가 요구됨.

         기준금리 전망


               (%)                             기준금리
                7                              소비자물가상승률
                6                              실질금리
                                               기대인플레이션율
                5

                4

                3

                2

                1

                0

               -1

               -2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7
<국내경제>                                        2012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120원 예상(2011년 1,108원)
환율                                            원/달러 환율은 1분기 중 하락세에서 2분기 들어 유럽 경제위기 악화로 인한 안전자산선호 경향로 큰
                                              변동성을 보이며 상승함. (1분기 1,132원, 2분기 1,144원 예상)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은 15%내외 저 평가되어 있으며,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 외환공급우위 현
                                              상 등이 반영되며 원/달러 환율은 하락추세를 나타낼 전망 (3분기 1,115원, 4분기 1.090원 전망). 엔/
                                              달러 환율 80.6엔, 원/엔 환율 1,389원 예상

     원화의 실질실효환율                                                     원/달러, 엔/달러, 원/엔 환율 전망

                                                                     1,600                          원/달러환율               84
      120
                                                                                                    원/엔환율
                                                                     1,500                          엔/달러환율(좌축)
      110                                                                                                                82

      100                                                            1,400
                                                                                                                         80

       90                                                            1,300
                                                                                                                         78
       80                                                            1,200

       70                                                                                                                76
                                                                     1,100

       60                                                            1,000                                               74
            05    06      07        08   09     10   11   12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8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정확성을 보
               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
               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자료 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위 애널리스트는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자료에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39

Más contenido relacionado

Similar a 2012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by 대신증권(2012.6.18)

Smart assetguide 201102month
Smart assetguide 201102monthSmart assetguide 201102month
Smart assetguide 201102month
hwsec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DaishinSecurities
 
Posri report 201207111
Posri report 201207111Posri report 201207111
Posri report 201207111
의철 김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DaishinSecurities
 

Similar a 2012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by 대신증권(2012.6.18) (8)

[Global trend report]2011 글로벌 광고 시장 전망
[Global trend report]2011 글로벌 광고 시장 전망[Global trend report]2011 글로벌 광고 시장 전망
[Global trend report]2011 글로벌 광고 시장 전망
 
Smart assetguide 201102month
Smart assetguide 201102monthSmart assetguide 201102month
Smart assetguide 201102month
 
Gs골드스코프 2011.11
Gs골드스코프 2011.11Gs골드스코프 2011.11
Gs골드스코프 2011.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40605
 
신한투자(이주영 20141113)
신한투자(이주영 20141113)신한투자(이주영 20141113)
신한투자(이주영 20141113)
 
Posri report 201207111
Posri report 201207111Posri report 201207111
Posri report 201207111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대신리포트_모닝미팅_150403
 
세바시15분 이석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 좀도리의 지혜, 희망이 되다
세바시15분 이석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 좀도리의 지혜, 희망이 되다세바시15분 이석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 좀도리의 지혜, 희망이 되다
세바시15분 이석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 좀도리의 지혜, 희망이 되다
 

Más de Wealth Partners

World Wealth Report 2013
World Wealth Report 2013World Wealth Report 2013
World Wealth Report 2013
Wealth Partners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Wealth Partners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Wealth Partners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Wealth Partners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Wealth Partners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Wealth Partners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Wealth Partners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Wealth Partners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Wealth Partners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Wealth Partners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Wealth Partners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Wealth Partners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Wealth Partners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Wealth Partners
 
원-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전망원-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전망
Wealth Partners
 
World Wealth Report 2012
World Wealth Report 2012World Wealth Report 2012
World Wealth Report 2012
Wealth Partners
 

Más de Wealth Partners (20)

World Wealth Report 2013
World Wealth Report 2013World Wealth Report 2013
World Wealth Report 2013
 
밸류인베스트코리아 회사 소개
밸류인베스트코리아 회사 소개밸류인베스트코리아 회사 소개
밸류인베스트코리아 회사 소개
 
Pre-IPO 투자전략
Pre-IPO 투자전략Pre-IPO 투자전략
Pre-IPO 투자전략
 
Pueblo West LP
Pueblo West LPPueblo West LP
Pueblo West LP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U.S. House Prices Rose 1.9 Percent in First Quarter 2013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Wealth Report - Asia by Julius Baer(2012.09)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12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2013 시장 전망 및 채권 투자 전략 by 얼라이언스번스틴 자산운용
 
한국판 와타나베 부인, 성공할 수 있는가? by 삼성증권
한국판 와타나베 부인, 성공할 수 있는가? by 삼성증권한국판 와타나베 부인, 성공할 수 있는가? by 삼성증권
한국판 와타나베 부인, 성공할 수 있는가? by 삼성증권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CEO Report 2012 - 10호 에코 세대의 라이프 금융플랜 분석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국내 생명보험사 수익성의 금리 민감도 상승과 시사점 by 한국신용평가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Wealth Partners Investment Themes Q2 2012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시장 회복추세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최근 미국 주택정책의 영향 점검 by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2012년 보험차익 세제개편 주요내용(2012.08)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12년 8월 모델포트폴리오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분산투자관점의 해외투자 by 대신증권( 2012.7.4)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2012년 7월 모델 포트폴리오
 
원-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전망원-달러 환율 전망
원-달러 환율 전망
 
World Wealth Report 2012
World Wealth Report 2012World Wealth Report 2012
World Wealth Report 2012
 

2012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by 대신증권(2012.6.18)

  • 1. 2012. 6. 18 하반기 경제전망 2012년 하반기 국내외 경제전망 김윤기 769.3063 mackyg@deri.co.kr 문정희 769.3083 mjhsilon@deri.co.kr 채현기 769.3002 coolheuy@deri.co.kr 이진호 769.3054 betterljh@daishin.com
  • 2. Contents I. 세계경제전망 02 II. 유가전망 05 III. 유럽경제 10 IV. 미국경제 17 V. 중국경제 24 VI. 국내경제 30
  • 4. 세계경제 전망 2012년 세계경제는 유럽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성장률이 하락할 전망 IMF는 미국과 일본 등의 경기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유로지역 경기침체(긴축정책과 수출부진)로 선진국 성장률은 전년대비 하락 예상함. 특히 유럽 재정위기 중심국인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 전망 신흥시장국은 비교적 견실한 성장으로 세계경제성장을 견인할 전망 2012년 세계경제 전망 IMF OECD Global Insight 세계 3.5(3.9) 3.4 2.9(3.0) 선진국 1.4(1.6) 1.6(1.8) - 미국 2.1(1.7) 2.4(1.7) 2.2(1.7) 일본 2.0(-0.7) 2.0(-0.7) 2.5(-0.7) 유로지역 -0.3(1.4) -0.1(1.5) -0.1(1.6) 독일 0.6(3.1) 1.2(3.1) 1.0(3.1) 프랑스 0.5(1.7) 0.6(1.7) 0.0(1.7) 이탈리아 -1.9(0.4) -1.7(0.5) -1.8(0.5) 스페인 -1.8(0.7) -1.6(0.7) -1.5(0.7) 신흥시장국 5.7(6.2) - - 중국 8.2(9.2) 8.2(9.2) 8.1(9.3) 인도 6.9(7.2) 7.1(7.3) 7.2(6.8) 브라질 3.0(2.7) 3.2(2.7) 3.3(2.7) 자료: IMF(2012.4월), OECD(2012년 5월), Global Insight(2012.5월), 대신경제연구소(DERI) 주: ( )안은 2011년 수치. 3
  • 5. 세계경제 전망 세계교역량 전망 인플레이션율 전망 (%) (%) 선진국 신흥개도국 10 15 10.6 9.3 12.9 7.8 7.9 8 10 5.8 5.6 2.9 4.0 5 6 0 4 -5 2 -10 -10.5 0 -15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자료: :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Global Imbalances 세계 주요 경제권 경기침체 확률(2012) 미국 원유수출국 (%) (% of World GDP) 독일+일본 동유럽+스페인+영국 60 55 3 중국+EMA 기타 50 2 40 1 0 30 -1 20 15.3 13.7 -2 10 3.2 -3 EMA: 한국, 홍콩, 인니, 말련, 필리핀, 싱가폴, 타이완, 태국 0 0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 2012 2014 2016 미국 유로지역 일본 신흥국 라틴국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4
  • 7. <국제유가> 2012년 상반기에 비해 하반기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석유 수요 증대 등은 유가 상승 요인 수요 개선 기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제 성장에 따른 발전용 및 수송용 연료 소비 증가가 세계 석유 수요 증대를 견 인할 것으로 전망 여전히 완만한 석유 소비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 선진국보다 중국 등 신흥국 수요 개선 가능성 높아 (백만배럴/일) (백만배럴/일) (백만배럴/일) China U.S. World Total 4 Other World 92 3.0 OPEC Countries North America 3 Russia and Caspian Sea 90 2.5 3 Latin America North Sea 2 88 2.0 Other Non-OPEC 2 1.5 1 86 1 84 1.0 0 0.5 -1 82 -1 0.0 80 -2 -0.5 -2 78 2010 2011 2012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EIA,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IA, 대신경제연구소(DERI) 6
  • 8. <국제유가> 최근 국제유가(WTI유 기준)는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된 영향으로 배 변동성 요인 럴당 90달러 하회 6월 기점으로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 완화, 미 연준의 3차 양적완화 정책 등 주요국 경기 부양책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국제유가의 하락 압력은 점진적으로 완화될 전망. 특히 3/4분기 미 드라이빙 시즌과 허 리케인 시즌 도래 등으로 반등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 위험자산 선호 심리 재개가 단기 국제 유가 방향성 결정 유로존 재정위기 우려로 인한 달러화 강세가 지속되는지 여부 도 국제유가의 주요 결정 요인 (달러/배럴) (INDEX) (달러/배럴) (달러/유로) 160 WTI유 15000 120 WTI유 1.6 미 다우존스 지수(우) 달러/유로 환율(우) 140 110 13500 1.5 120 100 12000 1.4 100 90 10500 80 80 1.3 9000 60 70 1.2 40 7500 60 20 6000 50 1.1 07 08 09 10 11 12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7
  • 9. <국제유가> CERA(Cambridge Energy Associates)에 브라질, 나이지리아, 멕시코만 등의 신규 심해 유전 사업의 적정유가 추정 한계유가는 60달러 이상, 캐나다 오일샌드 개발은 90달러 내외로 추정 OPEC 국가들의 재정균형을 감안한 유가 수준은 현재 배럴당 80달러 내외 수준. 향후 재정지출 증가 등의 이유로 OPEC의 선호유가도 점진적으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 OPEC 재정균형 유가 주요 산유국의 한계유가 수준 (달러/배럴) (달러/배럴) 120 100 한계유가 재정균형유가 100 80 80 60 60 40 40 20 20 0 캐나다 나이지리아 베네주엘라 앙골라 미 멕시코 영국 북해 리비아 중국 사우디 0 만 UAE 바레인 시리아 알제리 이라크 사우디 오만 이란 카타르 리비아 쿠웨이트 자료: Reuters,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ERA, 대신경제연구소(DERI) 주 : 한계유가는 경제성을 보장하는 최소한의 유가 수준을 의미 8
  • 10. <국제유가> 2012년 국제유가(WTI유 기준)는 연평균 배럴당 100달러 대를 하회할 전망 연평균 100달러 하반기 글로벌 경기 회복세 유효, 달러화의 제한적 약세 등으로 완만한 상승 흐름이 예상되나, 높은 재 하회 예상 고 수준, 선진국 수요 둔화 등으로 과거에 비해 상승폭은 제한될 전망 2011년 2012 2012 2012 2012 2012년 평균 1/4 2/4 3/4 4/4 평균 CGES(12년 5월) 95.0 119 112 99 85 104 CERA(12년 6월) 95.0 103 93 80 82 90 EIA(12년 5월) 95.0 103 104 105 105 104 PIRA(12년 5월) 95.0 103 96 103 100 100 Deutsche Bank (12년 5월) 95.0 103 106 106 106 105 JP Morgan (12년 5월) 95.0 103 103 114 120 111 BNP Paribas (12년 5월) 95.0 103 105 105 113 107 대신경제연구소 (12년 6월) 95.0 103 95 102 98 99 주: CGES(런던 소재 세계에너지센터, CERA(미 캠브리지 에너지연구소), EIA(미 에너지정보청), PIRA( 석유산업연구소), CGES만 Brent유 기준, 나머지는 WTI유 기준임. 자료: Bloomberg, 한국석유공사, 대신경제연구소(DERI) 9
  • 12. <유럽경제> 유럽 재정위기의 연속 – 정부부채 위기, 은행권 위기, 그리고 실물경기 위기까지 위기의 연속 그리스 정치 불안 – 유로존 잔류는 희망하나 과도한 긴축안은 반대, 좌파연합 집권 가능성 커져 스페인의 은행 구제금융, 유럽 은행의 재자본화 – 은행, 금융 안정을 위한 추가 유동성 지원 불가피 프랑스 좌파성향 올랑드 집권, 유럽 정치적 리스크 부각, 독일식 先긴축 채무조정 방식 반대 확산 유럽 재정위기의 확산 위기 차단을 위한 정책공조 위기의 연속, 정치적 불안 (2011.07~2011.11) (2011.12~2012.03) (2012.04~ ) 그리스 디폴트 우려 그리스 ‘무질서한’ 디폴트 우려 그리스 정치불안, 유로존 탈퇴 우려 스페인 은행 부실, 유럽 은행 재자본 위기 스페인, 이탈리아 재정위기 확산 프랑스 및 EFSF 신용강등 우려 화 고위험 국가의 국채, 은행 신용강 경기하강 진입, 실물경기 침체 긴축과 성장의 先순위 논쟁 등 그리스 긴축조건 완화 그리스 질서있는 디폴트 수용 스페인 은행 구제금융 지원 ECB MRO 증액, ESM 은행 대출 협 대응 EFSF 증액 및 역할 강화 ECB 1, 2차 LTRO 1조 유로 시행 의 ECB 증권매입(SMP), 금리인하 신(新)재정협약, ESM 조기시행 합의 긴축완화 및 성장협약에 대한 논의 11
  • 13. <유럽경제> 유럽 대다수 국가가 신재정협약 조건에 위배 – 정부부채 및 재정적자 초과 (GDP 대비 60%, -3%) 정부부채 위기와 지난 4월부터 스페인 위기가 부각되며 유럽 국채 CDS와 은행 CDS가 전반적으로 상승 은행의 위기 특히 과다채무국(GIPSI)의 은행 부실이 매우 심각 – 국채 손실, 경기상황 악화에 따른 보유자산 손실 스페인 은행 위기 – 모기지 부실로 약 800억 유로 손실 추정, 결국 정부의 은행 구제금융 신청(06.09) 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정부부채, 재정적자 적정선 초과 2012년 4월부터 유럽 은행 CDS 및 국채 CDS 재상승 (%) (%) (%p) GDP 대비 정부부채(좌) 600 180.0 165.3 -12 유럽 은행 CDS 5yr GDP대비 예산적자(역계열) 유럽 국채 CDS 5yr 150.0 -9 500 120.1 120.0 107.8 -6 98.0 400 81.2 85.8 80.6 85.7 90.0 -3 68.5 300 60.0 0 30.0 3 200 0.0 6 100 그 이 벨 포 독 프 헝 영 스 리 탈 기 르 일 랑 가 국 페 스 리 에 투 스 리 인 0 아 갈 10.1 10.5 10.8 10.12 11.4 11.8 11.12 12.4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2
  • 14. <유럽경제> 유럽 재정위기가 금융위기에서 실물경기 위기로 전이 – 1Q 0.0% 성장은 2009년 4분기 이후 최저 실물경기 위기 5월까지 PMI 제조업 지수는 10개월 연속 기준치 하회, 6월 센틱스 투자기대지수도 하락폭 확대 주요 경제지표의 최근 월까지 부진으로 2분기 성장률은 1분기 하회 전망 – 전년비 마이너스 성장 위기의 악순환 – 성장 부진은 결국 부채 증가를 가속화 (세수 감소, 이자비용 증가 등) 2011년 2분기부터 유럽 경제성장률 급격히 둔화 유럽 제조업 업황 부진 및 기업의 투자심리 위축 심각 (%,q/q) (%,y/y) (index=50) (index=0) 유로존 GDP (전분기비, 좌) 유럽 PMI제조업 (좌) 1.0 0.9 3.0 65 30 유로존 GDP (전년동기비) 센틱스 투자기대지수 0.8 0.7 60 20 2.5 10 0.6 55 0.4 0.4 2.0 0 0.4 0.3 50 1.5 -10 0.2 0.1 0.1 45 0.0 -20 1.0 0.0 40 -30 -0.2 0.5 35 -40 -0.4 -0.3 0.0 30 -50 2010 1Q 2010 3Q 2011 1Q 2011 3Q 2012 1Q 08.1 09.1 10.1 11.1 12.1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3
  • 15. <유럽경제> 남유럽 과다채무국(GIPSI)은 재정 의존도가 높아 과도한 긴축 계획이 실물경기에 심각한 부진을 야기 긴축과 성장의 그리스의 긴축안 재협상 요구, 스페인의 은행 위기 등도 경기침체가 주된 요인 – 反긴축 여론 확산 우선순위 논쟁 2012년 유로존 경기침체 확률 55%, 2013년 디플레이션 확률 27% - 경제 펀드멘털 훼손 우려 긴축과 성장의 우선순위 논쟁 – 유럽의 경기안정을 위해 ‘긴축 완화 및 성장 지원’ 채택 가능성 높아 2012년 과다채무국(GIPSI)의 재정긴축 목표와 GDP 하락률 2012년 유로존 경제는 경기침체에 이를 확률 55% (%) (%) 10.0 60.0 7.3 55.0 경기침체 확률(2012년) 6.4 5.4 5.0 4.8 3.7 50.0 디플레이션 확률(2013년) 40.0 35.0 0.0 30.0 26.8 -2.9 -3.0 -5.0 -4.3 21.2 -6.4 20.0 15.3 13.7 -10.0 재정적자 감축목표 10.0 6.0 5.5 GDP 하락률 3.2 3.3 0.01.5 -12.4 -15.0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스페인 이탈리아 0.0 (%p) 미국 유로존 일본 신흥국 남미 기타 자료: 한국은행,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4
  • 16. <유럽경제> 유럽의 위기는 3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완화될 전망 위기는 3Q부터 1) 과다채무국(GIPSI)의 국채만기 도래액은 2분기 최고치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 완화 기대 2) ECB 금리 인하 시행 예상 – 금리인하시 금융비용 감소, 경기부양 효과 기대 3) 유로화 약세에 따른 경상수지 개선 – 환율 영향에 따른 부(富)의 증가 예상 3Q 부터 유럽의 위기 완화를 기대하는 근거 : 1) 국채만기 규모 감소, 2) ECB 금리인하 시행, 3) 유로화 약세에 따른 경상수지 개선 (%,y/y) (10억유로) (USD/EUR) (%,y/y) (10억 유로) 5.0 유럽 전역 소비자물가 10 유로존 경상수지(좌) 1.1 3.0 GIPSI 만기(좌) 240 221 독일 소비자물가 달러/유로 환율 (역계열) 유로화 약세 유로존 GDP 220 2.5 4.0 ECB 정책금리(%) 5 1.2 195 2.0 200 177 3.0 0 1.3 180 1.5 158 147 146 160 2.0 -5 1.4 1.0 135 127 140 124 0.5 113 1.0 -10 1.5 120 104 0.0 100 0.0 -15 1.6 -0.5 80 -1.0 -20 1.7 -1.0 60 07.1 08.1 09.1 10.1 11.1 12.1 07.1 08.1 09.1 10.1 11.1 12.1 2Q 10 2Q 11 2Q 12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5
  • 17. <유럽경제> 유럽 경기 싸이클은 상저하고 예상 – 전기비로 2Q 저점 이후 완만한 성장 회복 전망 하반기 회복에도 하지만 과다채무국(GIPSI)은 연간 마이너스 성장 예상 – 이탈리아, 스페인의 마이너스 성장 불가피 연간 마이너스 2012년 유럽 27개국 경제성장률은 0.0%, 유로존 17개국 경제성장률은 -0.3% 전망 성장 전망 유럽 위기가 지연될 경우 성장 부진은 더 악화될 수 있음 유로존 GDP, 전기비는 2분기 저점, 전년비로 3분기 저점 예상 과다채무국의 경기침체가 유럽경제의 마이너스 성장 배경 (%,y/y) (%,q/q) (%,y/y) 2.5 유로존 GDP 전기비 1.5 4.0 3.0 2011 2012 유로존 GDP 전년비(좌) 1.5 1.5 1.7 2.0 1.2 2.0 0.70.6 0.6 0.4 0.4 0.7 0.0 0.0 1.5 0.9 0.7 -0.3 -2.0 -1.3 -1.0 -1.6 1.0 0.6 -4.0 -3.3 0.5 0.3 -4.4 0.1 0.1 -6.0 0.0 0.0 -6.9 -8.0 E E 영 독 프 이 스 포 그 -0.1 -0.5 -0.3 U M 국 일 랑 탈 페 르 리 -0.2 2 U 스 리 인 투 스 7 1 아 갈 -1.0 -0.6 7 2010 2011 2012 2013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Eurostat,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6
  • 19. <미국경제> 미국의 경제성장은 개인소비 및 민간투자 회복이 기여, 특히 개인소비지출 기여가 긍정적 민간경제활동의 민간투자는 설비투자 둔화에도 건설투자 회복이 플러스 기여, 재고 조정도 원활 점진적 회복 순수출 성장 기여도는 미미한 수준 – 수출과 함께 수입도 증가 (내수 경기회복, 달러화 강세 영향) 반면 정부지출은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 주 정부 및 지방 정부 지출이 전반적으로 감소 2011 2Q ~ 2012 1Q 미국 GDP의 지출항목별 성장률 (전반기 연율, %, q/q, ann) (%p,q/q,ann) 4.0 2011 2Q 2011 3Q 2011 4Q 2012 1Q 3.0 1.9 1.9 2.0 1.0 1.0 0.4 0.2 0.2 0.0 -1.0 -0.8 -1.1 -2.0 GDP 개인소비 정부지출 설비투자 건설투자 재고 수출 수입 자료: 미국 경제분석국(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18
  • 20. <미국경제> 미국의 경기선행 싸이클과 동행 싸이클은 엇갈린 행보 지속 (~2012.04.) 美 경기 동행 싸이클은 비교적 견조한 흐름 – 제조업 생산활동 및 신규고용 증가 영향 싸이클의 선행 싸이클은 매우 완만한 속도로 둔화 – 금융지표 및 실물경기 선행지표 증가세가 전반적으로 둔화 현 주소 대외 불안 요인이 진정된다면 미국의 선행경기 싸이클은 2Q 저점, 하반기 점진적으로 회복 예상 동행 싸이클은 비교적 견조, 선행 싸이클은 완만하게 둔화 대외 불안 요인이 진정된다면 선행 싸이클은 2분기 저점 예상 (%,y/y) (%,y/y) (%,y/y) 20 경기선행지수 (전년동월비) 20 경기선행지수(좌) 9 경기동행지수 경기선행지수 (전반기 연율) 15 6 10 10 3 5 0 0 0 -5 -3 -10 -10 -6 -15 -20 -9 -20 -25 -12 -3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Conference Board,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onference Board,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19
  • 21. <미국경제> 민간투자 증가세는 양호한 수준 – 설비투자, 건설투자, 재고 등이 전반적으로 풍부한 상황 투자와 소비의 2분기 신규고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투자의 확장국면은 지속 – 투자의 급격한 위축은 없을 전망 선 순환 싸이클 고용 증가와 경기 안정 등으로 소비지출 개선 – 소비자신용 증가 및 저축률 하락 투자에서 소비로 이어지는 경기 선순환 싸이클은 미국 경제의 펀드멘털 개선을 시사 민간투자 회복과 신규고용 증가, 2분기 조정에도 확장세 지속 소비자 신용 증가와 저축률의 하락 – 소비 증가의 주요 배경 (10억 달러) (%,y/y) (%.y/y) (천명) 40 소비자 신용(좌) 0 15 분기 신규 취업자수 1500 가처분소득 대비 저축률(역계열) 고정투자 (재고제외, 좌) 10 1000 30 2 5 500 20 0 0 4 10 -5 -500 0 6 -10 -1000 -10 -15 -1500 8 -20 -20 -2000 -30 10 -25 -25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EA,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0
  • 22. <미국경제> 지난 1~2차 QE 시행 시점에 비해 실업률 하락, 근원 PCE는 상승 – QE3 시행에 대한 명분 부족 ‘제한적 QE3’ 최근 FOMC 의사록, 추가 경기부양 조치를 위한 조건으로 ‘경기 악화, 금융시장 충격’ 명시 다만 침체된 건설경기, 주택시장 부양을 위해 “부실 MBS 매입” 등은 가능한 시나리오 ‘제한적 QE3’ – 경기(통화량)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부실자산 매입 조치 1~2차 QE 시행 시점에 비해 QE3에 대한 명분은 부족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제한적 QE3’는 가능한 시나리오 (%) (%,y/y) (10억 달러) (10억 달러) 12 실업률 (좌) 3.0 14,000 실질 GDP (좌) 900 근원PCE 건설투자 '11.08.O.T. 12,000 700 9 2.0 10,000 500 2006년 이후 건설 6 1.0 투자 55% 급감 8,000 300 '09.03.QE1 '10.11.QE2 3 0.0 6,000 100 08.1 09.1 10.1 11.1 12.1 95 97 99 01 03 05 07 09 11 자료: FRB,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21
  • 23. <미국경제> 2011년부터 2022년까지 약 3조 달러의 재정긴축 장기 플랜 수립 (2011. 09. 오바마 플랜) 재정긴축에 따른 한편 2012년까지 세제 감면 등 경기부양 조치 시행 – ‘先 성장 後 긴축’, 정부부채 증가 감안 정부지출 감소 2013년부터 세제 혜택 축소, 민간 이전소득 감축 등 재정긴축 시행 – 세수 증대, 세출 감소 2011~2013년까지 정부지출 감소 – 미국 경제성장에 있어 정부지출의 마이너스 성장기여 예상 2011년에 이어 2012년에도 정부지출은 마이너스 성장 예상 2013년까지 정부지출 감소, 2014년부터 정부지출 증가 전망 (%p) (%,y/y) (%/GDP) 1.0 지방정부 기여도 2.0 정부지출 증가율(좌) 0.0 연방정부 기여도 0.8 정부부채 장기계획(역계열) 10.0 정부지출 증가율 1.5 0.6 20.0 0.4 1.0 30.0 0.2 0.5 40.0 0.0 50.0 -0.2 0.0 60.0 -0.4 -0.5 -0.6 70.0 -0.8 -1.0 80.0 1992 1997 2002 2007 2012 1982 1987 1992 1997 2002 2007 2012 2017 2022 자료: BEA,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EA, CBO, 대신경제연구소(DERI) 22
  • 24. <미국경제> 2012년 1Q GDP가 속보치 2.2% (ANNA, 전기비 연율) 성장에서 수정치 1.9%로 하향 상저하고 싸이클, 2분기 이후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전기비 연율로 1.8% → 2.1% → 2.4% 등 완만한 성장 예상 연간 2.1% 전망 개인소비지출과 민간투자가 성장 주도, 정부지출은 연간 마이너스의 역성장 예상 상저하고의 경기 싸이클이 예상되나 전반적으로 매우 완만한 경기 흐름 예상 2012년 미국 주요 경제지표 전망치 2012 2011 1Q 2Q (F) 3Q (F) 4Q (F) 연간 (F) %, y/y 1.7 2.0 2.0 2.1 2.0 2.1 실질 GDP %, q/q - 0.5 0.4 0.5 0.6 - %, q/q, ann 1.7 1.9 1.8 2.1 2.4 2.1 개인소비지출 2.2 1.8 2.2 2.1 2.0 2.0 구성항목 민간투자 4.8 8.8 7.7 9.6 6.6 8.1 (%,y/y) 정부지출 -2.1 -2.3 -2.3 -2.9 -2.5 -2.5 GDP Consensus %, q/q, ann 1.7 1.9 2.2 2.4 2.5 2.2 소비자물가 3.2 2.8 2.3 2.0 2.2 2.1 근원PCE 1.4 1.9 1.8 1.8 1.8 1.8 주요지표 실업률 9.0 8.1 8.1 8.1 8.0 8.1 기준금리 0.25 0.25 0.25 0.25 0.25 0.25 자료: 미국 경제분석국(BEA), Bloomberg 전망: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3
  • 26. <중국경제> 2012년 1/4분기 GDP 성장률은 8.1% 기록 금융위기 직전 수준에 근접, 2/4분기 유로존 재정위기 우 하반기 내수 려 등 대외 불확실성 등으로 저점은 2/4분기에 형성될 가능성 상존 성장 회복세 내수 주도의 성장 구도 전환에서의 경제 성장 감속 과정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2012년 8% 대 초반의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 유효 중국 GDP 성장률 저점 확인은 2/4분기에 가능 중국 경제는 내수 주도의 성장 구도 전환 진행 (y/y, %) GDP(전년대비) (%) 14 GDP(전분기대비) 투자 소비 순수출 120 11.9 12 100 5.8 10 25.2 44.8 8.1 80 7.9 8 56.8 60 6 53.7 40 4 61.1 20 37.3 2 21.1 0 -5.9 0 09 10 `11 12 -20 1Q 1Q 1Q 1Q 1978~2001 2002~2007 2008~2011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CEIC, 대신경제연구소(DERI) 25
  • 27. <중국경제> PMI 제조업 경기는 단기간 수요 둔화, 재고 조정 등으로 회복세가 더뎌질 것으로 판단되나, 정부의 통 재고 조정 이후 화긴축 완화 및 대외 불확실성 감소 등으로 하반기 회복 추세는 유효 반등 국면 예상 글로벌 제조업 경기와 중국 제조업 경기 동조화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하반기 글로 벌 경기 회복세와 맞물린 반등 가능성 높아 중국 제조업 경기 재고 조정 이후 하반기 반등 예상 글로벌 제조업 경기와 G2 제조업 경기 동조화 (INDEX) (INDEX) 2011.3월 05~10년 평균 2012.3월 58 2011년 53 아시아 신흥국 산업생산 증가율 간의 상관관계 0.82 2012년 기준선 52 0.79 56 51 0.76 54 50 0.73 52 49 0.7 50 48 0.67 글로벌 제조 글로벌 제조 글로벌 제조 G-2 제조 업 PMI - 업 PMI - 업 PMI 신규주문 수출주문 업 PMI 48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IMF, 대신경제연구소(DERI) 26
  • 28. <중국경제> 중국 부동산 규제 지속 등 투자 감소에 따른 고정자산투자 감소세는 불가피한 상황. 그러나 정부의 인 정책효과로 프라 투자 확대, 보장성 주택 건설 투자 등은 고정자산 투자의 급격한 둔화를 제한할 전망 내수 경제 성장 중국 내 인플레이션 완화와 더불어 정부의 소비 부양책 등의 영향으로 향후 실질 소매판매는 점진적으 로 개선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 부동산 투자 감소에 따른 고정자산 투자 감소세는 불가피 인플레이션 완화, 정부의 소비 부양 정책에 힘입어 실질 소매 판매는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 (y/y, %) (y/y, %) (y/y, %) 중 소비자신뢰지수 (INDEX) 소매판매(우) 60 120 115 25 신규건설계획 실질 소매판매(우) 55 고정자산투자 100 50 80 20 110 45 60 40 15 40 35 105 20 30 10 0 25 20 -20 100 5 15 -40 10 -60 95 0 04 05 06 07 08 09 10 11 12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7
  • 29. <중국경제> 2012년 중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3.3%에 이르는 등 하향 안정화될 가능성 높아 이는 정부의 인플레이션 정책 운신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 그러나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은 아니므로 물가 관리에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전망 압력 완화 지속 이미 두 차례 지급준비율 인하와 6월 금리 인하(25bp) 등 통화긴축 완화 등의 영향으로 향후 유동성 환 경 개선에 따른 실물경기지표 반등세가 나타날 것으로 판단 중국 내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완화되고 있어 정부의 통화 긴축 완화 등 경기 부양 효과 기대 (y/y, %) (%) (y/y, %) 15 25 10 소비자물가 지급준비율 생산자물가 소비자물가(우) 8 10 20 대출금리(우) 6 5 15 4 2 0 10 0 -5 5 -2 -10 0 -4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8
  • 30. <중국경제> 최근 중국의 수출은 1/4 분기 부진한 흐름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양상. 그러나 2012년 중국 순수출의 하반기 수출 경제성장 기여도는 여전히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 상존 완만한 회복 대유럽 수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 과정 및 경기 회복 과정이 중국 수출 회복의 열쇠가 될 전망 수출은 1/4 분기 부진한 흐름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모습 결국 유로존 재정위기 및 경기 회복이 중국 수출 회복에 열쇠 (y/y, %) (10억 달러) (y/y, %) 대 유럽 무역수지(우) 대 미국 100 수출 80 대 아시아 66 수입 80 60 48 60 30 40 40 20 12 20 0 -6 0 -20 -24 -20 -40 -60 -42 -40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29
  • 32. <국내경제> 2012년 국내경제는 글로벌 경제환경 악화에 따라 전년대비 3.2% 성장 전망 경제성장률 내수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나 유럽 경제위기로 수출은 부진할 전망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내수 3.1%p, 순수출 0.2%p 전망) 경제성장 패턴은 하반기 유럽 경제위기 완화, 미국과 중국의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상저하고’형을 보일 전망 (전분기비 기준 성장: 상반기 0.8%, 하반기 1.2%) 국내총생산(GDP) 성장 전망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 (%) (%p) 전분기비(좌축) 전년동분기비 6 4.5 1.6 2011 2012 5.0 5 1.3 1.4 4.0 1.2 4 1.2 1.1 3.0 3.1 3.5 3 1.0 0.8 0.8 0.9 1.9 2.0 2 1.8 0.7 0.8 1.5 3.0 1.1 0.6 1 0.2 2.5 0.3 0.4 0 -0.3 2.0 0.2 -1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소비 투자 수출 내수 순수출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1
  • 33. <국내경제> 민간소비는 실질구매력 증대(교역조건, 물가안정세, 원화가치 상승)와 양호한 고용여건을 바탕으로 점 민간소비 진적으로 확대될 전망 2012년 민간소비는 전년대비 2.7% 증가 전망 (상반기 2.2%, 하반기 3.2%) 부동산 침체와 가계부채 축소 정책 등은 소비제약 요인 민간소비와 교역조건 민간소비와 소비자기대심리 (%,y/y) (%,y/y) (%,y/y) 8 20 8 120 민간소비 민간소비 6 15 6 115 교역조건(우축) 소비자기대심리(우축) 4 10 4 110 2 5 2 105 0 0 0 100 -2 -5 -2 95 -4 -10 -4 90 -6 -15 -6 85 2009 2010 2011 2012 2009 2010 2011 2012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2
  • 34. <국내경제> 설비투자는 전년도 기저효과, 하반기 원화가치 상승으로 인한 자본재수입 비용 감소, 세계경기 회복에 투자 따른 수출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대비 6.7% 증가 예상 건설투자는 지난 2년간의 감소에서 벗어나 2.3% 증가할 전망. 토목건설이 정부의 SOC예산 축소로 부 진이 예상되나, 민간 건축을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전망 (건설투자의 선행지표인 국내 건설수 주액 증가 추세) 설비투자 전망 건설투자 전망 (%,y/y) (%,y/y) (%,y/y) 40 8 건설투자 50 30 국내건설수주액(우축) 4 30 20 10 0 10 0 -4 -10 -10 설비투자 수출 -20 -8 -30 기계류내수출하 -30 -12 -50 2009 2010 2011 2012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3
  • 35. <국내경제> 수출(통관기준)은 상반기 중 유럽 경제위기 악화, 해외수요 부진 영향으로 전년동기대비 1.5%증가에 그 대외부문 친 뒤, 하반기에는 글로벌 경기회복세에 힘입어 8.5% 증가로 확대될 전망 하지만 2012년 연간으로는 상반기 극심한 수출부진으로 전년도(19.0% 증가)보다 크게 둔화된 4.8% 증가에 그칠 전망. 무역수지는 전년대비 100억 달러 축소된 연간 208억 달러 흑자 예상 경상수지는 내수확대로 인한 상품수지 흑자 폭 축소와 여행수지 개선 등 서비스수지 적자 폭 축소로 연 간 192억 달러 흑자가 예상됨. 수출입 증가율과 무역수지 전망 경상수지 전망 (억달러) 경상수지 (상반기) 무역수지 (억달러) 상품수지 수출(통관) 500 40 400 서비스수지 수입(통관) 400 30 300 300 20 200 200 10 100 100 0 0 (상반기) (하반기) 0 -10 -100 -100 -20 -200 -200 -30 -300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07 08 09 10 11 12 자료: 지식경제부,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4
  • 36. <국내경제> 2012년 소비자물가는 경기부진에 따른 총수요압력 하락, 정부의 보육료, 급식비 지원 등 정책효과, 전 물가 년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4.0% 상승)대비 1.4%p 하락한 2.6% 상승 전망 하지만 높게 유지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율,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 중동 정세변화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가능성 등 물가불안 요인들도 상존 상품성질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여도 소비자물가 전망 (%,y/y)` (%,y/y)` 소비자물가(좌축) (%,%p) 5 30 유가(WTI) 5 2011년 원/달러환율 2012년 1~5월 평균 4 20 3 4 2 10 1 3 0 0 농축수산물 전기수도가스 공공서비스 -1 소비자물가 공업제품 집세 개인서비스 2 -10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5
  • 37. <국내경제> 고용여건은 민간부문을 중심으로 취업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실업률은 하락할 전망 (2012년 취업자 고용 수 33만 명 증가, 실업률 3.4% 예상) 전반적으로 고용여건은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수출부진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가 영세 자영업 위주의 도소매음식숙박업 등에서 증가하는 등 고용의 질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함. 경제성장률 하락에 따라 향후 취업자 수 증가세는 둔화될 전망 제조업과 서비스업 취업자수 증감 추이 실업률 및 취업자수 전망 (만명) (만명) (%) 60 서비스업 제조업 50 3.8 취업자수 42 50 40 실업률 3.6 40 32 33 30 30 30 28 30 3.4 20 20 14 10 3.2 10 0 3.0 0 -10 -20 -10 2.8 2010 2011 2012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통계청, 대신경제연구소(DERI) 36
  • 38. <국내경제> 기준금리는 현 수준인 3.25%에서 연내 동결될 전망 통화정책 유럽 경제위기 악화와 미국과 중국경제의 경기회복세 지연 등 대외경제의 불확실성 확대로 당초 예상 했던 올 4분기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을 통한 금리 정상화는 지연될 전망 국내 경제기초여건, 높게 유지되고 있는 기대인플레이션율,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저금리 부작용 등을 고려할 때 대외경제 환경 개선 시 적정금리 수준으로의 정책변화가 요구됨. 기준금리 전망 (%) 기준금리 7 소비자물가상승률 6 실질금리 기대인플레이션율 5 4 3 2 1 0 -1 -2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통계청,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7
  • 39. <국내경제> 2012년 원/달러 환율은 연평균 1,120원 예상(2011년 1,108원) 환율 원/달러 환율은 1분기 중 하락세에서 2분기 들어 유럽 경제위기 악화로 인한 안전자산선호 경향로 큰 변동성을 보이며 상승함. (1분기 1,132원, 2분기 1,144원 예상) 원화의 실질실효환율은 15%내외 저 평가되어 있으며, 하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 외환공급우위 현 상 등이 반영되며 원/달러 환율은 하락추세를 나타낼 전망 (3분기 1,115원, 4분기 1.090원 전망). 엔/ 달러 환율 80.6엔, 원/엔 환율 1,389원 예상 원화의 실질실효환율 원/달러, 엔/달러, 원/엔 환율 전망 1,600 원/달러환율 84 120 원/엔환율 1,500 엔/달러환율(좌축) 110 82 100 1,400 80 90 1,300 78 80 1,200 70 76 1,100 60 1,000 74 05 06 07 08 09 10 11 12 2011 2Q 3Q 4Q 2012 2Q 3Q 4Q 자료: Bloomberg, 대신경제연구소(DERI) 자료: 한국은행, 대신경제연구소(DERI) 38
  • 40. Compliance Notice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당 리서치센터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 및 정보로 얻어진 것이나 정확성을 보 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고객의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 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 자료 작성일 현재 본 자료에 관련하여 위 애널리스트는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 본 자료에는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였습니다. • 동 자료는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