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36
제1절 : 교육과정의 활동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제3절 : 교육과정 개발 분야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201325020 신다솜
제1절 :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을 문서로 만드는 활동.
2) 교육과정 운영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서 채택·실행에 옮기는 과정
3)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
평가하는 목적: 교육과정 개발이나 운영 활동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결과를 사정하여
교육과정의 유지와 수정 및 폐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2.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교육과정 및 수업 모형
가치
교육
목표
교육
과정
수업
계획안
실현된
학습성과
교육
결과설정
교육과정
개발 계획과정
수업목표 수
업
발
전
어떻게
실행
왜
정당성
평가계획과정
평가계획안
→교육의 과정은 직선적(한 과정이 완결된 후 다음 단계가 시작됨)으로
진행되지 않고, 상호 역동적인 방식으로 전개됨.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교육과정 개발: 바람직한 교육목표의 성취를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동원되는 여러 관련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매개가 되는 교육환경을 구조화하는 일.
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우선 생각해야 할 것
1. 개발의 실체-무엇
2. 개발의 기술-어떻게
교육과정 개발 활동: 교육과정 개발 활동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이
 어떠한가에 따라 교육 과정의 개발 형태는
 달라질 수 있음.
 교과를 가르치는 활동이 있는 곳이라면 교육과정을 필요로 함.
그러나, 교육과정을 보는 관점이 다양해지면서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상이한 교육과정 개발로 나타나게 됨.
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 특성에 관한 정보나, 교과의 지식체계에
의하여 교육과정 개발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게 됨.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의 결정은
미래 사회의 성격을 바꾸어 놓기도 함.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교육과정 개발: 설계와 아울러 그 이론적 배경 그리고
계획시행평가개발하는 수단과 방법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 교육과정 설계: 목적내용 또는 경험조직평가를 다루는 기술 강조
→따라서, 설계는 계획과 계획의 특성을 고안하는 일이고
개발은 계획 입안과 그 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체적 편성
을 다루는 것.
3. 교육과정 개발 활동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주요 이론
교육과정
개발준비
변화와
혁신에
대한
압력
교육과정
계획,
설계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의
생산
확산 활동
교육과정
채택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정착
변화와
혁신에
대한
새로운
압력
평가 활동
상황 요인들 보급활동
교육과정 개발활동
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맥락과 지배적인 이론 및 모형에 기초한다.
-교육에 대한 변화와 혁신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준비, 계획, 설계한다.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현장에서 채택되어 시행된 후 일정기간 유지(제도화)된다.
-또 다른 교육과정 변화와 혁신의 압력에 직면하면, 지금까지의 절차가 반복된다.
제3절 : 교육과정 개발 분야
1. 교육과정 개발 분야
 교육과정 개발: 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들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
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 답하는 데 관심을 갖는 질문들.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곳(수준)은 어디며,
시대가 바뀌면서 개발 수준의 강조점에도 변화가 있어 왔는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관련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집단)은 누구인가?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2.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곳(수준)은 어디며,
시대가 바뀌면서 개발 수준의 강조점에도 변화가 있어 왔는가?
→우선 생각해야 할 것은 개발의 대상과 수준을 확정하는 일.
대상은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견해를 달리함.
교육과정 개발의 각 수준들을 연구하는 기회가 많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나 과정을 이해하여야 함.
 관점이 정해지면 과정계획, 시행, 평가로 나아가게 되며
특정 개발 모형에 국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교육과정 개발 중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 교육과정 개발 활동에서
적용되는 일반적 흐름은 공통적임.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일반적 흐름
원천의 고려
 사회
 학습지
 지식
주요 조정자로부터
시각의 선택
 교육철학
 학습심리학
외부의
영향에
대한 반응
일반적
정향의
확인
교육과정의
준비
교육과정의
시행
교육과정의
평가
 교육과정을 새롭게 만들거나 개정할 때 필수적이며,
교육과정 개발을 명료화하는 출발점이자 지침.
 학교체제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있는 단계
 누가 우선순위를 정하고, 일정표를 만드는가?
 누가 구성원을 교육과정위원회에 임명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위원회의 노력을 조정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계획하는가?
 교육과정이 승인되어진 후에,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단계
 누가 학습 자료와 활동을 결정하는가?
 누가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준비시키기 위해 어떤
직원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교육과정이 기대를 충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누가 어떻게 교육과정이 평가될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누가 평가를 수행하는데 책임을 지는가?
 누가 평가의 결과를 교사, 행정가, 학교위원회구성원, 대중에게
보고하는 책임을 지는가?
3.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집단 및 절차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1) 의사결정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사람은 교육의 질에 관심이 있는,
미래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교육과정에 참여해야 함.
2) 참여집단
 주체집단: 교육전문가, 교과전문가, 교장, 교사, 학문 영역대표자,
교육관료 집단, 학교행정가, 학부모 및 시민, 학생
 시발집단: 정치가, 언론매체
 실제적인 교육과정 영향을 미치는 집단: 교과서, 출판사, 저자
(1) 교과전문가
- 교과전문가들은 대학과 학교, 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근무하며,
각 교과교육 연구회와 연구기관을 통해 활동.
-이들은 학문의 본질을 발견하기 위한 중심 개념과 규칙을
밝혀줌으로써 교육과정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교육전문가
- 교육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평가 전문가, 문서작성 기술자
교육과정 전문가는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거나
연구결과를 현장 개선을 위해 활용.
- 프로그램을 개념화하고 설계하며 이행하는 데 책임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이해가 필요.
- 인간관계에서도 민감해야 하며, 인내심이 있어야 하고,
의사결정과 지도성에 있어서도 역량을 필요로 함.
(3) 교장
- 교장은 학교의 최고 관리자이며 리더로써 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책임을 지며,
교직원의 인사시설재정에 대한 권한이 있음.
 교장의 통제와 장학의 영역
- 교육과정과 수업
- 학생의 학문적 성취
- 학생의 비학문적 발달
- 교직원의 전문적, 개인적 수행
- 행정과 학교 조직
- 학교 시설
- 외부와의 관계: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과 정기적 의사소통 유지와
구, 혹은 주 교육부와 정기적인 의사소통
 교장의 지도자 유형: 응답자, 관리자, 주도자
- 응답자형 교장: 교직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함.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보다 스스로를 억제하며
요구하지 않으며, 도움은 주지만 장기적 목적이나
위기에 대한 대책은 갖고 있지 않음.
- 관리자형 교장: 개인적 관계보단 과업성취에 몰두함.
질서 있고 조직화된 일상과업을 위해 정해진 절차를
갖고자 하며, 학교를 개선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조종할 준비가 되어있고,
교사가 자신을 활용하길 원함.
- 주도자형 교장: 학교를 위한 장기 정책과 목적을 갖고 있으며,
교직원과의 관계에서 확고하고 자신 있게 행동함.
이런 유형은 학교에 최선의 이익을 가져오는 것이라면
그 일을 주도하고 가능하게 할 준비가 되어 있음.
(4) 교사
- 교사들은 교과용 도서를 검정하거나 지도서를 연구집필수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과정에 참여.
- 교사들은 외부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창출하는데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에 따라
수용하는 입장과 참여하는 입장으로 구분됨.
교사의 의사결정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실체를 나타내고 교사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 때문에,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영역임.
교사는 교육과정의 어떤 측면을 특정 학급에서 시행하거나
강조해야 할지를 결정함.
교사가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폭이 결정되는 틀
 체제 틀: 교육과정 문서 혹은 체제의 지시 사항.
 학교/기관 틀: 시간표, 자원, 교실 조직과 평가에서의 제한들이
체제의 요구에 맞게 발달되어 옴.
 교직원 틀: 이 틀에서 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 해에 가르칠 내용 조정
- 학생의 평가
- 자원
- 교장의 정책
 학습자의 틀: 교사가 특정 활동에 관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학습자이며, 이 틀은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포함하는 틀임.
 교사 자신의 틀: 모든 교사는 그들의 교실 경험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게 되며, 자아개념에는 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포함되어 있음.
따라서, 교사의 자아개념은 중요한 요소가 됨.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정도
-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수준에 따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자율성의 정도가 결정되는데, 정책수준, 프로그램수준,
수업수준 이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음.
- 대부분의 교사들은 미시적 수준의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하며,
자신만의 특별한 교육과정이나 수업을 만들어감.
- 교사들은 교과서, 교사지도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에 기초하여
계획은 세우며,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심을 둠. 또한, 목표보다는 활동을 결정하는 데 주력함.
교사의 책임 정도
- 헤릭(Herrick)의 교사의 책임 정도에 따른 지위 3가지.
 제1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서와 학교정책들을 단순히 따를 뿐이다.
 제2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학습활동, 특정 과목에 보낼 시간의 양,
학생 평가방법 등을 결정한다.
 제3지위에 있는 교사는 교과서를 초월하여 가르칠 개념을 선택하고
학습 활동을 설계하며 단계들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한계
- 교사가 수업계획서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으나 이보다 더 상위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교사들에게 모두 맡기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음.
특히, 전반적인 철학보다 구체적인 실천에 주목한다는 점,
교육실천에 많은 관심과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 주목한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음.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운영수준
- Hall, Gerorge&Rutherford은 교육과정 적용 모형을 제시하였음.
- 이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사들의 관심, 운영수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줌.
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교사 관심의 단계와 그 표현
관심의 단계 관심의 표현
결과
6. 개선단계 새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에 대해 관심이 있다.
5. 협동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고 조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4. 결과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심이 있다.
새 교육과정의 학생에 대한 적절성,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평가, 학생의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등에 관심이 있다.
업무 3. 운영 단계
새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으며, 정보와 자원의 활용에 관심이 높다.
효율성, 조직화, 관리 방안, 시간 계획,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재를 준비하는 데
관심이 높다.
교사
자신
2. 개인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자신과 자기 주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자신의 역할, 필요한 의사 결정,
기존 조직에 야기한 갈등, 재정적 소요 등을 알고 싶어한다.
1. 정보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대체적인 것을 알고 있고 좀 더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의 특징, 효과, 실천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알고 싶어한다.
0. 지각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거나 관여하지 않는다.
(5) 학문영역 대표 집단
- 학문영역 대표 집단은 자기가 연구하고 있는 전공분야의 권위자들.
- 이들은 연구소에 근무하며 교육과정 개발 업무를 주도하거나 도움을
주는 일군의 학자들.
(6) 교육관료 집단
- 교육관료 집단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청 소속의 교육과정 관련 등의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장학 및 연구진으로 볼 수 있음.
- 이들은 국가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을 마련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제하며, 그 산물을 평가하는 활동에 참여.
(7) 일반 시민
- 학부모를 포함한 일반 시민은 지역사회의 여론을 전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줌.
-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교사나 교장의 추천으로 교장이나
교육장이 임명할 수도 있음.
 Saylor 등은 지역사회와 학부모 대표의 참여를 네 단계로 제시함.
 목표 설정 단계에서 지역사회 대표나 부모는 여러 가지 조언을 하며
 설계 단계에서는 교외활동을 위한 협동 작업을 할 수 있고,
 운영 단계에서는 자원 인사로 학교에 도움을 준다.
 마지막 평가 단계에서는 교재와 수업자료에 대한 검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좋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한다.
(8) 학부모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와 교육과정 계획자가 삶의 실제에 민감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 교육의 구성에 있어 주로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만,
학교 프로그램 운영에 저항 세력으로서 압력집단의 역할을 하기도 함.
- 실제로 대부분의 학부모들의 참여는 수동적 수준에 머무르지만,
학교의 변화를 초래하는데 잠재적 영향력을 갖음.
 학부모가 적극적인 의사결정자가 되어야 하는 찬반 이유
 학부모 참여의 이점
 학교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학부모의 재능, 관심이 교사의 그것과
더불어 활용된다면 학교환경은 매우 풍요로워질 것이다.
 만약 학생이 가정에서 학부모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원되고 강화된다면,
학교에서 학생의 학습수준은 향상될 것이다.
 만약 학부모가 학교생활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면,
그들은 학교의 복잡성을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다.
 학부모는 그들 아동에 대해 법적인 그리고 장기적인 책임을 진다.
그러므로 그들의 삶의 기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 학부모, 학생 간의 공동 목적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 교육에 관련된 이익집단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든 학생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는 가능성을 더 커지게 된다.
 공유된 의사결정은 학부모가 학교에 대하여 법적인 행동을 취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것이다.
 학교가 강력한 정체감을 발달시킬 더 많은 기회가 된다.
 학부모 참여의 단점
 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교사의 전문적인 책임영역에 간섭할 수 있다.
 소수의 압력집단이 의사결정에 편파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참여 민주주의가 높은 수입과 교육받은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때,
불평등이 커질 수 있다.
 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의사결정에 더 많이 참여함으로써 학교의
표준을 하락시킬 수 있다.
 대부분의 지역사회 단체가 매우 보수적이기 때문에 학교는 혁신되기
어려울 수 있다.
 어떤 학부모는 의사결정에서 적극적합리적인 역할을 수행할 시간이 없다.
 학교 교직원은 종종 학부모 참여활동을 꺼리고 반대한다.
 자료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에게 회람되어야 할 때
대외비의 문제로 인하여 문제가 복잡해진다.
 학부모와 교사 간의 보다 개방적인 의사결정이 때로는 교사들은 끊임 없이
‘호출에 즉시 응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 교사가 어떤 학생에 대한 결정을 할 경우, 이 학생에 대해 부가적 정보를
가질 때나 학생의 학부모와 잦은 접촉이 있을 때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다.
(9) 학생
- 교육과정의 수혜자이며 피해자가 되기도 하는 최종소비자.
학생의 교육과정 참여 범위와 정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성숙으로, 학년이 높으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짐.
- 학생은 현 교육과정의 이점과 결점의 많은 부분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최선의 입장에 있음.
- 학생이 교육과정 계획과 평가에 참여할 때 학습은 매우 개선될 수 있음.
 학생참여를 찬성하는 이유
학생은 교육과정을 단지 그대로 받아들이지만은 않기 때문에 자신이
배우는 것의 선택에 참여해야 한다.
 학생은 교육과정에 관여해야 하고, 적극적인 창안자이며 반응자이어야 한다.
 학생은 교육상황에서 고객으로 지각되어야 한다. 그들은 수혜자이며,
어떤 학습 활동에서는 궁극적인 관객이다.
 학생은 학교교육의 생생한 질을 경험한다.
 과외활동에 참여: 중등학교 수준의 학생은 이미 클럽 등의 영역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학생들은 효과적인 지도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켜 왔다. 따라서 효과적인 참여자로서의 잠재력을 갖는다.
학생참여를 반대하는 이유
 의사결정은 전문가에 맡겨야 한다. 교사는 아동발달과 학습방식, 철학적 연구,
교육측정, 교과방법과 같은 영역에서 철저한 훈련을 받은 전문가이다.
 안정된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생산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유지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을 요구한다. 학생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를 주게 되면, 학급 규율과 긍정적인 학급의 교풍을 위해 설명된 규범과
행동규칙을 깨뜨릴 수 있다. 교사는 전문적인 의사결정자로서 학생들의
존경을 받아야 한다.
 공적 시험과 같은 외부의 구속요인은 교사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설정된
학문적 강의계획안을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
만약, 교과서나 시험지향적인 학문적 강의계획안을 대신할 실행 가능한 대안이
없다면 교육과정 계획에 학생이 참여할 여지는 없다.
학생참여의 수준
 개별 학급수준에서는 학생의 의견이 참고 되는 경우부터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단계, 대부분의 교실 활동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학교수준에서는 학생의 의견이 참고 되는 수준에서 학생대표위원회를 통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수준, 그리고 학생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수준까지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이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기회는 거의 없다고 보여진다.
(10) 외부촉진자
- 외부촉진자의 바람직한 속성은 애매함에 관대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잘 적응하며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써 내적 만족을
얻고, 솔직하며 동기와 추진력을 가지는 것.
- 외부자원인사와 기관이 줄 수 있는 도움의 이점으로는 충고,
직접적 도움, 정보획득, 지원과 격려, 자극제공, 지역이나 국가의
규정을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
- 외부촉진자의 활용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교육과정의 지역적
특징을 희석시킬 수 있음.
(11) 언론매체
- 언론매체는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침.
- 언론은 사실 보도를 원칙으로 하지만 사회가 변함에 따라 전달 할 수
있는 사실들 중에서 선택과 배제의 논리에 의해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이 늘어남.
(12) 교과서 출판사
- 수업 운영에서 교과서가 갖는 중심적 위치로 인하여 실제적인
교육과정 형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함.
 어떤 집단&개인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을 어떻게 행사하나?
 학교위원회
- 교육과정 결정자이면서 다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영향력의 범위는 매우 다양함.
 뉴스미디어
- 한 지역에서 교육프로그램이 성공하였다면 그것을 홍보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해 보도록 영향력을 행사함.
하지만, 실패하는 경우 결과만을 부각시켜 매도하는 경향도 있음.
 교재 출판사와 검사도구 제작기관
- 교육정책에서 옹호되는 입장이나 주제들이 무엇인지 잘 알아서,
그것에 맞는 교재를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임.
 고용주
- 기업이 자신들의 이익에 맞게 훈련된 노동력을 생산하도록 압력을 가함.
3) 참여집단의 참여방식
-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기관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남.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행정기관의 주무부서,
대통령 및 정부 자문기관으로서의 위원회
국가 지원 교육과정 정책연구기관 등
 시도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 부서 및 요원,
교육과정위원회 등
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학교장, 교육과정 부장,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
- 교육과정 개발의 질적 수준은 이러한 기관들 중에서 책임 있는 부서가
개발 과정에서 행정체계의 일관성연속성 등을 확보하고,
부서 요원들의 의지지식경험노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에 달라짐.
 교육청과 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 및 관련 집단
교육감
교육과정  수업담당 부교육감
교장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학교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영역별 교과별 학년별
교육과정위원회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4.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정의, 방향,
기본철학, 심리학이고 사회적인 기저 등이 밝혀져야 함.
- 일반적인 교육과정 기초 자원
 학습자 및 학습이론(심리학)
 생활(사회학 및 문화)
 지식의 성질과 가치(철학)
-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되는 몇 가지 요점들
 교육과정 개발자는 지식의 성질은 물론 무엇이 가치 있는가에 관한
견해를 가져야 한다(철학).
 이러한 견해들은 개발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사회, 문화 및
미래사회의 요구라는 맥락 속에서 설정되어진다(사회학 및 문화).
 앞서 관련된 견해나 자료를 수정하기 위해 심리학(학생의 성격과
학습방법을 다루는)이 활용된다(심리학).
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초 학문들
1. 철학적 준거
 목적
 가치
 지식의 구조
2. 사회적 고려
 사회적 변화
 기술공학적 변화
 이념적 변화
4. 심리적 이론
 발달
 학습
 수업
 동기
3. 문화로부터 선정
4. 조직된 교육과정
5.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절차
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브레디: 객관주의 모형과 상호 작용 모형, 과정 모형으로 제시.
 밀러와 셀러: 교육과정 입장을 전달 입장, 상호작용 입장,
변형 입장으로 나누어 제시.
 마쉬와 위리스: 목표 모형, 숙의 모형, 예술적 모형으로 구분.
 Print: 합리적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 모형으로 구분.
 Helbowitsh: 거시적 교육과정과 미시적 교육과정으로 구분.
- 거시적 교육과정: 특수전문 교육이 균형 있게 운영되는 것이 목적
- 미시적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초점이 교실에 기초한 활동의 개발과
운영에 있으며,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활동들을 포함.
 Ornstein & Hunkins: 교육과정 개발 접근을 기술적-과학적 접근과
비기술적-과학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설명함.
- 기술적-과학적 접근: 행동주의적-합리적 접근, 체계-관리적 접근,
지적-학구적 접근을 포함. 객관성, 일반성에
기초를 두고 논리적 합리성을 중시
- 비기술적-비과학적 접근: 인본주의적-심미적 접근, 재개념주의자들의
접근을 포함. 주관적, 심미적, 총체적이며
융통성을 강조.
 Posn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절차적 모형, 서술적 모형, 개념적 모형,
비판적 모형의 네 가지로 나눔.
- 기술적 산출 시각
a. 절차적 질문: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어떤 단계를 따라야 하는가?
b. 기술적 질문: 실제로 교육과정은 어떻게 계획되는가?
c. 개념적 질문: 교육과정 계획의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은 서로 개념적으로 관련되는가?
- 비판적 시각
a. 이념적 질문: 교육과정 계획의 기초를 이루는 가정은 무엇이며,
그것의 정치적사회적 함의는 무엇인가?
b. 문제-제기 방법:“문제-제기” 방법은 교사와 학생을 “비판적 공동
조사자”로 보며 그들 간의 “대화”를 강조.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
 교육과정 모형의 연속성
합리적/목표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Tyler,Taba Wheeler, Nicholls Walker, Skibeck
- 합리적/목표 모형: 계열적, 개발과정에 관한 엄격한 접근 과정
-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신축성, 상호 작용적, 수정 가능한 과정
 교육과정 개발 모형
처방적
기술적
합리적/목표 역동적/상호작용
Tyler
Taba
Print Nicholls
Wheeler
Posner
Stenhouse
Skibeck
MeDonald & Purpel
Walker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ErwinHariKurniawan2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Widya Ajeng Pemila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Narendra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Penilaian Kinerja Guru ( PKG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purdiyanto -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sargis_1979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Dian Sari
 

La actualidad más candente (20)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Buku Panduan pelajaran Berderensiasi
 
LK Ruang Kolaborasi Pemahaman CP.pptx
LK Ruang Kolaborasi Pemahaman CP.pptxLK Ruang Kolaborasi Pemahaman CP.pptx
LK Ruang Kolaborasi Pemahaman CP.pptx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Prinsip pengajaran kosakata bahasa asing
 
Laporan PPDB Lengkap
Laporan PPDB LengkapLaporan PPDB Lengkap
Laporan PPDB Lengkap
 
Ktsp 2006 vs kurikulum 2013
Ktsp 2006 vs kurikulum 2013Ktsp 2006 vs kurikulum 2013
Ktsp 2006 vs kurikulum 2013
 
Modul 2.3. Coaching untuk Supervisi Akademik - Final.pdf
Modul 2.3. Coaching untuk Supervisi Akademik - Final.pdfModul 2.3. Coaching untuk Supervisi Akademik - Final.pdf
Modul 2.3. Coaching untuk Supervisi Akademik - Final.pdf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Berita acara pelaksanaan seminar laporan hasil penelitian
 
PPT MMP (Bahasa Indonesia).pptx
PPT MMP (Bahasa Indonesia).pptxPPT MMP (Bahasa Indonesia).pptx
PPT MMP (Bahasa Indonesia).pptx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Penilaian Kinerja Guru ( PKG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Penilaian Kinerja Guru ( PKG )
 
Organisasi pemerintahan masa depan
Organisasi pemerintahan masa depan Organisasi pemerintahan masa depan
Organisasi pemerintahan masa depan
 
Merancang proyek-perubahan-format
Merancang proyek-perubahan-formatMerancang proyek-perubahan-format
Merancang proyek-perubahan-format
 
Metode Pemmbelajaran yang Berpusat pada Siswa
Metode Pemmbelajaran yang Berpusat pada SiswaMetode Pemmbelajaran yang Berpusat pada Siswa
Metode Pemmbelajaran yang Berpusat pada Siswa
 
Kb 2 modul 1
Kb 2 modul 1Kb 2 modul 1
Kb 2 modul 1
 
Pelaksanaan Evaluasi Program dan Kegiatan di Lingkungan Instansi Pemerintah
Pelaksanaan Evaluasi Program dan Kegiatan di Lingkungan Instansi Pemerintah Pelaksanaan Evaluasi Program dan Kegiatan di Lingkungan Instansi Pemerintah
Pelaksanaan Evaluasi Program dan Kegiatan di Lingkungan Instansi Pemerintah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Սեմինար ՝՝մեթոդ և հնար՝՝
 
T3 demonstrasi kontekstual.pptx
T3 demonstrasi kontekstual.pptxT3 demonstrasi kontekstual.pptx
T3 demonstrasi kontekstual.pptx
 
Bahan Tayang Lokakarya 04 PGP_Penguatan Praktik Coaching.pptx
Bahan Tayang Lokakarya 04 PGP_Penguatan Praktik Coaching.pptxBahan Tayang Lokakarya 04 PGP_Penguatan Praktik Coaching.pptx
Bahan Tayang Lokakarya 04 PGP_Penguatan Praktik Coaching.pptx
 
struktur kurikulum km 56 262 pemilihan mapel.pptx
struktur kurikulum km 56 262 pemilihan mapel.pptxstruktur kurikulum km 56 262 pemilihan mapel.pptx
struktur kurikulum km 56 262 pemilihan mapel.pptx
 
Program Organisasi Penggerak
Program Organisasi PenggerakProgram Organisasi Penggerak
Program Organisasi Penggerak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Ppt penguatan pendampingan individu
 

Destacado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parkhyemi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201325019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201325004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Nara Lee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132534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201325025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슬 이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은영 장
 

Destacado (11)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의기초Ppt(144~179 p)201325019 신나영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제 6장
제 6장제 6장
제 6장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 144~179쪽 전주연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교육과정의기초PPT(260~292P)201325025 유지혜
 
필드리서치 Ppt
필드리서치 Ppt필드리서치 Ppt
필드리서치 Ppt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Similar a 교육과정Ppt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tngml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1ERICK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201325004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인정 김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Ju Chan Kim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khseon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Nara Lee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Heekyung12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슬기 이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영민 조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gayoung07
 

Similar a 교육과정Ppt (20)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학교교육 제4의 길과 미래 교육과정의 탐색(세종시 연수)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2015교육정보화 연구대회 설명자료(최종본)
 
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교육과정 요약
교육과정 요약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intel teach 21세기역량평가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교육과정의기초Ppt(293~326쪽)201325006김인정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12장 학교와 학급경영 (201225041김화선)
 
제 13장
제 13장제 13장
제 13장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
교육과정
 
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교육공학   저널Pdf
교육공학 저널Pdf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한국어번역)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자를 위한 디자인사고 툴킷 2.0 한글 번역본 - IDEO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실제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04 교육공학의기저이론 학습이론(구성주의)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제5장 교수방법 및 교수설계(180p - 218p)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수방법 및 교수 설계Ppt(p219~259)201225042최가영
 

교육과정Ppt

  • 1. 제1절 : 교육과정의 활동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제3절 : 교육과정 개발 분야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201325020 신다솜
  • 2. 제1절 :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의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을 문서로 만드는 활동. 2) 교육과정 운영 개발된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서 채택·실행에 옮기는 과정 3)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의 가치를 판단하는 활동. 평가하는 목적: 교육과정 개발이나 운영 활동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교육과정 운영의 결과를 사정하여 교육과정의 유지와 수정 및 폐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 3. 2.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교육과정 및 수업 모형 가치 교육 목표 교육 과정 수업 계획안 실현된 학습성과 교육 결과설정 교육과정 개발 계획과정 수업목표 수 업 발 전 어떻게 실행 왜 정당성 평가계획과정 평가계획안 →교육의 과정은 직선적(한 과정이 완결된 후 다음 단계가 시작됨)으로 진행되지 않고, 상호 역동적인 방식으로 전개됨.
  • 4.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교육과정 개발: 바람직한 교육목표의 성취를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서 동원되는 여러 관련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고 매개가 되는 교육환경을 구조화하는 일. 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우선 생각해야 할 것 1. 개발의 실체-무엇 2. 개발의 기술-어떻게 교육과정 개발 활동: 교육과정 개발 활동이 일어나는 사회적 상황이  어떠한가에 따라 교육 과정의 개발 형태는  달라질 수 있음.
  • 5.  교과를 가르치는 활동이 있는 곳이라면 교육과정을 필요로 함. 그러나, 교육과정을 보는 관점이 다양해지면서 이러한 관점의 차이는 상이한 교육과정 개발로 나타나게 됨. 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자 특성에 관한 정보나, 교과의 지식체계에 의하여 교육과정 개발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게 됨.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의 결정은 미래 사회의 성격을 바꾸어 놓기도 함. 제2절 : 교육과정 개발
  • 6. 2. 교육과정 개발과 교육과정 설계의 차이점  교육과정 개발: 설계와 아울러 그 이론적 배경 그리고 계획시행평가개발하는 수단과 방법까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  교육과정 설계: 목적내용 또는 경험조직평가를 다루는 기술 강조 →따라서, 설계는 계획과 계획의 특성을 고안하는 일이고 개발은 계획 입안과 그 계획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체적 편성 을 다루는 것.
  • 7. 3. 교육과정 개발 활동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위상 주요 이론 교육과정 개발준비 변화와 혁신에 대한 압력 교육과정 계획, 설계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의 생산 확산 활동 교육과정 채택 교육과정 실행 교육과정 정착 변화와 혁신에 대한 새로운 압력 평가 활동 상황 요인들 보급활동 교육과정 개발활동  고려해야 할 기본사항 -교육과정 개발은 사회적 맥락과 지배적인 이론 및 모형에 기초한다. -교육에 대한 변화와 혁신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준비, 계획, 설계한다. -만들어진 교육과정은 현장에서 채택되어 시행된 후 일정기간 유지(제도화)된다. -또 다른 교육과정 변화와 혁신의 압력에 직면하면, 지금까지의 절차가 반복된다.
  • 8. 제3절 : 교육과정 개발 분야 1. 교육과정 개발 분야  교육과정 개발: 사회적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이해관계를 가진 집단들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 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서 답하는 데 관심을 갖는 질문들.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곳(수준)은 어디며, 시대가 바뀌면서 개발 수준의 강조점에도 변화가 있어 왔는가?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관련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집단)은 누구인가?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9. 2. 교육과정 개발수준과 변화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곳(수준)은 어디며, 시대가 바뀌면서 개발 수준의 강조점에도 변화가 있어 왔는가? →우선 생각해야 할 것은 개발의 대상과 수준을 확정하는 일. 대상은 교육과정을 무엇으로 보는가에 따라 견해를 달리함. 교육과정 개발의 각 수준들을 연구하는 기회가 많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나 과정을 이해하여야 함.  관점이 정해지면 과정계획, 시행, 평가로 나아가게 되며 특정 개발 모형에 국한하지 않고 일반적인 교육과정 개발 지침과 교육과정 개발 중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 교육과정 개발 활동에서 적용되는 일반적 흐름은 공통적임.
  • 10. 교육과정 개발 활동의 일반적 흐름 원천의 고려  사회  학습지  지식 주요 조정자로부터 시각의 선택  교육철학  학습심리학 외부의 영향에 대한 반응 일반적 정향의 확인 교육과정의 준비 교육과정의 시행 교육과정의 평가
  • 11.  교육과정을 새롭게 만들거나 개정할 때 필수적이며, 교육과정 개발을 명료화하는 출발점이자 지침.  학교체제가 새로운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있는 단계  누가 우선순위를 정하고, 일정표를 만드는가?  누가 구성원을 교육과정위원회에 임명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위원회의 노력을 조정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 개발과정을 계획하는가?  교육과정이 승인되어진 후에, 교육과정을 실천하는 단계  누가 학습 자료와 활동을 결정하는가?  누가 얼마나 많은 돈이 필요한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누가 교육과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사를 준비시키기 위해 어떤 직원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교육과정이 기대를 충족시키고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누가 어떻게 교육과정이 평가될 것인지를 결정하는가?  누가 평가를 수행하는데 책임을 지는가?  누가 평가의 결과를 교사, 행정가, 학교위원회구성원, 대중에게 보고하는 책임을 지는가?
  • 12. 3.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집단 및 절차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거나 관련되어 있는 기관과 사람은 누구인가? 1) 의사결정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사람은 교육의 질에 관심이 있는, 미래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들이 교육과정에 참여해야 함. 2) 참여집단  주체집단: 교육전문가, 교과전문가, 교장, 교사, 학문 영역대표자, 교육관료 집단, 학교행정가, 학부모 및 시민, 학생  시발집단: 정치가, 언론매체  실제적인 교육과정 영향을 미치는 집단: 교과서, 출판사, 저자
  • 13. (1) 교과전문가 - 교과전문가들은 대학과 학교, 교육과정평가원 등에서 근무하며, 각 교과교육 연구회와 연구기관을 통해 활동. -이들은 학문의 본질을 발견하기 위한 중심 개념과 규칙을 밝혀줌으로써 교육과정 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음. (2) 교육전문가 - 교육전문가: 교육과정 전문가, 교육평가 전문가, 문서작성 기술자 교육과정 전문가는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거나 연구결과를 현장 개선을 위해 활용. - 프로그램을 개념화하고 설계하며 이행하는 데 책임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에 관한 높은 수준의 이해가 필요. - 인간관계에서도 민감해야 하며, 인내심이 있어야 하고, 의사결정과 지도성에 있어서도 역량을 필요로 함.
  • 14. (3) 교장 - 교장은 학교의 최고 관리자이며 리더로써 학교에서 운영되는 교육과정을 감독하고 통제하는 책임을 지며, 교직원의 인사시설재정에 대한 권한이 있음.  교장의 통제와 장학의 영역 - 교육과정과 수업 - 학생의 학문적 성취 - 학생의 비학문적 발달 - 교직원의 전문적, 개인적 수행 - 행정과 학교 조직 - 학교 시설 - 외부와의 관계: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원과 정기적 의사소통 유지와 구, 혹은 주 교육부와 정기적인 의사소통
  • 15.  교장의 지도자 유형: 응답자, 관리자, 주도자 - 응답자형 교장: 교직원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자 함. 아이디어를 제시하기보다 스스로를 억제하며 요구하지 않으며, 도움은 주지만 장기적 목적이나 위기에 대한 대책은 갖고 있지 않음. - 관리자형 교장: 개인적 관계보단 과업성취에 몰두함. 질서 있고 조직화된 일상과업을 위해 정해진 절차를 갖고자 하며, 학교를 개선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조종할 준비가 되어있고, 교사가 자신을 활용하길 원함. - 주도자형 교장: 학교를 위한 장기 정책과 목적을 갖고 있으며, 교직원과의 관계에서 확고하고 자신 있게 행동함. 이런 유형은 학교에 최선의 이익을 가져오는 것이라면 그 일을 주도하고 가능하게 할 준비가 되어 있음.
  • 16. (4) 교사 - 교사들은 교과용 도서를 검정하거나 지도서를 연구집필수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교육과정에 참여. - 교사들은 외부에서 주어진 교육과정을 연구 개발하고 자신의 교육과정을 창출하는데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느냐에 따라 수용하는 입장과 참여하는 입장으로 구분됨. 교사의 의사결정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실체를 나타내고 교사가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해주기 때문에, 교사에게 매우 중요한 영역임. 교사는 교육과정의 어떤 측면을 특정 학급에서 시행하거나 강조해야 할지를 결정함.
  • 17. 교사가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때, 폭이 결정되는 틀  체제 틀: 교육과정 문서 혹은 체제의 지시 사항.  학교/기관 틀: 시간표, 자원, 교실 조직과 평가에서의 제한들이 체제의 요구에 맞게 발달되어 옴.  교직원 틀: 이 틀에서 교사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 해에 가르칠 내용 조정 - 학생의 평가 - 자원 - 교장의 정책  학습자의 틀: 교사가 특정 활동에 관하여 의사결정을 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학습자이며, 이 틀은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포함하는 틀임.
  • 18.  교사 자신의 틀: 모든 교사는 그들의 교실 경험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자아개념을 갖게 되며, 자아개념에는 교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이 포함되어 있음. 따라서, 교사의 자아개념은 중요한 요소가 됨.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정도 -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는 수준에 따라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자율성의 정도가 결정되는데, 정책수준, 프로그램수준, 수업수준 이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음. - 대부분의 교사들은 미시적 수준의 교육과정 계획에 참여하며, 자신만의 특별한 교육과정이나 수업을 만들어감. - 교사들은 교과서, 교사지도서에 제시된 내용과 방법에 기초하여 계획은 세우며,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보다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심을 둠. 또한, 목표보다는 활동을 결정하는 데 주력함.
  • 19. 교사의 책임 정도 - 헤릭(Herrick)의 교사의 책임 정도에 따른 지위 3가지.  제1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교과서와 학교정책들을 단순히 따를 뿐이다.  제2지위에 있는 교사들은 학습활동, 특정 과목에 보낼 시간의 양, 학생 평가방법 등을 결정한다.  제3지위에 있는 교사는 교과서를 초월하여 가르칠 개념을 선택하고 학습 활동을 설계하며 단계들 사이를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 한계 - 교사가 수업계획서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별 문제가 없으나 이보다 더 상위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을 교사들에게 모두 맡기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음. 특히, 전반적인 철학보다 구체적인 실천에 주목한다는 점, 교육실천에 많은 관심과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 주목한다는 점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음.
  • 20.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운영수준 - Hall, Gerorge&Rutherford은 교육과정 적용 모형을 제시하였음. - 이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사들의 관심, 운영수준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줌. 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교사 관심의 단계와 그 표현 관심의 단계 관심의 표현 결과 6. 개선단계 새 교육과정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에 대해 관심이 있다. 5. 협동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다른 교사들과 협동하고 조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4. 결과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심이 있다. 새 교육과정의 학생에 대한 적절성, 학생들의 성취에 대한 평가, 학생의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등에 관심이 있다. 업무 3. 운영 단계 새 교육과정의 운영과 관리에 관심이 있으며, 정보와 자원의 활용에 관심이 높다. 효율성, 조직화, 관리 방안, 시간 계획,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재를 준비하는 데 관심이 높다. 교사 자신 2. 개인 단계 새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자신과 자기 주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 자신의 역할, 필요한 의사 결정, 기존 조직에 야기한 갈등, 재정적 소요 등을 알고 싶어한다. 1. 정보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대체적인 것을 알고 있고 좀 더 알고 싶어한다. 새 교육과정의 특징, 효과, 실천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사항 등을 알고 싶어한다. 0. 지각 단계 새 교육과정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거나 관여하지 않는다.
  • 21. (5) 학문영역 대표 집단 - 학문영역 대표 집단은 자기가 연구하고 있는 전공분야의 권위자들. - 이들은 연구소에 근무하며 교육과정 개발 업무를 주도하거나 도움을 주는 일군의 학자들. (6) 교육관료 집단 - 교육관료 집단은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청 소속의 교육과정 관련 등의 부서에 근무하고 있는 장학 및 연구진으로 볼 수 있음. - 이들은 국가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 지침을 마련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제하며, 그 산물을 평가하는 활동에 참여. (7) 일반 시민 - 학부모를 포함한 일반 시민은 지역사회의 여론을 전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줌. - 교육과정에 참여하는 시민들은 교사나 교장의 추천으로 교장이나 교육장이 임명할 수도 있음.
  • 22.  Saylor 등은 지역사회와 학부모 대표의 참여를 네 단계로 제시함.  목표 설정 단계에서 지역사회 대표나 부모는 여러 가지 조언을 하며  설계 단계에서는 교외활동을 위한 협동 작업을 할 수 있고,  운영 단계에서는 자원 인사로 학교에 도움을 준다.  마지막 평가 단계에서는 교재와 수업자료에 대한 검토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좋은 프로그램을 소개하기도 한다. (8) 학부모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와 교육과정 계획자가 삶의 실제에 민감해지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음. - 교육의 구성에 있어 주로 지원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지만, 학교 프로그램 운영에 저항 세력으로서 압력집단의 역할을 하기도 함. - 실제로 대부분의 학부모들의 참여는 수동적 수준에 머무르지만, 학교의 변화를 초래하는데 잠재적 영향력을 갖음.
  • 23.  학부모가 적극적인 의사결정자가 되어야 하는 찬반 이유  학부모 참여의 이점  학교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시행할 때 학부모의 재능, 관심이 교사의 그것과 더불어 활용된다면 학교환경은 매우 풍요로워질 것이다.  만약 학생이 가정에서 학부모에 의해 적극적으로 지원되고 강화된다면, 학교에서 학생의 학습수준은 향상될 것이다.  만약 학부모가 학교생활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면, 그들은 학교의 복잡성을 잘 이해하고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다.  학부모는 그들 아동에 대해 법적인 그리고 장기적인 책임을 진다. 그러므로 그들의 삶의 기회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에 발언권을 가져야 한다.  학부모의 참여는 교사, 학부모, 학생 간의 공동 목적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 교육에 관련된 이익집단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든 학생의 이익이 고려될 수 있는 가능성을 더 커지게 된다.  공유된 의사결정은 학부모가 학교에 대하여 법적인 행동을 취하는 횟수를 감소시킬 것이다.  학교가 강력한 정체감을 발달시킬 더 많은 기회가 된다.
  • 24.  학부모 참여의 단점  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교사의 전문적인 책임영역에 간섭할 수 있다.  소수의 압력집단이 의사결정에 편파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참여 민주주의가 높은 수입과 교육받은 사람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때, 불평등이 커질 수 있다.  학부모와 지역사회 집단이 의사결정에 더 많이 참여함으로써 학교의 표준을 하락시킬 수 있다.  대부분의 지역사회 단체가 매우 보수적이기 때문에 학교는 혁신되기 어려울 수 있다.  어떤 학부모는 의사결정에서 적극적합리적인 역할을 수행할 시간이 없다.  학교 교직원은 종종 학부모 참여활동을 꺼리고 반대한다.  자료가 다양한 의사결정자들에게 회람되어야 할 때 대외비의 문제로 인하여 문제가 복잡해진다.  학부모와 교사 간의 보다 개방적인 의사결정이 때로는 교사들은 끊임 없이 ‘호출에 즉시 응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된다.  교사가 어떤 학생에 대한 결정을 할 경우, 이 학생에 대해 부가적 정보를 가질 때나 학생의 학부모와 잦은 접촉이 있을 때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다.
  • 25. (9) 학생 - 교육과정의 수혜자이며 피해자가 되기도 하는 최종소비자. 학생의 교육과정 참여 범위와 정도를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성숙으로, 학년이 높으면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짐. - 학생은 현 교육과정의 이점과 결점의 많은 부분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최선의 입장에 있음. - 학생이 교육과정 계획과 평가에 참여할 때 학습은 매우 개선될 수 있음.  학생참여를 찬성하는 이유 학생은 교육과정을 단지 그대로 받아들이지만은 않기 때문에 자신이 배우는 것의 선택에 참여해야 한다.  학생은 교육과정에 관여해야 하고, 적극적인 창안자이며 반응자이어야 한다.  학생은 교육상황에서 고객으로 지각되어야 한다. 그들은 수혜자이며, 어떤 학습 활동에서는 궁극적인 관객이다.  학생은 학교교육의 생생한 질을 경험한다.  과외활동에 참여: 중등학교 수준의 학생은 이미 클럽 등의 영역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학생들은 효과적인 지도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켜 왔다. 따라서 효과적인 참여자로서의 잠재력을 갖는다.
  • 26. 학생참여를 반대하는 이유  의사결정은 전문가에 맡겨야 한다. 교사는 아동발달과 학습방식, 철학적 연구, 교육측정, 교과방법과 같은 영역에서 철저한 훈련을 받은 전문가이다.  안정된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생산적인 작업환경을 만들며 유지하는 것은 교사와 학생 간의 조화로운 상호 작용을 요구한다. 학생에게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를 주게 되면, 학급 규율과 긍정적인 학급의 교풍을 위해 설명된 규범과 행동규칙을 깨뜨릴 수 있다. 교사는 전문적인 의사결정자로서 학생들의 존경을 받아야 한다.  공적 시험과 같은 외부의 구속요인은 교사가 상당히 제한적으로 설정된 학문적 강의계획안을 벗어날 수 있는 여지를 거의 주지 않는다. 만약, 교과서나 시험지향적인 학문적 강의계획안을 대신할 실행 가능한 대안이 없다면 교육과정 계획에 학생이 참여할 여지는 없다. 학생참여의 수준  개별 학급수준에서는 학생의 의견이 참고 되는 경우부터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단계, 대부분의 교실 활동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학교수준에서는 학생의 의견이 참고 되는 수준에서 학생대표위원회를 통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수준, 그리고 학생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수준까지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학생들이 교육과정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기회는 거의 없다고 보여진다.
  • 27. (10) 외부촉진자 - 외부촉진자의 바람직한 속성은 애매함에 관대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잘 적응하며 다른 사람을 도와줌으로써 내적 만족을 얻고, 솔직하며 동기와 추진력을 가지는 것. - 외부자원인사와 기관이 줄 수 있는 도움의 이점으로는 충고, 직접적 도움, 정보획득, 지원과 격려, 자극제공, 지역이나 국가의 규정을 이해하도록 해주는 것. - 외부촉진자의 활용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교육과정의 지역적 특징을 희석시킬 수 있음. (11) 언론매체 - 언론매체는 교육과정 개발에 영향을 미침. - 언론은 사실 보도를 원칙으로 하지만 사회가 변함에 따라 전달 할 수 있는 사실들 중에서 선택과 배제의 논리에 의해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일이 늘어남.
  • 28. (12) 교과서 출판사 - 수업 운영에서 교과서가 갖는 중심적 위치로 인하여 실제적인 교육과정 형성에 큰 영향력을 발휘함.  어떤 집단&개인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을 어떻게 행사하나?  학교위원회 - 교육과정 결정자이면서 다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 영향력의 범위는 매우 다양함.  뉴스미디어 - 한 지역에서 교육프로그램이 성공하였다면 그것을 홍보하여 다른 지역에서도 실시해 보도록 영향력을 행사함. 하지만, 실패하는 경우 결과만을 부각시켜 매도하는 경향도 있음.  교재 출판사와 검사도구 제작기관 - 교육정책에서 옹호되는 입장이나 주제들이 무엇인지 잘 알아서, 그것에 맞는 교재를 만드는 데 심혈을 기울임.  고용주 - 기업이 자신들의 이익에 맞게 훈련된 노동력을 생산하도록 압력을 가함.
  • 29. 3) 참여집단의 참여방식 - 교육과정 개발의 주요 기관은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남. 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행정기관의 주무부서, 대통령 및 정부 자문기관으로서의 위원회 국가 지원 교육과정 정책연구기관 등  시도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교육청의 교육과정 담당 부서 및 요원, 교육과정위원회 등 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학교장, 교육과정 부장,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위원회 - 교육과정 개발의 질적 수준은 이러한 기관들 중에서 책임 있는 부서가 개발 과정에서 행정체계의 일관성연속성 등을 확보하고, 부서 요원들의 의지지식경험노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에 달라짐.
  • 30.  교육청과 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참여 및 관련 집단 교육감 교육과정  수업담당 부교육감 교장 학교 교육과정위원회 학교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영역별 교과별 학년별 교육과정위원회 교육과정 개발위원회
  • 31. 4. 교육과정 개발의 관점  그들은 문제가 된 교육적 상황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떤 교육적 신념을 지니고 행동하는가? -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정의, 방향, 기본철학, 심리학이고 사회적인 기저 등이 밝혀져야 함. - 일반적인 교육과정 기초 자원  학습자 및 학습이론(심리학)  생활(사회학 및 문화)  지식의 성질과 가치(철학) -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되는 몇 가지 요점들  교육과정 개발자는 지식의 성질은 물론 무엇이 가치 있는가에 관한 견해를 가져야 한다(철학).  이러한 견해들은 개발자들이 이해하고 있는 사회, 문화 및 미래사회의 요구라는 맥락 속에서 설정되어진다(사회학 및 문화).  앞서 관련된 견해나 자료를 수정하기 위해 심리학(학생의 성격과 학습방법을 다루는)이 활용된다(심리학).
  • 32.  교육과정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초 학문들 1. 철학적 준거  목적  가치  지식의 구조 2. 사회적 고려  사회적 변화  기술공학적 변화  이념적 변화 4. 심리적 이론  발달  학습  수업  동기 3. 문화로부터 선정 4. 조직된 교육과정
  • 33. 5.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절차  교육과정 개발은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역사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개발 모형은 무엇인가?  브레디: 객관주의 모형과 상호 작용 모형, 과정 모형으로 제시.  밀러와 셀러: 교육과정 입장을 전달 입장, 상호작용 입장, 변형 입장으로 나누어 제시.  마쉬와 위리스: 목표 모형, 숙의 모형, 예술적 모형으로 구분.  Print: 합리적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 모형으로 구분.  Helbowitsh: 거시적 교육과정과 미시적 교육과정으로 구분. - 거시적 교육과정: 특수전문 교육이 균형 있게 운영되는 것이 목적 - 미시적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초점이 교실에 기초한 활동의 개발과 운영에 있으며,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활동들을 포함.
  • 34.  Ornstein & Hunkins: 교육과정 개발 접근을 기술적-과학적 접근과 비기술적-과학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설명함. - 기술적-과학적 접근: 행동주의적-합리적 접근, 체계-관리적 접근, 지적-학구적 접근을 포함. 객관성, 일반성에 기초를 두고 논리적 합리성을 중시 - 비기술적-비과학적 접근: 인본주의적-심미적 접근, 재개념주의자들의 접근을 포함. 주관적, 심미적, 총체적이며 융통성을 강조.  Posner: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절차적 모형, 서술적 모형, 개념적 모형, 비판적 모형의 네 가지로 나눔. - 기술적 산출 시각 a. 절차적 질문: 교육과정을 계획할 때 어떤 단계를 따라야 하는가? b. 기술적 질문: 실제로 교육과정은 어떻게 계획되는가? c. 개념적 질문: 교육과정 계획의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그들은 서로 개념적으로 관련되는가?
  • 35. - 비판적 시각 a. 이념적 질문: 교육과정 계획의 기초를 이루는 가정은 무엇이며, 그것의 정치적사회적 함의는 무엇인가? b. 문제-제기 방법:“문제-제기” 방법은 교사와 학생을 “비판적 공동 조사자”로 보며 그들 간의 “대화”를 강조. 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연속성  교육과정 모형의 연속성 합리적/목표 모형 순환적 모형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Tyler,Taba Wheeler, Nicholls Walker, Skibeck - 합리적/목표 모형: 계열적, 개발과정에 관한 엄격한 접근 과정 - 역동적/상호 작용적 모형: 신축성, 상호 작용적, 수정 가능한 과정
  • 36.  교육과정 개발 모형 처방적 기술적 합리적/목표 역동적/상호작용 Tyler Taba Print Nicholls Wheeler Posner Stenhouse Skibeck MeDonald & Purpel Wal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