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① Dimensions 의 진원시
Columns 로 옮기기
② 진원시 데이터타입 :
Day (may 8, 2011) 형태로 설정하기
바코드 형태: 연도별 지진 발생 빈도 시각화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확대된 바코드 형태 그래프
③ 화면 크기
Normal Entire view
④ 폰트 크기
상단의 Format메뉴-Font-colums-14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⑤ Show me 의 Gantt그래프 로 변경
-
발생빈도 시각화
- 2000년도 들어 지진 발생이 더 잦아졌고 특히 2010년 전후로는 훨씬 촘촘
히 시각화 된 사실을 알 수 있음.
- 대략적인 발생빈도의 패턴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그래프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새로운 Sheet 열기
① Dimensions 의 진원시
Columns 로 옮기기
② 진원시 데이터타입 :
Month (May 2011) 형태로 설정하기
③ 일련번호 Rows 로 옮기기
④ 일련번호 데이터 타입:
Measure Count , Continuous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Cf) Rows 에 일련번호 대신 Number of records 넣어도 결과는 같음.
일련번호 : 지진 순서대로 매긴 고유번호
Cnt (row of records) : 지진이 일어난 횟수를 세는 함수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⑤ 폰트크기와 제목 바꾸기
(폰트: 14 / 제목: 지진발생시기,횟수)
⑥ 추세선 추가하기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 1990년대 이후 관측장비의 첨단 장비가 아날로그디지털로 바뀌면
서 지진 관측 횟수 증가 .
1999년 4월 강원도 태백 지진
2006년 4월 경북 울진군 지진
2013년 6월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발생 추이 변화 살펴보기
연도별 지진 발생 횟수와 추세선 표시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규모 변화 살펴보기
① Rows : 규모 넣기
Average (평균치) 로 설정
② Marks :
CNT(일련번호)와 AVG(규모)가
자동으로 표시됨
③ Dimensions 의 Measure Names
Color 로 옮기기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규모 변화 살펴보기
두개의 선 그래프가 각각 다른 색으로 그려진다.
* 지진 발생빈도는 갈수록 상승, 반면 지진 규모는 낮아지고 있는 추
세
지진 횟수∙지진 규모 추세선 표시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2.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진 규모 변화 살펴보기
태블로의 장점:
시간 데이터의 단위 변경으로 손쉽게 그래프 시각화 가능
데이터 유형: Year Quarter(4분기) Day(일)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3. 개별 지진의 규모 시각화
① 규모 데이터 Dimensions 으로 옮기기 Rows 로 이동하기
② Colunmns: Day(진원시) Rows : Attribute(규모) 설정
③ Mark: Circle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1994.7.26 규모 4.9
2004.5.29 규모5.2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3. 개별 지진의 규모 시각화
* 1990년대 이후 규모 4.5 내지 규모 5 이상을 넘는 지진들이 일어난 구간.
* 1990년대 들어 10년 단위로 상대적 규모가 큰 지진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고 있
음.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3. 개별 지진의 규모 시각화
④ 그래프에서 규모 4.0 이상의 지진만 사각형 블록 설정
⑤ 팝업창 메뉴에서 Keep only를 체크
선택한 지진 데이터만 남게
됨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3. 개별 지진의 규모 시각화
1994.7.26 규모 4.9
2004.5.29 규모5.2
5.15. 지진 데이터 분석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5.16. 역대 지진 TOP 10 추출하기
1. 크기 순으로 정렬해 막대그래프 그리기
① Colunmns: 규모(average)
Rows : 일련번호
② 필터링 하기:
일련번호 - Fiter메뉴 - Top탭
- By field 선택
(top,10 by 규모, average)
- OK
③ 그래프 상단의 정렬아이콘
- 내림차순 정렬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크기 순으로 정렬해 막대그래프 그리기
④ 위치 Label과 Tooltip으로 이동
진원시Label과 Tooltip으로 이동
⑤ 일련번호: Show Header 체크 해제
Y축의 일련번호 표시 제거됨
⑥ 그래프 크기: Enter view
글자,숫자 크기: 14
X축 이름 규모 로 바꾸기.
* Marks – Tooltip메뉴:
그래프 상 팝업창의 형식과 항목 변경 가능
5.16. 역대 지진 TOP 10 추출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크기 순으로 정렬해 막대그래프 그리기
위치, 진원시 내용을 그래프에 표시
5.16. 역대 지진 TOP 10 추출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 진원시 를 다시 분류한 10년 단위구분 항목 만들기
– 각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필요.
: 논리 계산식을 활용해 1970, 1980, 1990, 2000, 2010년대 이후의
5개 그룹으로 진원시 나누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① Dimension 목록의 진원시 - Create Calculated Field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② 새 시트 열기
③ Colunmns: 규모(average) Rows : 일련번호
④ Dimension의
10년 단위 구분, 일련번호 모두 선택
- 우클릭 - Combine Fields
⑤ 새로 생긴 10년 단위 구분&일련번호
Rows 에 있던 두 항목 사이에 넣기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⑥ 상단 메뉴의 Analysis - Creat Calculated Filed 에 입력
(INDEX : 순서대로 일련번호를 매기는 함수)
⑦ Measures의 ‘순위’ Marks의 Label에 넣기
막대 그래프에 일련번호가 매겨짐
⑧ 내림차순 정리
* 일련번호가
연대별로 매겨지지 않
음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 10년 단위로 필터링 필요
⑨ Label 의 순위
- Edit Table Calculation –
Computer using – advanced
⑩ 10년 단위 구분, 일련번호
Addressing 으로 옮기기Filed항목 선택 – 규모 – Average - descending
⑪ 10년 마다 일련번호 1부터 시작하도록 설정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지진 규모의 순위 -10년 단위로 구분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 몇 순위 까지 필터링 할 지 정하기
⑫ Filters 에 순위 넣기 – 10위 로 설정
⑬ Label 에 위치 넣기 (Attribute 로 바꾸기) 지진이 발생한 위치 설명 등장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⑭ Tooltip : 위치, 진원시, 규모 나타나도록 설정
⑮ Color 에 10년 단위 구분 넣기
* Filters: 순위
* Marks:
color - 10년 단위 구분
Label – ATTR (위치)
Tooltip – ATTR (위치)
ATTR (진원시)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5장. 데이터 시각화의 스위스칼, 태블로(tableau) 활용하
기
1. 연대별 지진 발생 추이
연대별로 지진 규모 TOP10을 추출해 정렬한 그래프
5.17. 10년 단위로 지진 규모 순위 추출해 정렬하기
Notas del editor
Gantt그래프 비활성화
시간이 흐르면서 시계열 분석: 장기간데이터가 필요. 따라서 이 실습은 지진발생 패턴에 큰 의미를 두기는 어려움(장기간데이터가 아니다)
------여기까지가 지진 발생 추이 만들기 ---------------------
------여기까지가 지진 발생 추이 만들기 ---------------------
1990년대 이후 규모 4.5 내지 규모 5 이상을 넘는 지진들이 일어난 구간.
1990년대 들어 10년 단위로 상대적 규모가 큰 지진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여기서 마우스 우클릭- View data메뉴- 규모 4.0이상 지진의 속성 정렬분석/2차 3차 시각화 가능.?????
여기서 마우스 우클릭- View data메뉴- 규모 4.0이상 지진의 속성 정렬분석/2차 3차 시각화 가능.?????
<지진 발생시기를 10년 단위로 구분해 묶는 논리식>
Name: 10년 단위 구분
IF YEAR([진원시])<1980
THEN '1970년대'
ELSEIF YEAR([진원시])<1990
THEN '1980년대'
ELSEIF YEAR([진원시])<2000
THEN '1990년대'
ELSEIF YEAR([진원시])<2010
THEN '2000년대'
ELSE '2010년 이후'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