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49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Play AT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frederiksbjerg skole
21세기 미래 학습의 주요 키워드
그룹 학습, 개별맞춤, 협력 학습, 융합, STEAM, 거꾸로교실, 능동학습, 실행학습,
문제기반학습 또는 능동학습(PBL), 정보기반학습, 제작기반학습, 놀이중심학습, 창의 교육
포용성, 다양성, 사회관계기술, 실제적 지식, 실천적 지식, 디지털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A.I
....
- 학습규모(인원)와 관계, 학습 시간(리듬), 학습 공간, 학습 주제, 수업 방식과 도구
21세기 교육문화의 변화
현대 학교의 학습 공간 모델들
편복도 교실
- 북쪽 복도, 남향 장방형 교실 일렬 배치로 채광, 환기 장점
- 동일한 연령대의 유사한 학습 능력을 전제로 연령별 학급 편성
- 교사의 지식 전달 위주 집체 교육
- 교과의 분리에 따른 일반교실과 특별교실 분리
- 산업주의 모델, 포드식 모델이라는 비판 직면
1921
네델란드 힐베르숨의 Bavinck School
빌렘 마리우스 두독 설계
- 60년 동안 힐베르숨의 도시계획가
- 10년 동안 17개 학교 건축
- 양쪽 L자형 배치와 편복도 교실
- 특별교실, 체육관 날개동 배치
- 붉은 벽돌, 눈에 띄는 유리창
- 수직, 수평의 강조
- 교통소음 피해 건물 후퇴
확장형 교실 A – 연결 교실
- 편복도 교실 기반
- 교실과 교실이 상호 연결되도록 개구부
- 교실 사이 학생과 교사의 이동 지원
- 교사팀제 지원
- 신참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 지원
- 협력 수업 또는 융합 수업을 지원
1930년 개교, 2010년 리노베이션
스위스 취리히 밀히벅(Milchbuck) 학교
- ‘U’자형 신고전주의 건물로 보호 건축물로 변경 제약
- 유, 초, 중고등 통합학교
- 유초는 통합수업, 중고등 혼합 (학년 구분, 학년 통합)
- 정원클럽이 있는 환경학교 / 야외 팀 빌딩
- 물, 불, 흙, 공기 주제로 프로젝트주간 운영
- 통합, 혼합 섹션 수업
- 교사팀제 운영
- 협력수업, 동료학습 촉진
- 각층 중앙을 중심으로 2개 교실영역 조성
- 교실과 교실을 연결하는 개구부
- 폭이 넓은 공용 다용도 복도
- 5개 교실마다 1개 소그룹실과 화장실, 별도 출입구
-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강조
(위, 아래 : 교실들을 연결하고 있는 문들) (폭이 넓은 확장 복도로 놀이, 휴식, 휴대품 보관 등 다양독로 사용된다.)
(가구나 선반으로 내부 공간 구역을 구분한다)
확장형 교실 B – 보조교실형
- 일반교실에 보조교실 결합
- 다문화 아동 비율이 높은 곳에서 분리 통역수업 등 지원
- 방과후 학습 보충 또는 보조 지원
- 일반교실과 보조교실 사이 시각적 투명성 유지
- 보조교실을 소그룹, 상담, 휴식 등 다목적 이용
- 공용 보조교실의 경우 예약 이용, 관리 규칙 필요
독일 Herford. Grundschule Landsberger Straße
- 본래 프랙탈 구조 학교로 유명
- 공간이 교육적 방향을 촉진한다는 교육공간 철학 유지
- 개교 후 10년만에 증축하며 보조교실형 도입
- 별도 교사실 없애고 층별 교사팀실 조성
- 보조교실을 수업 중 수업 확장을 위한 유연 공간으로 사용
- 보조교실을 방과 후 종일학교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
- 일반교실과 보조교실 사이 목재틀 유리 미닫이문
- 초기는 공용 보조교실에 대한 운영과 관리 규칙 합의 논란
- 합의 후 1년 후 교사 협력 증가
- 로그북 기반 학생 개별 과제와 학습 주간
(로그북 :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학습 계획, 과정, 평가 기록)
확장형 교실 C – 가변 확장형 교실
- 일반교실들 사이에 가변 개구부 설치하여 분리와 확장 연결 가능
- 접이식 유리문 또는 광폭 미닫이문 또는 광폭 벽체식 문 적용
- 학습인원이 증가하는 통합수업 및 행사, 활동 지원
- 그룹 좌석 간 일정한 이격이 중요한 그룹활동 수업 지원
- 보다 역동적인 활동 지원
- 가변 개구부 형식 구현 시 가성비, 기동성, 소음 차단 중요
- 시각적 투명성의 선택적 유지와 차단을 위한 블라인드 검토
- 가변 개구부 위치에 따라 교실 내 칠판, 모니터, 수납 및 내장 가구 위치 세밀한 디자인 필요
2003.8월 취리히 최초 종합학교로 개교
스위스 폴키츠빌(Volkestswil). Gesamtschule In der
Höh) 유치원, 초등, 중등 과정 통합학교
- 초등 학년별 수업, 중등 학년 혼합수업
- 일반 교실, 가변 확장형 교실과 다목적실 등으로 구성
- 단, 층별 가변 확장형 교실과 일반교실 비율이 다름
공간이 교육적 방향을 촉진한다는 교육공간 철학 유지
-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수업 유형 지원
- 복도에 비공식 공용공간 조성
- 층내 일반교실, 가변 확장형 교실, 소그룹실 포함
열린교실
- 1960년대부터 열린교실운동 전개
- 배움은 교실만이 아니라 어디서든 가능하다.
- 공간적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감 제공
- 확장형 복도와 개방형 교실이 특징
- 소음문제, 집중 문제 발생
- 일부 전통교실로 회귀, 일부 완전 열린교실 또는 가변 열린교실 적용
- 흡음자재 사용, 커튼, 광폭 개방 가능한 문 사용
(폴딩도어, 광폭 슬라이딩 도어 등등)
- 정숙과 집중이 필요한 경우 별도 정숙 교실 마련
- 정숙과 집중이 필요한 집체교육 중심이 아닌 놀이, 토론, 과제 수행
중심으로 바뀌면서 의도적 소란스러움을 유지
- 종종 이동 가능한 가구로 복도와 교실 사이 구분하되 시각적 연결
1872년 개교, 2007년 5월 신축
즈시시립소학교(逗子市立逗子小 校
学 )
- 도서관, 문화회관, 시민교류센터, 학교를 포함하는
교육문화지구로 이전하면서 신축
- 확장형 복도에 완전 열린 교실 모델 도입
- 확장형 복도에 창가좌석, 토론식 좌석 배치
- 복도와 교실 사이 이동식 수납 가구 배치
- 복도를 생활공간 겸 수업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
- 복도에서 휴식, 독서, 학습, 놀이, 생활
- 완전열린교실에서 교사들 수업 경험과 수업운영 노하우 축적
- 놀이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 제작 또는 실행 수업 강조로
소음 발생을 자연스런 현상으로 인식
실외 학습공간 결합형 교실
- 열린학교는 세계적인 결핵, 스페인 독감 등 전염병에 대한 대응
- 일명 Open Air 운동, 숲 학교, 야외 교실, 열린 학교는 세계적
전염병에 대한 대응으로 출발했으나, 점차 성장기 자연과 접촉 및
비구조적 학습 환경의 가치를 강조하거나 실행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으로서 의미가 더욱 중요해 짐
- 야외에서 학습 증진 및 행동 개선 효과
- 야외 활동으로 스트레스 감소
- 개별 교실 또는 교실 군에 딸린 직접 연결된 안뜰 형태
- 개별 교실 또는 학습 클러스터에 딸린 테라스 형태
- 교실에서 바로 나갈 수 있는 회랑
- 경사면 테라스형 교사동 배치
- 특별 교실과 연결된 야외 작업장 또는 야외교실 형태
1930년, 완공, 1929. 1955.1986년 리모델링
Jan Duiker 등 설계
Amsterdam Zuid의 Openluchtschool
- 환경과 물리적, 시각적으로 상호작용 강조
- 실내 수업과 실외 수업의 유기적 결합
- 층 마다 2개 교실, 1개 테라스 교실 배치
- 자기 책임학습, 협력 학습과 놀이 향상
L형 교실
- 상자형 교실이 아닌 L자형
- 교실의 형태가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끼친다.(James A.Dyck 1994.11)
- 학습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학습환경 사이의 지속적 협상의 결과 (상동)
- 팀 과제 시 소통의 산만함과 비생산성 보완위해 소그룹 공간 별도 필요
- 학업 성취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분리 학습 공간 제공
- 수업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충분한 유연한 공간 필요
- 시각적으로 교사가 전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며 단순할 것
- 내부에 집체, 그룹, 개별, 역동적 내부 구역 설정
- 내부에 집체, 그룹, 개별, 보조적 활동 또는 준비 공간 제공
- 학생들이 잠시 물러날 수 있는 후퇴 공간 제공
1941
일리노이주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Finger Plan 레이아웃
- 집체, 그룹, 역동적 활동을 위한 L형 교실
- 구석 공간은 다목적 이용
- 교실 내 개수대 시설
- 교실별 야외 교실로 직접 연결
- 2면 창으로 월등한 채광
- 편복도, 중복도 혼합
- 중앙 홀을 중심으로 날개동에 강당, 도서관, 교무실, 교실 연결
- 미국 건축 100년사 중요 건축물로 선정
- AIA 미국 역사적 건축물로 지정
집합적 학습공간 모델들
현대 학교는 단위 교실 디자인이 아닌 다양한 공간들의 조합과 구성 모델 중심
학습 커뮤니티
‘ ’
학습 커뮤니티 는 다목적 공용공간(학습거실)을 중심으로 가변 확장형 교실, 일반 교실,
교사팀실, 역동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배치한다.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야외 활동 공간과 바로
연결하고, 역동적 활동 공간은 학교의 다른 공간들로 이어지는 중심 동선으로 이어진다. 이
가운데 몇몇 공간은 중심의 다목적 공용공간을 향해 크게 개방적으로 연결하거나 닫을 수 있는
넓은 문이나 창고식 거치형 문이나 접이식 문을 설치한다. 이때 각 교실들을 기본 학습 공간으로
사용하고 다목적 공용 공간을 좀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하는 수업이나 활동, 휴식, 상영, 사교,
그룹 작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 사회적 연결과 교류 촉진
- 협력수업과 협업, 집단적 지식 축적 촉진
- 분산된 리더십 형성과 사회관계 기술 개발
- 학생, 교사, 교직원 간 협업적 파트너십 강조
- 학제간 연결성을 높이고 융합적 주제 교육에 적합
- 다양한 교육과정 및 학습 경험의 연속성과 통합 장려
- 공통 관심사(주제), 공통 직업적 전망, 주거 지역 등에 따라 조직
- 학생과 교수진을 소규모 그룹으로 구성
- 학생들의 학업 및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지원
- 학생들이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커뮤니티 기반 학업 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환경 제공
- 교수진 또는 교사진을 보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모으기
- 교수진과 학생의 학습 결과에 집중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학습 커뮤니티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학습 커뮤니티
50~150여명을 대상으로 한 학습 커뮤니티 모델은 각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 맥락에 따라 개인 공간과 협업 공간의 균형을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커뮤니티
모델은 Microschool 개념 또는 학습 주택(Lern Haus) 개념으로 연결된다. 이때 학습 주택은 근대 학교의 주택형 학교 개념과 다른 의미를 갖는다.
학습 클러스터
- 학습 클러스터, 학습 주택, 학습 커뮤니티 등으로 불리는 모델
- 3~6개 교실, 교사업무실, 소그룹실, 중앙 공용공간(학습거실), 화장실 외
락커룸, 교구재실, 테라스 등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학습공간을 집합 구성
- 상황에 따라 조합되는 공간 구성은 달라짐
- 학년별, 주제별 학년/통합, 계열별 학년/통합 등 클러스터 구성
- 층별, 건물동별 클러스터, 동일 건물 내 영역별 클러스터 조성
- 클러스터 마다 외부 순환공간과 구분되는 입출입구 요소
- 단임제 운영보다는 교사팀제 상대적 자율 운영 강조
- 귀속 단위를 학급이 아닌 클러스터 단위 귀속감 유지
- 중앙 공용공간과 소그룹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유형 지원
- 중앙 공용공간(학습 거실)을 다목적 생활, 학습, 독서, 소규모 행사
공간으로 활용 (필요 기자재 설비 비치)
- 개별 교실과 중앙 공간 사이 시각적, 물리적 연결성 유지
- 클러스터의 패턴화를 통해 건축적 합리성, 경제성 확보
2016
독일 Weiterstadt의 Hessenwaldschule
- 국제 건축가상 수상
- 중앙 광장형 아뜨리움 홀 중심의 3개 건물통 연결
- 모든 건물이 연결된 1층에 행정, 식당, 휴게실, 극장실,
음악실, 도서관
- 각동 2~3층에 학습 클러스터 조성
- 공용공간 중심의 5개 교실, 소그룹실, 화장실, 교사실,
내부 계단, 테라스 포함
- 종일문화학교(예술교육 강조, 전과목 미적 접근)
- 주제별 학습(예 석기시대 프로젝트, 외국어 연극, 서커스)
- 초중등 통합학교, 다문화 학교
( 5~10학년, Hauptschule, Realschule 통합 그룹수업)
2013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 학교건축지침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의 2013년 학교건축 지침«Schulbauleitlinien Landkreis Darmstadt-Dieburg» 역시 중복도 교실 학교의 변형 또는 조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간 클러스터형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지침은 대략 10개 교실을 배치할 수 있는 471 평방미터 또는 675 평방미터 기준으로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변형한 학습
클러스터, 즉 다양한 학습공간을 조합한 교실군으로 조성하는 방안 제시한다. 이러한 교실군은 일반교실, 다용도 공용공간, 팀 스테이션(교사실), 소그룹 공간, 복도 또는 부분
확장 복도를 포함한 2차 학습 공간 또는 과감히 개방한 열린 학습 전경형 공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2개 기준 면적( 675m2)을 통합하여 도서관 또는 공용
휴게공간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공간조합 디자인을 제시한다.
학습 클러스터 - 참조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 클러스터 사례들
학습 클러스터 - 참조
학습 전경
- 열린 학습 공간 모델
- 교실 구분이 없는 개방적인 대규모 학습 공간과 일부 분리된 공간의 결합
- 대, 중, 소 그룹 학습 등 인원, 유형 변화
- 공간적 압박감 보다는 공간적 개방감, 시각적 연결성 강조
- 공동체 의식 형성
- 수업 집중에 대한 학생 자율권
- 소음 저감 위한 흡음재료, 반향판, 흡음 가림막 등 사용
- 백색 소음 효과 발생
2013 호주 St Marry of Cross School
- 250명 학생 (유초 통합)
- 다공성의 열린 광장형 학습 공간 구성
- 숨을 곳 없는 너무 큰 사각형 공간이 아닌 의도적 불규칙 공간 조성
- 빔 프로젝트와 스크린이 있는 영상공간, 수학과 글쓰기를 위한 벌집
공간, 개수대가 있고, 바닥 청소가 용이한 미술공간 등 공간적 구분의
모호함과 색상, 카펫, 오브제를 이용한 공간적 구분의 균형
- 교사들의 협력 증가
- 대규모 집단 속 학생들의 태도 변화
(타 교사, 타 학생 시선, 타 학습 그룹 인식...)
- 백색 소음 효과
- 5~9세 아동 대상 감정행동 조절 프로그램
- 9~12세 감정, 느낌 관리 프로그램
- 교사 1인 당 학생 수가 적음 (2022 호주 학교 평균 1:13.1)
학습 스튜디오
- 열린 학습 공간 모델의 중규모 변형 또는 반개방형 모델
- 과거 3~4개 학급 인원의 공용 학습 공간으로 사용
(일종의 확장 학급(60~120명) 학습 공간)
- 중앙에 넓은 열린 전경형 공간 둘레로 작은 소공간, 기능적 공간 배치
- 기능적 공간에 필요에 따라 개수대, 작업장비 등 설치
- 정숙과 집중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집체교육 공간 별도 마련
- 상황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분리벽, 폴딩 도어, 가변벽체 사용
- 집체, 소그룹, 개별 활동 등 다양한 유형의 학습 지원
- 스튜디오별 입구 또는 직접 연결된 야외 테라스 또는 야외 활동 공간
-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연결 (별도의 복도가 없음)
- 학습 스튜디오 내 내부 공간의 유리 적극 사용하여 시각적 연결성 유지
뉴질랜드 웰링턴 Khandallah Primary School
- 380명 학생 (초등)
- 이중학년제, 4개 학습 커뮤니티 구성
2개 학년을 묶어 원주민 언어로 고화이(0학년과 1학년), 마타이(2
학년과 3학년), 카카(4학년), 카우리(5학년과 6학년)로 구성
- 유연한 학습과정 운영
- 협업, 개인 가치, 회복력과 배려심 강조
- 1개 교사동(학습주택) 내 3개 학습 스튜디오 배치
- 중앙의 넓은 공용 학습공간 둘레 모서리에 크고 작은 비공식 공간,
구석 공간, 창가 좌석, 화장실 등을 배치
- 교사 1인 당 학생 수가 적음 (2022 호주 학교 평균 1:13.1)
학습 스튜디오 - 참조
융합교육을 위한
특별 교과 학습공간 모델
다빈치 스튜디오 모델
21세기 교육은 학제 간 경계를 넘는 융합적 학습과 프로젝트 수업이 특징이
다. 특정 과목만 지원하도록 디자인된 특별교실에서 융합적 수업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어떻게 디자인해야 융합적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까?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이자 건축가, 공학자, 수학자였던
융합적 지식인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의 이름을 빌린 다빈치
스튜디오가 실행 가능한 공간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이곳은 모든 종류의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 수업과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하고 통합적인 학습 공간이다.
- 일광과 인공 조명이 적절한 조명을 제공한다.
- 차양이 있는 야외 공간 또는 야외 작업장과 연결
- 시각적으로도 스튜디오 실내외 야외 작업장은 연결
- 다빈치 스튜디오는 청소하기 쉽고 쉽게 손상되지 않는 바닥
- 예술 창작 영역과 과학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
- 두 영역 사이의 접이식 문이나 이동식 가벽을 이용해서 분리와 개방이 가능
- 예술 교육을 위한 준비실 겸 창고와 과학 수업을 위한 준비실 분리
- 예술과 과학 영역 모두에 물을 쓸 수 있는 개수대가 적절히 배치
- 과학 영역에는 전열기를 사용할 수 있고, 전열기 가까이 환기 장치 부착
- 전체를 예술 수업을 위해, 또는 과학 수업을 위해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융합적 활동이 가능
- 작업 소음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차음이 필요
- 단지 예술 창작 또는 과학 실험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 수업을
위한 공간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빔 프로젝터나 대형 모니터 또는
화이트 보드가 설치된 벽면이 최소 2곳 이상에 마련
- 그룹 별 토론과 과제 수행을 위해 각 그룹 테이블을 띄워 배치해야 할 필요
때문에 일반적인 교실의 크기 보다 최소 2.5배 이상 필요
- Wifi를 지원하거나, 검색 부스 마련할 필요
- 여기에 더해 작품의 보관 구역 또는 전시 구역이 추가 권장
학습 아뜨리에 모델
(공용 작업 공간)
미술실
목공실
또는 메이커실
과학실
가사실
- 특정 장비와 설비가 필요한 과목별 전용 공간
- 이론 수업 또는 그룹 공간은 공동 이용
- 특정 장비가 필요없는 공동 작업/실험 공간
- 학제간 융합을 위한 공동 작업 공간 조성
참조 : 다목적 특별과목 센터
- 보관실은 과목 특성을 반영하여 분리
- 이론 교실은 공용 사용
- 열린 공간은 공용 작업/실험 공간
- 휴게 공간 공용
특정 장비와 설비가 필요한 과목별 전용 공간
- 이론 수업 또는 그룹 공간은 공동 이용
- 특정 장비가 필요없는 공동 작업/실험 공간
- 학제간 융합을 위한 공동 작업 공간 조성
* 학제 간 융합을 고려한 특별교실들의 근접 배치와 과목 경계를 넘는 공유공간의 조성
참조 : 과학, 제작, 예술 통합 학습공간 예시
단순 제작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융합적 학습 활동(이론, 제작, 검색, 토론..)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
음악교실의 변화
연주, 연습, 휴식, 공연,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있는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손 쉽게 이동 가능한 가구를
사용하여 바닥 공간을 넓게 전환할 수 있고 음악 외 다른
신체적 활동이나 연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흡음, 차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최근의 음악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음악이론, 노래 수업,
기악 수업 외에 전자악기, 밴드 악기, 미디 편집 등 수업이
가능하도록 조성한다.
또는 댄스와 음악 교육의 결합을 위해 음악교실과 신체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근접한다.
음악실
신체활동실
(댄스, 요가 등이
가능한 다목적실)
광장형 공간
STEAM Studio
-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융합 학습 공간
- 발표, 토론, 탐색, 제작, 실험, 휴식 등 다양한 학습 유형 지원
- 집체, 토론, 개별 학습 활동 지원
- 교사간 협력
- 공간적, 시각적 연결성, 접근성 유지
- 각 과목 지원 설비, 장비 지원
- Makerspace는 제작 중심 융합교육인 점에 반해
STEAM Studio는 제작과 실험은 제한적
2014. 시카고 Instrinsic School
- 자기주도학습, 맞춤형 교육 강화
- 융합학습공간인 POD를 단위로 구성
- 학년별 포드의 좌 예술, 인문학, 우 : 과학, 기술, 수학 포드 구성
- 1 POD 당 8명의 교사, 180명 학생 수용
- 집체, 개별, 협업, 그룹, 1:1 학습과 활동이 가능한 공간
- 디지털 디바이스, 인터넷, 멀티미디어 콘텐츠 지원 학습 활동
- 포드 마다 차음, 분리된 실험실, 세미나실 포함
- T형 공간인 포드 마다 팝업 클래스, 학습 라운지, 지니어스 바, 해안
선, 교환 테이블 등 내부 구역 설정
- 2016년 7~8학년 학생들에 대한 북서부 평가연합의 평가에서 전국
학교 평균의 83% 이상 독해력 발전, 91% 수학 학력 성장
STEAM Studio 참조
중점 교육 또는 교육모델과
학습공간 디자인
음악 중점 학교 모델과 공간 디자인
- 4개 학습주택동과 이를 연결하는 배면 긴 복도로 구성
- 각 학습주택은 큰 유리입면, 나무 테라스, 전면 외부 계단이 있는 2층
- 학습주택마다 2개 교실, 1~2개 보조교실, 공용공간(소광장), 별도 정원
- 교실은 틈새 공간, 후퇴 공간, 강의 공간을 포함한 구브러진 형태
- 반나절 소광장과 종일 이용 소광장 구분
- 긴 복도는 활성 복도이자 전시 갤러리로 조성
- 복도 반대편에는 행정, 특별교실, 작업실, 보건실, 대의원실 등 배치
- 다목적 체육관, 중앙 원형 계단 광장, 소광장, 교실과 보조교실을 개별
또는 그룹 또는 집단 기악 연습 및 합주 공간으로 활용
독일 뮌스터 Wartburg Grundschule
- 종일학교로 운영
- 45분제 혁파, 60분, 120분(블럭수업) 시간제 도입
- 뮌스터 인구 30만 중 10% 외국인 또는 이주민
- 음악전문 학교가 아닌 음악 중점 교육 모델
- 포용성 교육과 기악 교육의 결합(다름을 이해하고 조화를 추구)
- 민족적, 인종적, 기질, 성별, 경제적 차이의 포용 추구
- 전 3~4학년생 기악(관악, 타악, 현악) 수업 필수
- 호주,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대륙별 학습주택 별 다루는 악기가 다름
- 각 학습주택마다 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배치 (다루는 기악별 배치)
- 필수 과정 외 수준 높은 아이들을 위한 추가 방과후 기악 과외수업
- 기악 합주단, 합창단, 고전, 문화, 연극과 결합한 융합 수업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 공간 디자인
- 주제별 융합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학습 허브 모델 도입
- 각 학습허브마다 90여명 수용, 교사팀 관장
- 넓은 학습거실, 학습계단, 오두막 공간, 벽감 공간, 소그룹실 , 소회의실,
그룹 좌석, 구석 강의 공간, 필기 벽면, 테라스 공간, 교사 공간, 공용
작업장 등 포함
- 학습허브 간 통로 또는 외부 테라스, 제작/창작 공간 통해 상호 이동 가능
잉글랜드 크로이던 West Thornton Primary School
- 배움에 대한 학생 자신의 자율성 보장
- 읽기, 쓰기, 웅변 등 문해력 발달 강조
- 6가지 글로벌 주제에 따른 교과과정
(사회 정의와 평등, 정체성과 다양성, 지속능한 개발, 평화와 갈등,
인권, 권력과 거버넌스)
- 글로벌 주제에 따라 종합적인 융합 프로그램- 국가교육과정과 조화
- 소 주제별 지식구성자 작성하여 교사, 학부모, 학생 공유
- 지식구성자에 지식범주, 주요 용어, 개념, 연관 지식 내용 등 포함
- 책, 아이패드, 랩탑, PC 등 학습도구 선택 가능
21세기 교육학과 공간의 연결
현재의 조건과 제약 속에서 21세기 교육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교육학과 사회의 계속된 변화에 비해 경직성을 갖을 수 밖에 없는 물리적 공간이라는 점 인식 필요
다양한 공간 요구를 함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경제성, 건축적 합리성을 반영한 공간 모델 또는 패턴이 중요
편복도 교실의 리모델링 시 다목적 공간통합을 통해 유휴면적을 확보한 조건에서 공간 변화 추구 필요
현재의 조건과 제약 속에서 21세기 교육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교육학과 사회의 지속적인 변화와 비교할 때 경직성을 갖을 수 밖에 없는 물리적 공간의 기획이라는 점 인식 필요
다양한 공간 요구를 함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경제성, 건축적 합리성을 반영한 공간 모델 또는 패턴이 중요
편복도 교실의 리모델링 시 다목적 공간통합을 통해 유휴면적을 확보한 조건에서 공간 변화 추구 필요
제약과 한계 속 학습공간
리노베이션
요코하마 고등학교의 리모델링
각층 유휴교실의 복도측 벽을 터서 개방된 공용공간으로 조성했다. 이때 화장실 등의 위치를 변경했다. 이처럼 리모델링의 제1 목표는 교실이 아닌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공용공간(비공식 생활학습지원공간)의 조성이었다.
Theo Betz School의 증축
기존 건물동과 건물동을 가로 질러 연결하는 방식으로 중측하되, 특성에 따라 공간 영역(Zone)을 명확히 구분하여 재배치하고, 연결부는 복도와 확장교실 구간으로 사용, 기존
공간은 공간재구성과 재배치를 통해 식당, 다목적 강당, 보육실, 지역사회 개방 식당, 행정관리영역 등으로 구성 (건물의 연결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간 재배치와 영역 구분)
Bridgewater High School의 증축
영국 워링턴의 브릿지고등학교는 기존 건물의 복도를 확장하여 교실과 확장교실이라고 불리는 공용 학습생활지원 공간을 마련했다. 또한 중정으로 연결통로를 확보하고,
학교의 심장이 될 수 있는 대공간인 허브 공간을 조성했다. 중정과 허브 공간을 중심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중정과 허브 공간이 중심공간이 되도록
연결성을 높이고, 복도 증축을 통해 다목적 공용공간 확보)
Soborg Skole의 증축
기존 건물 전면을 중축하면서, 2층 테라스 구역과 외부계단을 설치하고, 가능한 통창을
사용하여 채광을 악화시키지 않고, 다목적의 유현한 광장형 공간을 조성
Dalby Skole의 증축
덴마크의 달비 학교는 기존 건물에 두 가지 방식(동일 벽돌 구조, 빔 프레임 구조)으로 덧대어 증축하면서 중앙 다목적 광장 공간과 광폭학습계단을 조성했다. 기존 건물에
덧대어 증축할 경우 자칫 채광이 나빠질 수 있으나 천창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끌어들였다. 전체적으로 교실-> 광폭학습계단-> 중앙 다목적 광장공간-> 야외 공간으로 흐름을
갖는다. 증축하며 2층 교실에 야외 계단을 설치했다. (증축을 통해 광폭학습계단을 포함한 중앙 다목적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 계층과 흐름을 명확히 함)
Dalby Skole의 증축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La actualidad más candente (20)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Similar a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yujeee93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민경 정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지원 김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Heekyung12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진 이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다운 이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Kyubok Cho
 

Similar a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18)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교육공학 저녈
교육공학 저녈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미래사회와교육팀프로젝트[1]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혁신교육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뇌기반스마트교육의견
 
마인드스토밍@서울대수업
마인드스토밍@서울대수업마인드스토밍@서울대수업
마인드스토밍@서울대수업
 
저널Pdf
저널Pdf저널Pdf
저널Pdf
 
제본용
제본용제본용
제본용
 

Más de 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Más de Seongwon Kim (12)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 1. 사례를 통해 살펴보는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Play AT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frederiksbjerg skole
  • 2. 21세기 미래 학습의 주요 키워드 그룹 학습, 개별맞춤, 협력 학습, 융합, STEAM, 거꾸로교실, 능동학습, 실행학습, 문제기반학습 또는 능동학습(PBL), 정보기반학습, 제작기반학습, 놀이중심학습, 창의 교육 포용성, 다양성, 사회관계기술, 실제적 지식, 실천적 지식, 디지털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A.I ....
  • 3. - 학습규모(인원)와 관계, 학습 시간(리듬), 학습 공간, 학습 주제, 수업 방식과 도구 21세기 교육문화의 변화
  • 4. 현대 학교의 학습 공간 모델들
  • 5. 편복도 교실 - 북쪽 복도, 남향 장방형 교실 일렬 배치로 채광, 환기 장점 - 동일한 연령대의 유사한 학습 능력을 전제로 연령별 학급 편성 - 교사의 지식 전달 위주 집체 교육 - 교과의 분리에 따른 일반교실과 특별교실 분리 - 산업주의 모델, 포드식 모델이라는 비판 직면 1921 네델란드 힐베르숨의 Bavinck School 빌렘 마리우스 두독 설계 - 60년 동안 힐베르숨의 도시계획가 - 10년 동안 17개 학교 건축 - 양쪽 L자형 배치와 편복도 교실 - 특별교실, 체육관 날개동 배치 - 붉은 벽돌, 눈에 띄는 유리창 - 수직, 수평의 강조 - 교통소음 피해 건물 후퇴
  • 6. 확장형 교실 A – 연결 교실 - 편복도 교실 기반 - 교실과 교실이 상호 연결되도록 개구부 - 교실 사이 학생과 교사의 이동 지원 - 교사팀제 지원 - 신참교사와 경력교사의 협력 지원 - 협력 수업 또는 융합 수업을 지원 1930년 개교, 2010년 리노베이션 스위스 취리히 밀히벅(Milchbuck) 학교 - ‘U’자형 신고전주의 건물로 보호 건축물로 변경 제약 - 유, 초, 중고등 통합학교 - 유초는 통합수업, 중고등 혼합 (학년 구분, 학년 통합) - 정원클럽이 있는 환경학교 / 야외 팀 빌딩 - 물, 불, 흙, 공기 주제로 프로젝트주간 운영 - 통합, 혼합 섹션 수업 - 교사팀제 운영 - 협력수업, 동료학습 촉진 - 각층 중앙을 중심으로 2개 교실영역 조성 - 교실과 교실을 연결하는 개구부 - 폭이 넓은 공용 다용도 복도 - 5개 교실마다 1개 소그룹실과 화장실, 별도 출입구 -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강조
  • 7. (위, 아래 : 교실들을 연결하고 있는 문들) (폭이 넓은 확장 복도로 놀이, 휴식, 휴대품 보관 등 다양독로 사용된다.) (가구나 선반으로 내부 공간 구역을 구분한다)
  • 8. 확장형 교실 B – 보조교실형 - 일반교실에 보조교실 결합 - 다문화 아동 비율이 높은 곳에서 분리 통역수업 등 지원 - 방과후 학습 보충 또는 보조 지원 - 일반교실과 보조교실 사이 시각적 투명성 유지 - 보조교실을 소그룹, 상담, 휴식 등 다목적 이용 - 공용 보조교실의 경우 예약 이용, 관리 규칙 필요 독일 Herford. Grundschule Landsberger Straße - 본래 프랙탈 구조 학교로 유명 - 공간이 교육적 방향을 촉진한다는 교육공간 철학 유지 - 개교 후 10년만에 증축하며 보조교실형 도입 - 별도 교사실 없애고 층별 교사팀실 조성 - 보조교실을 수업 중 수업 확장을 위한 유연 공간으로 사용 - 보조교실을 방과 후 종일학교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 - 일반교실과 보조교실 사이 목재틀 유리 미닫이문 - 초기는 공용 보조교실에 대한 운영과 관리 규칙 합의 논란 - 합의 후 1년 후 교사 협력 증가 - 로그북 기반 학생 개별 과제와 학습 주간 (로그북 : 학생과 교사가 함께 학습 계획, 과정, 평가 기록)
  • 9.
  • 10. 확장형 교실 C – 가변 확장형 교실 - 일반교실들 사이에 가변 개구부 설치하여 분리와 확장 연결 가능 - 접이식 유리문 또는 광폭 미닫이문 또는 광폭 벽체식 문 적용 - 학습인원이 증가하는 통합수업 및 행사, 활동 지원 - 그룹 좌석 간 일정한 이격이 중요한 그룹활동 수업 지원 - 보다 역동적인 활동 지원 - 가변 개구부 형식 구현 시 가성비, 기동성, 소음 차단 중요 - 시각적 투명성의 선택적 유지와 차단을 위한 블라인드 검토 - 가변 개구부 위치에 따라 교실 내 칠판, 모니터, 수납 및 내장 가구 위치 세밀한 디자인 필요 2003.8월 취리히 최초 종합학교로 개교 스위스 폴키츠빌(Volkestswil). Gesamtschule In der Höh) 유치원, 초등, 중등 과정 통합학교 - 초등 학년별 수업, 중등 학년 혼합수업 - 일반 교실, 가변 확장형 교실과 다목적실 등으로 구성 - 단, 층별 가변 확장형 교실과 일반교실 비율이 다름 공간이 교육적 방향을 촉진한다는 교육공간 철학 유지 -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수업 유형 지원 - 복도에 비공식 공용공간 조성 - 층내 일반교실, 가변 확장형 교실, 소그룹실 포함
  • 11. 열린교실 - 1960년대부터 열린교실운동 전개 - 배움은 교실만이 아니라 어디서든 가능하다. - 공간적 압박감을 줄이고 개방감 제공 - 확장형 복도와 개방형 교실이 특징 - 소음문제, 집중 문제 발생 - 일부 전통교실로 회귀, 일부 완전 열린교실 또는 가변 열린교실 적용 - 흡음자재 사용, 커튼, 광폭 개방 가능한 문 사용 (폴딩도어, 광폭 슬라이딩 도어 등등) - 정숙과 집중이 필요한 경우 별도 정숙 교실 마련 - 정숙과 집중이 필요한 집체교육 중심이 아닌 놀이, 토론, 과제 수행 중심으로 바뀌면서 의도적 소란스러움을 유지 - 종종 이동 가능한 가구로 복도와 교실 사이 구분하되 시각적 연결 1872년 개교, 2007년 5월 신축 즈시시립소학교(逗子市立逗子小 校 学 ) - 도서관, 문화회관, 시민교류센터, 학교를 포함하는 교육문화지구로 이전하면서 신축 - 확장형 복도에 완전 열린 교실 모델 도입 - 확장형 복도에 창가좌석, 토론식 좌석 배치 - 복도와 교실 사이 이동식 수납 가구 배치 - 복도를 생활공간 겸 수업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 - 복도에서 휴식, 독서, 학습, 놀이, 생활 - 완전열린교실에서 교사들 수업 경험과 수업운영 노하우 축적 - 놀이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수업, 제작 또는 실행 수업 강조로 소음 발생을 자연스런 현상으로 인식
  • 12. 실외 학습공간 결합형 교실 - 열린학교는 세계적인 결핵, 스페인 독감 등 전염병에 대한 대응 - 일명 Open Air 운동, 숲 학교, 야외 교실, 열린 학교는 세계적 전염병에 대한 대응으로 출발했으나, 점차 성장기 자연과 접촉 및 비구조적 학습 환경의 가치를 강조하거나 실행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으로서 의미가 더욱 중요해 짐 - 야외에서 학습 증진 및 행동 개선 효과 - 야외 활동으로 스트레스 감소 - 개별 교실 또는 교실 군에 딸린 직접 연결된 안뜰 형태 - 개별 교실 또는 학습 클러스터에 딸린 테라스 형태 - 교실에서 바로 나갈 수 있는 회랑 - 경사면 테라스형 교사동 배치 - 특별 교실과 연결된 야외 작업장 또는 야외교실 형태 1930년, 완공, 1929. 1955.1986년 리모델링 Jan Duiker 등 설계 Amsterdam Zuid의 Openluchtschool - 환경과 물리적, 시각적으로 상호작용 강조 - 실내 수업과 실외 수업의 유기적 결합 - 층 마다 2개 교실, 1개 테라스 교실 배치 - 자기 책임학습, 협력 학습과 놀이 향상
  • 13. L형 교실 - 상자형 교실이 아닌 L자형 - 교실의 형태가 학습과 발달에 영향을 끼친다.(James A.Dyck 1994.11) - 학습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학습환경 사이의 지속적 협상의 결과 (상동) - 팀 과제 시 소통의 산만함과 비생산성 보완위해 소그룹 공간 별도 필요 - 학업 성취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의 분리 학습 공간 제공 - 수업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충분한 유연한 공간 필요 - 시각적으로 교사가 전체를 관찰할 수 있도록 개방적이며 단순할 것 - 내부에 집체, 그룹, 개별, 역동적 내부 구역 설정 - 내부에 집체, 그룹, 개별, 보조적 활동 또는 준비 공간 제공 - 학생들이 잠시 물러날 수 있는 후퇴 공간 제공 1941 일리노이주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Finger Plan 레이아웃 - 집체, 그룹, 역동적 활동을 위한 L형 교실 - 구석 공간은 다목적 이용 - 교실 내 개수대 시설 - 교실별 야외 교실로 직접 연결 - 2면 창으로 월등한 채광 - 편복도, 중복도 혼합 - 중앙 홀을 중심으로 날개동에 강당, 도서관, 교무실, 교실 연결 - 미국 건축 100년사 중요 건축물로 선정 - AIA 미국 역사적 건축물로 지정
  • 14. 집합적 학습공간 모델들 현대 학교는 단위 교실 디자인이 아닌 다양한 공간들의 조합과 구성 모델 중심
  • 15. 학습 커뮤니티 ‘ ’ 학습 커뮤니티 는 다목적 공용공간(학습거실)을 중심으로 가변 확장형 교실, 일반 교실, 교사팀실, 역동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배치한다. 다목적 공용공간으로 야외 활동 공간과 바로 연결하고, 역동적 활동 공간은 학교의 다른 공간들로 이어지는 중심 동선으로 이어진다. 이 가운데 몇몇 공간은 중심의 다목적 공용공간을 향해 크게 개방적으로 연결하거나 닫을 수 있는 넓은 문이나 창고식 거치형 문이나 접이식 문을 설치한다. 이때 각 교실들을 기본 학습 공간으로 사용하고 다목적 공용 공간을 좀 더 많은 인원을 수용하는 수업이나 활동, 휴식, 상영, 사교, 그룹 작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한다. - 사회적 연결과 교류 촉진 - 협력수업과 협업, 집단적 지식 축적 촉진 - 분산된 리더십 형성과 사회관계 기술 개발 - 학생, 교사, 교직원 간 협업적 파트너십 강조 - 학제간 연결성을 높이고 융합적 주제 교육에 적합 - 다양한 교육과정 및 학습 경험의 연속성과 통합 장려 - 공통 관심사(주제), 공통 직업적 전망, 주거 지역 등에 따라 조직 - 학생과 교수진을 소규모 그룹으로 구성 - 학생들의 학업 및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지원 - 학생들이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환경 제공 - 커뮤니티 기반 학업 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환경 제공 - 교수진 또는 교사진을 보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모으기 - 교수진과 학생의 학습 결과에 집중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학습 커뮤니티
  • 16.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학습 커뮤니티 50~150여명을 대상으로 한 학습 커뮤니티 모델은 각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 맥락에 따라 개인 공간과 협업 공간의 균형을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커뮤니티 모델은 Microschool 개념 또는 학습 주택(Lern Haus) 개념으로 연결된다. 이때 학습 주택은 근대 학교의 주택형 학교 개념과 다른 의미를 갖는다.
  • 17. 학습 클러스터 - 학습 클러스터, 학습 주택, 학습 커뮤니티 등으로 불리는 모델 - 3~6개 교실, 교사업무실, 소그룹실, 중앙 공용공간(학습거실), 화장실 외 락커룸, 교구재실, 테라스 등 다양한 크기와 유형의 학습공간을 집합 구성 - 상황에 따라 조합되는 공간 구성은 달라짐 - 학년별, 주제별 학년/통합, 계열별 학년/통합 등 클러스터 구성 - 층별, 건물동별 클러스터, 동일 건물 내 영역별 클러스터 조성 - 클러스터 마다 외부 순환공간과 구분되는 입출입구 요소 - 단임제 운영보다는 교사팀제 상대적 자율 운영 강조 - 귀속 단위를 학급이 아닌 클러스터 단위 귀속감 유지 - 중앙 공용공간과 소그룹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유형 지원 - 중앙 공용공간(학습 거실)을 다목적 생활, 학습, 독서, 소규모 행사 공간으로 활용 (필요 기자재 설비 비치) - 개별 교실과 중앙 공간 사이 시각적, 물리적 연결성 유지 - 클러스터의 패턴화를 통해 건축적 합리성, 경제성 확보 2016 독일 Weiterstadt의 Hessenwaldschule - 국제 건축가상 수상 - 중앙 광장형 아뜨리움 홀 중심의 3개 건물통 연결 - 모든 건물이 연결된 1층에 행정, 식당, 휴게실, 극장실, 음악실, 도서관 - 각동 2~3층에 학습 클러스터 조성 - 공용공간 중심의 5개 교실, 소그룹실, 화장실, 교사실, 내부 계단, 테라스 포함 - 종일문화학교(예술교육 강조, 전과목 미적 접근) - 주제별 학습(예 석기시대 프로젝트, 외국어 연극, 서커스) - 초중등 통합학교, 다문화 학교 ( 5~10학년, Hauptschule, Realschule 통합 그룹수업)
  • 18. 2013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 학교건축지침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의 2013년 학교건축 지침«Schulbauleitlinien Landkreis Darmstadt-Dieburg» 역시 중복도 교실 학교의 변형 또는 조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간 클러스터형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지침은 대략 10개 교실을 배치할 수 있는 471 평방미터 또는 675 평방미터 기준으로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변형한 학습 클러스터, 즉 다양한 학습공간을 조합한 교실군으로 조성하는 방안 제시한다. 이러한 교실군은 일반교실, 다용도 공용공간, 팀 스테이션(교사실), 소그룹 공간, 복도 또는 부분 확장 복도를 포함한 2차 학습 공간 또는 과감히 개방한 열린 학습 전경형 공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2개 기준 면적( 675m2)을 통합하여 도서관 또는 공용 휴게공간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공간조합 디자인을 제시한다.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19.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 클러스터 사례들 학습 클러스터 - 참조
  • 20. 학습 전경 - 열린 학습 공간 모델 - 교실 구분이 없는 개방적인 대규모 학습 공간과 일부 분리된 공간의 결합 - 대, 중, 소 그룹 학습 등 인원, 유형 변화 - 공간적 압박감 보다는 공간적 개방감, 시각적 연결성 강조 - 공동체 의식 형성 - 수업 집중에 대한 학생 자율권 - 소음 저감 위한 흡음재료, 반향판, 흡음 가림막 등 사용 - 백색 소음 효과 발생 2013 호주 St Marry of Cross School - 250명 학생 (유초 통합) - 다공성의 열린 광장형 학습 공간 구성 - 숨을 곳 없는 너무 큰 사각형 공간이 아닌 의도적 불규칙 공간 조성 - 빔 프로젝트와 스크린이 있는 영상공간, 수학과 글쓰기를 위한 벌집 공간, 개수대가 있고, 바닥 청소가 용이한 미술공간 등 공간적 구분의 모호함과 색상, 카펫, 오브제를 이용한 공간적 구분의 균형 - 교사들의 협력 증가 - 대규모 집단 속 학생들의 태도 변화 (타 교사, 타 학생 시선, 타 학습 그룹 인식...) - 백색 소음 효과 - 5~9세 아동 대상 감정행동 조절 프로그램 - 9~12세 감정, 느낌 관리 프로그램 - 교사 1인 당 학생 수가 적음 (2022 호주 학교 평균 1:13.1)
  • 21. 학습 스튜디오 - 열린 학습 공간 모델의 중규모 변형 또는 반개방형 모델 - 과거 3~4개 학급 인원의 공용 학습 공간으로 사용 (일종의 확장 학급(60~120명) 학습 공간) - 중앙에 넓은 열린 전경형 공간 둘레로 작은 소공간, 기능적 공간 배치 - 기능적 공간에 필요에 따라 개수대, 작업장비 등 설치 - 정숙과 집중을 필요로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집체교육 공간 별도 마련 - 상황에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분리벽, 폴딩 도어, 가변벽체 사용 - 집체, 소그룹, 개별 활동 등 다양한 유형의 학습 지원 - 스튜디오별 입구 또는 직접 연결된 야외 테라스 또는 야외 활동 공간 - 스튜디오와 스튜디오 연결 (별도의 복도가 없음) - 학습 스튜디오 내 내부 공간의 유리 적극 사용하여 시각적 연결성 유지 뉴질랜드 웰링턴 Khandallah Primary School - 380명 학생 (초등) - 이중학년제, 4개 학습 커뮤니티 구성 2개 학년을 묶어 원주민 언어로 고화이(0학년과 1학년), 마타이(2 학년과 3학년), 카카(4학년), 카우리(5학년과 6학년)로 구성 - 유연한 학습과정 운영 - 협업, 개인 가치, 회복력과 배려심 강조 - 1개 교사동(학습주택) 내 3개 학습 스튜디오 배치 - 중앙의 넓은 공용 학습공간 둘레 모서리에 크고 작은 비공식 공간, 구석 공간, 창가 좌석, 화장실 등을 배치 - 교사 1인 당 학생 수가 적음 (2022 호주 학교 평균 1:13.1)
  • 22.
  • 25. 다빈치 스튜디오 모델 21세기 교육은 학제 간 경계를 넘는 융합적 학습과 프로젝트 수업이 특징이 다. 특정 과목만 지원하도록 디자인된 특별교실에서 융합적 수업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어떻게 디자인해야 융합적 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까?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이자 건축가, 공학자, 수학자였던 융합적 지식인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의 이름을 빌린 다빈치 스튜디오가 실행 가능한 공간 모델로 제시되고 있다. 이곳은 모든 종류의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 수업과 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하고 통합적인 학습 공간이다. - 일광과 인공 조명이 적절한 조명을 제공한다. - 차양이 있는 야외 공간 또는 야외 작업장과 연결 - 시각적으로도 스튜디오 실내외 야외 작업장은 연결 - 다빈치 스튜디오는 청소하기 쉽고 쉽게 손상되지 않는 바닥 - 예술 창작 영역과 과학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지만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 - 두 영역 사이의 접이식 문이나 이동식 가벽을 이용해서 분리와 개방이 가능 - 예술 교육을 위한 준비실 겸 창고와 과학 수업을 위한 준비실 분리 - 예술과 과학 영역 모두에 물을 쓸 수 있는 개수대가 적절히 배치 - 과학 영역에는 전열기를 사용할 수 있고, 전열기 가까이 환기 장치 부착 - 전체를 예술 수업을 위해, 또는 과학 수업을 위해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융합적 활동이 가능 - 작업 소음이 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차음이 필요 - 단지 예술 창작 또는 과학 실험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 수업을 위한 공간을 유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빔 프로젝터나 대형 모니터 또는 화이트 보드가 설치된 벽면이 최소 2곳 이상에 마련 - 그룹 별 토론과 과제 수행을 위해 각 그룹 테이블을 띄워 배치해야 할 필요 때문에 일반적인 교실의 크기 보다 최소 2.5배 이상 필요 - Wifi를 지원하거나, 검색 부스 마련할 필요 - 여기에 더해 작품의 보관 구역 또는 전시 구역이 추가 권장
  • 26. 학습 아뜨리에 모델 (공용 작업 공간) 미술실 목공실 또는 메이커실 과학실 가사실 - 특정 장비와 설비가 필요한 과목별 전용 공간 - 이론 수업 또는 그룹 공간은 공동 이용 - 특정 장비가 필요없는 공동 작업/실험 공간 - 학제간 융합을 위한 공동 작업 공간 조성
  • 27. 참조 : 다목적 특별과목 센터 - 보관실은 과목 특성을 반영하여 분리 - 이론 교실은 공용 사용 - 열린 공간은 공용 작업/실험 공간 - 휴게 공간 공용 특정 장비와 설비가 필요한 과목별 전용 공간 - 이론 수업 또는 그룹 공간은 공동 이용 - 특정 장비가 필요없는 공동 작업/실험 공간 - 학제간 융합을 위한 공동 작업 공간 조성
  • 28. * 학제 간 융합을 고려한 특별교실들의 근접 배치와 과목 경계를 넘는 공유공간의 조성 참조 : 과학, 제작, 예술 통합 학습공간 예시
  • 29. 단순 제작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융합적 학습 활동(이론, 제작, 검색, 토론..)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
  • 30. 음악교실의 변화 연주, 연습, 휴식, 공연,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있는 다목적 공연 예술 공간, 손 쉽게 이동 가능한 가구를 사용하여 바닥 공간을 넓게 전환할 수 있고 음악 외 다른 신체적 활동이나 연극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기본 흡음, 차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최근의 음악 교육 수요를 반영하여, 음악이론, 노래 수업, 기악 수업 외에 전자악기, 밴드 악기, 미디 편집 등 수업이 가능하도록 조성한다. 또는 댄스와 음악 교육의 결합을 위해 음악교실과 신체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을 근접한다. 음악실 신체활동실 (댄스, 요가 등이 가능한 다목적실) 광장형 공간
  • 31. STEAM Studio -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 융합 학습 공간 - 발표, 토론, 탐색, 제작, 실험, 휴식 등 다양한 학습 유형 지원 - 집체, 토론, 개별 학습 활동 지원 - 교사간 협력 - 공간적, 시각적 연결성, 접근성 유지 - 각 과목 지원 설비, 장비 지원 - Makerspace는 제작 중심 융합교육인 점에 반해 STEAM Studio는 제작과 실험은 제한적 2014. 시카고 Instrinsic School - 자기주도학습, 맞춤형 교육 강화 - 융합학습공간인 POD를 단위로 구성 - 학년별 포드의 좌 예술, 인문학, 우 : 과학, 기술, 수학 포드 구성 - 1 POD 당 8명의 교사, 180명 학생 수용 - 집체, 개별, 협업, 그룹, 1:1 학습과 활동이 가능한 공간 - 디지털 디바이스, 인터넷, 멀티미디어 콘텐츠 지원 학습 활동 - 포드 마다 차음, 분리된 실험실, 세미나실 포함 - T형 공간인 포드 마다 팝업 클래스, 학습 라운지, 지니어스 바, 해안 선, 교환 테이블 등 내부 구역 설정 - 2016년 7~8학년 학생들에 대한 북서부 평가연합의 평가에서 전국 학교 평균의 83% 이상 독해력 발전, 91% 수학 학력 성장
  • 33. 중점 교육 또는 교육모델과 학습공간 디자인
  • 34. 음악 중점 학교 모델과 공간 디자인 - 4개 학습주택동과 이를 연결하는 배면 긴 복도로 구성 - 각 학습주택은 큰 유리입면, 나무 테라스, 전면 외부 계단이 있는 2층 - 학습주택마다 2개 교실, 1~2개 보조교실, 공용공간(소광장), 별도 정원 - 교실은 틈새 공간, 후퇴 공간, 강의 공간을 포함한 구브러진 형태 - 반나절 소광장과 종일 이용 소광장 구분 - 긴 복도는 활성 복도이자 전시 갤러리로 조성 - 복도 반대편에는 행정, 특별교실, 작업실, 보건실, 대의원실 등 배치 - 다목적 체육관, 중앙 원형 계단 광장, 소광장, 교실과 보조교실을 개별 또는 그룹 또는 집단 기악 연습 및 합주 공간으로 활용 독일 뮌스터 Wartburg Grundschule - 종일학교로 운영 - 45분제 혁파, 60분, 120분(블럭수업) 시간제 도입 - 뮌스터 인구 30만 중 10% 외국인 또는 이주민 - 음악전문 학교가 아닌 음악 중점 교육 모델 - 포용성 교육과 기악 교육의 결합(다름을 이해하고 조화를 추구) - 민족적, 인종적, 기질, 성별, 경제적 차이의 포용 추구 - 전 3~4학년생 기악(관악, 타악, 현악) 수업 필수 - 호주,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대륙별 학습주택 별 다루는 악기가 다름 - 각 학습주택마다 저학년에서 고학년까지 배치 (다루는 기악별 배치) - 필수 과정 외 수준 높은 아이들을 위한 추가 방과후 기악 과외수업 - 기악 합주단, 합창단, 고전, 문화, 연극과 결합한 융합 수업
  • 35.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 공간 디자인 - 주제별 융합 프로그램 지원을 위해 학습 허브 모델 도입 - 각 학습허브마다 90여명 수용, 교사팀 관장 - 넓은 학습거실, 학습계단, 오두막 공간, 벽감 공간, 소그룹실 , 소회의실, 그룹 좌석, 구석 강의 공간, 필기 벽면, 테라스 공간, 교사 공간, 공용 작업장 등 포함 - 학습허브 간 통로 또는 외부 테라스, 제작/창작 공간 통해 상호 이동 가능 잉글랜드 크로이던 West Thornton Primary School - 배움에 대한 학생 자신의 자율성 보장 - 읽기, 쓰기, 웅변 등 문해력 발달 강조 - 6가지 글로벌 주제에 따른 교과과정 (사회 정의와 평등, 정체성과 다양성, 지속능한 개발, 평화와 갈등, 인권, 권력과 거버넌스) - 글로벌 주제에 따라 종합적인 융합 프로그램- 국가교육과정과 조화 - 소 주제별 지식구성자 작성하여 교사, 학부모, 학생 공유 - 지식구성자에 지식범주, 주요 용어, 개념, 연관 지식 내용 등 포함 - 책, 아이패드, 랩탑, PC 등 학습도구 선택 가능
  • 36. 21세기 교육학과 공간의 연결 현재의 조건과 제약 속에서 21세기 교육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교육학과 사회의 계속된 변화에 비해 경직성을 갖을 수 밖에 없는 물리적 공간이라는 점 인식 필요 다양한 공간 요구를 함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경제성, 건축적 합리성을 반영한 공간 모델 또는 패턴이 중요 편복도 교실의 리모델링 시 다목적 공간통합을 통해 유휴면적을 확보한 조건에서 공간 변화 추구 필요
  • 37.
  • 38.
  • 39.
  • 40. 현재의 조건과 제약 속에서 21세기 교육학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교육학과 사회의 지속적인 변화와 비교할 때 경직성을 갖을 수 밖에 없는 물리적 공간의 기획이라는 점 인식 필요 다양한 공간 요구를 함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경제성, 건축적 합리성을 반영한 공간 모델 또는 패턴이 중요 편복도 교실의 리모델링 시 다목적 공간통합을 통해 유휴면적을 확보한 조건에서 공간 변화 추구 필요
  • 41. 제약과 한계 속 학습공간 리노베이션
  • 42. 요코하마 고등학교의 리모델링 각층 유휴교실의 복도측 벽을 터서 개방된 공용공간으로 조성했다. 이때 화장실 등의 위치를 변경했다. 이처럼 리모델링의 제1 목표는 교실이 아닌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공용공간(비공식 생활학습지원공간)의 조성이었다.
  • 43.
  • 44. Theo Betz School의 증축 기존 건물동과 건물동을 가로 질러 연결하는 방식으로 중측하되, 특성에 따라 공간 영역(Zone)을 명확히 구분하여 재배치하고, 연결부는 복도와 확장교실 구간으로 사용, 기존 공간은 공간재구성과 재배치를 통해 식당, 다목적 강당, 보육실, 지역사회 개방 식당, 행정관리영역 등으로 구성 (건물의 연결성을 높이는 동시에 공간 재배치와 영역 구분)
  • 45.
  • 46. Bridgewater High School의 증축 영국 워링턴의 브릿지고등학교는 기존 건물의 복도를 확장하여 교실과 확장교실이라고 불리는 공용 학습생활지원 공간을 마련했다. 또한 중정으로 연결통로를 확보하고, 학교의 심장이 될 수 있는 대공간인 허브 공간을 조성했다. 중정과 허브 공간을 중심 공간으로 조성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중정과 허브 공간이 중심공간이 되도록 연결성을 높이고, 복도 증축을 통해 다목적 공용공간 확보)
  • 47. Soborg Skole의 증축 기존 건물 전면을 중축하면서, 2층 테라스 구역과 외부계단을 설치하고, 가능한 통창을 사용하여 채광을 악화시키지 않고, 다목적의 유현한 광장형 공간을 조성
  • 48. Dalby Skole의 증축 덴마크의 달비 학교는 기존 건물에 두 가지 방식(동일 벽돌 구조, 빔 프레임 구조)으로 덧대어 증축하면서 중앙 다목적 광장 공간과 광폭학습계단을 조성했다. 기존 건물에 덧대어 증축할 경우 자칫 채광이 나빠질 수 있으나 천창을 설치하여 자연채광을 끌어들였다. 전체적으로 교실-> 광폭학습계단-> 중앙 다목적 광장공간-> 야외 공간으로 흐름을 갖는다. 증축하며 2층 교실에 야외 계단을 설치했다. (증축을 통해 광폭학습계단을 포함한 중앙 다목적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 계층과 흐름을 명확히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