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65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
Play AT 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Bellinzona, Tachino, Swiss
Scuola cantonale di commercio
1800~1900 – 근대 학교의 등장과 교실의 분리
1800
원룸 학교
1806~1840
대형 강의장 학교
(일명 궁전학교)
- 소음, 위생 문제
1840~1850
작은 교실들로 분리
- 남녀 구분
- 연령대에 따른 분리
- 위생, 소음 문제 해결
1840~1850
중층 주택형 학교
- 복수의 교실
- 교과 기반 교육 확장
- 음악실, 체육관 등장
1840~1850
일부 국가 제도적 지원
학제, 학교건축 규정 제도화
도시 유입되는 다수 학생들을 수용하면서 학교의 위생과 소음 문제를 개선
동시에 교과, 학년의 분리에 맞춰 복수의 교실로 분리
특별 교실들을 추가해나가며 근대 교육의 기틀을 잡아가던 시기
1900~1920 – 아르누보 학교 건축의 시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결핵의 대유행, 1914~1918년 1차 세계 대전, 1918년 스페인 독감 대유행으로 학교의 위생, 환기, 채광, 신체적 활동의 촉진이
중요시 되던 시기다. 따라서 교실의 유리창문의 확대, 미닫이 문과 편복도 교실과 교과 분리에 따른 특별교실, 기능적 공간의 추가, 학교의 건물 배치 등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현대학교 건축의 원형이 형성되던 시기
1896~1909
스코트랜드 글라스고우 예술학교
공예가 맥켄토시 설계
- 유리창 확대
- 내부 목재 (일본 영향)
- 절제된 건물 장식과 파사드
- 편복도, 중복도,
- 돌출 날개와 중앙홀 계단실
- 화장실, 특별교실, 기능적 공간 분리
1900~1920 – 아르누보 학교 건축의 시대
1912
파리 루엘 공립학교
(École Publique Rouelle)
루이 보니에 설계
- 철근 콘크리트+치장 벽돌
- 대칭과 비례, 제한적인 장식성
- U자형 배치와 전면 운동장
- 확장 창문
- 일반교실, 보육실, 남녀 교실, 화장실,
매점, 응접실, 숙직질, 관리실, 면회실,
현관, 사무실 등 현대적 학교 공간 구성
- 편복도 시스템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몬테소리, 존 듀이 등 교육개혁가들의 요구를 수용하며 도전적인 건축가들에 의해 다양한 유형의 모던한 학교 건축을 시도하던 시기이다. 이때 주도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유형과 배치의 기틀이 잡혔다. 스페인 독감의 대유행과 더불어 시작된 야외 학교 및 열린 학교의 영향으로 학습공간의 실내외 연결,
자연과의 접촉이 크게 강조된 시기이기도 하다.
1921
네델란드 힐베르숨의 Bavinck School
빌렘 마리우스 두독 설계
- 60년 동안 힐베르숨의 도시계획가
- 10년 동안 17개 학교 건축
- 반복된 L자형 배치와 편복도 교실
- 특별교실, 체육관 날개동 배치
- 붉은 벽돌, 눈에 띄는 유리창
- 수직, 수평의 강조
- 교통소음 피해 건물 후퇴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28
독일 첼레의 앨트스태터 학교
(Altstädter Schule)
오토 해슬러 설계
- 1920~30년대 바이마르공화국의
학교개혁운동 영향
- 오토 해슬러 학교 모더니즘 선도
- 바우하우스 양식의 10대 건축물
- 일명 유리학교, 구시가지 학교
- 중앙에 체육관과 홀, 현관을 배치하고
양쪽에 편복도 교실과 넓은 복도 배치
- 중앙 유리블록 천창
- 교실에 밖을 향한 통풍창과 유리창
- 복도 중간에 밖을 향한 휴게공간 마련
- 개교 2년동안 8천명 방문/방문료 50페니
- 홀형, 아뜨리움형 학교에 영향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0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학교
에은스 메이 설계
- 초기 학교명 (Röderberg Schule)
- 병영식 학교 탈피
- 최초의 열린학교이자 파빌리온 학교
(긴 복도로 연결된 분리된 교사동과 본관)
- 고측창 채광, 환기, 충분한 녹색 공간 제공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교실별 안뜰 조성
- 현재 기념물로 보호
- 체육실, 테라스, 샤워실, 식당, 주방,
요리교실 , 도서실 및 기능적 공간들 포함
- 경사지 배치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5
캘리포니아 벨의 코로나 에버뉴 학교
리챠드 노이트라 설계
- Open Air, 열린 학교 운동 영향
- 채광, 자연접촉, 실내외 연결 강조
- 교실별 야외 교실로서 안뜰 조성
- 야외로 열리는 광폭 미닫이문
- 외부 차양
- 교실 내 별도 활동 구역 설정
- 고측창
-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학습 가구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9
영국 임핑톤 빌리지 컬리지
발터 그로피우스, 맥스웰 프라이 설계
- 농촌의 지역공동체 학교 비전
- 지역주민을 위한 날개동과 시설,
별도 출입구, 부채꼴 홀
- 교차, 교류를 위한 학습거리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전면 통창 유리
- 3면이 가려진 안뜰의 조성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41
일리노이주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Finger Plan 레이아웃
- 집체, 그룹, 역동적 활동을 위한 L형 교실
- 구석 공간은 다목적 이용
- 교실 내 개수대 시설
- 교실별 야외 교실로 직접 연결
- 2면 창으로 월등한 채광
- 편복도, 중복도 혼합
- 중앙 홀을 중심으로 날개동에 강당, 도서관, 교무실, 교실 등 연결
- 미국 건축 100년사 중요 건축물로 선정
- AIA 미국 역사적 건축물로 지정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전후 복구의 시대 베이비부머들이 등장했으며 거의 매일 새로운 학교가 세워졌다. 최우선의 과제는 늘어나는 베이비부머들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경제적이고
신속한 대형 학교의 건축이었다. 이 시기 경량 조립식 학교, 철골 프레임 구조, 전면 유리 커튼 월이 적용되었으며, 대규모 격자형 파빌리온 학교들이 속속
건설되었다.
1949
영국의 Croxley Grenn Junior School
- 도심에서 떨어진 교외 학교 등장
- L형 배치
- 경량 트러스와 자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
- 낮은 창틀, 가벼운 가구
- 교실에서 바로 운동장으로 연결
- 건축의 경제성과 신속성 추구
1956
런던 Brompton Bousfield 초등학교
- 2개 중정을 중심으로 교실 배치
- 공용공간들은 2개 중정 사이 중앙 배치
(식당, 주방, 교무실, 강당..)
- 대형 유리창의 적극 적용한 모던한 느낌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1954
영국의 Hunstanton Smithson 고등학교
- 신야수주의 건축
- 건물의 비례와 대칭
- 철골 프레임, 철판 플레이트, 벽돌
- 커튼월 통유리벽과 창
- 2개 중정을 품은 2층 직사각형 건물
- 건축의 경제성과 신속성 추구
- 작업장, 체육관 식당 등 별동 배치
- 냉난방에 문제 발생
- 북해 인근의 기후적 특성 고려 미흡
파빌리온 학교
- 본관과 특별교실동, 일반교실동의 분리
- 긴 복도로 연결
- 단층 교사동과 교실별 안뜰 및 충분한 녹색 공간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고측창, 통창 채광과 환기
- 그룹활동을 위해 교실 앞 입구 겸용 소그룹실 배치
- 광장형 중앙통로 및 현관 (장방형 홀)
- 2000년대 학교 건축까지 지속적으로 등장
(1951 게오르그 뷔히너 고등학교) (1957 문케가르트 학교)
(1957 크라이시베그 초등학교)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1958
스위스 벨린조나 중학교
(Scuola Media Bellinzona)
알베르또 카멘진드 설계
- 스위스 남부 티치노 지역 공공공원과 통합된 부지 내
- 티치노 학교 지역 특색 반영
(붉은 벽돌, 기능적 엄격함, 유기적 연결성)
- 세개의 박공 지붕 건물들의 연결
- 천창, 고측창 등을 통한 환기, 채광 중시
- 15개 교실을 편복도로 연결
- 편복도 교실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층고가 높고
폭이 넓은 연결 홀에 휴게, 공용 놀이 공간, 화장실 등 배치
- 교실 뒤에 직접 나갈 수 있는 안뜰 조성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1959
영국 핀미어 빌리지 학교
(Finmere Village School)
- 영국 농촌 과소지역의 작은 영국교회 학교
- 학년 구분없는 통합 수업이 대다수
- 작은 학생수, 적은 연면적, 예산 제약
- 전통 교실을 지양하고 학습 클러스터 구성
- 다용도로 사용하는 중앙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규모의 학습공간 배치
- 부분적인 가변 파티션 사용
- 학생 개별 관심사에 따른 소그룹 학습 지원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편복도 교실과 집체 교육을 지양하는 ‘열린교실’ 운동 등 새로운 교육-건축학의 요구, 지역 공동체 학교로서 정체성 강화에 맞춰 과거와 다른 혁신적인
학습공간 모델과 도전적이고 전위적인 학교 건축 및 산업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새로운 시공 방법이 실험되던 시기이다.
1959
스위스 로카르노 중학교
타치노 그룹 일원인 Dolf Schnebli 설계
- 제3의 교사로서 교육환경(공간) 강조
- 학습과 생활을 지원하는 공간으로서 학교 구현
- ‘열린 주택’ 또는 마을과 같은 공간으로 조성
(골목, 광장, 주택, 거리를 모사하는 공간)
(집체, 그룹, 개별 활동을 위한 틈새 공간)
-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스포츠 구역, 회의실 구역
교실 영역 등으로 나누어 학교 공간 구성
- 교실 천정 중앙 채광구 설치
- 교실 3개 벽면에 칠판 사용 가능
- 체육관, 대강당, 특별교실의 방과후 주민 이용 고려
- 현재 국가문화재로 등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60
네델란드 델프트의 몬테소리 학교
Herman Hertzberger 설계
- 학교는 교육활동을 중심에 둔 사회생활을 위한 도구로 파악
- 시각적, 사회적, 공간적 연결 중요시
- 대로와 골목, 샛길과 주택들이 있는 학습거리형
- 학교를 작은 도시 또는 마을처럼 조성
(소공간, 넓은 광장 공간, 틈새 공간, 외딴 곳, 거리..)
- 유리창, 유리벽 적극 활용-> 현대 학교의 투명성으로 연결
- 공간과 공간의 연결
- 공간 내 순환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
- 빛과 음향 중요시
- L자형 교실과 내외부의 다양한 위치의 좌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67
영국 에벌린 로우(Eveline Lowe) 초등학교
David Medd 설계
- 1967년 영국중앙교육자문위원회의 Plowden 보고 영향
- 영국 런던의 최초 열린 학교
- 작은 마을과 같은 학교를 목표-공간의 다양성 추구
- 무정부적으로 보이지만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
- 홈베이스, 베이(소그룹실), 복도, 수납, 준비실, 베란다가
이 개방적으로 상호 연결된 학습 클러스터 구조
- 베란다 야외 교실로 활용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61~1968
미국 SCSD 미국학교건설 시스템 개발 사업 – 조립식 학교 건축 시스템 개발과 적용
1961 년부터 1967 년까지 미국에서 학교 건설 시스템 개발 (SCSD) 프로젝트는 시스템 기반 건축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이고 유연하며 조립식 건축 건축 시스템을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비 붐, 진보적 교육의 주류화를 반영하며,
건축 자재의 산업화를 통해 학교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건설하기 위한 전국적인 탐색으로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프로젝트는 1962 년에 시작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1) 표준화 된 부품 시스템 개발
2) 표준 부품의 대량 생산을 통한 학교 건설 비용 절감.
3) 학교 건설 기간의 단축
기타 다양한 요구 사항 중에는 공간적 다양성, 즉각적인 변경, 장거리 이동 가능성 및 확장성 등 네 가지 요소의 유연성 요구가 있다.
미국에서는 1965년에서 1968년 사이에 SCSD 시스템을 사용하여 12 개의 학교가 세워졌다.이후 학교 건축의 산업적 부품을 사용한 조립 해체,
재활용이 가능한 모듈화에 대한 시도, 임시 모듈 교사동, 과소지역 오지 학교 건설, 또는 사회변화와 인구감소에 따른 학교 통폐합 이슈 등과 맞물리며
빠르고, 경제적이며, 재사용 또는 변경 사용 가능한 모듈식 학교 건축의 도전은 북미, 호주, 북유럽 등에서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영국 리버풀 학교 건축 모델(일명 박람회장 모델)은 SCSD와 다소 다른 접근이지만 거의 유사하게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 다른
용도로의 변경 또는 유연한 공간 변화를 목표로 세웠다.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73
오스트리아 티롤 뵈글의 연방 학교
빅토르 후나글 설계
- 오스트리아 사전 제작 조립형 실험 모델 학교
- 오스트리아 연방건축기술부로부터 권함 위임
- 편복도 지양, 대형 아뜨리움 홀 중심으로 교실 배치
- 중앙 홀을 이용한 유연한 활동 공간 제공
- 현대 학교에 큰 영향을 끼침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73
시카고 디즈니 마그넷 스쿨
Perkins+Will 설계
- 급팽창하는 도시 인구의 인종적, 계층적, 문화적 다양성 포용
- 유연한 수업시간, 자기주도 연구학습, 그룹활동 기반
팀 티칭 방식의 교육 지원
- 학습전경형(Open Space) 모델
- 1600명 수용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75
로손 중학교(Scuola Media Losone)
타치노 일원인 Livio Vacchini, Aurelio Galfetti 설계
- 스위스 시대를 선도한 철골 판넬 학교
- 스위스 남부 이태리어 사용 지역 타치노의 아방가르드 학교
- 철골 프레임과 판넬을 사용한 구조 요소를 축소
(각관, 단면 내하중 금속 구조, 슬라브 판넬, 볼트 체결)
- 각 측면 40m 정사각형 중정 주변 4개의 L자형 3층 건물
- 교실, 시청각실, 조형예술, 과학실, 도서관, 요리교실, 음악실,
컴퓨터실, 강당 40여 공간으로 구성
- 수직적 학습 공간 그룹화 (층고 높은 1~2층 교실, 간 계단으로
연결, 곳곳에 다용도 휴게공간, 상부층 특별교실 배치)
- 냉난방에 문제 발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77
독일 크론베르그 종합학교
- 독일 공업지대 다름슈타트의 학교
- 지역체육사회센터와 3개 유형 중학교, 고등학교를 통합
- 아뜨리움홀을 중심으로 학습 클러스터 배치한 정방형 건물과
중앙 건물, 5개 스포츠홀과 수영장이 있는 체육센터 등
- 중앙 건물은 정보센터 겸 지역문화센터 겸 특별교육센터
(도서관, 강연장, 다목적실, 미술 클러스터, 음악기술 클러스터,
교사 회의실, 관리실 등 포함)
설계와 시공은 기본적으로 몇 가지 원칙에 지침에 기반하고
있었는데 기본적으로 조립 해체 가능성과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 학교 전체에 걸친 투명성의 원칙에 따른 유리창의 적극 활용.
- 강철 프레임에 기반한 구조
- 해체 가능한 커튼 월
- 사전 제작 후 현장 조립
- 시장에서 구매 가능한 자재 사용
- 건축 자재의 해체 후 재활용 가능성 실험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77
스위스 Morbio Inferiore 중고등학교
Mario Botta 설계
- 스위스 타치노 그룹의 아방가르드 학교
- 타치노 지역의 전통 건축과 야수주의의 영향
- 도시, 대지, 사람과 관계, 서비스와 생활공간 분리, 함몰 창,
독특한 공간 볼륨 특징
- 주변의 풍경과 이질적인 노출콘크리트 건물로 단절
- 그러나 깊게 들어간 현관이 풍경을 시각적으로 연결
- 모듈화된 8개 블록을 기하학적으로 반복
- 채광, 통풍, 시선의 연결성 중요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수평 계단실, 수직 중공 공간의 교차,
야외로 햐한 큰 유리창과 고측창 등)
- 수직적 공간의 그룹화
(중공공간, 교사실, 4개 교실, 상부 천창 앞의 특별 학습실)
1959~1980 – 아방가르드 건축과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1983
몬테소리 아폴로 학교
Herman Hertzberger 설계
- Forum 사설의 일원, 구조주의 건축운동
- 헤르츠베르거는 건축물 구조가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을 강조
- 공적 영역과 사적(틈새) 영역, 매개 공간, 가로 공간, 접근성 중요시
- 정방형 건물의 네 구석에 교실 배치
- 각 교실 사이를 벌려 중앙에 + 자형 공용공간 조성
- 자연스럽게 L형 교실 형성
- 좌우 중심선을 기준으로 스킵 플로워와 광폭계단
- 중앙 스킵플로워 공간을 아뜨리움 공간으로
- 1986년 암스테르담 De Evenaar학교 등 유럽 여러 학교에 영향
1959~1980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2016~2020
일본 요코하마( 浜高校
横 ) 고등학교
- 1942년 개교한 야구로 유명한 사립명문
- 최근 급격한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생수가 감소하면서 2020년 4월 남녀공학으로 전환.
- 2016년도부터 2020년 3월까지 3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개보수
- 1호관 각층 유휴교실의 복도측 벽을 철거하고, 교실과는 다른 배움의 장소로
공용공간을 조성
- 화장실 등의 위치 변경.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20C 초반 지어졌던 역사적인 학교는 물론 베이비부머가 등장하던 1945년대 이후부터 지어진 노후화된 학교의 보수와 리노베이션, 교육학의 변화와 인구
감소를 반영하기 위해 편복도 교실 학교를 재구조화하는 리모델링 사업이 본격적으로 198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2015
마에바시립 제5중학교(前橋市立第五中 校
学 )
- 주체적 학습이 학습과 정보활동의 중요성에 대응
- 도서관을 도서미디어 센터로 리모델링
- 기존의 화장실이 있던 위치의 슬라브들을 터서 중공(Void) 공간 형성
- 돌출 지붕으로 덮어 기존 건물보다 층고를 높임.
1980~현재 – 리노베이션과 리모델링의 시기
2003. 2007. 2012
독일 베를린 에리카 만 초등학교
루드비히 호프만 설계
- 1915년도 지어진 권위적 편복도교실형 학교
- 2003, 2007, 2012 현대화 사업 착수
- 유휴교실을 활용해서 놀이교실, 휴게실 겸 탈의실 마련
- 각층의 컨셉을 정하고 복도를 활성복도(놀이, 휴식, 학습)로 개조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일본철강연맹 차세대 학교시설위원회의 편복도 개보수 방안
일본은 편복도 교실이었던 오래된 학교를 어떻게 개조하고 있나
살펴보자. 일본은 근대교육 초창기부터 편복도교실을 학교의
표준모델로 적용했다. 2차 대전후에는 베이비부머들의 학령기에
맞춰 무수한 획일적인 편복도교실형 학교를 전국에 건축했다.
현재까지도 공립 소학교, 중학교의 60%에 이를 정도로 상당한
학교가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편복도교실 학교의
개보수와 증축이 일본 교육계나 건축계에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사)일본철강연맹(日本 鋼連盟
鉄 )은 산하에 차세대 학교시설위원회
(次世代 校施設委員
学 会)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는 1~3기에 거쳐
기존 RC(강화콘크리트)조 노후 학교 건물을 내진 보강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시에 다목적 공용 공간의 증축을 검토하는 <학교
시설의 리모델링 연구 ( 校施設の改造 究
学 研 )>를 실시했다. 이
연구의 내용은 편복도교실인 기존 학교건물에 대해 철골조로 부분
증축하여 다목적 공간을 가진 열린 교실 군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삼았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2014
스위스 북서부 FHNW 응용과학대 발간 학교 개선 논의자료
<<SI SchulUmbau Strategische Initiative SchulUmbau – Die Transformation schulischer Lebenswelten und Kulturen>>
이 자료는 전후 등장한 전통 학교의 다양한 단계적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편복도와 중복도 교실 학교에서 유휴 공간이 증가하는 정도에
대응하고, 21세기 교육 아젠다에 따라 새로운 학습 공간 모델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높아짐에 따라 단계적인 유휴 교실의 활용 방안과 편복도 교실과 중복도
교실을 해체하면서 다양한 학습 공간을 재구성하는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2015
뉴질랜드 교육부 표준 교사동의 리모델링 가이드
Designing Schools in New Zealand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문서(Ver 1.0, 2015년 10월)
- 1955~1962년에 지어진 단층 표준 교사동의 리모델링 가이드
(표준 교사동은 상자곽 교실, 앞쪽 출입구, 뒷쪽 보관소 겸 화장실 배치, 고측창이 특징)
- 다양한 학습 유형과 개별, 그룹 활동을 강조하는 현대 교육학에 맞춰 유연한 학습공간 구성 목적
- 다양한 공간을 포함한 반개방형 학습 스튜디오 제안
» 기존 교실 사이의 벽을 제거하여 전체 학습 공간 내에서 연결성을 극대화하며, 건물 동 내 모든 교사의 강력한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교실 사이의 최소 개방 너비는 약 4m에서 높이 2.7m로 형성한다. (즉 광폭으로 개방한다)
» 모든 교사가 살필 수 없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소그룹 학습을 위해 학습 공간 내에 구석 공간을 허용한다.
» 공간 배치 방법을 지시하는 가구 배치를 제공한다.
» 필요한 경우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식 칸막이나 회전축이 있는 발표 칸막이 등을 사용하여 학습 공간의 가변성을 유지한다.
» 최소 2개의 작은 비공식 공간(소규모 공간)을 제공하고, 통유리 벽을 설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 대형 비공식 공간/ 발표 공간을 설치하여 학습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대형 유리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 학습 영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교사 협력실(업무실) / 교구재 공간의 선택적 조성을 허용한다.
» 학습 활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습식 공간을 배치한다. 습식공간은 내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 제작 학습과 관련된 활동은 건물의 한쪽 끝에 배치하여 조용히 수업을 해야 하는 공간과 분리한다.
» 흡음성이 뛰어난 천장 타일과 흡음 보드 벽체 등 흡음자재를 사용한다.
» 이동 가능한 화이트보드, 단초점 프로젝터 또는 LCD TV 패널을 사용한다.
» 휴대품 보관에 대해 학교는 방식, 장소 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1995
스위스 Mastrils School
Dieter Jungling 설계
- 2020년 현재 인구 548명의 산촌 과소지역
- 2000년 0-9세 54명, 10~14세 31명,
15~19세 48명
- 인구의 71.8%가 상위 중등교육 또는
고등교육(대학) 졸업
- 제한된 학교 건축 연면적, 제한된 예산
- 경사진 지형에 계단식의 단순한 구조의 학교 건축
- 체육관 겸 강단은 주민 계방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학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 농산어촌 등 과소지역의 등장, 디지털화 되어가는 세계에서 개인맞춤교육, 자기주도 교육, 문제기반 학습, ICT 활용 등 급격한
변화는 현대 학교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다. 현대 학교들은 학교의 통폐합, 지역시설과 복합화, 다양성과 유연성을 갖춘 학습 공간,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정한 학교 건축 유형이나 학습 공간 모델이 이 기간의 주도적 특징이라기 보다는 개별 맥락과 조건 속에서 다양한 학교 디자인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가장 주목한 학습공간의 변화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학습 공간들을 클러스터화하는 경향이 높으며, 학교 곳곳에 분산된
다목적의 공용공간을 조성하고, 단순 복도 보다는 활성복도로 변경하며, 지역사회와 학교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
다. 이 시기 주요한 학습공간 모델로는 학습 클러스터 또는 학습 커뮤니티, 학습 스튜디오 또는 학습전경형, 가변 확장 교실이나 가변 열린 교실의 채택이
다.
1997
잉골슈타트 사회주택단지 몬테소리 학교
Montessorischule Ingolstadt-Hollerstauden
-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홀러스타우덴 사회주택단지 내 학교
- 커뮤니티센터, 유치원, 치료공간, 탁아소, 초, 중학교, 공예품 상가,
청소년센터, 체육관 등과 함께 조성
- 1층에 레크레이션 홀 겸 카페, 음악당, 식당, 주방 배치
- 2층 관리실, 어머니 센터, 회의실 배치
- 인근 주택단지와 분리된 섬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복지, 청소년 시설,
교육 시설을 유기적으로 통합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2000
암스테르담 우스트 몬테소리 컬리지
Montessori College Oost, Amsterdam
- 메가시티, 고밀도 도시, 컴팩트 도시의 등장
- 지가의 상승, 부지 확보 또는 확장의 어려움으로 빌딩형 학교 등장
- 층간 개방성과 채광, 환기를 위한 중앙 아뜨리움
- 층간 이동과 연결을 위한 연결 브릿지, 계단 등
- 스킵 플루어
- 곳곳의 공용공간과 계단형 좌석 통로
- 복도 곳곳을 다목적의 활동과 학습 공간으로 활용
- 학교 내외부의 자연스런 연결
*참고 홍콩, 싱가폴 등 밀집도시에 빌딩형 학교 등장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Riends Seminar School Avenues The Word School
싱가폴 예술학교 홍콩 싱가폴 국제학교
2005
하이거록의 위트하우스 초등학교
Witthauschule, Haigerlich
- 종일학교(우리의 늘봄 또는 돌봄 교실 운영 학교)로서 생활공간 지원
- 교육 캠퍼스 내 배치
(인근에 무술도장, 놀이터, 스포츠센터, 수용장, 축구장, 고등학교)
- 2개 학습동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
- 중앙에 다목적 공용공간 겸 강당
- 중앙 2층 공용 휴게 공간 조성
- 1층 교실 바로 야외로 연결
- 2층 교실에서 테라스형 복도를 통해 계단으로 연결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2007
네델란드 아른헴의 살라만데 학교
MFC Salamander School
- MFC(디기능센터) 확장학교
- 2개 초등학교, 보육원, 놀이그룹, 체육관으로 통합 구성
- 양쪽 안뜰을 감싼 정방형에 가까운 건물
- 1층에 공용공간, 광폭학습계단, 특별교실, 보육원, 놀이그룹, 사무공간
- 2층에 두 학교의 교실들 배치
- 2개 L형 교실, 정방형 교실 한쌍으로 상호 연결
- 복도 곳곳에 확장형 활성복도와
- 중앙에 체육관과 지역 주민의 방과후 이용을 위한 별도 출입구
- 1층은 방과후 주민 이용을 전제로 공간 디자인
- 12m 간격의 넓은 기둥 배열로 향후 레이아웃 변경의 유연성 고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참조 : 확장 복도
참조 : 확장 복도
참조 : 확장 복도
2008
영국 브리소톨 메트로폴리탄 컬리지
- BSF 프로젝트로 지어진 학습거리형 학교
- 2009년 영국총리상 ‘더 나은 공공 건물상 최종 후보’
- 학습거리형 확장 복도, 광장형 공간과 현관 통합,
- 딸기모양의 중공 공간이 있는 학습 클러스터
- 학습클러스터 별 300명 수용, 별도 삼각형 아고라 조성
- 학습 거리 반대 편에 도서관, 체육관, 특기실 등 배치
-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 원뿔형 채광부
- 개별맞춤, 그룹 작업, 협력수업, 융합 수업 지원
- 곳곳에서 메트로폴리탄 컬리지 모델을 확산과 변형
* 영국의 미래학교건축 프로그램 BSF는 2000년대 초반
시작해서 2020년까지 50년 동안 영국의 3,500 개 중고등
학교 모두를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미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공간으로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사업 초기
물량 중심으로 추진했지만 계획대로 진행하지 못하면서 적지
않은 문제를 일으켰다. 가장 큰 문제는 민간 투자 방식(BTL)
으로 학교 건축을 추진한 점이다. 각계에서 교육 공간의
통제권을 자본에 넘겼다는 비판을 받았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2013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 학교건축지침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의 2013년 학교건축 지침«Schulbauleitlinien Landkreis Darmstadt-Dieburg» 역시 중복도 교실 학교의 변형 또는 조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간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지침은 대략 10개 교실을 배치할 수 있는 471m2 또는 675m2 기준 면적을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변형한 학습클러스터, 즉 다양한 학습공간을 조합한 교실군으로 조성하는 방안 제시한다. 이러한 교실군은 일반교실, 다용도 공용공간, 팀 스테이션(교사실),
소그룹 공간, 복도 또는 부분 확장 복도를 포함한 2차 학습 공간 또는 과감히 개방한 열린 학습 전경형 공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2개 기준 면적
( 675m2)을 통합하여 도서관 또는 공용 휴게공간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공간조합 디자인을 제시한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2016
독일 Weiterstadt의 Hessenwaldschue
- 국제 건축가상 수상
- 중앙 광장형 아뜨리움 홀 중심의 3개 건물통 연결
- 모든 건물이 연결된 1층에 행정, 식당, 휴게실, 극장실, 음악실, 도서관
- 각동 2~3층에 학습 클러스터 조성
- 공용공간 중심의 5개 교실, 소그룹실, 화장실, 교사실, 내부 계단, 테라스 포함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2007~2015
포르투칼 중등학교 현대화사업
MFC Salamander School
- 학교 노후화, 인구 감소, 교육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 현대화 사업 추진
- 포르투칼 477여 중등학교 대상
- 공식, 비공식 학습공간 및 공용공간, 교육 내용 변화 반영
- 생활, 체육, 도서관 , 행사장 및 지역사회 속의 학교로서 지역개방 공간 조성 등 포함
- 1960년대 Herman Hertzberger의 학습거리 개념 반영
- 보존, 철거, 증축, 신축 등 포함 단계적 순차적 추진
2007년~2009
리스본의 Escola Secundaria de Dom.Dinis
- 1972년 개교한 파빌리온형의 낡은 모듈식 학교의 보수와 증축을 포함한 현대화
- 12~17세 학생 1천 명을 수용 할 수 있게 조성
- 기존 건물의 보수와 동시에 건물들을 증축 건물로 연결
- 각 건물동 간 명확한 기능적 영역화(Zone)
- 증축 건물에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교사와 학생을 위한 업무 공간을 포함
- 증축 건물 내 마치 물 흐르듯 휘며 흐르는 커다란 통로 겸 다목적의 학습거리 조성
- 기존 건물 동 내 실험실, 미술실, ICT실, 멀티미디어 스튜디오 집중 구성
- 체육관, 식당,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사회적 공간 분리
- 나머지 동에 교실들 클러스터화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2015~2017
라드슈타트 시립 초중등 통합학교
(Radstadt Volksschule, nue Mittelschule)
오스트리아 짤츠브르크
- 1941년 개교 후 3번에 걸친 리모델링
- 2015~2017년 신축을 통한 현대화와 확장
- 초등+음악 중학교
- 다양한 연령대 교차 교류 위해 중앙 공용공간 + 분산된 공용공간 조성
- 현관, 강당, 식당, 도서관, 공연장을 비공식 휴게와 사교 공간으로 사용
- 다양한 유형의 학습을 지원하는학습 클러스터로 조성
- 학습공간에 통창 유리벽 적극 사용하여 시각적 개방감
- 라드슈타트 학교의 9가지 학습공간 기치
1 : 이해할 수 있는 기능적 관계 -기능은 학습 공간에 영향을 미치며 그 반대는 아니다!
2 : 방향성 / 명확성- 모든 공간은 스스로 안내하고 메시지와 방향성을 제공한다.
3 : 다용도의 학습 지원과 공간의 질-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해야 한다.
4 : 유연성 / 개별 의사 결정 옵션 / 가변성- 하나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5 : 경로의 길이와 이동- "기능적 공간은 기능적 이동을 기반으로 한다.
6 : 격리와 연결-근접한 공간은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7 : 쾌적한 실내 환경 -양질의 빛 / 공기 / 색상 / 음향 / 재료
8 : 매력적인 커뮤니티 공간- 눈에 띄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만든다.
9 : 외부 영향-건물의 정체성과 이미지
1995~현재 –
2018~2021
덴마크 룬쵸프테 학교
(Skole Lundtofte, Lyngby. Kongens)
- 기존 건물의 증개축 및 현대화 작업
- 지역 공동체와 포용성을 강조
- 공동체 형성에 음악, 예술 과목 중요시
- 중앙 광장형 공간 겸 지역개방형 예술문화센터 증축 조성
- 부분 확장형 복도, L형 교실
- 일부 교실과 개방형 비공식 공간과 가변 연결
1995~현재 –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La actualidad más candente (20)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유휴교실을 활용한 21세기 학습공간 조성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Más de 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Más de Seongwon Kim (15)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 1.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 Play AT 연구소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https://www.facebook.com/groups/PaTI.Tech.Play Bellinzona, Tachino, Swiss Scuola cantonale di commercio
  • 2. 1800~1900 – 근대 학교의 등장과 교실의 분리 1800 원룸 학교 1806~1840 대형 강의장 학교 (일명 궁전학교) - 소음, 위생 문제 1840~1850 작은 교실들로 분리 - 남녀 구분 - 연령대에 따른 분리 - 위생, 소음 문제 해결 1840~1850 중층 주택형 학교 - 복수의 교실 - 교과 기반 교육 확장 - 음악실, 체육관 등장 1840~1850 일부 국가 제도적 지원 학제, 학교건축 규정 제도화 도시 유입되는 다수 학생들을 수용하면서 학교의 위생과 소음 문제를 개선 동시에 교과, 학년의 분리에 맞춰 복수의 교실로 분리 특별 교실들을 추가해나가며 근대 교육의 기틀을 잡아가던 시기
  • 3. 1900~1920 – 아르누보 학교 건축의 시대 19세기 후반~20세기 초 결핵의 대유행, 1914~1918년 1차 세계 대전, 1918년 스페인 독감 대유행으로 학교의 위생, 환기, 채광, 신체적 활동의 촉진이 중요시 되던 시기다. 따라서 교실의 유리창문의 확대, 미닫이 문과 편복도 교실과 교과 분리에 따른 특별교실, 기능적 공간의 추가, 학교의 건물 배치 등 전통과 현대의 경계에서 현대학교 건축의 원형이 형성되던 시기 1896~1909 스코트랜드 글라스고우 예술학교 공예가 맥켄토시 설계 - 유리창 확대 - 내부 목재 (일본 영향) - 절제된 건물 장식과 파사드 - 편복도, 중복도, - 돌출 날개와 중앙홀 계단실 - 화장실, 특별교실, 기능적 공간 분리
  • 4. 1900~1920 – 아르누보 학교 건축의 시대 1912 파리 루엘 공립학교 (École Publique Rouelle) 루이 보니에 설계 - 철근 콘크리트+치장 벽돌 - 대칭과 비례, 제한적인 장식성 - U자형 배치와 전면 운동장 - 확장 창문 - 일반교실, 보육실, 남녀 교실, 화장실, 매점, 응접실, 숙직질, 관리실, 면회실, 현관, 사무실 등 현대적 학교 공간 구성 - 편복도 시스템
  • 5.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몬테소리, 존 듀이 등 교육개혁가들의 요구를 수용하며 도전적인 건축가들에 의해 다양한 유형의 모던한 학교 건축을 시도하던 시기이다. 이때 주도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유형과 배치의 기틀이 잡혔다. 스페인 독감의 대유행과 더불어 시작된 야외 학교 및 열린 학교의 영향으로 학습공간의 실내외 연결, 자연과의 접촉이 크게 강조된 시기이기도 하다. 1921 네델란드 힐베르숨의 Bavinck School 빌렘 마리우스 두독 설계 - 60년 동안 힐베르숨의 도시계획가 - 10년 동안 17개 학교 건축 - 반복된 L자형 배치와 편복도 교실 - 특별교실, 체육관 날개동 배치 - 붉은 벽돌, 눈에 띄는 유리창 - 수직, 수평의 강조 - 교통소음 피해 건물 후퇴
  • 6.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28 독일 첼레의 앨트스태터 학교 (Altstädter Schule) 오토 해슬러 설계 - 1920~30년대 바이마르공화국의 학교개혁운동 영향 - 오토 해슬러 학교 모더니즘 선도 - 바우하우스 양식의 10대 건축물 - 일명 유리학교, 구시가지 학교 - 중앙에 체육관과 홀, 현관을 배치하고 양쪽에 편복도 교실과 넓은 복도 배치 - 중앙 유리블록 천창 - 교실에 밖을 향한 통풍창과 유리창 - 복도 중간에 밖을 향한 휴게공간 마련 - 개교 2년동안 8천명 방문/방문료 50페니 - 홀형, 아뜨리움형 학교에 영향
  • 7.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0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학교 에은스 메이 설계 - 초기 학교명 (Röderberg Schule) - 병영식 학교 탈피 - 최초의 열린학교이자 파빌리온 학교 (긴 복도로 연결된 분리된 교사동과 본관) - 고측창 채광, 환기, 충분한 녹색 공간 제공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교실별 안뜰 조성 - 현재 기념물로 보호 - 체육실, 테라스, 샤워실, 식당, 주방, 요리교실 , 도서실 및 기능적 공간들 포함 - 경사지 배치
  • 8.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5 캘리포니아 벨의 코로나 에버뉴 학교 리챠드 노이트라 설계 - Open Air, 열린 학교 운동 영향 - 채광, 자연접촉, 실내외 연결 강조 - 교실별 야외 교실로서 안뜰 조성 - 야외로 열리는 광폭 미닫이문 - 외부 차양 - 교실 내 별도 활동 구역 설정 - 고측창 -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학습 가구
  • 9.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39 영국 임핑톤 빌리지 컬리지 발터 그로피우스, 맥스웰 프라이 설계 - 농촌의 지역공동체 학교 비전 - 지역주민을 위한 날개동과 시설, 별도 출입구, 부채꼴 홀 - 교차, 교류를 위한 학습거리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전면 통창 유리 - 3면이 가려진 안뜰의 조성
  • 10. 1920~1945 – 본격적인 현대 학교 건축의 시대 1941 일리노이주 크로우 아일랜드 초등학교 - Finger Plan 레이아웃 - 집체, 그룹, 역동적 활동을 위한 L형 교실 - 구석 공간은 다목적 이용 - 교실 내 개수대 시설 - 교실별 야외 교실로 직접 연결 - 2면 창으로 월등한 채광 - 편복도, 중복도 혼합 - 중앙 홀을 중심으로 날개동에 강당, 도서관, 교무실, 교실 등 연결 - 미국 건축 100년사 중요 건축물로 선정 - AIA 미국 역사적 건축물로 지정
  • 11.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전후 복구의 시대 베이비부머들이 등장했으며 거의 매일 새로운 학교가 세워졌다. 최우선의 과제는 늘어나는 베이비부머들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경제적이고 신속한 대형 학교의 건축이었다. 이 시기 경량 조립식 학교, 철골 프레임 구조, 전면 유리 커튼 월이 적용되었으며, 대규모 격자형 파빌리온 학교들이 속속 건설되었다. 1949 영국의 Croxley Grenn Junior School - 도심에서 떨어진 교외 학교 등장 - L형 배치 - 경량 트러스와 자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 - 낮은 창틀, 가벼운 가구 - 교실에서 바로 운동장으로 연결 - 건축의 경제성과 신속성 추구 1956 런던 Brompton Bousfield 초등학교 - 2개 중정을 중심으로 교실 배치 - 공용공간들은 2개 중정 사이 중앙 배치 (식당, 주방, 교무실, 강당..) - 대형 유리창의 적극 적용한 모던한 느낌
  • 12.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1954 영국의 Hunstanton Smithson 고등학교 - 신야수주의 건축 - 건물의 비례와 대칭 - 철골 프레임, 철판 플레이트, 벽돌 - 커튼월 통유리벽과 창 - 2개 중정을 품은 2층 직사각형 건물 - 건축의 경제성과 신속성 추구 - 작업장, 체육관 식당 등 별동 배치 - 냉난방에 문제 발생 - 북해 인근의 기후적 특성 고려 미흡
  • 13. 파빌리온 학교 - 본관과 특별교실동, 일반교실동의 분리 - 긴 복도로 연결 - 단층 교사동과 교실별 안뜰 및 충분한 녹색 공간 - 실내외 공간의 직접 연결 - 고측창, 통창 채광과 환기 - 그룹활동을 위해 교실 앞 입구 겸용 소그룹실 배치 - 광장형 중앙통로 및 현관 (장방형 홀) - 2000년대 학교 건축까지 지속적으로 등장 (1951 게오르그 뷔히너 고등학교) (1957 문케가르트 학교) (1957 크라이시베그 초등학교)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 14. 1958 스위스 벨린조나 중학교 (Scuola Media Bellinzona) 알베르또 카멘진드 설계 - 스위스 남부 티치노 지역 공공공원과 통합된 부지 내 - 티치노 학교 지역 특색 반영 (붉은 벽돌, 기능적 엄격함, 유기적 연결성) - 세개의 박공 지붕 건물들의 연결 - 천창, 고측창 등을 통한 환기, 채광 중시 - 15개 교실을 편복도로 연결 - 편복도 교실의 단조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층고가 높고 폭이 넓은 연결 홀에 휴게, 공용 놀이 공간, 화장실 등 배치 - 교실 뒤에 직접 나갈 수 있는 안뜰 조성 1945~1958 – 전후 베이비 부머의 시대
  • 15.
  • 16. 1959 영국 핀미어 빌리지 학교 (Finmere Village School) - 영국 농촌 과소지역의 작은 영국교회 학교 - 학년 구분없는 통합 수업이 대다수 - 작은 학생수, 적은 연면적, 예산 제약 - 전통 교실을 지양하고 학습 클러스터 구성 - 다용도로 사용하는 중앙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규모의 학습공간 배치 - 부분적인 가변 파티션 사용 - 학생 개별 관심사에 따른 소그룹 학습 지원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편복도 교실과 집체 교육을 지양하는 ‘열린교실’ 운동 등 새로운 교육-건축학의 요구, 지역 공동체 학교로서 정체성 강화에 맞춰 과거와 다른 혁신적인 학습공간 모델과 도전적이고 전위적인 학교 건축 및 산업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새로운 시공 방법이 실험되던 시기이다.
  • 17.
  • 18. 1959 스위스 로카르노 중학교 타치노 그룹 일원인 Dolf Schnebli 설계 - 제3의 교사로서 교육환경(공간) 강조 - 학습과 생활을 지원하는 공간으로서 학교 구현 - ‘열린 주택’ 또는 마을과 같은 공간으로 조성 (골목, 광장, 주택, 거리를 모사하는 공간) (집체, 그룹, 개별 활동을 위한 틈새 공간) - 중앙광장을 중심으로 스포츠 구역, 회의실 구역 교실 영역 등으로 나누어 학교 공간 구성 - 교실 천정 중앙 채광구 설치 - 교실 3개 벽면에 칠판 사용 가능 - 체육관, 대강당, 특별교실의 방과후 주민 이용 고려 - 현재 국가문화재로 등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19.
  • 20. 1960 네델란드 델프트의 몬테소리 학교 Herman Hertzberger 설계 - 학교는 교육활동을 중심에 둔 사회생활을 위한 도구로 파악 - 시각적, 사회적, 공간적 연결 중요시 - 대로와 골목, 샛길과 주택들이 있는 학습거리형 - 학교를 작은 도시 또는 마을처럼 조성 (소공간, 넓은 광장 공간, 틈새 공간, 외딴 곳, 거리..) - 유리창, 유리벽 적극 활용-> 현대 학교의 투명성으로 연결 - 공간과 공간의 연결 - 공간 내 순환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 - 빛과 음향 중요시 - L자형 교실과 내외부의 다양한 위치의 좌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1. 1967 영국 에벌린 로우(Eveline Lowe) 초등학교 David Medd 설계 - 1967년 영국중앙교육자문위원회의 Plowden 보고 영향 - 영국 런던의 최초 열린 학교 - 작은 마을과 같은 학교를 목표-공간의 다양성 추구 - 무정부적으로 보이지만 자기주도적 학습 지원 - 홈베이스, 베이(소그룹실), 복도, 수납, 준비실, 베란다가 이 개방적으로 상호 연결된 학습 클러스터 구조 - 베란다 야외 교실로 활용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2.
  • 23. 1961~1968 미국 SCSD 미국학교건설 시스템 개발 사업 – 조립식 학교 건축 시스템 개발과 적용 1961 년부터 1967 년까지 미국에서 학교 건설 시스템 개발 (SCSD) 프로젝트는 시스템 기반 건축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이고 유연하며 조립식 건축 건축 시스템을 만들어졌다. 이 프로젝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비 붐, 진보적 교육의 주류화를 반영하며, 건축 자재의 산업화를 통해 학교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건설하기 위한 전국적인 탐색으로 시작되었다. 본격적인 프로젝트는 1962 년에 시작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1) 표준화 된 부품 시스템 개발 2) 표준 부품의 대량 생산을 통한 학교 건설 비용 절감. 3) 학교 건설 기간의 단축 기타 다양한 요구 사항 중에는 공간적 다양성, 즉각적인 변경, 장거리 이동 가능성 및 확장성 등 네 가지 요소의 유연성 요구가 있다. 미국에서는 1965년에서 1968년 사이에 SCSD 시스템을 사용하여 12 개의 학교가 세워졌다.이후 학교 건축의 산업적 부품을 사용한 조립 해체, 재활용이 가능한 모듈화에 대한 시도, 임시 모듈 교사동, 과소지역 오지 학교 건설, 또는 사회변화와 인구감소에 따른 학교 통폐합 이슈 등과 맞물리며 빠르고, 경제적이며, 재사용 또는 변경 사용 가능한 모듈식 학교 건축의 도전은 북미, 호주, 북유럽 등에서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영국 리버풀 학교 건축 모델(일명 박람회장 모델)은 SCSD와 다소 다른 접근이지만 거의 유사하게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빠르고 경제적인 시공, 다른 용도로의 변경 또는 유연한 공간 변화를 목표로 세웠다.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4. 1973 오스트리아 티롤 뵈글의 연방 학교 빅토르 후나글 설계 - 오스트리아 사전 제작 조립형 실험 모델 학교 - 오스트리아 연방건축기술부로부터 권함 위임 - 편복도 지양, 대형 아뜨리움 홀 중심으로 교실 배치 - 중앙 홀을 이용한 유연한 활동 공간 제공 - 현대 학교에 큰 영향을 끼침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5. 1973 시카고 디즈니 마그넷 스쿨 Perkins+Will 설계 - 급팽창하는 도시 인구의 인종적, 계층적, 문화적 다양성 포용 - 유연한 수업시간, 자기주도 연구학습, 그룹활동 기반 팀 티칭 방식의 교육 지원 - 학습전경형(Open Space) 모델 - 1600명 수용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6. 1975 로손 중학교(Scuola Media Losone) 타치노 일원인 Livio Vacchini, Aurelio Galfetti 설계 - 스위스 시대를 선도한 철골 판넬 학교 - 스위스 남부 이태리어 사용 지역 타치노의 아방가르드 학교 - 철골 프레임과 판넬을 사용한 구조 요소를 축소 (각관, 단면 내하중 금속 구조, 슬라브 판넬, 볼트 체결) - 각 측면 40m 정사각형 중정 주변 4개의 L자형 3층 건물 - 교실, 시청각실, 조형예술, 과학실, 도서관, 요리교실, 음악실, 컴퓨터실, 강당 40여 공간으로 구성 - 수직적 학습 공간 그룹화 (층고 높은 1~2층 교실, 간 계단으로 연결, 곳곳에 다용도 휴게공간, 상부층 특별교실 배치) - 냉난방에 문제 발생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7.
  • 28. 1977 독일 크론베르그 종합학교 - 독일 공업지대 다름슈타트의 학교 - 지역체육사회센터와 3개 유형 중학교, 고등학교를 통합 - 아뜨리움홀을 중심으로 학습 클러스터 배치한 정방형 건물과 중앙 건물, 5개 스포츠홀과 수영장이 있는 체육센터 등 - 중앙 건물은 정보센터 겸 지역문화센터 겸 특별교육센터 (도서관, 강연장, 다목적실, 미술 클러스터, 음악기술 클러스터, 교사 회의실, 관리실 등 포함) 설계와 시공은 기본적으로 몇 가지 원칙에 지침에 기반하고 있었는데 기본적으로 조립 해체 가능성과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했다. - 학교 전체에 걸친 투명성의 원칙에 따른 유리창의 적극 활용. - 강철 프레임에 기반한 구조 - 해체 가능한 커튼 월 - 사전 제작 후 현장 조립 - 시장에서 구매 가능한 자재 사용 - 건축 자재의 해체 후 재활용 가능성 실험 1959~1980년대 중반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29.
  • 30.
  • 31. 1977 스위스 Morbio Inferiore 중고등학교 Mario Botta 설계 - 스위스 타치노 그룹의 아방가르드 학교 - 타치노 지역의 전통 건축과 야수주의의 영향 - 도시, 대지, 사람과 관계, 서비스와 생활공간 분리, 함몰 창, 독특한 공간 볼륨 특징 - 주변의 풍경과 이질적인 노출콘크리트 건물로 단절 - 그러나 깊게 들어간 현관이 풍경을 시각적으로 연결 - 모듈화된 8개 블록을 기하학적으로 반복 - 채광, 통풍, 시선의 연결성 중요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수평 계단실, 수직 중공 공간의 교차, 야외로 햐한 큰 유리창과 고측창 등) - 수직적 공간의 그룹화 (중공공간, 교사실, 4개 교실, 상부 천창 앞의 특별 학습실) 1959~1980 – 아방가르드 건축과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32.
  • 33. 1983 몬테소리 아폴로 학교 Herman Hertzberger 설계 - Forum 사설의 일원, 구조주의 건축운동 - 헤르츠베르거는 건축물 구조가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을 강조 - 공적 영역과 사적(틈새) 영역, 매개 공간, 가로 공간, 접근성 중요시 - 정방형 건물의 네 구석에 교실 배치 - 각 교실 사이를 벌려 중앙에 + 자형 공용공간 조성 - 자연스럽게 L형 교실 형성 - 좌우 중심선을 기준으로 스킵 플로워와 광폭계단 - 중앙 스킵플로워 공간을 아뜨리움 공간으로 - 1986년 암스테르담 De Evenaar학교 등 유럽 여러 학교에 영향 1959~1980 – 아방가르드와 다시 학교 공간 혁신의 시대
  • 34. 2016~2020 일본 요코하마( 浜高校 横 ) 고등학교 - 1942년 개교한 야구로 유명한 사립명문 - 최근 급격한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생수가 감소하면서 2020년 4월 남녀공학으로 전환. - 2016년도부터 2020년 3월까지 3기에 걸쳐 순차적으로 개보수 - 1호관 각층 유휴교실의 복도측 벽을 철거하고, 교실과는 다른 배움의 장소로 공용공간을 조성 - 화장실 등의 위치 변경.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20C 초반 지어졌던 역사적인 학교는 물론 베이비부머가 등장하던 1945년대 이후부터 지어진 노후화된 학교의 보수와 리노베이션, 교육학의 변화와 인구 감소를 반영하기 위해 편복도 교실 학교를 재구조화하는 리모델링 사업이 본격적으로 1980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어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 35. 2015 마에바시립 제5중학교(前橋市立第五中 校 学 ) - 주체적 학습이 학습과 정보활동의 중요성에 대응 - 도서관을 도서미디어 센터로 리모델링 - 기존의 화장실이 있던 위치의 슬라브들을 터서 중공(Void) 공간 형성 - 돌출 지붕으로 덮어 기존 건물보다 층고를 높임. 1980~현재 – 리노베이션과 리모델링의 시기
  • 36. 2003. 2007. 2012 독일 베를린 에리카 만 초등학교 루드비히 호프만 설계 - 1915년도 지어진 권위적 편복도교실형 학교 - 2003, 2007, 2012 현대화 사업 착수 - 유휴교실을 활용해서 놀이교실, 휴게실 겸 탈의실 마련 - 각층의 컨셉을 정하고 복도를 활성복도(놀이, 휴식, 학습)로 개조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 37. 일본철강연맹 차세대 학교시설위원회의 편복도 개보수 방안 일본은 편복도 교실이었던 오래된 학교를 어떻게 개조하고 있나 살펴보자. 일본은 근대교육 초창기부터 편복도교실을 학교의 표준모델로 적용했다. 2차 대전후에는 베이비부머들의 학령기에 맞춰 무수한 획일적인 편복도교실형 학교를 전국에 건축했다. 현재까지도 공립 소학교, 중학교의 60%에 이를 정도로 상당한 학교가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편복도교실 학교의 개보수와 증축이 일본 교육계나 건축계에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사)일본철강연맹(日本 鋼連盟 鉄 )은 산하에 차세대 학교시설위원회 (次世代 校施設委員 学 会)를 구성했다. 이 위원회는 1~3기에 거쳐 기존 RC(강화콘크리트)조 노후 학교 건물을 내진 보강하고, 리모델링하는 동시에 다목적 공용 공간의 증축을 검토하는 <학교 시설의 리모델링 연구 ( 校施設の改造 究 学 研 )>를 실시했다. 이 연구의 내용은 편복도교실인 기존 학교건물에 대해 철골조로 부분 증축하여 다목적 공간을 가진 열린 교실 군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삼았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 38. 2014 스위스 북서부 FHNW 응용과학대 발간 학교 개선 논의자료 <<SI SchulUmbau Strategische Initiative SchulUmbau – Die Transformation schulischer Lebenswelten und Kulturen>> 이 자료는 전후 등장한 전통 학교의 다양한 단계적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존 편복도와 중복도 교실 학교에서 유휴 공간이 증가하는 정도에 대응하고, 21세기 교육 아젠다에 따라 새로운 학습 공간 모델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높아짐에 따라 단계적인 유휴 교실의 활용 방안과 편복도 교실과 중복도 교실을 해체하면서 다양한 학습 공간을 재구성하는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 39. 2015 뉴질랜드 교육부 표준 교사동의 리모델링 가이드 Designing Schools in New Zealand - Requirements and Guidelines 문서(Ver 1.0, 2015년 10월) - 1955~1962년에 지어진 단층 표준 교사동의 리모델링 가이드 (표준 교사동은 상자곽 교실, 앞쪽 출입구, 뒷쪽 보관소 겸 화장실 배치, 고측창이 특징) - 다양한 학습 유형과 개별, 그룹 활동을 강조하는 현대 교육학에 맞춰 유연한 학습공간 구성 목적 - 다양한 공간을 포함한 반개방형 학습 스튜디오 제안 » 기존 교실 사이의 벽을 제거하여 전체 학습 공간 내에서 연결성을 극대화하며, 건물 동 내 모든 교사의 강력한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 교실 사이의 최소 개방 너비는 약 4m에서 높이 2.7m로 형성한다. (즉 광폭으로 개방한다) » 모든 교사가 살필 수 없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면서 소그룹 학습을 위해 학습 공간 내에 구석 공간을 허용한다. » 공간 배치 방법을 지시하는 가구 배치를 제공한다. » 필요한 경우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이동식 칸막이나 회전축이 있는 발표 칸막이 등을 사용하여 학습 공간의 가변성을 유지한다. » 최소 2개의 작은 비공식 공간(소규모 공간)을 제공하고, 통유리 벽을 설치하여 음향을 분리할 수 있다. » 대형 비공식 공간/ 발표 공간을 설치하여 학습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대형 유리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 » 학습 영역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교사 협력실(업무실) / 교구재 공간의 선택적 조성을 허용한다. » 학습 활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습식 공간을 배치한다. 습식공간은 내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 제작 학습과 관련된 활동은 건물의 한쪽 끝에 배치하여 조용히 수업을 해야 하는 공간과 분리한다. » 흡음성이 뛰어난 천장 타일과 흡음 보드 벽체 등 흡음자재를 사용한다. » 이동 가능한 화이트보드, 단초점 프로젝터 또는 LCD TV 패널을 사용한다. » 휴대품 보관에 대해 학교는 방식, 장소 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980~현재 – 리모델링의 시기
  • 40.
  • 41. 1995 스위스 Mastrils School Dieter Jungling 설계 - 2020년 현재 인구 548명의 산촌 과소지역 - 2000년 0-9세 54명, 10~14세 31명, 15~19세 48명 - 인구의 71.8%가 상위 중등교육 또는 고등교육(대학) 졸업 - 제한된 학교 건축 연면적, 제한된 예산 - 경사진 지형에 계단식의 단순한 구조의 학교 건축 - 체육관 겸 강단은 주민 계방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학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 농산어촌 등 과소지역의 등장, 디지털화 되어가는 세계에서 개인맞춤교육, 자기주도 교육, 문제기반 학습, ICT 활용 등 급격한 변화는 현대 학교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다. 현대 학교들은 학교의 통폐합, 지역시설과 복합화, 다양성과 유연성을 갖춘 학습 공간,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정한 학교 건축 유형이나 학습 공간 모델이 이 기간의 주도적 특징이라기 보다는 개별 맥락과 조건 속에서 다양한 학교 디자인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가장 주목한 학습공간의 변화는 다양한 규모와 형태를 가진 학습 공간들을 클러스터화하는 경향이 높으며, 학교 곳곳에 분산된 다목적의 공용공간을 조성하고, 단순 복도 보다는 활성복도로 변경하며, 지역사회와 학교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는 광장형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 다. 이 시기 주요한 학습공간 모델로는 학습 클러스터 또는 학습 커뮤니티, 학습 스튜디오 또는 학습전경형, 가변 확장 교실이나 가변 열린 교실의 채택이 다.
  • 42. 1997 잉골슈타트 사회주택단지 몬테소리 학교 Montessorischule Ingolstadt-Hollerstauden -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잉골슈타트, 홀러스타우덴 사회주택단지 내 학교 - 커뮤니티센터, 유치원, 치료공간, 탁아소, 초, 중학교, 공예품 상가, 청소년센터, 체육관 등과 함께 조성 - 1층에 레크레이션 홀 겸 카페, 음악당, 식당, 주방 배치 - 2층 관리실, 어머니 센터, 회의실 배치 - 인근 주택단지와 분리된 섬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 복지, 청소년 시설, 교육 시설을 유기적으로 통합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43. 2000 암스테르담 우스트 몬테소리 컬리지 Montessori College Oost, Amsterdam - 메가시티, 고밀도 도시, 컴팩트 도시의 등장 - 지가의 상승, 부지 확보 또는 확장의 어려움으로 빌딩형 학교 등장 - 층간 개방성과 채광, 환기를 위한 중앙 아뜨리움 - 층간 이동과 연결을 위한 연결 브릿지, 계단 등 - 스킵 플루어 - 곳곳의 공용공간과 계단형 좌석 통로 - 복도 곳곳을 다목적의 활동과 학습 공간으로 활용 - 학교 내외부의 자연스런 연결 *참고 홍콩, 싱가폴 등 밀집도시에 빌딩형 학교 등장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44.
  • 45. Riends Seminar School Avenues The Word School 싱가폴 예술학교 홍콩 싱가폴 국제학교
  • 46. 2005 하이거록의 위트하우스 초등학교 Witthauschule, Haigerlich - 종일학교(우리의 늘봄 또는 돌봄 교실 운영 학교)로서 생활공간 지원 - 교육 캠퍼스 내 배치 (인근에 무술도장, 놀이터, 스포츠센터, 수용장, 축구장, 고등학교) - 2개 학습동을 삼각형 모양으로 배치 - 중앙에 다목적 공용공간 겸 강당 - 중앙 2층 공용 휴게 공간 조성 - 1층 교실 바로 야외로 연결 - 2층 교실에서 테라스형 복도를 통해 계단으로 연결 1995~현재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47. 2007 네델란드 아른헴의 살라만데 학교 MFC Salamander School - MFC(디기능센터) 확장학교 - 2개 초등학교, 보육원, 놀이그룹, 체육관으로 통합 구성 - 양쪽 안뜰을 감싼 정방형에 가까운 건물 - 1층에 공용공간, 광폭학습계단, 특별교실, 보육원, 놀이그룹, 사무공간 - 2층에 두 학교의 교실들 배치 - 2개 L형 교실, 정방형 교실 한쌍으로 상호 연결 - 복도 곳곳에 확장형 활성복도와 - 중앙에 체육관과 지역 주민의 방과후 이용을 위한 별도 출입구 - 1층은 방과후 주민 이용을 전제로 공간 디자인 - 12m 간격의 넓은 기둥 배열로 향후 레이아웃 변경의 유연성 고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48.
  • 49. 참조 : 확장 복도
  • 50. 참조 : 확장 복도
  • 51. 참조 : 확장 복도
  • 52. 2008 영국 브리소톨 메트로폴리탄 컬리지 - BSF 프로젝트로 지어진 학습거리형 학교 - 2009년 영국총리상 ‘더 나은 공공 건물상 최종 후보’ - 학습거리형 확장 복도, 광장형 공간과 현관 통합, - 딸기모양의 중공 공간이 있는 학습 클러스터 - 학습클러스터 별 300명 수용, 별도 삼각형 아고라 조성 - 학습 거리 반대 편에 도서관, 체육관, 특기실 등 배치 - 바이오매스 열병합 발전, 원뿔형 채광부 - 개별맞춤, 그룹 작업, 협력수업, 융합 수업 지원 - 곳곳에서 메트로폴리탄 컬리지 모델을 확산과 변형 * 영국의 미래학교건축 프로그램 BSF는 2000년대 초반 시작해서 2020년까지 50년 동안 영국의 3,500 개 중고등 학교 모두를 정보통신 기술을 접목한 미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공간으로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사업 초기 물량 중심으로 추진했지만 계획대로 진행하지 못하면서 적지 않은 문제를 일으켰다. 가장 큰 문제는 민간 투자 방식(BTL) 으로 학교 건축을 추진한 점이다. 각계에서 교육 공간의 통제권을 자본에 넘겼다는 비판을 받았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53.
  • 54. 2013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 학교건축지침 -독일 다름슈타트 디브르크 지구의 2013년 학교건축 지침«Schulbauleitlinien Landkreis Darmstadt-Dieburg» 역시 중복도 교실 학교의 변형 또는 조성을 위한 다양한 학습공간 디자인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지침은 대략 10개 교실을 배치할 수 있는 471m2 또는 675m2 기준 면적을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변형한 학습클러스터, 즉 다양한 학습공간을 조합한 교실군으로 조성하는 방안 제시한다. 이러한 교실군은 일반교실, 다용도 공용공간, 팀 스테이션(교사실), 소그룹 공간, 복도 또는 부분 확장 복도를 포함한 2차 학습 공간 또는 과감히 개방한 열린 학습 전경형 공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2개 기준 면적 ( 675m2)을 통합하여 도서관 또는 공용 휴게공간까지 포함하는 다양한 공간조합 디자인을 제시한다.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55.
  • 56. 2016 독일 Weiterstadt의 Hessenwaldschue - 국제 건축가상 수상 - 중앙 광장형 아뜨리움 홀 중심의 3개 건물통 연결 - 모든 건물이 연결된 1층에 행정, 식당, 휴게실, 극장실, 음악실, 도서관 - 각동 2~3층에 학습 클러스터 조성 - 공용공간 중심의 5개 교실, 소그룹실, 화장실, 교사실, 내부 계단, 테라스 포함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57.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 58.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 59. 참조 – 바덴 뷔그템베르크 학교건축 지침의 학습공간 모델
  • 60. 2007~2015 포르투칼 중등학교 현대화사업 MFC Salamander School - 학교 노후화, 인구 감소, 교육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 현대화 사업 추진 - 포르투칼 477여 중등학교 대상 - 공식, 비공식 학습공간 및 공용공간, 교육 내용 변화 반영 - 생활, 체육, 도서관 , 행사장 및 지역사회 속의 학교로서 지역개방 공간 조성 등 포함 - 1960년대 Herman Hertzberger의 학습거리 개념 반영 - 보존, 철거, 증축, 신축 등 포함 단계적 순차적 추진 2007년~2009 리스본의 Escola Secundaria de Dom.Dinis - 1972년 개교한 파빌리온형의 낡은 모듈식 학교의 보수와 증축을 포함한 현대화 - 12~17세 학생 1천 명을 수용 할 수 있게 조성 - 기존 건물의 보수와 동시에 건물들을 증축 건물로 연결 - 각 건물동 간 명확한 기능적 영역화(Zone) - 증축 건물에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교사와 학생을 위한 업무 공간을 포함 - 증축 건물 내 마치 물 흐르듯 휘며 흐르는 커다란 통로 겸 다목적의 학습거리 조성 - 기존 건물 동 내 실험실, 미술실, ICT실, 멀티미디어 스튜디오 집중 구성 - 체육관, 식당,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사회적 공간 분리 - 나머지 동에 교실들 클러스터화 1995~현재 – – 인구 감소와 위기와 디지털 세계의 변화에 대응하고 있는 시기
  • 61.
  • 62. 2015~2017 라드슈타트 시립 초중등 통합학교 (Radstadt Volksschule, nue Mittelschule) 오스트리아 짤츠브르크 - 1941년 개교 후 3번에 걸친 리모델링 - 2015~2017년 신축을 통한 현대화와 확장 - 초등+음악 중학교 - 다양한 연령대 교차 교류 위해 중앙 공용공간 + 분산된 공용공간 조성 - 현관, 강당, 식당, 도서관, 공연장을 비공식 휴게와 사교 공간으로 사용 - 다양한 유형의 학습을 지원하는학습 클러스터로 조성 - 학습공간에 통창 유리벽 적극 사용하여 시각적 개방감 - 라드슈타트 학교의 9가지 학습공간 기치 1 : 이해할 수 있는 기능적 관계 -기능은 학습 공간에 영향을 미치며 그 반대는 아니다! 2 : 방향성 / 명확성- 모든 공간은 스스로 안내하고 메시지와 방향성을 제공한다. 3 : 다용도의 학습 지원과 공간의 질-학습 공간에서 다양한 학습 유형을 지원해야 한다. 4 : 유연성 / 개별 의사 결정 옵션 / 가변성- 하나의 공간은 다양한 용도로 변경될 수 있어야 한다. 5 : 경로의 길이와 이동- "기능적 공간은 기능적 이동을 기반으로 한다. 6 : 격리와 연결-근접한 공간은 서로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7 : 쾌적한 실내 환경 -양질의 빛 / 공기 / 색상 / 음향 / 재료 8 : 매력적인 커뮤니티 공간- 눈에 띄는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만든다. 9 : 외부 영향-건물의 정체성과 이미지 1995~현재 –
  • 63.
  • 64. 2018~2021 덴마크 룬쵸프테 학교 (Skole Lundtofte, Lyngby. Kongens) - 기존 건물의 증개축 및 현대화 작업 - 지역 공동체와 포용성을 강조 - 공동체 형성에 음악, 예술 과목 중요시 - 중앙 광장형 공간 겸 지역개방형 예술문화센터 증축 조성 - 부분 확장형 복도, L형 교실 - 일부 교실과 개방형 비공식 공간과 가변 연결 1995~현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