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104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학교 공간과 운동장의 변화
서울혁신파크 옥상공유지 총괄 코디네이터 /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학교 건축의 변천과
공간 변화의 배경
(1900년대 개교 당시 전주 신흥고)
조선 말기 사범학교관제(1895. 4. 16)와 소학교령이 공포(1895년 7. 19)되면서 근대교육이
시작되었는데 이때 학교건물은 대개 큰 농가나 한옥식 관청건물, 서당이었다.
1907~1912년 평양 대성학교
개화기 조선말 선교사들은 서양식 벽돌조적조 학교건물을 지었다. 한옥식과 서양식을 절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1911년 개교된
제주공립농업학교
일본의 지배에
들어가면서 통감부는
목구조의 병영식
학교건물을 짓기
시작했다. 이때
학교건물은 일자( -- )
형으로 훈시대가 있는
운동장과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었다.
그러다, '工' 형태로
나란히 배열된 긴 두
교사 중앙을 연결한
형태가 보편화되었다.
1922년 개교한 마산공립상업학교
1900~1930년대 신고전주의나 고딕 양식의 학교건축물들이 유럽과 북미에서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러한 영향을 받은 일본의 지배를 받던 조선에도 신고전주의, 고딕양식의 벽돌조 또는 목조
학교들이 지어졌다.
일제강점기 초기
일제강점기 중후기
2차 대전 후 모더니즘 영향 – 슬라브형 건물
1960년대 이후
1990년 : 표준설계지양, 별도설계 시행
1996년 : 지역시설 복합화 시도 / 열린교실 시도
1997년 : 농어촌학교 현대화 계획
1998년 : 교육현장서 열린교실 거부
자연친화학교 연구 실험
2006년 : 학교건축 녹색건축인증제 본격화
2009년 : 미래학교 모형 연구
2010년 : 교과교실 시행에 따른 공간배치 변화
내진보강 중장기 계획
2014년 : 에너지효율과 등급인증제 본격화
한국 학교 건축물의 변화
일본은 식민지 조선에 근대교육 체제를 도입하면서 우리의 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메이지 23년
(1890)년대 만들어진 학교시설준칙의 영향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교건축 표준에 그 흔적을 남겼다. 해방
후 일본의 영향은 다소 약해졌지거나 지체되었다. 일본도 교육과정과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학교
건축이 바뀌어 왔다. '열린교실', '학교와 지역소통', '학습과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인식', ' 자연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온수기 설치', '옥상녹화', '방범과 보완강화', '정보화' 등 대략 봐도 학교건축에서 일본은
우리보다 20~30년 이상 앞선 듯 하다.
- 1950년대 : 단일 복도와 교실, '획일적 교육, 표준' (소학교) 교과교실, 자주성 중시 교육 (중학교)
- 1960년대 : 다양한 교육에 대응한 다양한 배치계획
- 1970년대 : 핵가족화로 개성화교육을 위한 '열린교실' 등장 (소학교) / 다목적, 개방 공간의 등장 (중학교)
- 1980년대 : 학교와 지역의 공존과 교류의식을 반영
- 1990년대 : 자연에너지, 태양열 온수, 옥상녹화 등 생태주의 / 지역의 재해 시 피난 시설로 이용
- 2000년대 : 방범, 안전을 배려한 폐쇄형 학교 등장, 정보화학습
- 2010년 :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최근 일본에서는 지역 생산 목재를 사용한 목조 건물, 지역 센터 및 복지시설과 복합화 초중고 통합 등
학교마다 특색있는 건축을 지역 주민과 함께되어 세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감소 지역에서
아이들이 지역을 이해 하고, 지역에서 사랑받는 마을과 일체가 되는 학교를 바라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숙박 시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시설과 복합화하거나 도서관과 다목적실 지역 개방을
전제로 해서 학교건축을 계획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일본 학교건축 변천
일본 학교공간 변화의 7가지 주제
우리의 학교와 실정이 다른 유럽이나 북미 사례보다 우리 학교건축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일본의
최근 학교공간 변화 사례나 방향성 등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1. 풍부한 활동 공간 마련
- 전문 활동, 활동 다양성, 새로운 활동, 변하지 않는 활동,
- 고기능화 (전문 랩, 제작자 스튜디오, 특활실, 교과센터(클러스터))
- 다양한 활동에 적합한 학교 가구, 학습 가구
2. 쾌적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
- 안락함, 여유, 쾌적한, 편리한 학교 생활 환경 제공
3. 개개인의 차이 수용
- 개성, 맞춤형, 무장애, 통합 디자인
4. 신체활동 촉진
- 놀이, 운동, 식사, 먹거리 교육, 생활 습관, 건강 증진, 유지
5. 지역 사회와 제휴
- 지역축소, 압축도시에 의한 통폐합에 대응, 지역적 연계, 개방, 역사·문화의 계승, 시설복합화
6. 안전 안심
- 내진, 방범, 방재, 피난
7. 정보공유와 접근성 개선
- ICT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국제화
* 건학의 정신을 반영한 특색있는 학교 디자인
* 학교 통폐합에 따른 초, 중, 고 공유공간, 고기능공간
일본 소학교의 변천
일본의 학교개발, 복합화 방향
“학교는 지역 아동성장의
장이며, 지역 활동의
무대이기도합니다. 또한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관이며
고령자의 삶의 보람을
만들어내는 장소가 됩니다.”
일본의 학교는 학교교육에
있어 아동청소년들의 ‘학습’,
‘생활’, ‘클럽활동’을 지원하고,
지역활동과 연계하여
지역민에 대한 ‘사회교육’, ‘
사회체육’ ‘학교지원’, ‘
자원봉사 활동’, ‘행사’를
수용하는 공간이자,
지역재난 시 ‘피난소’, ‘
피난훈련장, 지역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본 교육공간건축연구회
교토오이케시립중학교(京都御池中 校学 ) 시설복합화 사례
학교시설복합화는 단지 교육부처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소멸, 압축도시 전략에 기반해서 아베
내각차원에서 진행하고 있고, 학교시설복합화시설정비과라는 부서도 따로 두고 있는 정도.
1.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2. 학교와 통합된 복합시설
① 보육원 ② 노인 복지 시설 (데이 케어 센터) ③ 교육 센터 (일종의 문화센터) ④ 상업 시설
⑤ 방재 비축 창고 ⑥ 빌딩 관리 회사
상이한 시설을 배치할 때는 몇가지 원칙이 있다.
- 각 시설은 출입구 · 동선을 명확하게 나누어 배치했다.
-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은 운동장에 접해서 배치.
(아동 · 학생의 체육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 등의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있다. )
- 상업 시설은 도로변에 접해 배치.
(인도 레스토랑의 야외 테라스 석을 마련하는 등, 거리의 활기)
이러한 시설 복합화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 기존 방식에 비해 시설 정비 · 유지 관리 비용이 30 % 감축.
- 설계에서 유지 관리까지 일괄 발주에 의한 효율적인 사업 실시.
- 복합 시설의 24 시간 관리 체제 · 정기적 모니터링을 포함
- 안심 효율적인 유지 관리.
- 세대 간 교류와 활기의 창출 초중고 일관 교육의 실현.
- 지역의 농도 높은 활성 공간 조성
이때 해결 과제는
① PFI 방식의 도입 과제 (공공 계약 조례).
② 지역 주민 · 학부모와의 합의 형성.
교토오이케시립중학교(京都御池中 校学 ) 시설복합화 사례
상이한 목적의 시설 접근 동선을 분리하되, 운동장을 중심으로 배치
학교 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
전후 도시 재건과 인구 밀집,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의 재생, 재건축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한편 학생수가 급감한 학교에서는 빈교실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 학교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교육모델,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지식전달식 주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융합교육(STEM / STEAM), 제작교육으로 교육모델의
변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걸맞는 교육환경과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용도 교육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다양한 놀이와 신체 활동 유도)
- 아동의 신체 활동과 놀이활동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건물과 운동장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학습환경과 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
- 안전, 내진, 에너지효율 외에도 채광, 환기, 온도, 소음 등 학습환경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교 공간, 특히 교실 디자인의 변화는 학습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역중심 복합화)
- 지역사회와 학교의 소통과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공간 요구를 수용할 필요 증대.
(청소년기의 생활공간화)
-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습공간이자 하루의 대다수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학습 외에도 소통, 친교, 휴식, 놀이, 문화 사회 활동 등 아동, 청소년기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성
미래 학교에 요구되는
다양한 공간 변화
미래 능력과 복합적인 교육 공간
공간은 발달과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다.
미래 요구되는 능력들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은 어떠해야 하는가?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인간에게 도전이 되고 있다. 미래시대에
적합한 교육은 학생들을 지식의 생산자로 인정하고, 이들의 다양성, 개성을 개발하고, 자기주도성을
함양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이론 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실제 생활
세계의 사실적 과제를 중시하는 교육이 중요해지고, 창조적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해진다. 과목별 교육은
융합적 교육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어 더더욱 교사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닫힌 교실에서 개방적이며
다목적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학교의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
Dr Kenn Fisher. Director, Learning Futures. Rubida Research Pty Ltd
Linking Pedagogy and space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북미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열린교실운동'이 일어났다. 모든 교육활동은 어느
곳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학교건축의 변화를 시도했다. 학교 건물 중앙에 학습센터 ·
자료센터 ·활동센터 또는 학습 공유지역을 만들어 어린이의 자주 학습활동을 기대했다. 또한 각 교실은
한국 교실의 3∼4배 크기로 학습활동 전개에 따라 칸막이 ·책장 등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구분하고,
어린이들의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개방했다. 출입문이나 벽을 없앴다. 아이들은 언제든지, 어느
곳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이때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에 융단을 깐다. 각 교실에는
수학코너 ·자연코너, 읽기와 쓰기 코너 등의 학습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어린이는 각자의 흥미에
맞는 코너에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었다.
1996년 한국에서도 열린학교(Open School)라는 학교개방 정책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유학습공간이 조성된 학교들도 지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열린교실운동'은 대개 실패했다. 모든
공간이 다양한 모든 교육에 적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학교현장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도 컸다.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지도할 역량도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듯 하고, 개방된 다목적의
공유학습공간에서 지도방식이나 교육내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했거나 적응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이유인 듯 하다.
2010년대 부터 다시 '열린교실운동'이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과거와 조금은
차이가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인터넷 보급,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제작자운동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 STEM( STEAM)이라는 융합교육 열풍, 일방적 지식주입형 집체적 주지주의 교육에서 소규모
맞춤형 구성주의 교육으로 변화에 대한 필요등 이에 걸맞는 교실공간의 변화 요구가 커졌다. 인터넷, AI
를 활용한 정보검색, 지식습득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교사의 역할도 지식의 권위적 전달자에서 학습
조력자이나 코디네이터로 바뀔 것을 요구받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다목적 공간의 조성이 다시 학교건축에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열린교실운동과 21C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 浜市小中 校横 学 )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교실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요코하마시의 쿠라타 초등학교는 빈교실을 일본 민가풍으로 리모델링했고, 요시다 중학교는
특별교실을 다목적 교실로 만들고, 모든 교과에 대해 전용 교실을 마련했다.
하카타 초등학교(博多小 校学 )
James Berry Elementary
School. Houston. Texas
츠쿠바(つくば) 초등학교
분반교실에서 교과교실로 학습주제나 과목중심의 복합적인 학습 클러스터(교과센터, 학습블럭,
특활유형별 센터)로 변화하고 있고 학습 클러스터는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습자원과 활동자원을
적절한 중소 그룹단위에서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통합한다.
학습 클러스터
학교에서 제작자교육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제작자운동과 교육방식의 변화
“제작자운동은 학교가 구성주의(인간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한다는
이론) 교육과 자기주도학습으로 복귀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학생들의 매체 사용능력
(Media Literacy)을 키우고,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며, 독립적으로 기술 지식을 습득 할
수있게 하는 운동이다.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학습 대안이 아니라 현대 학습이 실제로
변화해야할 방향” ( Stager , 2014)
“교육자는 매체를 활용하여 기술을 탐구하고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기대하는 대로 배울
수 있게할 수 있다. 교육자는 제작자교육을 통해 구성주의와 디자인 사고를 활용하면서
미디어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확장할 수 있다.
- 구성주의
"학습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물건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이해를
구축 할 때 가장 잘 일어난다.”(Donaldson, 2014, 1면)
- 미디어 리터러시
각종 미디어를 사용, 분석, 비평, 평가, 창작하고,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와 지식을 획득,
이해, 공유, 확산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소통, 협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현대교육은 미디어 역량을 높이는 데 적합하지 않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전반적으로
높아지려면 교육은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있는 실천에 기반해야한다.” (Media smart)
제작자공방과 STE(A)M 통합교육 학교공간의 변화를 요구한다.
"제작자 공방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만들고, 발명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디자인하고,
조작하고, 탐혐하고, 발견하고, 프로그램을 짜고, 건축하고, 공작을 하고, 그림을 그리는
그 이상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첨단
기술 도구 및 재료를 이용하면서 각자 또는 공동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제작자공방은
STEA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예술, 수학) 같은 통합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이상적
기반이다. "
- 뉴질랜드 타우파키 학교, 제작자 공방, 킴바스(Kim Baars)
제작(기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인공지능(AI), 로봇, 자동화 등
급변하는 첨단기술혁신과 기술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기술
적응력, 기술적 창의력, 제작 경쟁력, 자기학습능력을 육성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미래기술의 진보와 사회변화는 학교에 새로운 교육적 과제(제작교육, 융합교육,
창의교육)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 또한
요구받고 있다.
핀란드 로바니에미 오오나스린뗀(Ounasrinteen) 초등.중학교의 다양한 유형의 공작실습실 (요리, 목공, 재봉,
기계, 전자 제작 등),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과거의 열린학교 모델)
- 다양한 학습을 위한 큰 개방된 공간
- 강당, 도서관 등 기존 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
- 유연성을 갖는 가변적 공간
- 임시 수업이나 소규모 맞춤형 수업에 적합한
교실가구(이동가변형 의자, 책상 등)
(21C 학습 스튜디오의 차이점)
-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과 미디어 이용 지원
- 설비 비치, 제작활동이 가능한 제작자공방
(이곳은 일반적인 다목적교육실과 다르다.)
- 상이한 학습 범주에 따라 의도적으로 설계된
여러 유형의 전용 공유학습공간 조성
* Intrinsic School, Chicago
* Intrinsic School, Chicago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Kenny Stanfield, AIA, LEED AP. Sherman Carter Barnhart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21 세기 학습 스튜디오에서는 학습실, STEM 실험실, 세미나 실습실 및 공동협업학습공간(commons)
라는 4 개의 주요 학습공간과 부대 공간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분할된 학습공간은
읽기, 쓰기 및 산술이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 소통 및 협업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된다.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matics)은 빠르게 변하는 기술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융합학습이다. STEM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 필요와 요구, 조별 작업, 조별 논의,
등에 적합하게 유연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학습공간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때 인터넷 정보검색, 발표
공간, 강의 공간, 팀 작업 공간, 휴식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단 이때 시각적으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한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한국-미래학교 실험 운영 모델
교실 가구와 다양한 좌석 배치가 중요해진다.
국내 교실 공간 변화 – 서울시 꿈담교실사업 사례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줄고 있는 곳의 경우 새로운 공간을 새로 만들기 보다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교건물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두 개 이상의 교실을 터서 통합학습공간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교실벽을 없애고 놀이시설, 휴게와 소통공간을 만든 사례가 있다. 학생 인원수가 줄어든 점을 감안해서 교실
뒤에 별도 특이공간을 만든 사례도 있다. 또는 기존 교실에 내부 상자공간을 만들거나 다용도-가변 교실
가구를 활용한다.
본래 열린교실이 적용된 대형 복도 공간을
활용하여 차분한 무대공간을 만든 사례
(면동초등학교)
접이식 창문, 독서대, 작은 다락방으로 교체한 사례
(서울 동답초 1학년 교실)
인원이 적은 교실 뒷편에 전이공간을 만듦
교실 속의 또 다른 작은 공간 구현
(상월초등학교).
가변적인 교실 좌석, 교실가구의 개선
(송정 초등학교).
탐색의 공간, 추억의 장소- 암스테르담의 스콜렉스터(Scholekster) 몬테소리 학교
스콜렉스터 몬테소리 학교 중앙 입구 홀에는 옷장, 스탠드, 교실, 무대, 침묵의 장소, 대화 장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중장소로 활용되는 여유교실인 학습 상자가 있다. 학교 건물 내에 다락방 같은 높은 공간은
아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자극한다.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
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개인적인 공간, 숨겨진 공간 등 소규모 공간 제공은 학교 공간 변화의 주요한 요소다.
이러한 공간은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소통과 교류를 촉진한다.
학교의 모든 공간은 학습, 생활, 소통, 놀이의 공간이 된다. 학교가구의 섬세한 선택과 배치가 중요해진다.
복도를 사물함, 가방
보관 등 수납공간으로
활용
미국과 캐나다 정부와 교육부서, 놀이 활동가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는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다. 신체적 리터러시는 1993년 마가렛 화이트헤드 박사가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체육교육과 스포츠 국제 협회에서 발표한 개념.
놀이의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보조 개념은 ‘
움직임 어휘력(Movement vocabulary)’이다. 이것은 몸짓 (소통)언어, 신체적 이동 기술,
움직임, 운동 기술 뿐 아니라 신체적 활동이 이뤄지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독해력과
판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요즘 아이들은 점차 스마트폰과 가상 게임에 지나치게 빠져
신체적 문맹률이 높아지고 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놀이공간과 환경, 놀이 재료들을 탐색하
고, 만져보고,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한다. 이러한 공간적, 물질적 또는 몸을
통해 체감하며 파악하는 물리적 이해력을 신체적 리터러시는 포함하고 있다.
신체적 리터러시의 한 측면이 환경에 대한 이해라면 또 다른 측면은 신체 사용능력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이동기술, 달리기, 몰고 가기(농구에서 드리블), 도약, 등반, 건너뛰기, 포복,
깡충깡충 뛰기, 스케이팅, 몸 펴기(Stretching), 수영, 정지, 회전, 던지기, 받기, (공) 차기, (
야구 공) 치기 등 다양한 운동기술, 신체의 미세조작 기술, 균형 능력, 자극에 대한 민첩성,
근력, 지구력 등을 포함한다.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놀이에 종종 수반되는 경쟁과
도전은 신체 사용능력을 키우는 데 자극과 동기를 부여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적 리터러시가
발달한 아이들은 자신감, 자존감, 지도력을 얻게 된다.
놀이와 신체적 리터러시
이동기술과 상황판단 능력을 키우는 장애물 길놀이
신체적 리터러시를 키우기 위한 파쿠르 교육
아동을 위한 파쿠르 놀이시설
자연물로 만들어진 비구조적 놀이 – 다양한 진입지점, 놀이경로, 주체적 놀이해석
서울 면동초등학교 – 실내 놀이터
서울 송정초등학교
아츠 노조미 유치원(厚木のぞみ幼稚園)
탐색의 공간, 추억의 장소
야외 활동의 촉진 – 외부로 개방되고 연결된 교실들
‘스마트폰 좀비’, ‘비만’, ‘신체활동 문맹’이 문제가 되고, 이에 대한
이동언어(Moving Vocabulary), 신체활동 리터러시(Physical L
향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
조성되는 학교의 교실을 야외로 직접 개방하고 연결하는 추세다
네델란드 흐로닝언의 초등학교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폐교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 保田小 校駅 学 )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폐교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 保田小 校駅 学 )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지역거점이 된 와키(和木)초등학교의 외부 차양 데크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 小 校学 学 )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정
立音 大 附 小 校国 楽 学 属 学
센다이시 립포 마치 초등학교(仙台市立蒲町小学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 校学 )
교실 디자인과 학습증진 효과
영국 Salford 대학 디자인팀이 실시한 최근 연구 요약본을 입수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잘 설계된 학교
디자인은 읽기, 쓰기 및 수학 등 학업 성취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3년간 27개 학교
153개 교실의 3,766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실의 자연적환경(채광,
조명, 온도, 공기 질)이 49%의 영향을 끼친다. 그 다음 교실의 물리적 디자인이 학업 변화에 28% 정도
영향을 끼친다. 그 다음 색상, 복잡성 등 시각적 자극은 23% 정도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친다. 주목할 점은
교실을 디자인하는 데 학생들이 참여하고 소유의식을 가지고 교실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허락한다면 학습
효과가 1/4 더 증진한다. 의외로 복잡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활기찬 자극을 줄 경우 학습 효과가 1/4 더 증가
한다. 무엇보다 이 연구서에서 주목할 점은 놀랍게도 전체 학교의 디자인(외형, 규모, 동선, 전문시설,
놀이이설)은 학습증진 효과면에서 개별 교실의 디자인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결과이다.
학교의 가족들을 위한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
아트리움의 상승기류에 의한 환기흐름
기존 학교의 층간 연결-아트리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1953년 지어진 스메토바르 마르코비치(Svetozar Markovi )ć 초등학교 는 2017년
과감한 리모델링을 시도했다. 이 학교는 기존 건물에 직각으로 새로운 건물을 증축하면서 건물의 접합점에
지하에서부터 2층까지 수직으로 각 층을 연결하는 아트리움을 만들어 환기와 채광, 연결성과 개방성을
개선했다.
운동장, 도서관의 변화
덴마크 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 운동장
덴마크의 학교 운동장 혁신 사례들을 보면 그들은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구획을 나누고 있다. 대부분
바닥 도색, 바닥 포장, 때로는 높고 낮은 턱 또는 펜스 등을 이용해서 운동장 구획을 나눈다. 학교 건물의 뒷마당도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좀 더 밝고 역동적인 활동 공간으로 바꾼다. 각 구획은 상이한 놀이, 휴식, 그 밖의 야외
활동을 유도한다. 또 다른 변화는 운동장에 야외 라운지처럼 쉴 수 있는 그늘과 앉을 자리들을 충분히 만들어
만남과 소통의 장소로 만든다는 점이다. 덴마크 2)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는 입체적으로 학교
운동장을 조성하고, 활동에 따라 구획을 나누고, 자연적 요소들과 정적인 활동을 수용했다.
덴마크 콩스 링비(Kongens Lyngby) 학교 운동장의 다용도 구기장
축구장은 주로 고학년 남학생들이 점거해버리고 저학년 특히 여학생들을 외곽으로 밀어낸다. 축구장이나 농구장
같은 구기장을 규격보다 작게 만들거나, 차벽을 세우고, 운동장 한편으로 몰아두거나, 축구장, 농구장을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다양한 구기 종목이 가능한 다용도 구기장을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덴마크 아마 필르 학교
독일 카타리나 하인로트 초등학교의 생태통합운동장
독일에서도 최근 학교 운동장을 텃밭, 정원, 야외 학습장, 운동장, 놀이터, 휴식 공간, 산책로를 통합한 생태통합운동장으로
바꾸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카타리나 하인로트 그룬트슐레(katharina-heinroth grundschule)는 2016년 학교
운동장을 새롭게 바꾸었다. 학교 운동장은 야외 학습공간이자 휴식과 소통, 놀이의 장소가 되었다.
노르웨이 도시 작은 학교인 스토어하우그의 학교운동장 변화 사례
뉴욕 로우어 학교 운동장 놀이터 조성안
덴마크 북부 Skørping School ‘Forest Loop’

운동장과 숲을 연결하는 놀이 산책로

산책로와 통합하거나 그 주변에 평형 빔, 사다리, 벤치, 나무둥지 집, 농구 코트, 그네, 야외 탁자,
스케이트 공원, 공동 레크레이션 공간 등 조성

2016. 8 개장한 덴마크 최초 도서관 놀이터

2017 ‘도서관 홍보’ 부문 덴마크 문화부장관상 수상

“너도밤나무의 세계에서 온 단어와 등장인물을 만나고, 도시 공간에서 문학을 경험하고 탐험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의 비전이었습니다. 결과는 그 자체로 말합니다. 우리는 재미있어하고, 배우고, 뛰어 노는 아이들이
도서관 정원에 가득 찬 것을 볼 때마다 기쁩니다.” – 야갑 레이구스(Jakob Lærkes) 도서관장
Gladsaxe 도서관 놀이터
멕시코 Monterrey Conarte Library – 어린이 도서관
산업단지 산업시설을 개조한 Fundidora 공원 내 문화시설 중 하나. 산과 계곡을 모사한 서가와 독서 공간
덴마크 빌룰(Billund) 어린이 도서관
놀이터와 책은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북유럽의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도서관과 놀이터 실내외에서 통합하고 있다.
도서관 내에도 다양한 활동공간과 좀 더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소규모 독서공간
서가와 독서공간, 인터넷 검색 공간, 휴식 공간이 함께 조성된다.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eongwon Kim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eongwon Kim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Seongwon Kim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Seongwon Kim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활 김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eongwon Kim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La actualidad más candente (20)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학교공간변화의 요소와 사례들
 
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School of community
School of community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 공간 배치와 건축 유형 202212104.pdf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Similar a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Seongwon Kim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Seongwon Kim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hiiocks kim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Seongwon Kim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cbs15min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Jihyu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은길 조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지현 김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지현 김
 
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경희 배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ki544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thecirclefoundation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Similar a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16)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2호] 독일 학교시설 복합화 및 개방 정책 사례와 시사점_내지(0422).pdf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별무리고등학교 소개 및 입학안내
 
Edu46 2
Edu46 2Edu46 2
Edu46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
 
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학교사회복지론 1~2장
학교사회복지론 1~2장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동그라미재단] 2014ㄱ찾기_기업가정신 교육 프로젝트 사례집 : 양정여자고등학교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Más de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Seongwon Kim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Seongwon Kim
 

Más de Seongwon Kim (11)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학교공간의 변천과 배경 정리 자료

  • 1. 학교 공간과 운동장의 변화 서울혁신파크 옥상공유지 총괄 코디네이터 /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성원 (coffeetalk@naver.com)
  • 3. (1900년대 개교 당시 전주 신흥고) 조선 말기 사범학교관제(1895. 4. 16)와 소학교령이 공포(1895년 7. 19)되면서 근대교육이 시작되었는데 이때 학교건물은 대개 큰 농가나 한옥식 관청건물, 서당이었다.
  • 4. 1907~1912년 평양 대성학교 개화기 조선말 선교사들은 서양식 벽돌조적조 학교건물을 지었다. 한옥식과 서양식을 절충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 5. 1911년 개교된 제주공립농업학교 일본의 지배에 들어가면서 통감부는 목구조의 병영식 학교건물을 짓기 시작했다. 이때 학교건물은 일자( -- ) 형으로 훈시대가 있는 운동장과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었다. 그러다, '工' 형태로 나란히 배열된 긴 두 교사 중앙을 연결한 형태가 보편화되었다.
  • 6. 1922년 개교한 마산공립상업학교 1900~1930년대 신고전주의나 고딕 양식의 학교건축물들이 유럽과 북미에서 들어서기 시작했다. 이러한 영향을 받은 일본의 지배를 받던 조선에도 신고전주의, 고딕양식의 벽돌조 또는 목조 학교들이 지어졌다.
  • 7.
  • 8. 일제강점기 초기 일제강점기 중후기 2차 대전 후 모더니즘 영향 – 슬라브형 건물 1960년대 이후 1990년 : 표준설계지양, 별도설계 시행 1996년 : 지역시설 복합화 시도 / 열린교실 시도 1997년 : 농어촌학교 현대화 계획 1998년 : 교육현장서 열린교실 거부 자연친화학교 연구 실험 2006년 : 학교건축 녹색건축인증제 본격화 2009년 : 미래학교 모형 연구 2010년 : 교과교실 시행에 따른 공간배치 변화 내진보강 중장기 계획 2014년 : 에너지효율과 등급인증제 본격화 한국 학교 건축물의 변화
  • 9. 일본은 식민지 조선에 근대교육 체제를 도입하면서 우리의 교육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메이지 23년 (1890)년대 만들어진 학교시설준칙의 영향은 지금까지 우리나라 학교건축 표준에 그 흔적을 남겼다. 해방 후 일본의 영향은 다소 약해졌지거나 지체되었다. 일본도 교육과정과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학교 건축이 바뀌어 왔다. '열린교실', '학교와 지역소통', '학습과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인식', ' 자연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온수기 설치', '옥상녹화', '방범과 보완강화', '정보화' 등 대략 봐도 학교건축에서 일본은 우리보다 20~30년 이상 앞선 듯 하다. - 1950년대 : 단일 복도와 교실, '획일적 교육, 표준' (소학교) 교과교실, 자주성 중시 교육 (중학교) - 1960년대 : 다양한 교육에 대응한 다양한 배치계획 - 1970년대 : 핵가족화로 개성화교육을 위한 '열린교실' 등장 (소학교) / 다목적, 개방 공간의 등장 (중학교) - 1980년대 : 학교와 지역의 공존과 교류의식을 반영 - 1990년대 : 자연에너지, 태양열 온수, 옥상녹화 등 생태주의 / 지역의 재해 시 피난 시설로 이용 - 2000년대 : 방범, 안전을 배려한 폐쇄형 학교 등장, 정보화학습 - 2010년 :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최근 일본에서는 지역 생산 목재를 사용한 목조 건물, 지역 센터 및 복지시설과 복합화 초중고 통합 등 학교마다 특색있는 건축을 지역 주민과 함께되어 세우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인구감소 지역에서 아이들이 지역을 이해 하고, 지역에서 사랑받는 마을과 일체가 되는 학교를 바라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숙박 시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시설과 복합화하거나 도서관과 다목적실 지역 개방을 전제로 해서 학교건축을 계획하는 지자체가 늘고 있다. 일본 학교건축 변천
  • 10. 일본 학교공간 변화의 7가지 주제 우리의 학교와 실정이 다른 유럽이나 북미 사례보다 우리 학교건축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일본의 최근 학교공간 변화 사례나 방향성 등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1. 풍부한 활동 공간 마련 - 전문 활동, 활동 다양성, 새로운 활동, 변하지 않는 활동, - 고기능화 (전문 랩, 제작자 스튜디오, 특활실, 교과센터(클러스터)) - 다양한 활동에 적합한 학교 가구, 학습 가구 2. 쾌적한 학습 환경과 분위기 - 안락함, 여유, 쾌적한, 편리한 학교 생활 환경 제공 3. 개개인의 차이 수용 - 개성, 맞춤형, 무장애, 통합 디자인 4. 신체활동 촉진 - 놀이, 운동, 식사, 먹거리 교육, 생활 습관, 건강 증진, 유지 5. 지역 사회와 제휴 - 지역축소, 압축도시에 의한 통폐합에 대응, 지역적 연계, 개방, 역사·문화의 계승, 시설복합화 6. 안전 안심 - 내진, 방범, 방재, 피난 7. 정보공유와 접근성 개선 - ICT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국제화 * 건학의 정신을 반영한 특색있는 학교 디자인 * 학교 통폐합에 따른 초, 중, 고 공유공간, 고기능공간
  • 12. 일본의 학교개발, 복합화 방향 “학교는 지역 아동성장의 장이며, 지역 활동의 무대이기도합니다. 또한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관이며 고령자의 삶의 보람을 만들어내는 장소가 됩니다.” 일본의 학교는 학교교육에 있어 아동청소년들의 ‘학습’, ‘생활’, ‘클럽활동’을 지원하고, 지역활동과 연계하여 지역민에 대한 ‘사회교육’, ‘ 사회체육’ ‘학교지원’, ‘ 자원봉사 활동’, ‘행사’를 수용하는 공간이자, 지역재난 시 ‘피난소’, ‘ 피난훈련장, 지역거점’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개방하고,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본 교육공간건축연구회
  • 13.
  • 15. 학교시설복합화는 단지 교육부처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소멸, 압축도시 전략에 기반해서 아베 내각차원에서 진행하고 있고, 학교시설복합화시설정비과라는 부서도 따로 두고 있는 정도. 1.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2. 학교와 통합된 복합시설 ① 보육원 ② 노인 복지 시설 (데이 케어 센터) ③ 교육 센터 (일종의 문화센터) ④ 상업 시설 ⑤ 방재 비축 창고 ⑥ 빌딩 관리 회사 상이한 시설을 배치할 때는 몇가지 원칙이 있다. - 각 시설은 출입구 · 동선을 명확하게 나누어 배치했다. -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은 운동장에 접해서 배치. (아동 · 학생의 체육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 등의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있다. ) - 상업 시설은 도로변에 접해 배치. (인도 레스토랑의 야외 테라스 석을 마련하는 등, 거리의 활기) 이러한 시설 복합화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 기존 방식에 비해 시설 정비 · 유지 관리 비용이 30 % 감축. - 설계에서 유지 관리까지 일괄 발주에 의한 효율적인 사업 실시. - 복합 시설의 24 시간 관리 체제 · 정기적 모니터링을 포함 - 안심 효율적인 유지 관리. - 세대 간 교류와 활기의 창출 초중고 일관 교육의 실현. - 지역의 농도 높은 활성 공간 조성 이때 해결 과제는 ① PFI 방식의 도입 과제 (공공 계약 조례). ② 지역 주민 · 학부모와의 합의 형성. 교토오이케시립중학교(京都御池中 校学 ) 시설복합화 사례
  • 16. 상이한 목적의 시설 접근 동선을 분리하되, 운동장을 중심으로 배치
  • 17. 학교 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 전후 도시 재건과 인구 밀집,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수 많은 학교 건물들의 재생, 재건축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한편 학생수가 급감한 학교에서는 빈교실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외 학교공간의 변화 이유와 배경은 다음과 같다. (새로운 교육모델,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지식전달식 주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에 기반한 융합교육(STEM / STEAM), 제작교육으로 교육모델의 변화 압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걸맞는 교육환경과 공간의 변화가 필요하다. 다용도 교육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과 같은 공간이 필요하다. (다양한 놀이와 신체 활동 유도) - 아동의 신체 활동과 놀이활동 증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건물과 운동장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학습환경과 안전, 에너지 효율 개선) - 안전, 내진, 에너지효율 외에도 채광, 환기, 온도, 소음 등 학습환경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학교 공간, 특히 교실 디자인의 변화는 학습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지역중심 복합화) - 지역사회와 학교의 소통과 협력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지역사회의 공간 요구를 수용할 필요 증대. (청소년기의 생활공간화) - 학교는 아동과 청소년들의 학습공간이자 하루의 대다수 시간을 보내는 삶의 공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학습 외에도 소통, 친교, 휴식, 놀이, 문화 사회 활동 등 아동, 청소년기의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공간 조성
  • 19. 미래 능력과 복합적인 교육 공간 공간은 발달과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다. 미래 요구되는 능력들을 개발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공간의 구성과 디자인은 어떠해야 하는가?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인간에게 도전이 되고 있다. 미래시대에 적합한 교육은 학생들을 지식의 생산자로 인정하고, 이들의 다양성, 개성을 개발하고, 자기주도성을 함양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이론 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실제 생활 세계의 사실적 과제를 중시하는 교육이 중요해지고, 창조적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해진다. 과목별 교육은 융합적 교육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어 더더욱 교사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닫힌 교실에서 개방적이며 다목적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 20. 학교의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 Dr Kenn Fisher. Director, Learning Futures. Rubida Research Pty Ltd Linking Pedagogy and space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 21. 북미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영국과 미국에서 '열린교실운동'이 일어났다. 모든 교육활동은 어느 곳에서나 일어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학교건축의 변화를 시도했다. 학교 건물 중앙에 학습센터 · 자료센터 ·활동센터 또는 학습 공유지역을 만들어 어린이의 자주 학습활동을 기대했다. 또한 각 교실은 한국 교실의 3∼4배 크기로 학습활동 전개에 따라 칸막이 ·책장 등을 이용하여 가변적으로 구분하고, 어린이들의 상호교류가 가능하도록 개방했다. 출입문이나 벽을 없앴다. 아이들은 언제든지, 어느 곳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다. 이때 소음을 줄이기 위해 바닥에 융단을 깐다. 각 교실에는 수학코너 ·자연코너, 읽기와 쓰기 코너 등의 학습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서 어린이는 각자의 흥미에 맞는 코너에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었다. 1996년 한국에서도 열린학교(Open School)라는 학교개방 정책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라 공유학습공간이 조성된 학교들도 지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열린교실운동'은 대개 실패했다. 모든 공간이 다양한 모든 교육에 적합한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학교현장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도 컸다.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을 지도할 역량도 충분히 성숙되지 못한 듯 하고, 개방된 다목적의 공유학습공간에서 지도방식이나 교육내용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했거나 적응하지 못한 것이 실패의 이유인 듯 하다. 2010년대 부터 다시 '열린교실운동'이 새로운 버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 이유는 과거와 조금은 차이가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 인터넷 보급,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제작자운동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 STEM( STEAM)이라는 융합교육 열풍, 일방적 지식주입형 집체적 주지주의 교육에서 소규모 맞춤형 구성주의 교육으로 변화에 대한 필요등 이에 걸맞는 교실공간의 변화 요구가 커졌다. 인터넷, AI 를 활용한 정보검색, 지식습득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교사의 역할도 지식의 권위적 전달자에서 학습 조력자이나 코디네이터로 바뀔 것을 요구받고 있는 듯 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다목적 공간의 조성이 다시 학교건축에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열린교실운동과 21C 유연한 복합/분할 공간
  • 22.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 浜市小中 校横 学 )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교실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요코하마시의 쿠라타 초등학교는 빈교실을 일본 민가풍으로 리모델링했고, 요시다 중학교는 특별교실을 다목적 교실로 만들고, 모든 교과에 대해 전용 교실을 마련했다.
  • 25.
  • 27. 분반교실에서 교과교실로 학습주제나 과목중심의 복합적인 학습 클러스터(교과센터, 학습블럭, 특활유형별 센터)로 변화하고 있고 학습 클러스터는 학생을 중심으로 다양한 학습자원과 활동자원을 적절한 중소 그룹단위에서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통합한다. 학습 클러스터
  • 28. 학교에서 제작자교육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 29. 제작자운동과 교육방식의 변화 “제작자운동은 학교가 구성주의(인간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한다는 이론) 교육과 자기주도학습으로 복귀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학생들의 매체 사용능력 (Media Literacy)을 키우고,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며, 독립적으로 기술 지식을 습득 할 수있게 하는 운동이다.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학습 대안이 아니라 현대 학습이 실제로 변화해야할 방향” ( Stager , 2014) “교육자는 매체를 활용하여 기술을 탐구하고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기대하는 대로 배울 수 있게할 수 있다. 교육자는 제작자교육을 통해 구성주의와 디자인 사고를 활용하면서 미디어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확장할 수 있다. - 구성주의 "학습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물건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이해를 구축 할 때 가장 잘 일어난다.”(Donaldson, 2014, 1면) - 미디어 리터러시 각종 미디어를 사용, 분석, 비평, 평가, 창작하고,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와 지식을 획득, 이해, 공유, 확산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소통, 협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현대교육은 미디어 역량을 높이는 데 적합하지 않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전반적으로 높아지려면 교육은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있는 실천에 기반해야한다.” (Media smart)
  • 30. 제작자공방과 STE(A)M 통합교육 학교공간의 변화를 요구한다. "제작자 공방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만들고, 발명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디자인하고, 조작하고, 탐혐하고, 발견하고, 프로그램을 짜고, 건축하고, 공작을 하고, 그림을 그리는 그 이상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첨단 기술 도구 및 재료를 이용하면서 각자 또는 공동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제작자공방은 STEA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예술, 수학) 같은 통합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이상적 기반이다. " - 뉴질랜드 타우파키 학교, 제작자 공방, 킴바스(Kim Baars) 제작(기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인공지능(AI), 로봇, 자동화 등 급변하는 첨단기술혁신과 기술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기술 적응력, 기술적 창의력, 제작 경쟁력, 자기학습능력을 육성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미래기술의 진보와 사회변화는 학교에 새로운 교육적 과제(제작교육, 융합교육, 창의교육)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 또한 요구받고 있다.
  • 31.
  • 32.
  • 33. 핀란드 로바니에미 오오나스린뗀(Ounasrinteen) 초등.중학교의 다양한 유형의 공작실습실 (요리, 목공, 재봉, 기계, 전자 제작 등),
  • 34.
  • 35.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과거의 열린학교 모델) - 다양한 학습을 위한 큰 개방된 공간 - 강당, 도서관 등 기존 시설을 학습공간으로 활용 - 유연성을 갖는 가변적 공간 - 임시 수업이나 소규모 맞춤형 수업에 적합한 교실가구(이동가변형 의자, 책상 등) (21C 학습 스튜디오의 차이점) - 인터넷,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정보 접근과 미디어 이용 지원 - 설비 비치, 제작활동이 가능한 제작자공방 (이곳은 일반적인 다목적교육실과 다르다.) - 상이한 학습 범주에 따라 의도적으로 설계된 여러 유형의 전용 공유학습공간 조성 * Intrinsic School, Chicago
  • 37.
  • 39. Kenny Stanfield, AIA, LEED AP. Sherman Carter Barnhart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21 세기 학습 스튜디오에서는 학습실, STEM 실험실, 세미나 실습실 및 공동협업학습공간(commons) 라는 4 개의 주요 학습공간과 부대 공간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복합적이고 분할된 학습공간은 읽기, 쓰기 및 산술이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 소통 및 협업을 충족시키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된다.
  • 40. 유연한 복합/분할 학습 스튜디오 * Continuing Education Center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matics)은 빠르게 변하는 기술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융합학습이다. STEM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의 상호 필요와 요구, 조별 작업, 조별 논의, 등에 적합하게 유연하게 재배치할 수 있는 학습공간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때 인터넷 정보검색, 발표 공간, 강의 공간, 팀 작업 공간, 휴식 공간 등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단 이때 시각적으로 단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한다.
  • 4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래학교 설립 운영 모델 개발 연구(2017) 한국-미래학교 실험 운영 모델 교실 가구와 다양한 좌석 배치가 중요해진다.
  • 42. 국내 교실 공간 변화 – 서울시 꿈담교실사업 사례 우리나라 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줄고 있는 곳의 경우 새로운 공간을 새로 만들기 보다 빈 교실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교건물을 바꾸는 경우가 많다. 두 개 이상의 교실을 터서 통합학습공간으로 사용하거나 아예 교실벽을 없애고 놀이시설, 휴게와 소통공간을 만든 사례가 있다. 학생 인원수가 줄어든 점을 감안해서 교실 뒤에 별도 특이공간을 만든 사례도 있다. 또는 기존 교실에 내부 상자공간을 만들거나 다용도-가변 교실 가구를 활용한다. 본래 열린교실이 적용된 대형 복도 공간을 활용하여 차분한 무대공간을 만든 사례 (면동초등학교) 접이식 창문, 독서대, 작은 다락방으로 교체한 사례 (서울 동답초 1학년 교실)
  • 43. 인원이 적은 교실 뒷편에 전이공간을 만듦 교실 속의 또 다른 작은 공간 구현 (상월초등학교). 가변적인 교실 좌석, 교실가구의 개선 (송정 초등학교).
  • 44. 탐색의 공간, 추억의 장소- 암스테르담의 스콜렉스터(Scholekster) 몬테소리 학교 스콜렉스터 몬테소리 학교 중앙 입구 홀에는 옷장, 스탠드, 교실, 무대, 침묵의 장소, 대화 장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집중장소로 활용되는 여유교실인 학습 상자가 있다. 학교 건물 내에 다락방 같은 높은 공간은 아이들의 발달과 학습을 자극한다.
  • 45.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 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 46.
  • 47.
  • 48.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으나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았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49. 개인적인 공간, 숨겨진 공간 등 소규모 공간 제공은 학교 공간 변화의 주요한 요소다. 이러한 공간은 아동의 정서적,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소통과 교류를 촉진한다.
  • 50. 학교의 모든 공간은 학습, 생활, 소통, 놀이의 공간이 된다. 학교가구의 섬세한 선택과 배치가 중요해진다.
  • 51.
  • 52. 복도를 사물함, 가방 보관 등 수납공간으로 활용
  • 53.
  • 54.
  • 55. 미국과 캐나다 정부와 교육부서, 놀이 활동가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는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다. 신체적 리터러시는 1993년 마가렛 화이트헤드 박사가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체육교육과 스포츠 국제 협회에서 발표한 개념. 놀이의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보조 개념은 ‘ 움직임 어휘력(Movement vocabulary)’이다. 이것은 몸짓 (소통)언어, 신체적 이동 기술, 움직임, 운동 기술 뿐 아니라 신체적 활동이 이뤄지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독해력과 판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요즘 아이들은 점차 스마트폰과 가상 게임에 지나치게 빠져 신체적 문맹률이 높아지고 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놀이공간과 환경, 놀이 재료들을 탐색하 고, 만져보고,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한다. 이러한 공간적, 물질적 또는 몸을 통해 체감하며 파악하는 물리적 이해력을 신체적 리터러시는 포함하고 있다. 신체적 리터러시의 한 측면이 환경에 대한 이해라면 또 다른 측면은 신체 사용능력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이동기술, 달리기, 몰고 가기(농구에서 드리블), 도약, 등반, 건너뛰기, 포복, 깡충깡충 뛰기, 스케이팅, 몸 펴기(Stretching), 수영, 정지, 회전, 던지기, 받기, (공) 차기, ( 야구 공) 치기 등 다양한 운동기술, 신체의 미세조작 기술, 균형 능력, 자극에 대한 민첩성, 근력, 지구력 등을 포함한다.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놀이에 종종 수반되는 경쟁과 도전은 신체 사용능력을 키우는 데 자극과 동기를 부여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적 리터러시가 발달한 아이들은 자신감, 자존감, 지도력을 얻게 된다. 놀이와 신체적 리터러시
  • 56. 이동기술과 상황판단 능력을 키우는 장애물 길놀이
  • 57. 신체적 리터러시를 키우기 위한 파쿠르 교육
  • 59. 자연물로 만들어진 비구조적 놀이 – 다양한 진입지점, 놀이경로, 주체적 놀이해석
  • 60. 서울 면동초등학교 – 실내 놀이터
  • 63.
  • 65. 야외 활동의 촉진 – 외부로 개방되고 연결된 교실들 ‘스마트폰 좀비’, ‘비만’, ‘신체활동 문맹’이 문제가 되고, 이에 대한 이동언어(Moving Vocabulary), 신체활동 리터러시(Physical L 향상이 이슈가 되고 있다. 아동,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 조성되는 학교의 교실을 야외로 직접 개방하고 연결하는 추세다 네델란드 흐로닝언의 초등학교
  • 66.
  • 67.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 68.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 69. 폐교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 保田小 校駅 学 )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 70. 폐교된 야스다 초등학교(道の 保田小 校駅 学 )의 차양과 외부 확장 복도
  • 73.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정
  • 74. 立音 大 附 小 校国 楽 学 属 学
  • 75. 센다이시 립포 마치 초등학교(仙台市立蒲町小学
  • 76.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 校学 )
  • 77. 교실 디자인과 학습증진 효과 영국 Salford 대학 디자인팀이 실시한 최근 연구 요약본을 입수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잘 설계된 학교 디자인은 읽기, 쓰기 및 수학 등 학업 성취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이 연구는 3년간 27개 학교 153개 교실의 3,766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실의 자연적환경(채광, 조명, 온도, 공기 질)이 49%의 영향을 끼친다. 그 다음 교실의 물리적 디자인이 학업 변화에 28% 정도 영향을 끼친다. 그 다음 색상, 복잡성 등 시각적 자극은 23% 정도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친다. 주목할 점은 교실을 디자인하는 데 학생들이 참여하고 소유의식을 가지고 교실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허락한다면 학습 효과가 1/4 더 증진한다. 의외로 복잡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활기찬 자극을 줄 경우 학습 효과가 1/4 더 증가 한다. 무엇보다 이 연구서에서 주목할 점은 놀랍게도 전체 학교의 디자인(외형, 규모, 동선, 전문시설, 놀이이설)은 학습증진 효과면에서 개별 교실의 디자인만큼 중요하지 않다는 결과이다.
  • 78. 학교의 가족들을 위한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는 기반이 된다.
  • 79.
  • 80.
  • 82. 기존 학교의 층간 연결-아트리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1953년 지어진 스메토바르 마르코비치(Svetozar Markovi )ć 초등학교 는 2017년 과감한 리모델링을 시도했다. 이 학교는 기존 건물에 직각으로 새로운 건물을 증축하면서 건물의 접합점에 지하에서부터 2층까지 수직으로 각 층을 연결하는 아트리움을 만들어 환기와 채광, 연결성과 개방성을 개선했다.
  • 83.
  • 85. 덴마크 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 운동장 덴마크의 학교 운동장 혁신 사례들을 보면 그들은 학교 운동장을 다양한 활동을 위해 구획을 나누고 있다. 대부분 바닥 도색, 바닥 포장, 때로는 높고 낮은 턱 또는 펜스 등을 이용해서 운동장 구획을 나눈다. 학교 건물의 뒷마당도 놀이시설을 설치하여 좀 더 밝고 역동적인 활동 공간으로 바꾼다. 각 구획은 상이한 놀이, 휴식, 그 밖의 야외 활동을 유도한다. 또 다른 변화는 운동장에 야외 라운지처럼 쉴 수 있는 그늘과 앉을 자리들을 충분히 만들어 만남과 소통의 장소로 만든다는 점이다. 덴마크 2)뇌어 스느드 학교(Nørre Snede Skole)는 입체적으로 학교 운동장을 조성하고, 활동에 따라 구획을 나누고, 자연적 요소들과 정적인 활동을 수용했다.
  • 86. 덴마크 콩스 링비(Kongens Lyngby) 학교 운동장의 다용도 구기장 축구장은 주로 고학년 남학생들이 점거해버리고 저학년 특히 여학생들을 외곽으로 밀어낸다. 축구장이나 농구장 같은 구기장을 규격보다 작게 만들거나, 차벽을 세우고, 운동장 한편으로 몰아두거나, 축구장, 농구장을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다양한 구기 종목이 가능한 다용도 구기장을 만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 88. 독일 카타리나 하인로트 초등학교의 생태통합운동장 독일에서도 최근 학교 운동장을 텃밭, 정원, 야외 학습장, 운동장, 놀이터, 휴식 공간, 산책로를 통합한 생태통합운동장으로 바꾸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카타리나 하인로트 그룬트슐레(katharina-heinroth grundschule)는 2016년 학교 운동장을 새롭게 바꾸었다. 학교 운동장은 야외 학습공간이자 휴식과 소통, 놀이의 장소가 되었다.
  • 89. 노르웨이 도시 작은 학교인 스토어하우그의 학교운동장 변화 사례
  • 90. 뉴욕 로우어 학교 운동장 놀이터 조성안
  • 91.
  • 92. 덴마크 북부 Skørping School ‘Forest Loop’  운동장과 숲을 연결하는 놀이 산책로  산책로와 통합하거나 그 주변에 평형 빔, 사다리, 벤치, 나무둥지 집, 농구 코트, 그네, 야외 탁자, 스케이트 공원, 공동 레크레이션 공간 등 조성
  • 93.
  • 94.  2016. 8 개장한 덴마크 최초 도서관 놀이터  2017 ‘도서관 홍보’ 부문 덴마크 문화부장관상 수상  “너도밤나무의 세계에서 온 단어와 등장인물을 만나고, 도시 공간에서 문학을 경험하고 탐험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의 비전이었습니다. 결과는 그 자체로 말합니다. 우리는 재미있어하고, 배우고, 뛰어 노는 아이들이 도서관 정원에 가득 찬 것을 볼 때마다 기쁩니다.” – 야갑 레이구스(Jakob Lærkes) 도서관장 Gladsaxe 도서관 놀이터
  • 95.
  • 96. 멕시코 Monterrey Conarte Library – 어린이 도서관 산업단지 산업시설을 개조한 Fundidora 공원 내 문화시설 중 하나. 산과 계곡을 모사한 서가와 독서 공간
  • 97.
  • 98. 덴마크 빌룰(Billund) 어린이 도서관 놀이터와 책은 아이들의 상상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북유럽의 도서관은 보다 적극적으로 도서관과 놀이터 실내외에서 통합하고 있다.
  • 99. 도서관 내에도 다양한 활동공간과 좀 더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소규모 독서공간
  • 100.
  • 101.
  • 102.
  • 103. 서가와 독서공간, 인터넷 검색 공간, 휴식 공간이 함께 조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