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36
Descargar para leer sin conexión
PublicLab
ResearchReport
퍼블릭 랩 연구보고서
2013
퍼블릭 랩 소개
퍼블릭 랩 연혁
연구모임 책임자 서문
작은연구 목표
작은연구 진행내용
주요 논의 요약
"오늘 서울은..."
서울시 재정 지출 현황 데이터 시각화
민세희
민세희
윤현학
윤이레
나지인
이유진
심재경
Contents
T CP
1
2
3
4
5
6
7 - 8
9 - 10
11 - 12
13 - 15
16 - 18
19 - 21
22
23 - 27
28
29
Data Flubber
Culturepass
Energy Saver
Public Data Character Concept
에너지 데이터로 에너지 절약 실천하기.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노을 캠핑장
공공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
작은연구 후기
참여한 사람들
도움 주신 분들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정보
1Introduction of Public Lab
개방형 정부의 확산으로 많은 공공데이터들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공
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
며, 공공데이터부터 대중교통의 운영상황과 도시 환경 상태에 이르기
까지 사회의 여러가지 내용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공공데이터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공공데이
터의 접근과 이해가 특정한 소수(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및 관계자)에
게만 국한되고 있으며 진정한 ‘공공인식’은 아직까지 많은 시도가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 퍼블릭랩은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확산에 맞춰,
공공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대중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가능성을 연구하고 시도하는 모임이다.
퍼블릭 랩 소개
Public Lab
www.randomwalks.org/public_lab
Website
Introduction of Public Lab
2 History of Public Lab
퍼블릭 랩 연혁
Randomwalks 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학생들이 함
께 Public lab 결성
도시, 서울 프로젝트 진행
Open API, 공공 데이터에 대한 연구 진행
공공 스크린에 대한 연구 진행
SK 사옥 아트나비센터 공공 스크린 답사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해외 사례 분석
공공 데이터 관련 법규에 대한 연구 진행
공공 데이터 사용자 반응 조사 방법 연구 진행
Public lab 홈페이지 개설
서울시 공공 스크린 조사 및 충무로역 지하철 공공 스크린 답
사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서울> 지원사업 연구 모임 & 연구
과제 공모 신청
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서울시 재정 데이터 시각화 진행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서울> 지원사업 연구 모임 선정
<작은연구, 좋은서울> 프로젝트 시작
서울시 재정 데이터를 활용한 문화 컨텐츠 제작 및 전시 기획
2012. 11
2012. 11
2012. 12
2013. 01
2013. 03
2013. 02
2013. 05
2013. 04
History of Public Lab
3Director's Preface
데이터 시각화 작업을 해오면서 가장 근본적으로 고민하는 부분은
바로 ‘나' 자신이 아닐까 한다. 나의 일상적 생활, 나와 연결된 사람들,
내가 살고 있는 사회..... 결국 나의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려 했던 부
분이 데이터를 통해서 해석될 수 있었고 나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니 다
른 사람들의 관점 역시 공감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타인을 볼 수 있는 여유와 해안이 생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번 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아니 정확하게는, 내
가 살고 있는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써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고
자 하였고 사회 구성원 전체의 공공인식을 높히기를 기대하기 보다 우
리가 하는 작업들이 이 사회 구성원의 1%라도 움직일 수 있다면 공공데
이터의 문화컨텐츠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했다.
이번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결정적 방법을 제시하기 보다
는 앞으로 가능한 방향을 찾는데 집중했으며 모두가 처음 경험하는 내
용이라 다소 돌고돌아가는 지루한 경험이 반복 되었지만 그 경험 역시
‘긍정적 미래'를 위해선 꼭 필요했다고 믿는다.
연구모임 책임자 서문
민세희 (랜덤웍스)
Director's Preface
sey.min@randomwalks.org
4 Research Purpose
작은연구 목표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문화적 컨텐츠 생산가능성에 관한 연구로
써 공공데이터의 확산이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에 관한 연구
를 목적으로 설정했다. 먼저 국내외 공공데이터의 현황과 함께 그
쓰임새에 관하여 연구를 하고, 과연 공공데이터의 인식이 어느정도
까지인지 국가별, 지역별로 조사하고 그 내용 역시 과연 공공에게
필요한 내용인지를 가늠해 보도록 한다. 공공데이터의 내용과 활용
에 관한 연구 이후에 국내 공공데이터의 개방상태, 그리고 대중에게
소통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에 관해 조사한 후 문화컨텐츠화 가능한
데이터와 송출 환경에 관한 내용도 함께 조사하였다.
Research Purpose
공공 데이터 공공 데이터
현황 / 인식
개방상태 문화 컨텐츠 가능성
5Research Process
작은연구 진행내용
4월 연구주제
7월 연구주제
공공 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 데이터와 서비스
공공데이터를 알리는 목적의 포스터
/ 제안과 질문 이미지
오픈 API에 관한 논의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공공데이터 활용방안과 우리가 논
할 가치가 있는 논제 - 질문과 토론
데이터 시각화로 인한 가능성은 무
엇인가?
열린데이터 광장
링크드데이터
데이터의 신뢰도
개발자와 사용자
- 데이터를 공개한 기관(정부)
-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사람(개발자,
1차 가공자)
- 데이터를 시각화하거나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들(2차 가공자)
- 데이터를 보는 사람들(시민, 수급자)
4
5월 연구주제
공공 데이터 시각화
서울시 지출 정보 데이터 시각화 작업
/ 아이디어
지출 트렌트 : 분야별 변화 추이
서울이 오늘 한 일 (toDo list)
서울이 오늘 한 일 중 가장 큰 일
(the most big expenditure)
하루의 지출
나와 서울시의 지출 정보의 관계
5
6월 연구주제
데이터 시각화 활용방안
분류 인포그래픽과 디바이스에 따른
시나리오 연구
지출 트렌트 : 분야별 변화 추이 -캐릭터
인포그라픽
서울이 오늘 한 일 (toDo list)
-SOUND
서울이 오늘 한 일 중 가장 큰 일 (the
most big expenditure) -텍스트 애니
메이션
하루의 지출 -포스터, 아트북
나와 서울시의 지출 정보의 관계 - 모바
일 앱 기획
6 7
Research Process
6 Research Process
주요 논의 요약
현재 제공되는 데이터에 관한 논의
▶ 데이터의 분류체계 -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할 때 내용에 따른 분류 외에도 행정구역에
따른 분류를 해보는 것이 어떨까? 그렇게 된다면 특정 동네에서 무슨 일이 벌어나는지
알 수 있다.
▶ 데이터 업데이트 -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는 기준이 굉장히 애매모호하다. 업데이트 일정을
정확히 밝혀주면 좋을 것 같다. 1년 단위로 업데이트 되는 데이터라면 굳이 API연결을 해
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 여러 데이터를 섞어서 링크드데이터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ex. 전력사용량+행정구역의 복지시설 / 예상치 못한 조합 활용)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의 오픈 API 메뉴를 들어가보면, 딱딱한 글로만 이루어져있다.
→ 저널식으로 운영하는 것은 어떨까? 이미지를 넣어서 스토리텔링식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ex. 친근한 이미지 부여)
→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는 것이 중요. 현재는 관심있는 사람들만 접속하고 있다.
→ 인터넷 기사처럼 '환경이 오염되고 있어요' 같은 자극적인 제목을 활용해 사람들의 이목
을 끄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데이터저널리즘, 데이터 스토리텔링)
▶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은 0.1% 정도의 '잘 아는' 사람들만 활용하고 있음. 데이터의 수급
자는 대중이어야 하는데, 현재로써는 그렇다고 보기 어렵다.
▶ 개발자 위주의 사이트의 열린 데이터 광장의 자료들에 부연 설명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 데이터가 어디서 왔는지, 어떤 기준으로 누가 판단했는지에 대한 신뢰도의 문제도 중요
한 화두이다.
(ex. '가사분담실태' 의 경우 어떻게 이런 결론이 나왔는지 굉장히 모호함.)
→ 이 데이터를 누가 선정한 것인지, 신뢰할 수 있는 내용인지 더 상세하게 알아볼 수 있으
면 어떨까 생각한다.
▶ 공공데이터인데, '대중'이 사용해야되는 데이터라는 인식이 부족다고 생각한다.
→ 공공에 대한 얘기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생각해봐야 한다.
연구 결과에 대한 소개에 앞서 퍼블릭랩이 그동안 공공데이터에 관하여 논의하였던 내용
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문제의식을 갖는것에 있어서 가장 빈번하고 핵심적으로 논의
되었던 내용들을 종합하고자 하였다.
7Contents of Research
서울시 재정 지출 현황 데이터 시각화
도시의 지출 정보는 그 도시의 지향점을 보여준다.
"오늘 서울은..."
서울시의 일일 지출 정보 데이터 중 “항목”을 시각화 하여 오늘 서울시가 어떤 일에 얼마의 지출을 허용했는지
를 도시의 공공스크린을 통해 예산사용에 대한 공공인식을 높힌다.
데이터 내용 -
일자별 서울시 지출 현황 : 항목과 해당 항목 지출액
예산안 결정과 세금 책정시 도시민이 보여줬던 관심은 과연 도시의 세금 지출까지 이어지고 있을까?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의 재정에 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을까? 서울시는 열린데이터 광장 서비스를 통해 서
울시에서 지출하는 금액과 항목을 공유하고 있지만 실제로 도시민과 이와 같은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울시 지출 정보의 시각화를 대중적 시선으로 보여주는 작업을 통해 도시안에서 시민
들이 도시가 매일매일 사용하고 있는 지출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 일자별 데이터 시각화
"오늘 서울은 을 했습니다."
민세희
8 Contents of Research
공공스크린의 활용에 관하여
공공인식을 높히기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에서 우리가 고려했던 점은 과연 어떤 매체가 공공데이
터를 표출하는데 적합한가 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 프로젝트처럼 서울시의 지출
내역은 시민들이 자발적 의지로 찾아가서 얻어야 하는 정보라기 보다는 길을 걷다가, 지하철을
타다가, 아니면 공원에서 자연스럽게 우연히 접할 수 있어야 대중적 관심을 높힐 수 있다고 판단
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대중 노출을 위해 도시 스크린을 선택했다. 특히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
적으로 노출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 도시에 설치되어있는 다양한 플랫폼 활용
이 중요하다.
Contents of Research
9Contents of Research
심재경
서울시의 지출현황에 대해 궁금한 정보를 사용자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지역,성별,연령대,장애인,육아,노인 등에 해당하는 대상(나)의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대상자와 밀접한 관계의
지출정보 순으로 보여준다. 나를 위하여 쓰여지는 서울시의 지출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또한 참여한 대
상의 정보(대상조건)와 코멘트를 저장하여 참여부류의 지역별 참여횟수, 지출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
대상조건: 지역(마포구,동대문구..)
성별(여자/남자)
장애인
육아
노인
자가운전자/대중교통이용자
웹사이트 :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 정보
서울시 지출정보
기획 의도
대상
미디어 형태
데이터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정보
10 Contents of Research
1.대상(개인) 정보 입력
거주지(혹은 알고싶은 지역구)
성별/연령 (혹은 관심 분류) / 주요이동수
단에 따른 대상정보(관심) 아이콘을 선택
한다.
서비스
2.대상(조건) 아이콘 세트가 완성되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
3.나의 관심 대상 조건과 관련이 많은 순서
대로 지출정보가 나열되며 지출이 큰 항
목은 큰 글씨로 보여진다.
4.항목 1의 대상(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서
울시의 재정에 관심있는 부류를 집계하고
코멘트를 받는다.
5.다른 사람들의 관심 항목 순위 집계와 참
여자군의 순위 등의 정보도 제공한다.
Contents of Research
11Contents of Research
윤현학
Public Data Character Concept
데이터 플러버는 시민들이 공공데이터를 좀 더 친근한 형태로 접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표현 방식이다.그동
안의 재정 데이터들은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기에는 딱딱하고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딱딱한 그래
프 혹은 숫자와 항목이 나열된 문서들이 나타내는 공공데이터의 정보는 사실 그대로를 전해준다는 것에서 꼭
필요한 것이지만, 그것을 개발자가 한번 더 재해석을 하여 보여주는 데이터 플러버는 자료를 접하게 되는 사
용자의 이해를 넘어 이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또한 친근한 캐릭터들은 재정데이터를 분류하는
일곱개의 항목(임의로 설정)을 대표하며 매일 새로운 모습으로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친숙한 형태의 공공데이터
재정항목을 대표하는 아이콘들과 그 아이콘들로
꾸며진 캐릭터들은 다양한 표정으로 정보를 제공
하게 된다.
Education
각 항목을 대표하는 아이콘이
캐릭터와 결합하여 친숙한 형태를 갖는
다.
Data Flubber
$
$
12 Contents of Research
만들어진 캐릭터들은 하루에 한 장씩 모
여서 가족사진을 연출한다.
가족사진에서의 캐릭터의 크기 비중은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며, 그것이 곧
재정데이터의 비중을 나타낸다.
가장 먼저 데이터 플러버의 가족사진이 게재되는 곳은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메인화면이다. 시민들은 이곳에
서 오늘의 데이터플러버 가족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스냅사진을 찍은 듯 모여있는 재정데이터 가족사진은 매일의
지출 비중을 나타낸다. 각 캐릭터들의 크기는 그 비중이 적용된 상태에서 한장의 사진으로 나타나며, 오늘의 서울시 지
출에 대한 간략한 소식을 전달하게된다.
Contents of Research
$$
$
13Contents of Research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노을 캠핑장 윤이레
기획의도
대상
상황
형태
-이 서비스의 기획의도는 난지도 캠핑지역이 쓰레기 매립지가 아닌, 서울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과 함께 캠핑할 수 있는 캠핑장임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가 캠핑을 하는 캠퍼들에게, 혹은 일반 시민들에게 난지도가 쓰레기 매립지역이라는
선입견을 씻어주고자 한다.
-이 서비스는 서울시에 제공하고 있는 난지도 동식물 데이터와 난지도 노을캠핑장 예약서비스를
합한 메쉬업 서비스이다.
캠핑장을 이용하는 서울 시민들
-"난지도 캠핑장 = 쓰레기 매립지역" 으로 기억하는 서울 시민들이 있다.
- 난지도 캠핑장은 인터넷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난지도 캠핑 예약 홈페이지에서 난지도 동식물 데이터의 활용을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한다.
-지도 상에서 자신이 예약하려는 자리에 어떠한 동물과 식물이 있는지 지도상으로 보여준다.
캠핑장 예약을 할때 위치를 정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본다.
-캠핑장에 가서도 나의 텐트에서 어떠한 식물이 가깝게 있는지 또한 어떤 식물이 있었는지 기록
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14 Contents of Research
데이터
-노을공원출현 / 노을 사면 출현 / 난지천 공원 출현 / 평화의 공원 / 하늘공원출현 /
하늘사면 출현 / 크기 / 출현 시기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주변의 6개의 구역에서 6카테고리의 동물들의 형상을 시각화하였다.
-주변의 6개의 구역에서 6카테고리의 동물들의 위치를 보여준다. 클릭을 하면 예약하려는 캠핑
구역에 어떤 동물과 어떤 식물이 있는지, 그 위치와 동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제공한다.
난지 노을 캠핑장 예약서비스 메인페이지
Contents of Research
15Contents of Research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캠핑장' 홈페이지의 주요 기능
step 1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캠핑장 지도에 가능한 캠핑 텐트 갯수가 뜬다.
step 2
캠핑장 지도 옆에 A,B,C,D,E,F,G,H 텐트 지역을 선택하면 원하는 지역으로 지도가 확대된다.
step 3
지도 오른쪽 메뉴 바에 동식물 카테고리(1.조류 2. 식물 3.나비류 4. 노린재류 5.양서파충류 6.포유류)를 선택
하면 선택한 구역에 어떤 종류의 동.식물이 있는지 뜨고 아이콘을 선택하면 동식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창이 팝
업된다.
step 4
캠핑팁이라는 상단 메뉴에 동.식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시민들의 게시물도 볼 수 있는 게
시판 형태로 제공된다.
step 5
자신이 있는 구역에 총 몇마리를 보았는지 기록할 수 있고, 스티커가 주어진다. 많이 기록할 수록 난지도 캠핑
장 혜택이 주어지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난지 노을 캠핑장 예약서비스 사용화면
Contents of Research
16 Contents of Research
컬쳐패스Culturepass 이유진
문화공간 관련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일종의 관광상품을 만들고자 한다. 정해진 예산으로 서울을 여행하고
싶을 때, 그 금액으로 돌아볼 수 있는 서울의 문화공간 및 행사를 추천하고 이동경로도 안내해줌으로써, 관광
객들의 편의를 돕는 동시에 서울시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기획의도
대상: 외국인 관광객, 지방에서 온 관광객
형태: 카드 형태의 패스, 어플리케이션(모바일 패스 및 정보제공)
특징: 본인의 예산에 맞춰 티켓 구매 가능
가까운 지하철역이나 관광안내소에서 구매 혹은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해 모바일로도
구매 가능
지하철 예술무대 공연일정 : 서울메트로구간(1~4호선) 지하철역 예술무대 공연일정
장르별 문화공간정보 현황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장르별 현황을 제공
문화행사 공공서비스예약 정보 : 서울시 및 산하기관, 자치구의 문화행사 예약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교통정보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장르별 검색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을 장르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API
문화행사정보 장르별 검색 : 서울에 있는 문화행사를 장르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API
위와 같은 데이터들이 현재 공개되어 있다.
대상/미디어 형태
데이터 상황
17Contents of Research
컬쳐패스 사용화면
컬쳐패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 비쥬얼 아이덴티티
Contents of Research
18 Contents of Research
step 1
가진 예산을 입력하면 추천명소가 뜨고, 예산에 맞춰 나만의 컬처패스를 구성한다. (내가 특별히 가고 싶었던 장
소가 있으면 검색해 선택할 수 있다.)
- 이 때, 근처의 무료로 볼 수 있는 행사나 소규모 행사, 관광지 등도 함께 추천해준다.
관광객은 숨겨진 명소나 행사를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시 입장에서는 지역문화예술행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최적의 이동경로 등도 동시에 추천해준다.
step 2
구성한 패스대로 여행한다.
step 3
향후 패스의 번호를 온라인에서 입력하면 내가 방문했던 장소들이 여행 아카이브에 남도록 한다. (나만의 여행지
도, 여행아카이브 제작이 가능하다.)
* 서울시티패스(교통 1일권, 2일권 등 교통무제한패스)와 연계해서 상품을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
안이 될 수 있다.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존에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i Tour Seoul 앱에서 함께 서비스를 하
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예) 컬처패스 이용방법 : 예산을 입력하고 꼭 방문하고 싶은 장소를 선택한다.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
로 남은 예산으로 방문할 수 있는 다른 명소나 소규모 행사 등을 추천해준다. 기존에 방문하려던
곳(+추천받은 곳)으로 컬처패스가 구성되면, 그 장소들을 돌아보기 위한 최적의 루트를 안내받
고, 관광객은 그에 맞춰 여행하면 된다.
1. 관광객들의 문화공간이용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그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서울의 문화관광
상품을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2. 소규모 행사도 노출 및 끼워팔기가 가능하다. 잘 알려지지 않거나 규모가 작아 많이 가지 않는
곳을 자연스레 추천할 수 있다.→ 관광객들이 더 많은 곳을 방문할 수 있도록 자연스레 유도가 가
능하고 서울을 구석구석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파리의 뮤지엄패스 처럼, 대표적인 관광상품화가 가능하다. + 시티패스와 연계하면 더 큰 경제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서비스
기대효과
Contents of Research
19Contents of Research
나지인
에너지 데이터로 에너지 절약 실천하기.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 지구 온난화, 사막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계속 발생되
고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은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오랫동안 고민되어 온 화두
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가지고 시민들의 환경에 대한 의
식을 일깨우고, 에너지 절약 행동을 유도하도록 서비스를 제작한다.
현재 공개된 에너지 데이터는 행정동별 지역난방, 가스, 전력, 상수도(~2008) 이다.
데이터의 업데이트, 세분화가 부족한 상황이다. → 현재의 공공 데이터로는 서비스 제작이 어렵다.
전력 공공 데이터 + 한국전력공사 데이터
주민등록번호, 고객번호, 계량기 번호만 알면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스마트 한전 어플, 02-123
콜센터를 이용하여 지난 전기 요금, 실시간 전력 사용량 등을 알아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서울의 에너
지 데이터 수급이 부족한 상황인데, 서울시가 공개한 전력 공공 데이터에 한전 데이터를 접목시킨다
면 보다 에너지 절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기획 의도
데이터 상황
대안
Energy Saver
20 Contents of Research
Energy Saver 로그인 화면 /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현재 신축 아파트에는 월패드에서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주거 형태로 남아있는 기존 아파트나,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은 가격 등의 이유로 적용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접하기 어려운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접근이 자유로운 어
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 에너지 절약에 힘쓰는 주부, 자취생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듯 하다.
대상 / 미디어 형태
현재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공공 데이터는 2008
년까지의 자료밖에 존재하지 않고, 연 단위로 업
데이트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
만 가지고 서비스 제작이 힘들다는 생각이다.
대신, 시민들이 개인 에너지 데이터를 올려 오픈
해준다면 이것 또한 공공 데이터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step 1
매달 에너지 사용량을 고지서와 email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처럼, 어플리케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한전 어플리케이션를 활용한
다.
step 2
사용자에게 개인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공개해 달
라고 요청한다. (거주지 면적, 요금, 가족 구성원
수)
step 3
현재 서울시에서 공개한 전력 데이터와 개인 데이
터를 사용자들끼리 면적별, 지역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서울시에서 월마다 전력 데
이터를 업데이트해 달라고 요청이 필요하다.)
step 4
나와 물리적으로 같은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사용량을 보고 나의 소비 행태를 되돌아보고, 변
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전력 사용량 비교
공공데이터 + 개인데이터 활용
Program
Contents of Research
21Contents of Research
step 1
매월 1일, 지난 사용량과 다른 사람들의 사용량을 비교해 보고 당월 전력 사용 목표량을 설정한다.
step 2
현재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스마트 한전 어플, 123 콜센터에 조회하여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알아볼 수 있
는데, 일일이 조회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시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tep 3
목표량에서 사용한 만큼 사라지고, 깎여 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에너지 소비 계획을 미리 세우고,
목표량 대비 사용량을 수시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할 것이다.
2. 실시간 전력 사용량 보기
한국 전력공사 데이터 활용
매월 1일,
고객번호, 세대주 주민등록번호, 계량기 번호로 로그인⇒전월 사용량 조회 ⇒사용량 지역별 비교 ⇒당월 사용
목표량 설정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사용량 확인
Scenario
월별 사용량 데이터/
지역간 사용량 비교 화면
Contents of Research
22 Contents of Research
작은연구 후기
contents of research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문화컨텐츠를 통해 대중의 공공인식을 높혀보자는 본 연구는 그
이상적인 취지에 비하여 실제로는 쉽지않은 과정의 연속이었다. 공공데이터에 앞서 공공이란, 그리고 데이터에
관한 근본적 이해가 필요했으며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고 가능한 컨텐츠가 어떤 것이
있을지, 그리고 각각의 컨텐츠에 맞는 미디어는 어떤 것일지 생각해 보는 과정 자체가 우리 모두에게 생소한 경험
이었다. 그러나 그 반복적 시도를 통해 어느 정도는 어떤 과정으로 접근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얻을 수 있었던 것
이 아마 본 연구에서 우리가 얻은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싶다. 이전에 시도했던 분야가 아니라 새로운 분야였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로 시작해서 시행착오로 끝났다는 생각이 앞서지만 나름대로 그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의 법
칙과 노하우를 찾아냈다고나 할까, 아무튼 모든 면에서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이었다라는 생각이 든다.
데이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지만 그 많은 것들이 모두 같은 깊이로 존재하지도 않을 뿐더러 다가오지
도 않는다. 우리가 공공데이터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 우리 주변에 관한 이야기 역시, 그 데
이터가 가지고 있는 깊이 만큼 가치와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아마 우리가 앞으로 해야할 일은 과연
어떤 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깊이감으로 이해해야 하는가를 선별하는 안목을 길러야 하는게 아닐까 한다. 얇은 데
이터로 세상을 판단하는 오류를 지양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깊은 데이터를 스쳐지나가는 실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말이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의 공공데이터는 우리 연구원 각자에게 판이하게 다른 모습이었을지 모른다. 지금도 공공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같다고 할 수 없지만, 실체를 들여다 보기 전의 공공데이터는 아마 각자에게도 막연
히 어렵게만 느껴졌던 무엇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공공데이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공간과 나누는 수
많은 커뮤니케이션 중에 한 방식이라고 이해한다면, 그 방식과 느낌이 어떻던 꽤나 공공데이터와 밀접해진 것이
라 생각해본다. 잘 몰랐던 대상에 대한 각자 나름의 접근방식- 이것이 우리 연구모임의 일원들이 공통적으로 얻
은 성과가 아닐까.
초반에 재정데이터로 논의를 시작하였던 퍼블릭랩의 연구는, 재정데이터가 아닌 타 분야의 데이터에도 눈길을
돌려 문화 컨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내다보는 일련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이 도시에 존재하는 기록들에 다른
이야기를 더하여 들어볼 만한 이야기를 만들고자 노력했다. 그에 대해 나눴던 수많은 고민들을 떠올리며 우리 연
구의 목표를 되새겨본다. 개발까지 이어지지도 않았고, 막상 이런 아이디어를 시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검
증이 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이번 연구 보고서는 공공 데이터와 나눈 짧은 대화 혹은 적당한 안부인사가 될 것 같
다. 하지만 일면식이 없으면 그 이후의 어떠한 교류도 기대할 수 없듯이, 이것을 시작으로 더 많은 이야기가 파생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미 공공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되기
를 바란다.
- 민세희
- 퍼블릭랩 연구모임 일동
23Question Investigation
공공 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
24 Question Investigation
조사대상
데이터를 공개한 기관(정부) :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사람(1차 가공자) : 개발자 4명 (남3, 여1)
데이터를 시각화하거나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2차 가공자) : 관련 경험이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7명 (남
2, 여5)
데이터를 보는 사람들(시민, 수급자) : 20대 디자인 및 어문계열 대학생 10명 (남6, 여4)
공공데이터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수준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에 대해 들어본 적 및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시민 들어본 적 있음. 90%
2. 공공데이터를 활용해서 제작된 어플을 사용해 본 적이 있나요?
예) 서울버스
시민 사용한 경험이 있음. 100%
3.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시민 긍정적. 100%
: 공공데이터가 복지 향상 등 시민들의 삶에 더욱 적극적이고 유용하게 사용될 것 같다.
정부가 정보를 독점하는 대신, 시민의 편의를 위해 공개하고 가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4. 공공데이터의 개방이 일상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시민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서비스들을 통해 편리함을 누리고 있음.
5. 현재 공공데이터의 공개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아직은 부족하다. 80% / 적당하다. 20%
6.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기 위해서 개발자들이 해야될 의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공공데이터의 지속을 위해 해야할 의무는 없다. 40%
공공데이터의 지속을 위해 해야할 의무가 있다. 60%
공공 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
퍼블릭랩에서는 공공데이터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해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공공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공공데이터 자
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내부 연구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25Question Investigation
: 개인정보보호, 데이터의 중요성을 구분하는 방법을 찾는 것, 좋은 목적으로 데이터를 이용하
는 것 등이 개발자의 의무.
7. 공공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자
- 익명성, 개방성, 정확성, 신뢰성, 비편향성, 공정성 등이 중요하다.
- 의미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가 정확해야하며, 누구나 열람이 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아야한다.
2차 가공자
- 한번에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
- 공공 데이터의 분류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
-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과 다양한 데이터가 새롭게 공개되는 것
- 공공 데이터가 시민에게서 나온 것임을 알고, 시민 개개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지하는 것
- 데이터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서비스를 만드는 것
-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이해(의미 및 문제의식)를 가지고 활용하는 것
8. 공개된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다음에 하고자 하는 행동이 있나요?
예)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어플을 만들고싶다. / 필요한 정보를 공공데이터를 통해 알아보고싶다.
시민
- 내가 속한 지역의 데이터를 좀 더 유심히 관찰해보고 싶다. (구 단위 지역, 혹은 동 단위 지역)
- 공개된 데이터를 더욱 가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만들어 내 생활의 편의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 사업아이템 / 기타 컨텐츠 제작을 하고싶다.
9. 있다면 어떤 서비스, 시스템이 추가로 구성되길 바라나요?
예) 도서관 좌석 정보를 수시로 보여주는 웹사이트
시민
-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볼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시민들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공영 주차장에 대한 정보나 주변에 유료로 주차를 할 수 있는 곳의 정보
- 구립 도서관의 좌석정보
10. 본인이 생각하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는 무엇인가요?
1)모바일 어플리케이션 2)웹사이트 3)기타
시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100%.
11. 수급자들이 원하는 데이터는 무엇인가요?
예) 데이터의 형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나왔으면 좋겠다 하는 것들
시민
- 내용 : 실생활과 밀접한 데이터들 이라는 답변이 주를 이룸
- 형태 : 데이터 같지 않은 데이터가 필요함 ( 친숙함을 갖춘 )
Question Investigation
26 Question Investigation
- 기타 :
데이터가 보다 사용자 개개인의 편의에 맞게, 유동적으로 가공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데이터가 가공되어 어플리케이
션으로 나온다면, 시각자료, 효과음 등에 있어 소비자에게 선택사항이 최대한 많이 제시되어, 어플이 개개인의 특성
과 생활패턴이 많이 반영될 수 있으면 좋겠다.
12.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모으기 좋은 데이터의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 이용자 측면에서 유익한 데이터(날씨, 버스, 지역행사 등), 모든 공문서.
- 데이터로 끌어낼 수 있는 인사이트나 이슈도 중요함.
2차 가공자
- 개개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데이터, 생활에 유용한 데이터,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의 데이터
13. 공공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시민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개발자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시민들의 편의를 추구해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
14. 데이터를 가공할 때, 수급자에 대한 조사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수급자에 대한 조사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100%
: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수급자에 대한 조사나 이해가 필요하다.
15. 공개 되지 않은 공공데이터의 내용 중에서 가장 다뤄보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개발자 건강보험데이터, 도서관 재고 데이터, 국회의원 출결 현황, 기업가치에 관련된 공공데이터 등.
16. 자신, 혹은 동네 데이터를 공개한다면, 공유할 의향이 있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민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모두의 복지향상을
위해 정보를 공개할 의향이 있다. 또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데이터 공개의 목표 및 공개 기준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를 공개하는 주된 이유와 이러한 데이터 공개의 목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부
국민의 알권리 충족(투명성 측면), 경제적 가치 창출(활용성 측면)
2차 가공자
- 정보격차 해소, 정부의 투명한 행정, 시민의 알권리 충족
- 공공정책의 공감대 형성, 공공 서비스를 통한 시민들의 행동과 의식 변화
- 데이터 공개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학문적 가치로서의 활용 가능성
2. 공공데이터를 공개하는 기준이 있다면 무엇이며, 제공되는 데이터의 분류 및 승인에 대한 기준은 누가
Question Investigation
27Question Investigation
어떻게 정하나요?
정부
공공기관의 BRM(업무참조모델)를 기준으로 분류하되 시민들이 이해하기 용이한 depth로 분류를 하고
아래와 같이 공개가 상당한 지장을 초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정보의 존재 자체가 비밀사항인 경우
- 문서제목에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예 :김oo의 비위사실 통보)
- 문서제목의 공개가 공정한 업무수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예 : ooo에 대한 불시단속 계획)
- 문서제목의 공개로 법인의 정당한 이익을 현저히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공개 시 특정인에게 이익 또는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3. 데이터 출처가 특정 기관인 경우에는 허락을 받고 수집한 것인지, 업데이트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
합니다. 또한, 이런 데이터를 활용해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개발하면 저작권 문제는 없는지도 알고 싶습
니다.
정부
협의하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는 각각의 dataset별로 상이하며 dataset별로 명시된 이용허락조건을 참조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공공데이터의 신뢰도 및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들에 관한 질문
1. 귀하의 오픈 데이터 신뢰 정도 어느정도 인가요? 또한, 데이터를 어떤 기준으로 판별하나요?
예) 블로그의 정보들, 웹서핑을 통한 정보나 다른 기관의 통계자료들
시민
- 블로그 정보의 경우 이익집단의 개입 때문에 신뢰하지 않는 편이나 공공기관 정보는 신뢰하는 편.
- 데이터의 출처 및 가공주체의 신뢰성을 본다. 가공주체가 정부나 인지도가 있는 기업이거나
가공물이 디자인이나 기술력에서 혁신적인 모습을 보이면 그 데이터를 더욱 신뢰한다.
2. 데이터들이 철저하게 검증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데이터의 정확도를 데이터와 함께 명시해주실 수는
없는지요?
정부
데이터의 품질을 위하여 cleansing 작업을 하여 특정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고, 데이터 정합성을 전체적으로
95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기본적인 형식에 대한 점검이고값 자체의 정확도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데는 한계
가 있다.
3. 데이터가 제공, 가공되면서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는지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자
오염되는 경우는 적다. 40%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60%
: 가공과정에서 연구자 혹은 개발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보여지면서 오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2차 가공자
Question Investigation
28 Question Investigation
오염, 훼손 가능성이 있다. 100%
: 객관적인 데이터에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가기 떄문에 데이터 본질의 의미가 훼손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의미나 가치에 대한 결론을 정해놓거나 '이 데이터가 무엇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데이터
시각화를 하면 그 과정에서 데이터의 숨겨진 가치나 의미가 훼손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정부에서 '정부 3.0 추진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공공데이터를 민간기업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라는데, 무료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를 기업 등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정부
이익에 관해서 저희가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통과된 법안을 기준으로 보면 상업적 활용을 허가하지만 실제 이를
위해서 :
- 공공데이터의 대한 이용허락조건(CCL과 같은)에 대한 더욱 상세하고 자유로운 규정이 필요하고,
- 공공데이터에 대한 오류 가능성에 대한 국민적 의식의 변화도 필요하고,
- 일정부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을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실비정산 항목이 법안에 들어간 것도
고무적이라고 생각한다.
개발자
긍정적. 60%
: 데이터가 있으면 질적인 면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의 취향을 더 반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정적. 40%
: 언론사에서 공공데이터를 통해 회사의 사조를 개입시킬 여지가 있고 이는 혼란을 빚을 수도 있다.
수급자
무조건 반대하지는 않는다.
: 상업적으로 활용할 경우, 파생될 서비스의 다양화에 대한 기대가 있음. 시민들의 공공 정보 소비를
늘릴 수 있을 것이다.
5. 공공데이터의 개방에 따라 공공데이터를 민간이나 기업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관련하여
우려되는 저작권 문제는 없다고 보십니까?
개발자 저작권 문제는 분명히 존재. 검증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6. 공공데이터가 무료로 데이터가 개방됨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활용한 유사한 컨텐츠의 어플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개발자 경쟁을 통해 효율적인 앱이 살아남는 구조는 좋으나, 아류 어플들이 저작권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의 모범적인 활용 방안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일반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좋을
까요?
정부
- 경제적 가치 즉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를 선정하여 개방하는 것
- 서울시 버스정보를 활용하여 다음대중교통정보와 같은 서비스를 만드는 것과 같이 협업모델을
만드는 것
29Question Investigation
- 민간개발자들의 모임이나 활동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기
개발자
- 공공의 투명성과 결부해 홍보한다면 충분히 그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공공데이터 사용 예제를 보여주면 일반인들의 참여를 유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2차 가공자
-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에게 어떤 혜택을 주면 활성화 가능
- 보다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사이니지나 설치물, 플랫폼 형태로 광고
- 모바일 웹 컨텐츠나 캠페인(정부에서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을 진행
- 문제 의식을 느낄만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이슈화시켜 이목을 끔
- 일반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SNS통해 서서히 접근
2.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일반인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떤 부분이 추가 및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개발자
-데이터인포메이션과 비주얼라이제이션의 강화, 데이터마이닝에 대한 기초 교육을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면 좋을 것 같다.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해서 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고, 종합적인 서비스 측면에서 개선점을 찾는 것도
필요하다.
2차 가공자
- 공공 데이터에 ‘이야기’, ‘네러티브’를 추가하여 시민들이 데이터 안에서 이야기를 생산하고 순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 데이터를 링크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시각화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제공
- 사람들이 관심있는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
(예 : 기존 웹사이트 이외에 좀 더 시각적이고 생활에 밀접하며 흥미있는 데이터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 필
요)
-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공공 데이터보다는 어느 정도 통합되고, 명확히 구분된 데이터 형식 제공
- 다소 딱딱해 보이는데, 데이터데 재미있거나 세련된 디자인으로 접근
3.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차 가공자
- 모두가 우연치 않게 볼 수 있는 공공장소에서 시각화 : 영상, 포스터, 인터랙티브 스크린 활용
-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이미지나, 기호, 컬러 범위를 침범하지 않고 시각화
- 개개인과 특정 집단의 관심사에 맞게 지역별, 연령별, 성별, 직업별 등의 구분에 따라 customization
하여 시각화
-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알아보기 쉬우면서 잘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30
민세희 sey.min@randomwalks.org 랜덤웍스
심재경 jkysim@gmail.com 랜덤웍스
김성훈 sunghun@randomwalks.org 랜덤웍스
나지인 rungrung22@naver.com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윤이레 jirehyoon0617@gmail.com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윤현학 peptres@gmail.com 홍익대 산업디자인
이유진 candyspy0116@gmail.com 홍익대 시각디자인
김경민 realaudio@randomwalks.org 랜덤웍스
신윤정 shinselina@gmail.com 동덕여대 미디어디자인
이행갑 lhk2449@hanmail.net 홍익대 산업디자인
참여한 사람들
Current Members
Past Members
연구 총괄 / 내용 감수 : 민세희
편집 / 디자인 : 윤현학
31
www.codenamu.org
www.si.re.kr
www.randomwalks.org
gscst.snu.ac.kr
도움주신 분들
Public Lab Website
코드나무
서울대학교 융합과학 기술대학원
서울연구원
랜덤웍스
www.randomwalks.org/public_lab
©2013 Public Lab all rights reserved.
www.randomwalks.org/public_lab

Más contenido relacionado

Destacado

Kinetics Revision
Kinetics RevisionKinetics Revision
Kinetics Revisionxcom18
 
Depreciating Indian rupee
Depreciating Indian rupeeDepreciating Indian rupee
Depreciating Indian rupeemeet_leena02
 
Measuring Rates of Reaction
Measuring Rates of ReactionMeasuring Rates of Reaction
Measuring Rates of Reactionxcom18
 
Co2 transport in blood
Co2 transport in bloodCo2 transport in blood
Co2 transport in bloodGulam Mateen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Eryn O'Neil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California’s amazing 4 regions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gwellman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xcom18
 
Programmers Can UX Too
Programmers Can UX TooProgrammers Can UX Too
Programmers Can UX TooEryn O'Neil
 

Destacado (10)

Kinetics Revision
Kinetics RevisionKinetics Revision
Kinetics Revision
 
Depreciating Indian rupee
Depreciating Indian rupeeDepreciating Indian rupee
Depreciating Indian rupee
 
Measuring Rates of Reaction
Measuring Rates of ReactionMeasuring Rates of Reaction
Measuring Rates of Reaction
 
Timber
TimberTimber
Timber
 
Co2 transport in blood
Co2 transport in bloodCo2 transport in blood
Co2 transport in blood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
Getting Started with Public APIs
 
Bricks fin
Bricks finBricks fin
Bricks fin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California’s amazing 4 regions
California’s amazing 4 regions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
Rate Expression and Order of Reaction
 
Programmers Can UX Too
Programmers Can UX TooProgrammers Can UX Too
Programmers Can UX Too
 

Similar a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peptres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Eunjeong (Lucy) Park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ChangMin Oh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Han Woo PARK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Hansung University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Han Woo PARK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Webometrics Class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Yong Seok Chi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Newsjelly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Han Woo PARK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Industrial Bank of Korea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Sunghun Bae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Cheol Kang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neuroassociates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neuroassociates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Han Woo PARK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Newsjelly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actioncan
 

Similar a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20)

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퍼블릭랩 착수발표
퍼블릭랩 착수발표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
대한민국을 위한 Open Linked Political Data 플랫폼, "정치in" 제안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커뮤니티매핑 사례발표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2주차 2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공공 데이터와 인포그래픽스를 활용한 문화관광기획
 
Cy_Teens @UxCampSeoul
Cy_Teens @UxCampSeoulCy_Teens @UxCampSeoul
Cy_Teens @UxCampSeoul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6 국민디자인단 - ‘통계’ 하면 통계청 ‘KOSIS!’, 내가 필요한 정보는 꼭 집어주네 !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20130506132258 빅데이터시대sns의진화-지용석[1]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
데이터저널리즘 국내 Newsjelly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
빅데이터와 Sns 시대의 지방언론방송 2 (16 nov2014)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
01.소셜 큐레이션 서비스가 각광받는 이유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
[UDIS_6_2nd] Data Journalism_20140712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Tech 워크숍" 2회 - 공공데이터 수집, 가공하고 활용하기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
[Week1] 데이터의 접근과 법률 bm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
2016 영남대 공공데이터 인포그래픽스 실습과제들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
뉴스젤리 - 데이터저널리즘 이해하기 1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시민행동2010(기획실) 정책협의회
 

2013 Public Lab Research Report

  • 2.
  • 3. 퍼블릭 랩 소개 퍼블릭 랩 연혁 연구모임 책임자 서문 작은연구 목표 작은연구 진행내용 주요 논의 요약 "오늘 서울은..." 서울시 재정 지출 현황 데이터 시각화 민세희 민세희 윤현학 윤이레 나지인 이유진 심재경 Contents T CP 1 2 3 4 5 6 7 - 8 9 - 10 11 - 12 13 - 15 16 - 18 19 - 21 22 23 - 27 28 29 Data Flubber Culturepass Energy Saver Public Data Character Concept 에너지 데이터로 에너지 절약 실천하기.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노을 캠핑장 공공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 작은연구 후기 참여한 사람들 도움 주신 분들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정보
  • 4. 1Introduction of Public Lab 개방형 정부의 확산으로 많은 공공데이터들이 접근 가능한 상태로 공 개가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전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으 며, 공공데이터부터 대중교통의 운영상황과 도시 환경 상태에 이르기 까지 사회의 여러가지 내용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공공데이터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공공데이 터의 접근과 이해가 특정한 소수(데이터베이스 개발자 및 관계자)에 게만 국한되고 있으며 진정한 ‘공공인식’은 아직까지 많은 시도가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 퍼블릭랩은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확산에 맞춰, 공공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대중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가능성을 연구하고 시도하는 모임이다. 퍼블릭 랩 소개 Public Lab www.randomwalks.org/public_lab Website Introduction of Public Lab
  • 5. 2 History of Public Lab 퍼블릭 랩 연혁 Randomwalks 와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학생들이 함 께 Public lab 결성 도시, 서울 프로젝트 진행 Open API, 공공 데이터에 대한 연구 진행 공공 스크린에 대한 연구 진행 SK 사옥 아트나비센터 공공 스크린 답사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해외 사례 분석 공공 데이터 관련 법규에 대한 연구 진행 공공 데이터 사용자 반응 조사 방법 연구 진행 Public lab 홈페이지 개설 서울시 공공 스크린 조사 및 충무로역 지하철 공공 스크린 답 사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서울> 지원사업 연구 모임 & 연구 과제 공모 신청 도시, 서울 프로젝트의 서울시 재정 데이터 시각화 진행 서울연구원 <작은연구, 좋은서울> 지원사업 연구 모임 선정 <작은연구, 좋은서울> 프로젝트 시작 서울시 재정 데이터를 활용한 문화 컨텐츠 제작 및 전시 기획 2012. 11 2012. 11 2012. 12 2013. 01 2013. 03 2013. 02 2013. 05 2013. 04 History of Public Lab
  • 6. 3Director's Preface 데이터 시각화 작업을 해오면서 가장 근본적으로 고민하는 부분은 바로 ‘나' 자신이 아닐까 한다. 나의 일상적 생활, 나와 연결된 사람들, 내가 살고 있는 사회..... 결국 나의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려 했던 부 분이 데이터를 통해서 해석될 수 있었고 나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니 다 른 사람들의 관점 역시 공감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타인을 볼 수 있는 여유와 해안이 생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번 작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아니 정확하게는, 내 가 살고 있는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써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고 자 하였고 사회 구성원 전체의 공공인식을 높히기를 기대하기 보다 우 리가 하는 작업들이 이 사회 구성원의 1%라도 움직일 수 있다면 공공데 이터의 문화컨텐츠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했다. 이번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결정적 방법을 제시하기 보다 는 앞으로 가능한 방향을 찾는데 집중했으며 모두가 처음 경험하는 내 용이라 다소 돌고돌아가는 지루한 경험이 반복 되었지만 그 경험 역시 ‘긍정적 미래'를 위해선 꼭 필요했다고 믿는다. 연구모임 책임자 서문 민세희 (랜덤웍스) Director's Preface sey.min@randomwalks.org
  • 7. 4 Research Purpose 작은연구 목표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의 문화적 컨텐츠 생산가능성에 관한 연구로 써 공공데이터의 확산이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에 관한 연구 를 목적으로 설정했다. 먼저 국내외 공공데이터의 현황과 함께 그 쓰임새에 관하여 연구를 하고, 과연 공공데이터의 인식이 어느정도 까지인지 국가별, 지역별로 조사하고 그 내용 역시 과연 공공에게 필요한 내용인지를 가늠해 보도록 한다. 공공데이터의 내용과 활용 에 관한 연구 이후에 국내 공공데이터의 개방상태, 그리고 대중에게 소통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에 관해 조사한 후 문화컨텐츠화 가능한 데이터와 송출 환경에 관한 내용도 함께 조사하였다. Research Purpose 공공 데이터 공공 데이터 현황 / 인식 개방상태 문화 컨텐츠 가능성
  • 8. 5Research Process 작은연구 진행내용 4월 연구주제 7월 연구주제 공공 데이터란 무엇인가? 공공 데이터와 서비스 공공데이터를 알리는 목적의 포스터 / 제안과 질문 이미지 오픈 API에 관한 논의 공공데이터란 무엇인가 한마디로 정의한다면? 공공데이터 활용방안과 우리가 논 할 가치가 있는 논제 - 질문과 토론 데이터 시각화로 인한 가능성은 무 엇인가? 열린데이터 광장 링크드데이터 데이터의 신뢰도 개발자와 사용자 - 데이터를 공개한 기관(정부) -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사람(개발자, 1차 가공자) - 데이터를 시각화하거나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들(2차 가공자) - 데이터를 보는 사람들(시민, 수급자) 4 5월 연구주제 공공 데이터 시각화 서울시 지출 정보 데이터 시각화 작업 / 아이디어 지출 트렌트 : 분야별 변화 추이 서울이 오늘 한 일 (toDo list) 서울이 오늘 한 일 중 가장 큰 일 (the most big expenditure) 하루의 지출 나와 서울시의 지출 정보의 관계 5 6월 연구주제 데이터 시각화 활용방안 분류 인포그래픽과 디바이스에 따른 시나리오 연구 지출 트렌트 : 분야별 변화 추이 -캐릭터 인포그라픽 서울이 오늘 한 일 (toDo list) -SOUND 서울이 오늘 한 일 중 가장 큰 일 (the most big expenditure) -텍스트 애니 메이션 하루의 지출 -포스터, 아트북 나와 서울시의 지출 정보의 관계 - 모바 일 앱 기획 6 7 Research Process
  • 9. 6 Research Process 주요 논의 요약 현재 제공되는 데이터에 관한 논의 ▶ 데이터의 분류체계 -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할 때 내용에 따른 분류 외에도 행정구역에 따른 분류를 해보는 것이 어떨까? 그렇게 된다면 특정 동네에서 무슨 일이 벌어나는지 알 수 있다. ▶ 데이터 업데이트 -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는 기준이 굉장히 애매모호하다. 업데이트 일정을 정확히 밝혀주면 좋을 것 같다. 1년 단위로 업데이트 되는 데이터라면 굳이 API연결을 해 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 ▶ 여러 데이터를 섞어서 링크드데이터를 만들어보는 것은 어떨까? (ex. 전력사용량+행정구역의 복지시설 / 예상치 못한 조합 활용)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의 오픈 API 메뉴를 들어가보면, 딱딱한 글로만 이루어져있다. → 저널식으로 운영하는 것은 어떨까? 이미지를 넣어서 스토리텔링식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ex. 친근한 이미지 부여) →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는 것이 중요. 현재는 관심있는 사람들만 접속하고 있다. → 인터넷 기사처럼 '환경이 오염되고 있어요' 같은 자극적인 제목을 활용해 사람들의 이목 을 끄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데이터저널리즘, 데이터 스토리텔링) ▶ 현재 열린 데이터 광장은 0.1% 정도의 '잘 아는' 사람들만 활용하고 있음. 데이터의 수급 자는 대중이어야 하는데, 현재로써는 그렇다고 보기 어렵다. ▶ 개발자 위주의 사이트의 열린 데이터 광장의 자료들에 부연 설명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 데이터가 어디서 왔는지, 어떤 기준으로 누가 판단했는지에 대한 신뢰도의 문제도 중요 한 화두이다. (ex. '가사분담실태' 의 경우 어떻게 이런 결론이 나왔는지 굉장히 모호함.) → 이 데이터를 누가 선정한 것인지, 신뢰할 수 있는 내용인지 더 상세하게 알아볼 수 있으 면 어떨까 생각한다. ▶ 공공데이터인데, '대중'이 사용해야되는 데이터라는 인식이 부족다고 생각한다. → 공공에 대한 얘기를 왜 해야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생각해봐야 한다. 연구 결과에 대한 소개에 앞서 퍼블릭랩이 그동안 공공데이터에 관하여 논의하였던 내용 들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문제의식을 갖는것에 있어서 가장 빈번하고 핵심적으로 논의 되었던 내용들을 종합하고자 하였다.
  • 10. 7Contents of Research 서울시 재정 지출 현황 데이터 시각화 도시의 지출 정보는 그 도시의 지향점을 보여준다. "오늘 서울은..." 서울시의 일일 지출 정보 데이터 중 “항목”을 시각화 하여 오늘 서울시가 어떤 일에 얼마의 지출을 허용했는지 를 도시의 공공스크린을 통해 예산사용에 대한 공공인식을 높힌다. 데이터 내용 - 일자별 서울시 지출 현황 : 항목과 해당 항목 지출액 예산안 결정과 세금 책정시 도시민이 보여줬던 관심은 과연 도시의 세금 지출까지 이어지고 있을까?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의 재정에 관해 얼마나 인식하고 있을까? 서울시는 열린데이터 광장 서비스를 통해 서 울시에서 지출하는 금액과 항목을 공유하고 있지만 실제로 도시민과 이와 같은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울시 지출 정보의 시각화를 대중적 시선으로 보여주는 작업을 통해 도시안에서 시민 들이 도시가 매일매일 사용하고 있는 지출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시 일자별 데이터 시각화 "오늘 서울은 을 했습니다." 민세희
  • 11. 8 Contents of Research 공공스크린의 활용에 관하여 공공인식을 높히기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에서 우리가 고려했던 점은 과연 어떤 매체가 공공데이 터를 표출하는데 적합한가 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본 프로젝트처럼 서울시의 지출 내역은 시민들이 자발적 의지로 찾아가서 얻어야 하는 정보라기 보다는 길을 걷다가, 지하철을 타다가, 아니면 공원에서 자연스럽게 우연히 접할 수 있어야 대중적 관심을 높힐 수 있다고 판단 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대중 노출을 위해 도시 스크린을 선택했다. 특히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 적으로 노출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데이터의 경우 도시에 설치되어있는 다양한 플랫폼 활용 이 중요하다. Contents of Research
  • 12. 9Contents of Research 심재경 서울시의 지출현황에 대해 궁금한 정보를 사용자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지역,성별,연령대,장애인,육아,노인 등에 해당하는 대상(나)의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대상자와 밀접한 관계의 지출정보 순으로 보여준다. 나를 위하여 쓰여지는 서울시의 지출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또한 참여한 대 상의 정보(대상조건)와 코멘트를 저장하여 참여부류의 지역별 참여횟수, 지출항목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 대상조건: 지역(마포구,동대문구..) 성별(여자/남자) 장애인 육아 노인 자가운전자/대중교통이용자 웹사이트 :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 정보 서울시 지출정보 기획 의도 대상 미디어 형태 데이터 나를 위한 서울시의 지출정보
  • 13. 10 Contents of Research 1.대상(개인) 정보 입력 거주지(혹은 알고싶은 지역구) 성별/연령 (혹은 관심 분류) / 주요이동수 단에 따른 대상정보(관심) 아이콘을 선택 한다. 서비스 2.대상(조건) 아이콘 세트가 완성되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한다. 3.나의 관심 대상 조건과 관련이 많은 순서 대로 지출정보가 나열되며 지출이 큰 항 목은 큰 글씨로 보여진다. 4.항목 1의 대상(개인)정보를 저장하여 서 울시의 재정에 관심있는 부류를 집계하고 코멘트를 받는다. 5.다른 사람들의 관심 항목 순위 집계와 참 여자군의 순위 등의 정보도 제공한다. Contents of Research
  • 14. 11Contents of Research 윤현학 Public Data Character Concept 데이터 플러버는 시민들이 공공데이터를 좀 더 친근한 형태로 접하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표현 방식이다.그동 안의 재정 데이터들은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기에는 딱딱하고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딱딱한 그래 프 혹은 숫자와 항목이 나열된 문서들이 나타내는 공공데이터의 정보는 사실 그대로를 전해준다는 것에서 꼭 필요한 것이지만, 그것을 개발자가 한번 더 재해석을 하여 보여주는 데이터 플러버는 자료를 접하게 되는 사 용자의 이해를 넘어 이 지속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또한 친근한 캐릭터들은 재정데이터를 분류하는 일곱개의 항목(임의로 설정)을 대표하며 매일 새로운 모습으로 시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친숙한 형태의 공공데이터 재정항목을 대표하는 아이콘들과 그 아이콘들로 꾸며진 캐릭터들은 다양한 표정으로 정보를 제공 하게 된다. Education 각 항목을 대표하는 아이콘이 캐릭터와 결합하여 친숙한 형태를 갖는 다. Data Flubber $ $
  • 15. 12 Contents of Research 만들어진 캐릭터들은 하루에 한 장씩 모 여서 가족사진을 연출한다. 가족사진에서의 캐릭터의 크기 비중은 데이터에 따라 달라지며, 그것이 곧 재정데이터의 비중을 나타낸다. 가장 먼저 데이터 플러버의 가족사진이 게재되는 곳은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의 메인화면이다. 시민들은 이곳에 서 오늘의 데이터플러버 가족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스냅사진을 찍은 듯 모여있는 재정데이터 가족사진은 매일의 지출 비중을 나타낸다. 각 캐릭터들의 크기는 그 비중이 적용된 상태에서 한장의 사진으로 나타나며, 오늘의 서울시 지 출에 대한 간략한 소식을 전달하게된다. Contents of Research $$ $
  • 16. 13Contents of Research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노을 캠핑장 윤이레 기획의도 대상 상황 형태 -이 서비스의 기획의도는 난지도 캠핑지역이 쓰레기 매립지가 아닌, 서울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 자연과 함께 캠핑할 수 있는 캠핑장임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가 캠핑을 하는 캠퍼들에게, 혹은 일반 시민들에게 난지도가 쓰레기 매립지역이라는 선입견을 씻어주고자 한다. -이 서비스는 서울시에 제공하고 있는 난지도 동식물 데이터와 난지도 노을캠핑장 예약서비스를 합한 메쉬업 서비스이다. 캠핑장을 이용하는 서울 시민들 -"난지도 캠핑장 = 쓰레기 매립지역" 으로 기억하는 서울 시민들이 있다. - 난지도 캠핑장은 인터넷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난지도 캠핑 예약 홈페이지에서 난지도 동식물 데이터의 활용을 부가적인 서비스로 제공한다. -지도 상에서 자신이 예약하려는 자리에 어떠한 동물과 식물이 있는지 지도상으로 보여준다. 캠핑장 예약을 할때 위치를 정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본다. -캠핑장에 가서도 나의 텐트에서 어떠한 식물이 가깝게 있는지 또한 어떤 식물이 있었는지 기록 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 17. 14 Contents of Research 데이터 -노을공원출현 / 노을 사면 출현 / 난지천 공원 출현 / 평화의 공원 / 하늘공원출현 / 하늘사면 출현 / 크기 / 출현 시기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다. -주변의 6개의 구역에서 6카테고리의 동물들의 형상을 시각화하였다. -주변의 6개의 구역에서 6카테고리의 동물들의 위치를 보여준다. 클릭을 하면 예약하려는 캠핑 구역에 어떤 동물과 어떤 식물이 있는지, 그 위치와 동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도 제공한다. 난지 노을 캠핑장 예약서비스 메인페이지 Contents of Research
  • 18. 15Contents of Research '자연과 함께하는 난지캠핑장' 홈페이지의 주요 기능 step 1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캠핑장 지도에 가능한 캠핑 텐트 갯수가 뜬다. step 2 캠핑장 지도 옆에 A,B,C,D,E,F,G,H 텐트 지역을 선택하면 원하는 지역으로 지도가 확대된다. step 3 지도 오른쪽 메뉴 바에 동식물 카테고리(1.조류 2. 식물 3.나비류 4. 노린재류 5.양서파충류 6.포유류)를 선택 하면 선택한 구역에 어떤 종류의 동.식물이 있는지 뜨고 아이콘을 선택하면 동식물에 대한 자세한 설명창이 팝 업된다. step 4 캠핑팁이라는 상단 메뉴에 동.식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시민들의 게시물도 볼 수 있는 게 시판 형태로 제공된다. step 5 자신이 있는 구역에 총 몇마리를 보았는지 기록할 수 있고, 스티커가 주어진다. 많이 기록할 수록 난지도 캠핑 장 혜택이 주어지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난지 노을 캠핑장 예약서비스 사용화면 Contents of Research
  • 19. 16 Contents of Research 컬쳐패스Culturepass 이유진 문화공간 관련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여 일종의 관광상품을 만들고자 한다. 정해진 예산으로 서울을 여행하고 싶을 때, 그 금액으로 돌아볼 수 있는 서울의 문화공간 및 행사를 추천하고 이동경로도 안내해줌으로써, 관광 객들의 편의를 돕는 동시에 서울시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기획의도 대상: 외국인 관광객, 지방에서 온 관광객 형태: 카드 형태의 패스, 어플리케이션(모바일 패스 및 정보제공) 특징: 본인의 예산에 맞춰 티켓 구매 가능 가까운 지하철역이나 관광안내소에서 구매 혹은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해 모바일로도 구매 가능 지하철 예술무대 공연일정 : 서울메트로구간(1~4호선) 지하철역 예술무대 공연일정 장르별 문화공간정보 현황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장르별 현황을 제공 문화행사 공공서비스예약 정보 : 서울시 및 산하기관, 자치구의 문화행사 예약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교통정보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교통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 문화공간정보 장르별 검색 : 서울에 있는 문화공간을 장르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API 문화행사정보 장르별 검색 : 서울에 있는 문화행사를 장르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API 위와 같은 데이터들이 현재 공개되어 있다. 대상/미디어 형태 데이터 상황
  • 20. 17Contents of Research 컬쳐패스 사용화면 컬쳐패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 비쥬얼 아이덴티티 Contents of Research
  • 21. 18 Contents of Research step 1 가진 예산을 입력하면 추천명소가 뜨고, 예산에 맞춰 나만의 컬처패스를 구성한다. (내가 특별히 가고 싶었던 장 소가 있으면 검색해 선택할 수 있다.) - 이 때, 근처의 무료로 볼 수 있는 행사나 소규모 행사, 관광지 등도 함께 추천해준다. 관광객은 숨겨진 명소나 행사를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시 입장에서는 지역문화예술행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최적의 이동경로 등도 동시에 추천해준다. step 2 구성한 패스대로 여행한다. step 3 향후 패스의 번호를 온라인에서 입력하면 내가 방문했던 장소들이 여행 아카이브에 남도록 한다. (나만의 여행지 도, 여행아카이브 제작이 가능하다.) * 서울시티패스(교통 1일권, 2일권 등 교통무제한패스)와 연계해서 상품을 구성하는 것도 하나의 방 안이 될 수 있다.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기존에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i Tour Seoul 앱에서 함께 서비스를 하 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예) 컬처패스 이용방법 : 예산을 입력하고 꼭 방문하고 싶은 장소를 선택한다. 시스템 상에서 자동으 로 남은 예산으로 방문할 수 있는 다른 명소나 소규모 행사 등을 추천해준다. 기존에 방문하려던 곳(+추천받은 곳)으로 컬처패스가 구성되면, 그 장소들을 돌아보기 위한 최적의 루트를 안내받 고, 관광객은 그에 맞춰 여행하면 된다. 1. 관광객들의 문화공간이용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 그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서울의 문화관광 상품을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2. 소규모 행사도 노출 및 끼워팔기가 가능하다. 잘 알려지지 않거나 규모가 작아 많이 가지 않는 곳을 자연스레 추천할 수 있다.→ 관광객들이 더 많은 곳을 방문할 수 있도록 자연스레 유도가 가 능하고 서울을 구석구석 홍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파리의 뮤지엄패스 처럼, 대표적인 관광상품화가 가능하다. + 시티패스와 연계하면 더 큰 경제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서비스 기대효과 Contents of Research
  • 22. 19Contents of Research 나지인 에너지 데이터로 에너지 절약 실천하기. 산업화 이후 무분별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 지구 온난화, 사막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계속 발생되 고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한 에너지 절약은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오랫동안 고민되어 온 화두 이다. 따라서 현재 정부에서 제공하고 있는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가지고 시민들의 환경에 대한 의 식을 일깨우고, 에너지 절약 행동을 유도하도록 서비스를 제작한다. 현재 공개된 에너지 데이터는 행정동별 지역난방, 가스, 전력, 상수도(~2008) 이다. 데이터의 업데이트, 세분화가 부족한 상황이다. → 현재의 공공 데이터로는 서비스 제작이 어렵다. 전력 공공 데이터 + 한국전력공사 데이터 주민등록번호, 고객번호, 계량기 번호만 알면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스마트 한전 어플, 02-123 콜센터를 이용하여 지난 전기 요금, 실시간 전력 사용량 등을 알아볼 수 있다. 또한 현재 서울의 에너 지 데이터 수급이 부족한 상황인데, 서울시가 공개한 전력 공공 데이터에 한전 데이터를 접목시킨다 면 보다 에너지 절약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기획 의도 데이터 상황 대안 Energy Saver
  • 23. 20 Contents of Research Energy Saver 로그인 화면 /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현재 신축 아파트에는 월패드에서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주거 형태로 남아있는 기존 아파트나, 연립주택, 단독주택 등은 가격 등의 이유로 적용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접하기 어려운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비교적 접근이 자유로운 어 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 에너지 절약에 힘쓰는 주부, 자취생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을 듯 하다. 대상 / 미디어 형태 현재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공공 데이터는 2008 년까지의 자료밖에 존재하지 않고, 연 단위로 업 데이트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데이터 만 가지고 서비스 제작이 힘들다는 생각이다. 대신, 시민들이 개인 에너지 데이터를 올려 오픈 해준다면 이것 또한 공공 데이터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다. step 1 매달 에너지 사용량을 고지서와 email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처럼, 어플리케이션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한전 어플리케이션를 활용한 다. step 2 사용자에게 개인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공개해 달 라고 요청한다. (거주지 면적, 요금, 가족 구성원 수) step 3 현재 서울시에서 공개한 전력 데이터와 개인 데이 터를 사용자들끼리 면적별, 지역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서울시에서 월마다 전력 데 이터를 업데이트해 달라고 요청이 필요하다.) step 4 나와 물리적으로 같은 상황에 있는 다른 사람들의 사용량을 보고 나의 소비 행태를 되돌아보고, 변 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1.전력 사용량 비교 공공데이터 + 개인데이터 활용 Program Contents of Research
  • 24. 21Contents of Research step 1 매월 1일, 지난 사용량과 다른 사람들의 사용량을 비교해 보고 당월 전력 사용 목표량을 설정한다. step 2 현재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스마트 한전 어플, 123 콜센터에 조회하여 실시간 전력 사용량을 알아볼 수 있 는데, 일일이 조회하는 번거로움 없이 수시로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tep 3 목표량에서 사용한 만큼 사라지고, 깎여 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에너지 소비 계획을 미리 세우고, 목표량 대비 사용량을 수시로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할 것이다. 2. 실시간 전력 사용량 보기 한국 전력공사 데이터 활용 매월 1일, 고객번호, 세대주 주민등록번호, 계량기 번호로 로그인⇒전월 사용량 조회 ⇒사용량 지역별 비교 ⇒당월 사용 목표량 설정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사용량 확인 Scenario 월별 사용량 데이터/ 지역간 사용량 비교 화면 Contents of Research
  • 25. 22 Contents of Research 작은연구 후기 contents of research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다양한 문화컨텐츠를 통해 대중의 공공인식을 높혀보자는 본 연구는 그 이상적인 취지에 비하여 실제로는 쉽지않은 과정의 연속이었다. 공공데이터에 앞서 공공이란, 그리고 데이터에 관한 근본적 이해가 필요했으며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고 가능한 컨텐츠가 어떤 것이 있을지, 그리고 각각의 컨텐츠에 맞는 미디어는 어떤 것일지 생각해 보는 과정 자체가 우리 모두에게 생소한 경험 이었다. 그러나 그 반복적 시도를 통해 어느 정도는 어떤 과정으로 접근해야 하는가를 스스로 얻을 수 있었던 것 이 아마 본 연구에서 우리가 얻은 가장 큰 수확이 아닐까 싶다. 이전에 시도했던 분야가 아니라 새로운 분야였기 때문에 많은 시행착오로 시작해서 시행착오로 끝났다는 생각이 앞서지만 나름대로 그 과정에서 우리 스스로의 법 칙과 노하우를 찾아냈다고나 할까, 아무튼 모든 면에서 모두에게 새로운 경험이었다라는 생각이 든다. 데이터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보여주지만 그 많은 것들이 모두 같은 깊이로 존재하지도 않을 뿐더러 다가오지 도 않는다. 우리가 공공데이터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 우리 주변에 관한 이야기 역시, 그 데 이터가 가지고 있는 깊이 만큼 가치와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기 때문에 아마 우리가 앞으로 해야할 일은 과연 어떤 데이터를 어느 정도의 깊이감으로 이해해야 하는가를 선별하는 안목을 길러야 하는게 아닐까 한다. 얇은 데 이터로 세상을 판단하는 오류를 지양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깊은 데이터를 스쳐지나가는 실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말이다. 연구를 시작하기 전의 공공데이터는 우리 연구원 각자에게 판이하게 다른 모습이었을지 모른다. 지금도 공공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같다고 할 수 없지만, 실체를 들여다 보기 전의 공공데이터는 아마 각자에게도 막연 히 어렵게만 느껴졌던 무엇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공공데이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서울이라는 공간과 나누는 수 많은 커뮤니케이션 중에 한 방식이라고 이해한다면, 그 방식과 느낌이 어떻던 꽤나 공공데이터와 밀접해진 것이 라 생각해본다. 잘 몰랐던 대상에 대한 각자 나름의 접근방식- 이것이 우리 연구모임의 일원들이 공통적으로 얻 은 성과가 아닐까. 초반에 재정데이터로 논의를 시작하였던 퍼블릭랩의 연구는, 재정데이터가 아닌 타 분야의 데이터에도 눈길을 돌려 문화 컨텐츠로서의 가능성을 내다보는 일련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미 이 도시에 존재하는 기록들에 다른 이야기를 더하여 들어볼 만한 이야기를 만들고자 노력했다. 그에 대해 나눴던 수많은 고민들을 떠올리며 우리 연 구의 목표를 되새겨본다. 개발까지 이어지지도 않았고, 막상 이런 아이디어를 시민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검 증이 되지 않았다. 그렇기에 이번 연구 보고서는 공공 데이터와 나눈 짧은 대화 혹은 적당한 안부인사가 될 것 같 다. 하지만 일면식이 없으면 그 이후의 어떠한 교류도 기대할 수 없듯이, 이것을 시작으로 더 많은 이야기가 파생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더불어 이미 공공데이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되기 를 바란다. - 민세희 - 퍼블릭랩 연구모임 일동
  • 27. 24 Question Investigation 조사대상 데이터를 공개한 기관(정부) : '서울 열린 데이터 광장'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사람(1차 가공자) : 개발자 4명 (남3, 여1) 데이터를 시각화하거나 서비스를 만드는 사람(2차 가공자) : 관련 경험이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 7명 (남 2, 여5) 데이터를 보는 사람들(시민, 수급자) : 20대 디자인 및 어문계열 대학생 10명 (남6, 여4) 공공데이터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수준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에 대해 들어본 적 및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시민 들어본 적 있음. 90% 2. 공공데이터를 활용해서 제작된 어플을 사용해 본 적이 있나요? 예) 서울버스 시민 사용한 경험이 있음. 100% 3. 정부의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시민 긍정적. 100% : 공공데이터가 복지 향상 등 시민들의 삶에 더욱 적극적이고 유용하게 사용될 것 같다. 정부가 정보를 독점하는 대신, 시민의 편의를 위해 공개하고 가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4. 공공데이터의 개방이 일상 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시민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서비스들을 통해 편리함을 누리고 있음. 5. 현재 공공데이터의 공개 수준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아직은 부족하다. 80% / 적당하다. 20% 6.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기 위해서 개발자들이 해야될 의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공공데이터의 지속을 위해 해야할 의무는 없다. 40% 공공데이터의 지속을 위해 해야할 의무가 있다. 60% 공공 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 퍼블릭랩에서는 공공데이터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해 컨텐츠를 제작하고자 공공데이터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공공데이터 자 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내부 연구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 28. 25Question Investigation : 개인정보보호, 데이터의 중요성을 구분하는 방법을 찾는 것, 좋은 목적으로 데이터를 이용하 는 것 등이 개발자의 의무. 7. 공공데이터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자 - 익명성, 개방성, 정확성, 신뢰성, 비편향성, 공정성 등이 중요하다. - 의미 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데이터가 정확해야하며, 누구나 열람이 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아야한다. 2차 가공자 - 한번에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 누구나 쉽게 볼 수 있도록 시각화하는 것 - 공공 데이터의 분류가 명확히 구분되는 것 -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과 다양한 데이터가 새롭게 공개되는 것 - 공공 데이터가 시민에게서 나온 것임을 알고, 시민 개개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지하는 것 - 데이터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유용하게 쓰일 수 있게 서비스를 만드는 것 - 공공 데이터에 대한 이해(의미 및 문제의식)를 가지고 활용하는 것 8. 공개된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다면 그 다음에 하고자 하는 행동이 있나요? 예)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어플을 만들고싶다. / 필요한 정보를 공공데이터를 통해 알아보고싶다. 시민 - 내가 속한 지역의 데이터를 좀 더 유심히 관찰해보고 싶다. (구 단위 지역, 혹은 동 단위 지역) - 공개된 데이터를 더욱 가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어플을 만들어 내 생활의 편의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 - 사업아이템 / 기타 컨텐츠 제작을 하고싶다. 9. 있다면 어떤 서비스, 시스템이 추가로 구성되길 바라나요? 예) 도서관 좌석 정보를 수시로 보여주는 웹사이트 시민 - 실시간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볼 수 있는 데이터를 통해 시민들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 - 공영 주차장에 대한 정보나 주변에 유료로 주차를 할 수 있는 곳의 정보 - 구립 도서관의 좌석정보 10. 본인이 생각하는 공공데이터를 이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는 무엇인가요? 1)모바일 어플리케이션 2)웹사이트 3)기타 시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100%. 11. 수급자들이 원하는 데이터는 무엇인가요? 예) 데이터의 형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나왔으면 좋겠다 하는 것들 시민 - 내용 : 실생활과 밀접한 데이터들 이라는 답변이 주를 이룸 - 형태 : 데이터 같지 않은 데이터가 필요함 ( 친숙함을 갖춘 ) Question Investigation
  • 29. 26 Question Investigation - 기타 : 데이터가 보다 사용자 개개인의 편의에 맞게, 유동적으로 가공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데이터가 가공되어 어플리케이 션으로 나온다면, 시각자료, 효과음 등에 있어 소비자에게 선택사항이 최대한 많이 제시되어, 어플이 개개인의 특성 과 생활패턴이 많이 반영될 수 있으면 좋겠다. 12.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모으기 좋은 데이터의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 이용자 측면에서 유익한 데이터(날씨, 버스, 지역행사 등), 모든 공문서. - 데이터로 끌어낼 수 있는 인사이트나 이슈도 중요함. 2차 가공자 - 개개인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데이터, 생활에 유용한 데이터, 사람들이 흥미를 느끼는 분야의 데이터 13. 공공데이터의 공개를 통해 시민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인가요? 개발자 투명성을 제공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시민들의 편의를 추구해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 14. 데이터를 가공할 때, 수급자에 대한 조사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개발자 수급자에 대한 조사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100% :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수급자에 대한 조사나 이해가 필요하다. 15. 공개 되지 않은 공공데이터의 내용 중에서 가장 다뤄보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개발자 건강보험데이터, 도서관 재고 데이터, 국회의원 출결 현황, 기업가치에 관련된 공공데이터 등. 16. 자신, 혹은 동네 데이터를 공개한다면, 공유할 의향이 있나요?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시민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모두의 복지향상을 위해 정보를 공개할 의향이 있다. 또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정보를 접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데이터 공개의 목표 및 공개 기준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를 공개하는 주된 이유와 이러한 데이터 공개의 목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정부 국민의 알권리 충족(투명성 측면), 경제적 가치 창출(활용성 측면) 2차 가공자 - 정보격차 해소, 정부의 투명한 행정, 시민의 알권리 충족 - 공공정책의 공감대 형성, 공공 서비스를 통한 시민들의 행동과 의식 변화 - 데이터 공개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학문적 가치로서의 활용 가능성 2. 공공데이터를 공개하는 기준이 있다면 무엇이며, 제공되는 데이터의 분류 및 승인에 대한 기준은 누가 Question Investigation
  • 30. 27Question Investigation 어떻게 정하나요? 정부 공공기관의 BRM(업무참조모델)를 기준으로 분류하되 시민들이 이해하기 용이한 depth로 분류를 하고 아래와 같이 공개가 상당한 지장을 초라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정보의 존재 자체가 비밀사항인 경우 - 문서제목에 개인의 사생활의 비밀 또는 자유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예 :김oo의 비위사실 통보) - 문서제목의 공개가 공정한 업무수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예 : ooo에 대한 불시단속 계획) - 문서제목의 공개로 법인의 정당한 이익을 현저히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 - 공개 시 특정인에게 이익 또는 불이익을 줄 우려가 있는 경우 3. 데이터 출처가 특정 기관인 경우에는 허락을 받고 수집한 것인지, 업데이트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 합니다. 또한, 이런 데이터를 활용해 어플리케이션/서비스를 개발하면 저작권 문제는 없는지도 알고 싶습 니다. 정부 협의하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데이터의 성격에 따라 업데이트 주기를 설정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는 각각의 dataset별로 상이하며 dataset별로 명시된 이용허락조건을 참조하면 확인이 가능하다. 공공데이터의 신뢰도 및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점들에 관한 질문 1. 귀하의 오픈 데이터 신뢰 정도 어느정도 인가요? 또한, 데이터를 어떤 기준으로 판별하나요? 예) 블로그의 정보들, 웹서핑을 통한 정보나 다른 기관의 통계자료들 시민 - 블로그 정보의 경우 이익집단의 개입 때문에 신뢰하지 않는 편이나 공공기관 정보는 신뢰하는 편. - 데이터의 출처 및 가공주체의 신뢰성을 본다. 가공주체가 정부나 인지도가 있는 기업이거나 가공물이 디자인이나 기술력에서 혁신적인 모습을 보이면 그 데이터를 더욱 신뢰한다. 2. 데이터들이 철저하게 검증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데이터의 정확도를 데이터와 함께 명시해주실 수는 없는지요? 정부 데이터의 품질을 위하여 cleansing 작업을 하여 특정한 품질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고, 데이터 정합성을 전체적으로 95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기본적인 형식에 대한 점검이고값 자체의 정확도를 개별적으로 확인하는 데는 한계 가 있다. 3. 데이터가 제공, 가공되면서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는지와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발자 오염되는 경우는 적다. 40% 오염되는 경우가 있다. 60% : 가공과정에서 연구자 혹은 개발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게 보여지면서 오해가 발생할 수도 있다. 2차 가공자 Question Investigation
  • 31. 28 Question Investigation 오염, 훼손 가능성이 있다. 100% : 객관적인 데이터에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가기 떄문에 데이터 본질의 의미가 훼손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의미나 가치에 대한 결론을 정해놓거나 '이 데이터가 무엇을 보여주고 있다'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데이터 시각화를 하면 그 과정에서 데이터의 숨겨진 가치나 의미가 훼손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정부에서 '정부 3.0 추진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공공데이터를 민간기업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라는데, 무료로 제공되는 공공데이터를 기업 등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정부 이익에 관해서 저희가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현재 통과된 법안을 기준으로 보면 상업적 활용을 허가하지만 실제 이를 위해서 : - 공공데이터의 대한 이용허락조건(CCL과 같은)에 대한 더욱 상세하고 자유로운 규정이 필요하고, - 공공데이터에 대한 오류 가능성에 대한 국민적 의식의 변화도 필요하고, - 일정부분 사회에 환원하는 것을 규정하기는 어렵지만 실비정산 항목이 법안에 들어간 것도 고무적이라고 생각한다. 개발자 긍정적. 60% : 데이터가 있으면 질적인 면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의 취향을 더 반영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정적. 40% : 언론사에서 공공데이터를 통해 회사의 사조를 개입시킬 여지가 있고 이는 혼란을 빚을 수도 있다. 수급자 무조건 반대하지는 않는다. : 상업적으로 활용할 경우, 파생될 서비스의 다양화에 대한 기대가 있음. 시민들의 공공 정보 소비를 늘릴 수 있을 것이다. 5. 공공데이터의 개방에 따라 공공데이터를 민간이나 기업에서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에 관련하여 우려되는 저작권 문제는 없다고 보십니까? 개발자 저작권 문제는 분명히 존재. 검증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6. 공공데이터가 무료로 데이터가 개방됨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를 활용한 유사한 컨텐츠의 어플들이 많이 제작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개발자 경쟁을 통해 효율적인 앱이 살아남는 구조는 좋으나, 아류 어플들이 저작권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공공데이터 이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질문 1. 공공데이터의 모범적인 활용 방안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일반인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좋을 까요? 정부 - 경제적 가치 즉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를 선정하여 개방하는 것 - 서울시 버스정보를 활용하여 다음대중교통정보와 같은 서비스를 만드는 것과 같이 협업모델을 만드는 것
  • 32. 29Question Investigation - 민간개발자들의 모임이나 활동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기 개발자 - 공공의 투명성과 결부해 홍보한다면 충분히 그로 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공공데이터 사용 예제를 보여주면 일반인들의 참여를 유도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2차 가공자 -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에게 어떤 혜택을 주면 활성화 가능 - 보다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사이니지나 설치물, 플랫폼 형태로 광고 - 모바일 웹 컨텐츠나 캠페인(정부에서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을 진행 - 문제 의식을 느낄만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관심을 유도하고 이슈화시켜 이목을 끔 - 일반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SNS통해 서서히 접근 2.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일반인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떤 부분이 추가 및 개선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개발자 -데이터인포메이션과 비주얼라이제이션의 강화, 데이터마이닝에 대한 기초 교육을 교육 기관에서 제공하면 좋을 것 같다.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해서 볼 수 있으면 좋을 것 같고, 종합적인 서비스 측면에서 개선점을 찾는 것도 필요하다. 2차 가공자 - 공공 데이터에 ‘이야기’, ‘네러티브’를 추가하여 시민들이 데이터 안에서 이야기를 생산하고 순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 데이터를 링크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시각화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제공 - 사람들이 관심있는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 (예 : 기존 웹사이트 이외에 좀 더 시각적이고 생활에 밀접하며 흥미있는 데이터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 필 요) - 지나치게 세부적이고 공공 데이터보다는 어느 정도 통합되고, 명확히 구분된 데이터 형식 제공 - 다소 딱딱해 보이는데, 데이터데 재미있거나 세련된 디자인으로 접근 3.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시각화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차 가공자 - 모두가 우연치 않게 볼 수 있는 공공장소에서 시각화 : 영상, 포스터, 인터랙티브 스크린 활용 -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이미지나, 기호, 컬러 범위를 침범하지 않고 시각화 - 개개인과 특정 집단의 관심사에 맞게 지역별, 연령별, 성별, 직업별 등의 구분에 따라 customization 하여 시각화 -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알아보기 쉬우면서 잘 분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33. 30 민세희 sey.min@randomwalks.org 랜덤웍스 심재경 jkysim@gmail.com 랜덤웍스 김성훈 sunghun@randomwalks.org 랜덤웍스 나지인 rungrung22@naver.com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윤이레 jirehyoon0617@gmail.com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윤현학 peptres@gmail.com 홍익대 산업디자인 이유진 candyspy0116@gmail.com 홍익대 시각디자인 김경민 realaudio@randomwalks.org 랜덤웍스 신윤정 shinselina@gmail.com 동덕여대 미디어디자인 이행갑 lhk2449@hanmail.net 홍익대 산업디자인 참여한 사람들 Current Members Past Members 연구 총괄 / 내용 감수 : 민세희 편집 / 디자인 : 윤현학
  • 34. 31 www.codenamu.org www.si.re.kr www.randomwalks.org gscst.snu.ac.kr 도움주신 분들 Public Lab Website 코드나무 서울대학교 융합과학 기술대학원 서울연구원 랜덤웍스 www.randomwalks.org/public_lab
  • 35.
  • 36. ©2013 Public Lab all rights reserved. www.randomwalks.org/public_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