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na empresa de Scribd logo
1 de 39
1. Background
    2. About Research
    3. Internet Usage
    4. Socialmedia Usage
    5. Socialmedia Profiling
    6. Socialmedia with Brand
    7. Socialmedia Marketing


2
한국은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관련기술을 선도해 가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율도 가장 높은 나라들 중 하나이다. 최근 세계적
으로 웹 2.0 기술 및 서비스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
도 이와 관련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로 지칭되는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한국인의 이용
행태를 알아보고, 조사결과에 나타난 이용자의 성향을 분석하
였으며, 이들의 이용행태로부터 공통적인 이용특성을 추출하
여 한국인만의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링 모델이 마케터가 소셜
미디어 이용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하나의
기초자료 및 가이드가 되고, 효율적인 캠페인 플랜 수립에 도
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조사를 기획하였다.




    3
본 조사는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온라인리서치 업계의 리더인 ㈜메트릭스 코퍼레이션과 파트너십을 맺어
실사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국 1,000명의 일반인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
였다.

불성실한 문항이나 기재오류 등 조사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표본수집과정과 체크문항을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개요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 (MRTS를 이용한 On-line Survey)
            •조사대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40대 남녀
            •조사기간      2009. 11. 9 ~ 13
            •표본크기      1,000명
            •표본추출방법    성/연령비를 고려한 비례할당 추출방법
            •조사지역      전국
            •조사기관      ㈜ Metrix Coporation




                                  4
조사대상은 전체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전국 인구비례에 따라 성별/연령별로 할당하여 샘플로
선정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남녀가 319명(32%)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으며 20대가 272명(28%), 40대는 272명
(27%), 10대가 132(13%)순으로 분포 되었다.
직업별 분포는 사무직이 387명(39%)로 가장 많았고, 학생이 257명(26%), 주부가 116명(12%) 순으로 차지하였다.


             연령별 분포                                        직업별 분포


                             (n=1000,%)       (n=1000,%)




                                          5
세계적인 인터넷 강국답게 인터넷 이용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체 한국인의 81%이상이 주 7회 이상, 즉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의 97%가 주 5~6회 이
상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인에게 인터넷은 이제 일상생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평균이용시간은 27.3%가 평균 5시간 이상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시간 미만 이용한다는 응답
은 2.8%에 그쳐 대부분의 응답자는 인터넷 접속후 최소한 1시간 이상을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빈도 현황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n=1000,%)       (n=1000,%)




                                     6
인터넷 이용시, 주로 하는 인터넷활동은 각종 정보를 찾기 위한 검색서비스가 80.1%로 가장 높았고, 뉴스가 75.5%,
온라인 쇼핑이 67.0% 순이었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업무, 금융, 게임, 교육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주로 정보와 뉴스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주요 활동

                                                             (n=1000,%)
       80.1
              75.5

                     67.0


                             53.8
                                        48.3
                                               41.8
                                                      34.9
                                                             28.7




       검색     뉴스     쇼핑     커뮤니티    업무/ 학업     금융     게임     교육




                                    7
전세계적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가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2009년도 초반이었고, 본격적으로 국내에
서비스가 도입된 것도 2009년 하반기 이후이기 때문에 국내 인터넷이용자들에게 소셜미디어에 대한 충분한 인식
은 아직은 안되어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인지도를 묻는 항목에서 ‘소셜미디어를 처음 들어본다’는 사람이 40%정도이고, ‘잘 모르겠다’
가 4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의견이 전체의 85%정도를 차지하였다.

소셜미디어의 이용빈도를 보면, 평균 주 7회이상이 38.5%로 가장 높았고, 주 1회 미만은 1.3%로 거의 모든 대상이
주 1회 이상 소셜미디어를 이용했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라는 인식을 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사용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소셜미디어 인지도                             소셜미디어 이용빈도

                        (n=912,%)




                                                             (n=912,%)


                                    8
1회 이용시 평균시간은 1~2시간이 38.8%로 가장 많았고, 1시간 미만 이용자가 30.7%정도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2시간이 안되는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이용자는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었고(86.5%),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
서’(7.7%), ‘친구를 맺기 위해서’(2.9%)라는 응답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이는 아직 소셜미디어에 대한 차별화된
인식보다는 하나의 인터넷서비스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아직은 관계를 맺고 교류하기 보다는 정보를 얻기 위한 도
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파악된다.


       소셜미디어 평균 이용시간                          소셜미디어 이용목적



                         (n=912,%)




                                                                (n=912,%)



                                     9
소셜미디어 이용시 중요 활동으로는,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해서’를 꼽은 응답이 9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블로그,리뷰, 동영상 등을 보기’가 77.3%로 높게 나타나 주로 정보를 획득하고, 컨텐
츠를 보는 것 위주로 활동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를 컨텐츠 공유나 생산보다는 컨텐츠를 소비하고 보유하는 활동
을 보인다는 것으로 기존의 국내 인터넷 서비스가 폐쇄적이고, 개인서비스 형태를 띠고 있어, 생산하거나 공유하는
활동이 아직은 불편하다는 의미로 보인다.
.
  예상대로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업로드’ 한다라는 응답은 55.6%로 가장 낮아 아직은 컨텐츠를 직접 만드는 것이
생활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소셜미디어는 또다른 정보획득채널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며, 향후 적극적인 공유와 생산으로의 변화가
예상된다.

                           소셜미디어 주요 활동




                                                         (n=912,%)




                                 10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갖고 있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태도와 이용행태를 기준으로, 공통속성을 뽑아 그룹으로
구성하여 각 그룹별 대표성격을 규정하여 프로파일을 추출하였다. 6개그룹으로 구성된 각 프로파일별로 소셜미디
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공통적인 요소를 뽑아 배치했으며, 각 그룹별 중복없이 구성하여 비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Korean Social Media Profiles

       Profile           Description                         Activity


       작가형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만들고, 업로           동영상 업로드
                 드 하기 위해 사용하며, 더 좋은 퀄러티의           사진 업로드
                 컨텐츠를 만들어 대중의 인정을 받는 것이            블로그 포스팅 업로드
                 목표                                UCC 업로드
                                                   의견 업로드
       관계형       컨텐츠를 직접 만들기 보다는 만들어진 컨            SNS 등록(트위터, 미투데이, 미니홈피, 페
                 텐츠를 널리 퍼뜨리고, 공유시키기 위해 사           이스북 등 네트워킹)
                 용하며, 네트워킹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            메타블로그 등록
                 이 목표
       수집형       양질의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정보             검색
                 나 지식을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하            RSS 리더 수집/등록
                 며, 좋은 정보를 보유하는 것이 목표              블로그, 소셜북마크, 태그 등 활용
       평가형       타인이 만들어 놓은 컨텐츠를 리뷰하고, 평           포탈 기사, 토론장 의견 리뷰/평가
                 가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블로그 리뷰/평가
                 높이는 것이 목표                         동영상, 사진 등 컨텐츠 리뷰/평가
                                                   쇼핑몰 상품평 리뷰/평가
       독자형       타인이 만들어 놓은 블로그나 리뷰, 동영상,          동영상/이미지 보기
                 사진 등을 소비하기 위해 사용하며, 단순히           블로그 포스팅 보기
                 보고 즐기는 것이 목적                      포탈기사 보기
                                                   커뮤니티 게시판 보기
       고립형       소셜미디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



                                       11
금번 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별 유형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프로파일
그룹은 ‘수집형’(44.7%)이며, 이들은 과거의 인터넷 이용행태와 밀접히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검색
을 통해 수집된 원하는 정보를 조직화 하고, 개인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관리하는 성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프로파일 그룹은 ‘독자형’(22.4%)으로 타인이 만들어 업로드한 컨텐츠를 소비하는 그룹
이다. 이들은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등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접근하여 보는 것
자체에 만족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 2개 그룹이 전체 이용자의 67%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 소셜미디어 이용자중
1/3이 이런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컨텐츠를 자기가 직접 생산가공해 업로드하는 그룹인 ‘작가형’(7.2%)과 인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관계
형’(10.2%), 컨텐츠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는 ‘평가형’(6.7%)은 현재 비중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적
인 공유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편의성 증대로 계속 늘 것으로 기대되는 그룹이다.


                            프로파일 유형별 비중


                                                (n=912,%)




                                 12
작가형 그룹은 블로그나 동영상사이트에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가공해서 업로드 하는 것을
즐기며, 타인이 만든 컨텐츠를 퍼뜨리고 타인과 공유하는 것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은 소셜미디어를 ‘정보를 얻기 위해’(67%)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으나, 특히 ‘타인으로부터 인정받
기 위한’(10%) 욕구가 타집단 대비 가장 높아 컨텐츠를 통해 자신을 표출하고 타인의 반응을 느끼는 것에 가치를 두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주요 활동도 이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제작해서 업로드 한다’(55.6%)로 정보수집
이나 리뷰 등 컨텐츠 소비보다는 생산적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                               주요 활동


                        (n=72,%)




                                                             (n=72,%)



                                   14
관계형 그룹의 속성은 주로 타인이 만든 컨텐츠를 인터넷상에 퍼뜨리고, 그 컨텐츠를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것을 즐기는 유형의 집단으로, 좋은 정보나 컨텐츠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뜨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이다.

이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위해서’(79%)로 높은 편이었으나,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서’(12%), ‘친구
를 맺기 위해’(4%),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서’(3%) 등 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공유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활동은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한다’(60.8%) 다음으로 대표 속성인 ‘타인의 컨텐츠를 널리 퍼
뜨리고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28.4%)로 나타나 주로 공유하는 활동을 타 그룹 대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102,%)




                                                              (n=102,%)



                                    16
수집형 그룹의 속성은 온라인상의 좋은 컨텐츠와 정보를 얻기를 원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이 만든 좋은 컨텐츠
를 보유하고 소비하는데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소셜미디어의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92%)라는 답변이 전 그룹중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타인과 공유
하기 위해서’(6%)라는 응답으로 나타나 공유보다는 정보수집이 가장 큰 목적이었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주요 활동 역시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해’(96.2%)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기타 활동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정보수집 활동에 집중된 그룹으로 주로 검색과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탐색
활동이 주요 활동이었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447,%)




                                                           (n=447,%)



                                   18
평가형 그룹은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와 정보에 댓글이나 답글을 적극적으로 다는 등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집단이다. 컨텐츠를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긍정적/부정적인 평가를 올리고, 의견
을 개진하는 등 기존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시각을 표현하는 성향이 강하다.

소셜미디어 이용목적도 기본적으로는 ‘정보를 얻기 위해’(70%)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타인과 공
유하고(16%), ‘친구를 맺거나’(9%),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5%)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주요 활동은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38.8%)하는 활동과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자료/정보에 댓글 등
평가를 한다’(38.8%)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아 타 그룹대비 컨텐츠를 평가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67,%)




                                                             (n=67,%)



                                   20
독자형 그룹은 블로그, 컨텐츠 리뷰, 동영상 등 주로 인터넷상의 컨텐츠를 보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주
로 올라와 있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성향이 강한 집단이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보다는 소비하는 것 자체에 관심
이 많아 원하는 정보를 찾거나 컨텐츠를 비교하는 활동 중심의 이용행태를 보인다.

이들의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한다’(91%)는 응답이 ‘수집형’과 비슷하게 나타나, 주로 타인의 컨텐츠를
보고 정보를 얻거나 즐기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블로그, 리뷰, 동영상 등을 보기’(50.9%)가 가장 높아 단순히 보고 즐기는 소비적인 활동이 가장
높았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224,%)




                                                             (n=224,%)



                                    22
고립형은 1,000명의 전체 인터넷 이용자중 88명(8.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소셜미디어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다고 응답한 그룹이다.

이들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39세 남녀가 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직업별로는 학생(33.0%)과 사무직(33.0%)이 66%를 점하고 있었다.




           연령별 분포                                          직업별 분포


                          (n=88,%)



                                               무직                 10.2

                                               주부             9.1

                                               학생                              33

                                           생산 관련직    1.1

                                          서비스/ 판매직          6.8

                                              사무직                              33

                                            전문관리직           6.8


                                                                         (n=88,%)



                                     23
대표적인 소셜미디어로 불리우는 블로그 서비스 중에서는 ‘네이버블로그’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74.6%로 가장 높
        아 서비스 편중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검색과 연계된 컨텐츠 확산성과 이용편의성을 고려한 블로그 이용자들의 ‘네이버’사이트에 대한 의존도가 매
        우 높은 것을 보여 준다. 그 다음으로는 역시 포털서비스인 ‘다음 티스토리’(12.6%)>’이글루스’(2.1%)순으로 나타
        남

        프로파일 그룹별로 보면, ‘네이버블로그’의 경우, 대부분 비슷했으나, 수집형(77.2%), 작가형(76.4%)이 높은 이용
        율을 보였으며, ‘다음 티스토리’서비스의 경우 관계형(16.7%), 평가형(14.9%)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여 프로파일별로 이용서비스가 약간 차이가 보였다.



                                          주 이용 블로그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네이버블로그            74.6             76.4           68.6            77.2          65.7            74.1

다음티스토리 12.6              12.5             16.7           11.6            14.9          12.1

 이글루스    2.1             2.8              2.9            1.6             4.5           1.8

 싸이월드    0.8             1.4              2.0            0.2             1.5           0.9

태터앤미디어 0.7               2.8              2.0            0.0             1.5           0.4

  기타     1.4             0.0              1.0            1.6             1.5           1.8

  없음     7.9             4.2              6.9            7.8             10.4          8.9




                                                 24
동영상/ 이미지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로 ‘네이버동영상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37.0%로 가장 많이 나타남
       그 다음으로는 ‘다음동영상’(20.8%)>’유투브’(15.1%)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컨텐츠를 만들고 업로드하는 경향이 강한 작가형의 경우, 이용서비스가 다양했는데 ‘네
       이버동영상’(30.6%)>’네이트동영상(22.2%)>’유투브’(18.1%)>’다음동영상(15.3%)의 순으로 동영상/이미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타 그룹에 비해서 ‘네이트동영상’을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형은 타 그룹에 비해 구글 동영상서비스(6.9%)를 많이 이용했는데, 공유와 전파하기 용이한 시스템 때
       문으로 보인다.




                                       주 이용 동영상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네이버동영상            37.0          30.6                  34.3                  40.7            26.9            35.7

다음동영상      20.8          15.3                  24.5                  21.5              22.4          19.2

 유투브     15.1            18.1           13.7                  13.6                   14.9            17.9

네이트동영상   10.5              22.2         10.8                  8.5                    11.9          10.3

 판도라     4.5             1.4            3.9                   4.5                    6.0           5.4

  엠군     3.9             5.6            2.9                   3.8                    6.0           3.6

  구글     2.9             1.4            6.9                   2.0                    3.0           3.1

  기타     1.2             4.2            0.0                   1.1                    1.5           0.9

  없음     4.1             1.4            2.9                   4.3                    7.5           4.0




                                                      25
소셜미디어 이용자 3명중 2명은 친구, 지인과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주로 ‘싸이월드’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70.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표적인 소셜사이트로 역사가 깊고, 새로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아직은 국내에서 자리잡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는 학교인맥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인 ‘아이러브스
       쿨’(6.4%)이 많았고, 해외서비스인 ’페이스북’(2.1%)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파일 그룹별로 살펴보면, ‘싸이월드’서비스의 경우 작가형(81.9%), 수집형(70.2%)와 ‘아이러브 스쿨’서비스의
       경우엔 관계형(10.8%), 작가형(8.3%)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주 이용 SNS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70.2            81.9                 66.7          70.2          62.7          70.1
 싸이월드
                         8.3                                                4.5           3.6
아이러브스쿨 6.4                                 10.8               6.7

                         4.2                                                6.0           1.8
 페이스북    2.1                               2.0                1.3

                                                                                          0.9
 링크나우    1.3             0.0               0.0                2.0           1.5

                                                                                          0.0
  팬피     0.8             0.0               2.9                0.4           3.0

 다음카페    0.2             0.0               1.0                0.2           0.0           0.0

  없음     19.1            5.6               16.7               19.0          22.4          23.7




                                                  26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전체 응답자의 82.2%, 즉 10명중 8명이 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서비스 구매 시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한다고 답했으며, 1.4%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제품을 구매하려 할 때, 제품관련 정
보를 소셜미디어안에서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수집하기도 하고, 제품구매관련 타인의 평가,리뷰의견을 참고해 구매
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역시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관계형’이
75.5%로 가장 낮았다.

                          제품구매시 소셜미디어 활용도(%)




                                                                그런 편이다
                       75.5                            79.5
     82.2     81.9               85.2        82.1



                                                                 보통이다




                       23.5                            16.5     안 그런 편이다
     16.3     18.1               14.1        17.9
                                                       4.0
                        1.0
     1.4      0.0                 0.7         0.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28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전체 응답자의 80.9%, 즉, 10명중 8명이 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구매전에 이미 브랜드를 결정한다고 답했다. 이는 제품관련 정보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탐색하고 수집하여 정
보를 분석한 후 브랜드를 결정하여 구매행동으로 옮기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역시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2.6%로 가장 높았으며, ‘평가형’이
70.1%로 가장 낮았다.


                                 구매전 브랜드 결정(%)




                                                                 그런 편이다
                                              70.1
              76.4
     80.9              82.4          82.6               81.7



                                                                  보통이다



                                              25.4
     16.3     22.2     12.7                             14.7     안 그런 편이다
                                     15.7
                        4.9                              3.6
     2.7      1.4                    1.8         4.5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29
제품/서비스 구매 시에 트렌드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견은 전체에서 51.2%를 차지해 2명중 1명은 트렌드에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나 네트워크안에서 이슈가 되는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자신이 구매하려는
제품에 관련된 소셜미디어안의 의견을 중시한다는 의미로 판단된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컨텐츠를 생산하는 경향이 강한 ‘작가형’이 61.1%로 가장 높았으며, ‘평가형’이 46.3%
로 가장 낮았다.


                                 구매시 트렌드 영향(%)




                                                                 그런 편이다
                                    50.1      46.3     48.7
     51.2
              61.1     57.8



                                                                  보통이다



                                              37.3     34.8
     36.2                           38.3
              27.8     35.3
                                                                 안 그런 편이다
                                                       16.5
     12.6              6.9                    16.4
              11.1                  11.6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0
제품구매행태 중 제품을 ‘오프라인에서 직접 구매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28.2%이고,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36.3%로 온라인 구매성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네트워크 관리에 집중하는 ‘관계형’이 43.1%로 가장 높아 오프라인 직접구매성향을
보였으며, ‘독자형’이 21.0%로 가장 낮았다. 특히, ‘독자형’은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39.3%)를 차지해 가장 온
라인 구매성향이 높은 그룹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탐색후 오프라인 구매(%)




                                                     21.0     그런 편이다
     28.2                        26.0
              36.1                         35.8
                        43.1

                                                               보통이다
                                                     39.7
                                 35.1
     35.5
              31.9                         32.8
                        32.4

                                                              안 그런 편이다
                                                     39.3
     36.3                        38.9
              31.9      24.5               31.3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1
제품관련 정보가 구매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83.3%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고, ‘그렇지 않다’라는 응
답은 1.0%에 불과해 구매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의 제품관련정보가 구매를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모든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6.4%로 가장 높았으며, ‘작가형’이 77.8%로 가장 낮았다.


                           제품관련정보가 구매에 도움(%)




                                                              그런 편이다




              77.8                         79.1      80.8
    83.3               82.4      86.4
                                                               보통이다




                                                              안 그런 편이다
              19.4                         17.9
    15.7               15.7                          18.3
                                 13.4
                        2.0                           0.9
     1.0      2.8                 0.2       3.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2
친구나 지인들과 관심상품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66.7%가 ‘그렇다’고 답해 3명중 2명이 적극적으
로 제품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5.5%에 그쳤다. 제품에 대해 서로
의견을 묻고 대답하는 데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았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경향이 강한 ‘관계형’이 73.5%, ‘작가형’이
69.4%로 높았으며, 정보를 공유하기 보다는 보유하려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64.4%)과 컨텐츠를 즐기기만 하는
‘독자형’(66.5%)이 낮았다.

                         지인과 관심상품에 대해 이야기(%)




                                                              그런 편이다



     66.7                        64.4      68.7      66.5
              69.4     73.5
                                                               보통이다




     27.9                        30.0                26.3     안 그런 편이다
              27.8     21.6                28.4

                                                      7.1
                        4.9
     5.5      2.8                 5.6       3.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3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친구나 지인의 추천을 따른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37%가 ‘그렇다’, 45.2%가 ‘보통이다’라
고 답해 ‘안 그렇다’의 17. 5%보다 높게 나와 의견을 따라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고 의견을 교류하는 경향이 높은 ‘관계형’이 47.1%로 가장 높
았으며, ‘수집형’과 ‘독자형’이 각각 34.5%와 37.1%로 가장 낮았다.



                       구매시 친구나 지인의 추천을 따른다(%)




                                                              그런 편이다

     37.3     37.5               34.5                37.1
                                           41.8
                       47.1



                                                               보통이다


     45.2     43.1               47.4                44.6
                                           41.8
                       40.2
                                                              안 그런 편이다

                                                     18.3
     17.5     19.4     12.7      18.1      16.4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4
제품/서비스 구매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로 ‘검색’서비스가 55.8%, ‘온라인쇼핑몰’이 23.1%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보듯이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주로 활용하는 미디어는 쇼핑몰보다는 제품관련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가 훨씬 높다.

       프로파일 그룹별 이용서비스를 살펴보면, ‘검색’서비스의 경우는 작가형(61.6%)과 수집형(61.5%)이 가장 많이 이용
       했고, ‘온라인 쇼핑몰’서비스의 경우 독자형(26.8%), 관계형(24.5%), 수집형(24.4%)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임
       특히 ‘블로그’와 ‘동영상/이미지’서비스의 경우엔, 컨텐츠 생산 성향이 높은 작가형(15.3%)과 평가형(14.9%) 에서 높
       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리고, 관계형 그룹은 한 두개의 서비스에 집중하지 않고, 여러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구매시 이용 미디어 카테고리(%)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검색                 55.8               61.1              47.1                61.5          55.2            46.9

 쇼핑몰       23.1             9.7                    24.5                24.4          14.9            26.8

 블로그      9.8               15.3                  11.8                6.0            14.9          12.9

 지식/음악    4.6               6.9                   3.9                 3.6            4.5           6.3

 커뮤니티     3.1               0.0                   2.0                 2.9            6.0           4.0

동영상/이미지   2.4               4.2                   6.9                 1.1            3.0           2.2

  기타      1.2               2.8                   3.9                 0.4            1.5           0.9




                                                                 35
최근 유저들에게 각광받기 시작한 소셜미디어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이미 국내에도 100개가 넘는 기업들이 기업블로그를 개설하여 소비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과
거 온라인 프로모션의 하나의 이벤트로 고객의 의견을 받는다든가, UCC를 만들게 한다든가 하는 소극적인 접근보
다 이제는 직접 소비자들과 친구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 때 바이럴마케팅이 마케팅업계의 화두가 되었던 때가 있었다. 브랜딩 메시지가 녹아있는 기업의 컨텐츠로 인터
넷 유저가 자발적으로 옮기고 퍼뜨리도록 유도하는 브랜딩 방법인데, 이젠 영악할대로 영악해진 소비자가 이 의도
대로 따라주지 않는다.

                           웹 2.0은 본래 인터넷 기술발전의 바탕위에 철학을 얹은 개념
                           이다. 이 개념으로 인터넷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실제로
                           각 기업의 서비스들도 개방과 공유, 참여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
                           가에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소셜미디어도 이러한 흐름속에서 새롭게 탄생한 미디어이며,
                           네트워크의 가치가 가장 극대화된 미디어이다. 구글의 다양한
                           웹서비스들과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트위터로 계승되어 활
                           짝 피고 있는 소셜미디어는 이제 마이너미디어가 아니라 메이
                           저로 기반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도 소셜미디어는 일
                           부 얼리어답터나 인터넷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
                           고, 참여자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종합포털들의 개
                           방화 움직임은 이런 추세를 잘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마케터들에게 새로운 문제지다.
포탈, 전문포탈, 커뮤니티, 메일로 구분되어진 기존 인터넷 미디어와는 달리, 공유가치가 무엇인가에 따라 끊임없
이 분화되고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접근이 무척이나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소비자를 알면 해답이 보인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과연 누구인지, 어떻게 행동하고 구매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면 접근전략
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필요성에 따라 본 보고서는 작성되었으며 전략수립의 가장 첫부분인 소셜미디어 이
용자에 대한 자료를 통해 효율적인 소셜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7
소셜미디어는 관계를 위한 인터넷이다.
유저는 적극적인 친구맺기를 통해 인터넷 생태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가고 있다.

기업도 이제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고집할 게 아니라 소셜미디어 속에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그들과 긍정적
인 관계를 맺는 하나의 친구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업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와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선, 제품의 타겟이 소셜미디어 안에서 어떤 성향을 보이는 지
정확히 파악하여 그 성향에 맞는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유저의 성향을 모르고
제대로 대응을 못할 경우엔 오히려 부작용이 더 큰 경우가 많다.

그들이 누구인지 파악한 다음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소셜미디어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소셜마케팅 접근 프로세스




      소셜미디어
      마케팅 목표        소셜미디어         소셜마케팅        소셜미디어
         및         타겟 성향조사        플랜 수립        캠페인 실행
       타겟 설정




                             38
Contact

Choi Chulho

Inklings_9FG
9FRUITS GROUP

redmelon@9fruits.com
Twitter@Chulho

02-566-4498(190)




                       39

Más contenido relacionado

Destacado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CIZION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Samcast LAB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Yubyeol Kim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Sung-Kwan Kim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Yubyeol Kim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MezzoMedia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MezzoMedia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Nasmedia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Nasmedia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MezzoMedia
 
Instagram Marketing Tips
Instagram Marketing TipsInstagram Marketing Tips
Instagram Marketing TipsInnobirds Media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MezzoMedia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Jay Cho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Innobirds Media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마킨드(makiind)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Jay Cho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Jay Cho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MezzoMedia
 

Destacado (18)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5 라이브리 소셜리포트 2월호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
2013 한국 페이스북 이용형태 분석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5 국내 기업 및 기관 소셜미디어 운영현황 및 트렌드 kpr소셜커뮤니케이션연구소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
[UBhind Analytics] 2015 6월 1,2주 주요지표 리포트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2014 sns 이용행태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5 상반기 결산 보고서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
[메조미디어] 2014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_2014.05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
나스미디어 모바일 트렌드 리포트 2014 결산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2015 npr 요약 보고서 20150212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10대] 2015 타겟 인사이트
 
Instagram Marketing Tips
Instagram Marketing TipsInstagram Marketing Tips
Instagram Marketing Tips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
MezzoMedia - Media & Market Report [2월 호]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2016년 소셜미디어 기상도, 뜨는 sns 지는 sn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인스타그램 이용행태 분석 자료 :: Instagram for Business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국내외 소셜미디어/SNS 시장 현황 및 마케팅 사례 살펴보기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
2015년 SNS/소셜미디어 주요 이슈 & 트렌드 10가지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
2016년 소셜미디어 트렌드 및 핵심 전략 설정법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메조미디어] 2017년 미디어트렌드리포트
 

Similar a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So Young Eom
 
ORD-2nd-10-findsteve
ORD-2nd-10-findsteveORD-2nd-10-findsteve
ORD-2nd-10-findsteveVentureSquare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daumfoundation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Hyunjin Yoo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June Kim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June Kim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지훈 정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Konan Pulse-k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MezzoMedia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Plan2F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MezzoMedia
 
0618 dmc final
0618 dmc final0618 dmc final
0618 dmc finalHaewa_dzz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cyberemotions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cyberemotion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태원 이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skyup7942
 
slideshare use document
slideshare use documentslideshare use document
slideshare use documentqingqingdo
 
소셜미디어의이해
소셜미디어의이해소셜미디어의이해
소셜미디어의이해JinJooYeon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Social-Link
 

Similar a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20)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Dmc] 소셜 미디어 이용실태
 
ORD-2nd-10-findsteve
ORD-2nd-10-findsteveORD-2nd-10-findsteve
ORD-2nd-10-findsteve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
제13회 인터넷리더 옐로아이디 소개 이경은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Motivational factors of information exchange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 기업의 E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Seri 기업의 sns 신활용방식(20110818)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성남시여성복지회관(Sns마케팅교육)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소셜 분석 전문 서비스 '펄스-K' OBT 진행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메조미디어] 2014년 연령별 타겟 분석 50대 2014.07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
소셜미디어활용전략(1106)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
[newsletter 11월] 2014년 글로벌 SNS 현황
 
0618 dmc final
0618 dmc final0618 dmc final
0618 dmc final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Twitaddons mobilization(15mar2011)jy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
링크드인(비즈니스 SNS) 특강(베타뉴스)-11.06.29
 
파워
파워파워
파워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
함께 꾸며가는 신개념SNS
 
slideshare use document
slideshare use documentslideshare use document
slideshare use document
 
소셜미디어의이해
소셜미디어의이해소셜미디어의이해
소셜미디어의이해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
Social Website Service Package (소셜웹사이트 구축 소개서)
 

한국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조사

  • 1.
  • 2. 1. Background 2. About Research 3. Internet Usage 4. Socialmedia Usage 5. Socialmedia Profiling 6. Socialmedia with Brand 7. Socialmedia Marketing 2
  • 3. 한국은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관련기술을 선도해 가고 있으며, 인터넷 이용율도 가장 높은 나라들 중 하나이다. 최근 세계적 으로 웹 2.0 기술 및 서비스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 도 이와 관련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로 지칭되는 새로운 미디어에 대한 한국인의 이용 행태를 알아보고, 조사결과에 나타난 이용자의 성향을 분석하 였으며, 이들의 이용행태로부터 공통적인 이용특성을 추출하 여 한국인만의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링 모델이 마케터가 소셜 미디어 이용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하나의 기초자료 및 가이드가 되고, 효율적인 캠페인 플랜 수립에 도 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조사를 기획하였다. 3
  • 4. 본 조사는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온라인리서치 업계의 리더인 ㈜메트릭스 코퍼레이션과 파트너십을 맺어 실사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국 1,000명의 일반인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조사를 진행하 였다. 불성실한 문항이나 기재오류 등 조사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표본수집과정과 체크문항을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개요 •조사방법 온라인 조사 (MRTS를 이용한 On-line Survey) •조사대상 인터넷을 이용하는 10~40대 남녀 •조사기간 2009. 11. 9 ~ 13 •표본크기 1,000명 •표본추출방법 성/연령비를 고려한 비례할당 추출방법 •조사지역 전국 •조사기관 ㈜ Metrix Coporation 4
  • 5. 조사대상은 전체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전국 인구비례에 따라 성별/연령별로 할당하여 샘플로 선정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남녀가 319명(32%)으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으며 20대가 272명(28%), 40대는 272명 (27%), 10대가 132(13%)순으로 분포 되었다. 직업별 분포는 사무직이 387명(39%)로 가장 많았고, 학생이 257명(26%), 주부가 116명(12%) 순으로 차지하였다. 연령별 분포 직업별 분포 (n=1000,%) (n=1000,%) 5
  • 6. 세계적인 인터넷 강국답게 인터넷 이용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전체 한국인의 81%이상이 주 7회 이상, 즉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의 97%가 주 5~6회 이 상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인에게 인터넷은 이제 일상생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평균이용시간은 27.3%가 평균 5시간 이상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시간 미만 이용한다는 응답 은 2.8%에 그쳐 대부분의 응답자는 인터넷 접속후 최소한 1시간 이상을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빈도 현황 평균 인터넷 이용시간 (n=1000,%) (n=1000,%) 6
  • 7. 인터넷 이용시, 주로 하는 인터넷활동은 각종 정보를 찾기 위한 검색서비스가 80.1%로 가장 높았고, 뉴스가 75.5%, 온라인 쇼핑이 67.0% 순이었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업무, 금융, 게임, 교육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주로 정보와 뉴스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주요 활동 (n=1000,%) 80.1 75.5 67.0 53.8 48.3 41.8 34.9 28.7 검색 뉴스 쇼핑 커뮤니티 업무/ 학업 금융 게임 교육 7
  • 8. 전세계적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가 각광받기 시작한 것이 2009년도 초반이었고, 본격적으로 국내에 서비스가 도입된 것도 2009년 하반기 이후이기 때문에 국내 인터넷이용자들에게 소셜미디어에 대한 충분한 인식 은 아직은 안되어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인지도를 묻는 항목에서 ‘소셜미디어를 처음 들어본다’는 사람이 40%정도이고, ‘잘 모르겠다’ 가 4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의견이 전체의 85%정도를 차지하였다. 소셜미디어의 이용빈도를 보면, 평균 주 7회이상이 38.5%로 가장 높았고, 주 1회 미만은 1.3%로 거의 모든 대상이 주 1회 이상 소셜미디어를 이용했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라는 인식을 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사용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소셜미디어 인지도 소셜미디어 이용빈도 (n=912,%) (n=912,%) 8
  • 9. 1회 이용시 평균시간은 1~2시간이 38.8%로 가장 많았고, 1시간 미만 이용자가 30.7%정도를 차지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2시간이 안되는 시간을 사용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이용자는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었고(86.5%),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 서’(7.7%), ‘친구를 맺기 위해서’(2.9%)라는 응답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이는 아직 소셜미디어에 대한 차별화된 인식보다는 하나의 인터넷서비스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아직은 관계를 맺고 교류하기 보다는 정보를 얻기 위한 도 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로 파악된다. 소셜미디어 평균 이용시간 소셜미디어 이용목적 (n=912,%) (n=912,%) 9
  • 10. 소셜미디어 이용시 중요 활동으로는,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해서’를 꼽은 응답이 9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블로그,리뷰, 동영상 등을 보기’가 77.3%로 높게 나타나 주로 정보를 획득하고, 컨텐 츠를 보는 것 위주로 활동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를 컨텐츠 공유나 생산보다는 컨텐츠를 소비하고 보유하는 활동 을 보인다는 것으로 기존의 국내 인터넷 서비스가 폐쇄적이고, 개인서비스 형태를 띠고 있어, 생산하거나 공유하는 활동이 아직은 불편하다는 의미로 보인다. . 예상대로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업로드’ 한다라는 응답은 55.6%로 가장 낮아 아직은 컨텐츠를 직접 만드는 것이 생활화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결국, 소셜미디어는 또다른 정보획득채널로 주로 활용되고 있다는 것이며, 향후 적극적인 공유와 생산으로의 변화가 예상된다. 소셜미디어 주요 활동 (n=912,%) 10
  • 11. 소셜미디어의; 이용자들이 갖고 있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태도와 이용행태를 기준으로, 공통속성을 뽑아 그룹으로 구성하여 각 그룹별 대표성격을 규정하여 프로파일을 추출하였다. 6개그룹으로 구성된 각 프로파일별로 소셜미디 어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대한 공통적인 요소를 뽑아 배치했으며, 각 그룹별 중복없이 구성하여 비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Korean Social Media Profiles Profile Description Activity 작가형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만들고, 업로 동영상 업로드 드 하기 위해 사용하며, 더 좋은 퀄러티의 사진 업로드 컨텐츠를 만들어 대중의 인정을 받는 것이 블로그 포스팅 업로드 목표 UCC 업로드 의견 업로드 관계형 컨텐츠를 직접 만들기 보다는 만들어진 컨 SNS 등록(트위터, 미투데이, 미니홈피, 페 텐츠를 널리 퍼뜨리고, 공유시키기 위해 사 이스북 등 네트워킹) 용하며, 네트워킹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 메타블로그 등록 이 목표 수집형 양질의 컨텐츠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정보 검색 나 지식을 조직화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하 RSS 리더 수집/등록 며, 좋은 정보를 보유하는 것이 목표 블로그, 소셜북마크, 태그 등 활용 평가형 타인이 만들어 놓은 컨텐츠를 리뷰하고, 평 포탈 기사, 토론장 의견 리뷰/평가 가하기 위해 사용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블로그 리뷰/평가 높이는 것이 목표 동영상, 사진 등 컨텐츠 리뷰/평가 쇼핑몰 상품평 리뷰/평가 독자형 타인이 만들어 놓은 블로그나 리뷰, 동영상, 동영상/이미지 보기 사진 등을 소비하기 위해 사용하며, 단순히 블로그 포스팅 보기 보고 즐기는 것이 목적 포탈기사 보기 커뮤니티 게시판 보기 고립형 소셜미디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음 11
  • 12. 금번 조사를 통해 밝혀진 소셜미디어 프로파일별 유형별 비중을 살펴보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프로파일 그룹은 ‘수집형’(44.7%)이며, 이들은 과거의 인터넷 이용행태와 밀접히 연관이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검색 을 통해 수집된 원하는 정보를 조직화 하고, 개인적으로 보유하기 위해 관리하는 성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프로파일 그룹은 ‘독자형’(22.4%)으로 타인이 만들어 업로드한 컨텐츠를 소비하는 그룹 이다. 이들은 블로그, 커뮤니티, 동영상 등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보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통해 접근하여 보는 것 자체에 만족하는 성향을 보인다. 이 2개 그룹이 전체 이용자의 67%를 차지하고 있어 전체 소셜미디어 이용자중 1/3이 이런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컨텐츠를 자기가 직접 생산가공해 업로드하는 그룹인 ‘작가형’(7.2%)과 인적 네트워크를 중시하는 ‘관계 형’(10.2%), 컨텐츠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하는 ‘평가형’(6.7%)은 현재 비중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적 인 공유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편의성 증대로 계속 늘 것으로 기대되는 그룹이다. 프로파일 유형별 비중 (n=912,%) 12
  • 13.
  • 14. 작가형 그룹은 블로그나 동영상사이트에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가공해서 업로드 하는 것을 즐기며, 타인이 만든 컨텐츠를 퍼뜨리고 타인과 공유하는 것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은 소셜미디어를 ‘정보를 얻기 위해’(67%)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으나, 특히 ‘타인으로부터 인정받 기 위한’(10%) 욕구가 타집단 대비 가장 높아 컨텐츠를 통해 자신을 표출하고 타인의 반응을 느끼는 것에 가치를 두 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주요 활동도 이에 따라 ‘동영상, 이미지 등 컨텐츠를 직접 만들거나 제작해서 업로드 한다’(55.6%)로 정보수집 이나 리뷰 등 컨텐츠 소비보다는 생산적인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 주요 활동 (n=72,%) (n=72,%) 14
  • 15.
  • 16. 관계형 그룹의 속성은 주로 타인이 만든 컨텐츠를 인터넷상에 퍼뜨리고, 그 컨텐츠를 다른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는 것을 즐기는 유형의 집단으로, 좋은 정보나 컨텐츠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뜨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이다. 이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위해서’(79%)로 높은 편이었으나,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서’(12%), ‘친구 를 맺기 위해’(4%),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서’(3%) 등 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고 공유하기 위해 이용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 활동은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한다’(60.8%) 다음으로 대표 속성인 ‘타인의 컨텐츠를 널리 퍼 뜨리고 다른 사람과 공유한다’(28.4%)로 나타나 주로 공유하는 활동을 타 그룹 대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102,%) (n=102,%) 16
  • 17.
  • 18. 수집형 그룹의 속성은 온라인상의 좋은 컨텐츠와 정보를 얻기를 원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타인이 만든 좋은 컨텐츠 를 보유하고 소비하는데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소셜미디어의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92%)라는 답변이 전 그룹중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타인과 공유 하기 위해서’(6%)라는 응답으로 나타나 공유보다는 정보수집이 가장 큰 목적이었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주요 활동 역시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하기 위해’(96.2%)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 기타 활동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정보수집 활동에 집중된 그룹으로 주로 검색과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탐색 활동이 주요 활동이었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447,%) (n=447,%) 18
  • 19.
  • 20. 평가형 그룹은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컨텐츠와 정보에 댓글이나 답글을 적극적으로 다는 등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 관심을 보이는 집단이다. 컨텐츠를 소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긍정적/부정적인 평가를 올리고, 의견 을 개진하는 등 기존 컨텐츠에 대해 자신의 시각을 표현하는 성향이 강하다. 소셜미디어 이용목적도 기본적으로는 ‘정보를 얻기 위해’(70%)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기는 하지만, 동시에 타인과 공 유하고(16%), ‘친구를 맺거나’(9%),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5%)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주요 활동은 ‘좋은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보유’(38.8%)하는 활동과 ‘타인에 의해 만들어진 자료/정보에 댓글 등 평가를 한다’(38.8%)가 비슷한 수준으로 높아 타 그룹대비 컨텐츠를 평가하는 경향이 가장 높았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67,%) (n=67,%) 20
  • 21.
  • 22. 독자형 그룹은 블로그, 컨텐츠 리뷰, 동영상 등 주로 인터넷상의 컨텐츠를 보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주 로 올라와 있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성향이 강한 집단이다.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기 보다는 소비하는 것 자체에 관심 이 많아 원하는 정보를 찾거나 컨텐츠를 비교하는 활동 중심의 이용행태를 보인다. 이들의 이용목적은 ‘정보를 얻기 위해 이용한다’(91%)는 응답이 ‘수집형’과 비슷하게 나타나, 주로 타인의 컨텐츠를 보고 정보를 얻거나 즐기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었다. 주요 활동으로는 ‘블로그, 리뷰, 동영상 등을 보기’(50.9%)가 가장 높아 단순히 보고 즐기는 소비적인 활동이 가장 높았다. 이용목적 주요활동 (n=224,%) (n=224,%) 22
  • 23. 고립형은 1,000명의 전체 인터넷 이용자중 88명(8.8%)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소셜미디어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다고 응답한 그룹이다. 이들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30~39세 남녀가 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직업별로는 학생(33.0%)과 사무직(33.0%)이 66%를 점하고 있었다. 연령별 분포 직업별 분포 (n=88,%) 무직 10.2 주부 9.1 학생 33 생산 관련직 1.1 서비스/ 판매직 6.8 사무직 33 전문관리직 6.8 (n=88,%) 23
  • 24. 대표적인 소셜미디어로 불리우는 블로그 서비스 중에서는 ‘네이버블로그’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74.6%로 가장 높 아 서비스 편중현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검색과 연계된 컨텐츠 확산성과 이용편의성을 고려한 블로그 이용자들의 ‘네이버’사이트에 대한 의존도가 매 우 높은 것을 보여 준다. 그 다음으로는 역시 포털서비스인 ‘다음 티스토리’(12.6%)>’이글루스’(2.1%)순으로 나타 남 프로파일 그룹별로 보면, ‘네이버블로그’의 경우, 대부분 비슷했으나, 수집형(77.2%), 작가형(76.4%)이 높은 이용 율을 보였으며, ‘다음 티스토리’서비스의 경우 관계형(16.7%), 평가형(14.9%)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여 프로파일별로 이용서비스가 약간 차이가 보였다. 주 이용 블로그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네이버블로그 74.6 76.4 68.6 77.2 65.7 74.1 다음티스토리 12.6 12.5 16.7 11.6 14.9 12.1 이글루스 2.1 2.8 2.9 1.6 4.5 1.8 싸이월드 0.8 1.4 2.0 0.2 1.5 0.9 태터앤미디어 0.7 2.8 2.0 0.0 1.5 0.4 기타 1.4 0.0 1.0 1.6 1.5 1.8 없음 7.9 4.2 6.9 7.8 10.4 8.9 24
  • 25. 동영상/ 이미지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로 ‘네이버동영상서비스’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37.0%로 가장 많이 나타남 그 다음으로는 ‘다음동영상’(20.8%)>’유투브’(15.1%)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컨텐츠를 만들고 업로드하는 경향이 강한 작가형의 경우, 이용서비스가 다양했는데 ‘네 이버동영상’(30.6%)>’네이트동영상(22.2%)>’유투브’(18.1%)>’다음동영상(15.3%)의 순으로 동영상/이미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타 그룹에 비해서 ‘네이트동영상’을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계형은 타 그룹에 비해 구글 동영상서비스(6.9%)를 많이 이용했는데, 공유와 전파하기 용이한 시스템 때 문으로 보인다. 주 이용 동영상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네이버동영상 37.0 30.6 34.3 40.7 26.9 35.7 다음동영상 20.8 15.3 24.5 21.5 22.4 19.2 유투브 15.1 18.1 13.7 13.6 14.9 17.9 네이트동영상 10.5 22.2 10.8 8.5 11.9 10.3 판도라 4.5 1.4 3.9 4.5 6.0 5.4 엠군 3.9 5.6 2.9 3.8 6.0 3.6 구글 2.9 1.4 6.9 2.0 3.0 3.1 기타 1.2 4.2 0.0 1.1 1.5 0.9 없음 4.1 1.4 2.9 4.3 7.5 4.0 25
  • 26. 소셜미디어 이용자 3명중 2명은 친구, 지인과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해 주로 ‘싸이월드’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70.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표적인 소셜사이트로 역사가 깊고, 새로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아직은 국내에서 자리잡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는 학교인맥기반 네트워크 서비스인 ‘아이러브스 쿨’(6.4%)이 많았고, 해외서비스인 ’페이스북’(2.1%)순으로 나타났다. 프로파일 그룹별로 살펴보면, ‘싸이월드’서비스의 경우 작가형(81.9%), 수집형(70.2%)와 ‘아이러브 스쿨’서비스의 경우엔 관계형(10.8%), 작가형(8.3%)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 주 이용 SNS서비스(%)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70.2 81.9 66.7 70.2 62.7 70.1 싸이월드 8.3 4.5 3.6 아이러브스쿨 6.4 10.8 6.7 4.2 6.0 1.8 페이스북 2.1 2.0 1.3 0.9 링크나우 1.3 0.0 0.0 2.0 1.5 0.0 팬피 0.8 0.0 2.9 0.4 3.0 다음카페 0.2 0.0 1.0 0.2 0.0 0.0 없음 19.1 5.6 16.7 19.0 22.4 23.7 26
  • 27.
  • 28.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전체 응답자의 82.2%, 즉 10명중 8명이 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서비스 구매 시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한다고 답했으며, 1.4%만이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제품을 구매하려 할 때, 제품관련 정 보를 소셜미디어안에서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수집하기도 하고, 제품구매관련 타인의 평가,리뷰의견을 참고해 구매 를 판단하는 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역시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5.2%로 가장 높았으며, ‘관계형’이 75.5%로 가장 낮았다. 제품구매시 소셜미디어 활용도(%) 그런 편이다 75.5 79.5 82.2 81.9 85.2 82.1 보통이다 23.5 16.5 안 그런 편이다 16.3 18.1 14.1 17.9 4.0 1.0 1.4 0.0 0.7 0.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28
  • 29.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전체 응답자의 80.9%, 즉, 10명중 8명이 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구매전에 이미 브랜드를 결정한다고 답했다. 이는 제품관련 정보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탐색하고 수집하여 정 보를 분석한 후 브랜드를 결정하여 구매행동으로 옮기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역시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2.6%로 가장 높았으며, ‘평가형’이 70.1%로 가장 낮았다. 구매전 브랜드 결정(%) 그런 편이다 70.1 76.4 80.9 82.4 82.6 81.7 보통이다 25.4 16.3 22.2 12.7 14.7 안 그런 편이다 15.7 4.9 3.6 2.7 1.4 1.8 4.5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29
  • 30. 제품/서비스 구매 시에 트렌드에 영향을 받는다는 의견은 전체에서 51.2%를 차지해 2명중 1명은 트렌드에 영향 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나 네트워크안에서 이슈가 되는 제품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자신이 구매하려는 제품에 관련된 소셜미디어안의 의견을 중시한다는 의미로 판단된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컨텐츠를 생산하는 경향이 강한 ‘작가형’이 61.1%로 가장 높았으며, ‘평가형’이 46.3% 로 가장 낮았다. 구매시 트렌드 영향(%) 그런 편이다 50.1 46.3 48.7 51.2 61.1 57.8 보통이다 37.3 34.8 36.2 38.3 27.8 35.3 안 그런 편이다 16.5 12.6 6.9 16.4 11.1 11.6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0
  • 31. 제품구매행태 중 제품을 ‘오프라인에서 직접 구매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28.2%이고,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36.3%로 온라인 구매성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네트워크 관리에 집중하는 ‘관계형’이 43.1%로 가장 높아 오프라인 직접구매성향을 보였으며, ‘독자형’이 21.0%로 가장 낮았다. 특히, ‘독자형’은 ‘그렇지 않다’고 답한 비율이 39.3%)를 차지해 가장 온 라인 구매성향이 높은 그룹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탐색후 오프라인 구매(%) 21.0 그런 편이다 28.2 26.0 36.1 35.8 43.1 보통이다 39.7 35.1 35.5 31.9 32.8 32.4 안 그런 편이다 39.3 36.3 38.9 31.9 24.5 31.3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1
  • 32. 제품관련 정보가 구매에 도움이 되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83.3%가 ‘그렇다’라고 응답하였고, ‘그렇지 않다’라는 응 답은 1.0%에 불과해 구매에 매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미디어의 제품관련정보가 구매를 판단하는 데 매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모든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이 86.4%로 가장 높았으며, ‘작가형’이 77.8%로 가장 낮았다. 제품관련정보가 구매에 도움(%) 그런 편이다 77.8 79.1 80.8 83.3 82.4 86.4 보통이다 안 그런 편이다 19.4 17.9 15.7 15.7 18.3 13.4 2.0 0.9 1.0 2.8 0.2 3.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2
  • 33. 친구나 지인들과 관심상품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66.7%가 ‘그렇다’고 답해 3명중 2명이 적극적으 로 제품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5.5%에 그쳤다. 제품에 대해 서로 의견을 묻고 대답하는 데 소셜미디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많았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경향이 강한 ‘관계형’이 73.5%, ‘작가형’이 69.4%로 높았으며, 정보를 공유하기 보다는 보유하려는 경향이 강한 ‘수집형’(64.4%)과 컨텐츠를 즐기기만 하는 ‘독자형’(66.5%)이 낮았다. 지인과 관심상품에 대해 이야기(%) 그런 편이다 66.7 64.4 68.7 66.5 69.4 73.5 보통이다 27.9 30.0 26.3 안 그런 편이다 27.8 21.6 28.4 7.1 4.9 5.5 2.8 5.6 3.0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3
  • 34. 제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친구나 지인의 추천을 따른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37%가 ‘그렇다’, 45.2%가 ‘보통이다’라 고 답해 ‘안 그렇다’의 17. 5%보다 높게 나와 의견을 따라 구매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프로파일별 비중을 보면,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고 의견을 교류하는 경향이 높은 ‘관계형’이 47.1%로 가장 높 았으며, ‘수집형’과 ‘독자형’이 각각 34.5%와 37.1%로 가장 낮았다. 구매시 친구나 지인의 추천을 따른다(%) 그런 편이다 37.3 37.5 34.5 37.1 41.8 47.1 보통이다 45.2 43.1 47.4 44.6 41.8 40.2 안 그런 편이다 18.3 17.5 19.4 12.7 18.1 16.4 전 체 작가형 관계형 수집형 평가형 독자형 (n=912) (n=72) (n=102) (n=447) (n=67) (n=224) 34
  • 35. 제품/서비스 구매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로 ‘검색’서비스가 55.8%, ‘온라인쇼핑몰’이 23.1%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보듯이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가 주로 활용하는 미디어는 쇼핑몰보다는 제품관련 검색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경우가 훨씬 높다. 프로파일 그룹별 이용서비스를 살펴보면, ‘검색’서비스의 경우는 작가형(61.6%)과 수집형(61.5%)이 가장 많이 이용 했고, ‘온라인 쇼핑몰’서비스의 경우 독자형(26.8%), 관계형(24.5%), 수집형(24.4%)순으로 타 집단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이용률을 보임 특히 ‘블로그’와 ‘동영상/이미지’서비스의 경우엔, 컨텐츠 생산 성향이 높은 작가형(15.3%)과 평가형(14.9%) 에서 높 은 이용률을 보였다. 그리고, 관계형 그룹은 한 두개의 서비스에 집중하지 않고, 여러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구매시 이용 미디어 카테고리(%) 전체(n=912) 작가형(n=72) 관계형(n=102) 수집형(n=442) 평가형(n=67) 독자형(n=224) 검색 55.8 61.1 47.1 61.5 55.2 46.9 쇼핑몰 23.1 9.7 24.5 24.4 14.9 26.8 블로그 9.8 15.3 11.8 6.0 14.9 12.9 지식/음악 4.6 6.9 3.9 3.6 4.5 6.3 커뮤니티 3.1 0.0 2.0 2.9 6.0 4.0 동영상/이미지 2.4 4.2 6.9 1.1 3.0 2.2 기타 1.2 2.8 3.9 0.4 1.5 0.9 35
  • 36.
  • 37. 최근 유저들에게 각광받기 시작한 소셜미디어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이미 국내에도 100개가 넘는 기업들이 기업블로그를 개설하여 소비자와 직접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있다. 과 거 온라인 프로모션의 하나의 이벤트로 고객의 의견을 받는다든가, UCC를 만들게 한다든가 하는 소극적인 접근보 다 이제는 직접 소비자들과 친구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 때 바이럴마케팅이 마케팅업계의 화두가 되었던 때가 있었다. 브랜딩 메시지가 녹아있는 기업의 컨텐츠로 인터 넷 유저가 자발적으로 옮기고 퍼뜨리도록 유도하는 브랜딩 방법인데, 이젠 영악할대로 영악해진 소비자가 이 의도 대로 따라주지 않는다. 웹 2.0은 본래 인터넷 기술발전의 바탕위에 철학을 얹은 개념 이다. 이 개념으로 인터넷 서비스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실제로 각 기업의 서비스들도 개방과 공유, 참여를 어떻게 실현할 것인 가에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소셜미디어도 이러한 흐름속에서 새롭게 탄생한 미디어이며, 네트워크의 가치가 가장 극대화된 미디어이다. 구글의 다양한 웹서비스들과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트위터로 계승되어 활 짝 피고 있는 소셜미디어는 이제 마이너미디어가 아니라 메이 저로 기반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도 소셜미디어는 일 부 얼리어답터나 인터넷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 고, 참여자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최근 종합포털들의 개 방화 움직임은 이런 추세를 잘 보여주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마케터들에게 새로운 문제지다. 포탈, 전문포탈, 커뮤니티, 메일로 구분되어진 기존 인터넷 미디어와는 달리, 공유가치가 무엇인가에 따라 끊임없 이 분화되고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접근이 무척이나 어렵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소비자를 알면 해답이 보인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과연 누구인지, 어떻게 행동하고 구매엔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면 접근전략 을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필요성에 따라 본 보고서는 작성되었으며 전략수립의 가장 첫부분인 소셜미디어 이 용자에 대한 자료를 통해 효율적인 소셜마케팅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7
  • 38. 소셜미디어는 관계를 위한 인터넷이다. 유저는 적극적인 친구맺기를 통해 인터넷 생태계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가고 있다. 기업도 이제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고집할 게 아니라 소셜미디어 속에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그들과 긍정적 인 관계를 맺는 하나의 친구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기업이나 브랜드가 소비자와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선, 제품의 타겟이 소셜미디어 안에서 어떤 성향을 보이는 지 정확히 파악하여 그 성향에 맞는 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펼쳐야 한다.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유저의 성향을 모르고 제대로 대응을 못할 경우엔 오히려 부작용이 더 큰 경우가 많다. 그들이 누구인지 파악한 다음 만반의 준비태세를 갖추고, 소셜미디어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소셜마케팅 접근 프로세스 소셜미디어 마케팅 목표 소셜미디어 소셜마케팅 소셜미디어 및 타겟 성향조사 플랜 수립 캠페인 실행 타겟 설정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