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복지정책_140524

서울
서울Mayor of Seoul en 서울
차별없이 더불어 누리는 사람중심 도시 복지 서울“ , ”
원 순 씨 의 대 복 지 정 책1 0
2014. 5. 24.
목 차
.Ⅰ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실현
①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을2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플래너가 가정으로 찾아갑니다.
사회복지사 명 신규 채용을 통해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 2,000 2
방문간호사 명 신규채용으로 배 확충- 400 2
동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로- ・
1
② 서울시민복지기준 이행 서울형기초보장제 확대를, 통한 보편복지
실현 사람이 중심인 서울 삶이 편안한 서울 을 만들겠습니다, ‘ , ’ .
부양의무자 기준완화로 서울형기초보장제 대상자 확대-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이행-
2
민 관이 함께 참여하는・③ 복지거버넌스확립,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통해 신바람나는 복지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시민 복지기관종사자 공무원의 민 관복지거버넌스 운영- ・ ・ ・
- 복지시설 종사자 평균급여 공무원 대비 수준 달성95%
복지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실시 및 노후복지시설 리모델링 지원-
3
II. 주거복지와 금융복지까지!
④ 안심주택 만호 추가 공급8 및 서울형 주거급여를 통해
집 걱정 없는 서울로 거듭납니다.
새로운 안심주택 만호 공급 추진- 8
수요자 맞춤형 서울형 주거급여제도 강화-
주민자율참여형 주거복지 기반 강화-
4
⑤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및 청년두배통장 추진을
통해 민생을 보듬고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겠습니다, .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저소득 청년층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청년두배통장 추진- ‘ ’
5
III. 모두가 누리는 촘촘한 복지 실현
⑥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30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충 치매예방기능 강화< > 1,000 , 등을 통해 어르신
돌봄을 강화하겠습니다.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 30 100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대 개 시립의료원- 1,000 (5 )
- 치매예방 위한 기억키움학교 확대< >
- 요양보호사 돌봄지원센터 권역별 개소 설치4
어르신요양정보안내시스템 구축-
6
⑦ 장애인 탈시설화 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중증장애인, ,
활동지원 강화 등을 통해서 차별없는 도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장애인 탈시설 자립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최중증장애인 시간 활동지원 및 사례판정위원회 설치- 24
7
외국인 주민과 함께 만들고 누리는 다문화도시 서울⑧
다 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多 실현하겠습니다.
외국인 주민 인권팀 신설 및 시립 외국인주민 쉼터 설치-
사법통번역서비스 지원 확대-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장학금 지원 및 취업지원 강화-
중국동포 자립역량 강화 및 민관협의체 구성-
8
⑨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아동학대 예방 및 우리아이 주치의1,000 ,
제도를 통해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1,000
아동학대예방센터 확대 및 일시보호시설 확충-
우리아이 주치의 제도 도입- ‘ ’
9
⑩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생명중심 서울 동물도 함께,
보호받고 존중되는 서울형 동물보호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서울형 동물보호제도 구축을 통한 인도적 동물보호시스템 마련-
반려견 놀이터 조성 및 동물보호 관리 감독 강화- ・
10
- 1 -
❶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2 을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플래너가 가정으로 찾아갑니다.
현황 및 문제점󰏚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복지가 확대되는 현실에 비해 복지인력의 수는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업무과중으로 인해 복지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은 현실,
이와 같은 현실로 인해 현장 사회복지공무원의 자살 사건이 연이어 발생되었으○
며 사회복지인력의 대폭적인 확대가 불가피함,
○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과 같이 복지사각지대 문제가 매우 심각한 현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신청주의로부터 찾아가는 복지패러다임 으로의 전환 필요‘ ’
○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복지전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민 관 협력의 장 필요( )長‧
개선방안󰏚
○ 사회복지사 명 신규 채용을 통해2,000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2
찾아가는 복지플래너를 통해 적극적으로 사각지대 발굴-
신생아 출생 시 어르신 세 도달 시 사회복지사가 가정으로 방문 맞춤형- , 70 ,
복지제공
○ 방문간호사 명 신규 채용400 으로 배 확충2
동 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 로 재편
동 주민센터를 복지와 보건 주민자치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복지허브- ,
로 재편
마을 단위에서 지역사회 사회복지 종사자와 복지행정공무원이 일상적이고 체-
계적인 협력 기능 강화 필요 이를 위해 주민센터 리모델링 실시,
- 2 -
❷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이행 서울형기초보장제 확대를, 통한 보편복
지 실현 사람이 중심인 서울 삶이 편안한 서울 을 만들겠습니다, ‘ , ’ .
현황 및 문제점󰏚
중앙정부의 복지사업 및 기준은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지 않고 전국적인 평균,○
치를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대도시 서울의 특수성 반영 미흡
서울시민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 수준의 복지와 삶의 질 보장 필요○
년 마련한 시민복지기준 설정 및 재정취약 자치구 지원확대 필요- ‘12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 계층별 연령별 등 집단 간 복지서비스 수준의 격차가, ,○
심화되고 있으며 재정형편이 어려운 자치구일수록 복지비 부담이 높음,
서울형기초보장제 실시로 년 기준 비수급빈곤층 만 천명에게 복지급여 지2013 2 3○
급에도 불구하고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대상자 확대 방안 필요
개선방안󰏚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으로○ 서울형기초보장제 대상자 확대 발굴
년 최저생계비 로 선정기준 확대- 2014 80%
○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이행
년 비수급 빈곤층 지원확대를 통해 최저기준 실현 강화 적정기준 달성- 2014 ,
로드맵 마련
성과지표 개 및 추진사업 개 에 대한 평가결과 공개- (36 ) (102 )
- 3 -
❸ 민 관이 함께 참여하는・ 복지거버넌스확립,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통해 신바람나는 복지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사회복지 서비스를 생산을 주로 담당하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의견 반영 등 민・○
관 거버넌스의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부족
어려운 여건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 체계를 마련하여○
행복한 복지현장 실현 및 시민복지체감도 향상 필요
개선방안󰏚
서울시민 복지서비스 생산자 서울시청 공무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 민 관사・
회복지거버넌스 체계 구성
○ 동 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 로 재편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평균 급여가 공무원 급여의 95%에 이를 수 있도록 추진
년(2014 )
지역아동센터 및 여성복지시설 등 사회복지사 대비 임금 수준이 더 낮은 직종-
부터 처우개선 방안 마련
사회복지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 실시 및 노후복지시설에 대한 시설 리모델링
지원
- 4 -
안심주택 만호 추가공급8❹ 및 서울 형 주거급여를 통해
집 걱정 없는 서울로 거듭납 니다.
현황 및 문제점󰏚
가구 구조의 변화 인 가구 증가 평균 가구인원의 감소 년 기준 명 에(1 ), (2010 2.7 )○
따라 주택시장 소형화 임대 및 월세 중심으로 주택시장 재편,
주거비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 증대○
임차가구의 만 가구 는 소득의 이상을 주거비로 사용 만- 47.8%(98 ) 25% , 36.2%(75
가구 는 소득의 이상을 주거비로 사용) 30%
년 서울시 전세가격 평균 상승 최근 년간 상승- 2013 6.6% , 5 32.6%
개발 성장 중심에서 삶의 질을 우선하는 주거공동체 마련을 위한 지원 필요,○
개선방안󰏚
○ 새로운 안심주택 만호 공급8 추진
민간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준공공형 민간임대 주택 도입 용적률 인센티브 등- (
을 통해 민간업체 참여 확대)
소규모 토지소유자 등이 참여하는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모델 시범 도입- ‘ ’
년간 매매대금 분할납부가 가능한 분납임대주택 도입- 20~30
수요자 맞춤형○ 서울형 주거급여제도 강화를 통한 주거선택권 보장
서울형 주거급여 소득기준 완화 최저생계비 이하 를 통한 대상자 확대- ( 150% )
및 틈새계층 발굴 지원 주거급여 지원예산 단계적 확대 년 대비 년・ , (2013 2018
까지 배 수준10 )
○ 주민자율참여 주거복지 기반 강화
자치구별 주거복지지원센터 설립 지역사회 중심의 공동체 주거 문화 확립 지- ,
원 공공토지임대형 주택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
- 5 -
❺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및 청년두배통장 추진을
통해 민생을 보듬고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물가상승률에 비해 실질가계소득 증가는 답보하는 반면 주거비 교육비 등 가계・○
부담 증가하여 가계부채 조 시대 도래1,000
재무건전성 악화로 인해 중산층에서 탈락하는 가계급증 및 가계부실 심화○
청년실업의 증가 년 기준 청년고용률 살 은 에 불과 실(2013 , 8%), (15~29 ) 39.7% ,○
업과 구직활동으로 고민하고 방황하는 청년들에게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 필요
저소득 청년층의 성장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 필요○
개선방안󰏚
○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금융복지상담센터 현 개소에서 년까지 개소로 확충- 7 ‘15 10
채무조정 이외에도 일자리 임대주택 등과 연계하여 조속한 사회복귀 지원- ・
법원 법률구조공단 등과 협력하여 개인파산 회생 전담재판부 운영 효율화- ・ ‘ ・ ’
저소득청년층의 자립기반 마련 지원을 위한 ‘○ 청년두배통장 추진’
- 서울시가 저소득층 대상으로 기 추진해왔던 희망플러스통장 을 청년으로 확대‘ ’
만 세의 최저생계비 이하의 청년 명 대상- 18~35 200% 1,000
본인저축액 시비예산 민간후원 매칭 지원- (50%)+ ・ (50%)
생활경제교육과 가계부쓰기 소모임 활동을 통해 채무조정 및 재무컨설팅 병행- ,
- 6 -
❻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30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충 치매예방기능 강화< > 1,000 , 등을 통해
어르신 돌봄을 강화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공공노인요양원 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르신들이 입소 대기 중○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밤늦게까지 이용할 수 있는 데이케어센터 부족○
재가복지기관 주야간보호 의 자치구별 시설 수 차이로 인해 접근성 제약- ( )
은평구 개소 종로구 중구 개소16 , 4※ ‧
장기중증질환 어르신 가족 간병부담을 덜어주는 환자안심병원 부족○
경증치매어르신의 경우 요양시설 이용에 제약○
어르신 요양기관의 서비스의 질 이용자의 평가 대기인원 등 정보제공 시스템 부재, ,○
요양시설종사자의 약 를 차지하는 요양보호사의 고충에 대한 사회적 관심61%○
과 지원 부재
개선방안󰏚
○ 공공노인요양원 개소30 설립
양질의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노인요양원을 개소 설립하여 입소대기시- 30
간 대폭 단축
○ 데이케어센터 개소100 확충
- 프로젝트<3-TEN >를 통해 집에서 분 이내 밤 시까지 구별 최소 개10 , 10 , 10
소 이상이 될 수 있도록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확대
개 시립병원을 중심으로 보호자 없는 병상을 연차적으로 개 확대5 1,000–
○ 치매예방강화와 경증치매어르신 돌봄을 지원하기 위한 <기억키움학교 확대>
○ 요양보호사 돌봄지원센터 권역별 개소 설립4
○ 어르신 요양정보 안내시스템 구축
어르신 요양기관 서비스의 질 이용자의 평가 대기인원 등 정보 제공- , ,
- 7 -
❼ 장애인 탈시설화 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중증장애인 활, ,
동지원 강화 등을 통해서 차별없는 도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시설중심의 복지에서 지역사회 기반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형태로 복지패러다○
임 전환
장애인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교육 인프라 및 프로그램 지원 부족○
장애인 활동보조 서비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상해 사망 등 발생,○
개선방안󰏚
○ 장애인 탈시설 추진 및 자립지원
향후 년 이내 전체 거주시설 장애인의 약 명 까지 탈시설 추진- 5 20%( 600 )
자립생활공동체 체험홈 자립생활가정 공동생활가정 개인독립가정 마련- , , , ,
○ 장애인 학습센터 설립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비 지원・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설치 및 맞춤형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 복합문화공간- 어울림 플라자< > 건립
최중증 장애인○ 시간 활동지원24
○ 장애인인권증진기본계획 이행을 통해 장애인 대상별 맞춤형 지원 확대 및 장애
인 이동권 강화 일자리 확충,
장애인 단체 및 장애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운영
- 8 -
❽ 이주 외국인 주민과 함께 만들고 누리는 다문화도시 서울・ ,
다 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多 실현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년 기준 서울시 외국인 주민의 수는 약 만 명 서울 인구의 에 해당2013 40 , 3.9%○
근로자 외국국적동포 결혼이민자 유학생29%, 20%, 12, 7%※
이주 외국인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선진 다문화도시・○
정책 미흡
개선방안󰏚
○ 외국인주민 인권팀 신설로 효율적인 인권정책 추진 기반 조성
○ 시립 외국인주민쉼터 설치
당장 거처 확보가 어려운 외국이 주민을 위해 권역별 개소 설치- 1
○ 외국인주민 대표자회의 신설로 외국인 주민참여제도 확장
○ 사법통번역서비스 지원 확대
사법통번역사 양성 외국인주민 법적 분쟁 발생 시 통번역 지원- ,
결혼이민자 및 자녀에○ 장학금 지급 등 지원 확대
- 결혼이민자 본인과 자녀의 자립과 정착지원을 위해 대학생 결혼이민자
장학금 연 명에게 지급50
중도입국자녀들을 위한 전문취업교육 및 일자리 연계-
자방자치단체 최초로○ 외국인유학생 종합상담지원센터 설치 년 개소(‘16 )
○ 중국동포 자립역량 강화 및 민관협의체 구성
서남권 글로벌센터를 중국동포 거점 지원센터로 운영-
- 9 -
❾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아동학대 예방 및 우리아이 주치의1,000 , ‘ ’
제도를 통해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년 기준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의 에 불과하며 국공립어린2013 11.1% ,○
이집의 대기자가 만 명에 달하고 있어서 입소까지 년의 시간이 걸림10 2~3
아동학대 예방 및○ 방과후 아동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인프라 확충 필요
아동의 출생부터 성장과정별 건강관리의 책임을 사회가 함께 나눌 수 있는 환○
경 조성 필요
개선방안󰏚
○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1,000
공공유휴공간 및 도시공원 활용 공동주택 의무보육시설 국공립화 기업 등의- , ,
무상공간 등을 활용한 민 관연대방식으로 확충・
“○ 아동학대 없는 도시 서울 프로젝트”
지역 아동학대예방센터 확대 설치 구별 개소- ( 1 )
학대 피해아동 긴급보호와 치료를 위한 일시보호시설 확충-
○ 방과후 아동돌봄 공공책임제 시행
- 공공 방과후 지원센터 허브기관 지정 및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강화
세 아동에 대한0~12 “○ 우리아이 주치의 제도” 도입
지역병원들과의 민 관협력 방식을 통한 주치의 제도 실시- ・
- 10 -
❿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생명중심 서울 동물도 함께 보호받고,
존중되는 서울형 동물보호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서울시 반려동물 가구의 비율은 에 이르며 동물의 권익에 대한 관심이 지27% ,○
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추세
인간의 동반자로서 동물이 존중과 보호를 받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인간○
과 동물의 올바른 관계 정립 필요
연간 만 천여 건의 발견된 동물 발생 반려동물 유기 및 비인도적 동물학대1 5 ‘ ’ .○
사건을 방지하는 한편 유기된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필요,
개선방안󰏚
○ 서울형 동물보호제도 구축을 통한 인도적 동물보호시스템 마련
권역별 직영 동물보호센터 개소 설치 및 길고양이 관리방안 인도적 개선- 4
동물쇼 동물체험관 동물복지 가이드라인 마련- ・
발견된 동물 분양센터 확대 및 온라인 입양사이트 운영- ‘ ’
인간과 동물이 함께 쉴 수 있는 반려동물이 목줄 없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조성
년 개소 시범운영 년 연간 개소 설치 총 개소 마련- 2013 1 , 2014, 2015 2 ( 5 )
○ 동물보호를 위한 관리 감독 강화・
동물보호감시원의 활동을 지원하고 동물보호 구조 신고 교육 홍보 등을 담당- ・ ・ ・
하는 동물명예감시원 확충
비인도적 동물학대에 대한 시민감시 체계 구축-

Recomendados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por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
박원순 후보 정책공약집_60개 공약(종합)_140516서울
10.7K vistas80 diapositivas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por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
[공약 발표] 원순씨의 12대 문화관광정책_140527서울
1.9K vistas15 diapositivas
박근혜 대통령 18대 대선 공약집 por
박근혜 대통령 18대 대선 공약집박근혜 대통령 18대 대선 공약집
박근혜 대통령 18대 대선 공약집Wan Heo
53K vistas398 diapositivas
[서울시 청년정책] 2020 서울형 청년보장 por
[서울시 청년정책] 2020 서울형 청년보장[서울시 청년정책] 2020 서울형 청년보장
[서울시 청년정책] 2020 서울형 청년보장서울
3.6K vistas45 diapositivas
오세훈에 대한 국민감사청구 캠페인 돌입 por
오세훈에 대한 국민감사청구 캠페인 돌입오세훈에 대한 국민감사청구 캠페인 돌입
오세훈에 대한 국민감사청구 캠페인 돌입biolbam
342 vistas2 diapositivas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por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
[공약 발표] 원순씨의 6대 청년 정책_140523서울
1.3K vistas8 diapositivas

Más contenido relacionado

La actualidad más candente

안철수의 약속 por
안철수의 약속안철수의 약속
안철수의 약속jinsimcamp
576 vistas9 diapositivas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por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Sungkyu Lee
893 vistas29 diapositivas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por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biolbam
1.5K vistas182 diapositivas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por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서울
1.3K vistas22 diapositivas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por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태영 이
877 vistas19 diapositivas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por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ahncs
2.5K vistas4 diapositivas

La actualidad más candente(19)

안철수의 약속 por jinsimcamp
안철수의 약속안철수의 약속
안철수의 약속
jinsimcamp576 vistas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por Sungkyu Lee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정책설명자료집 ‘서울을 바꾸는 박원순의 희망셈법’
Sungkyu Lee893 vistas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por biolbam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참여연대 제17차 정기총회 자료집
biolbam1.5K vistas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por 서울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150407 정책 엑스포 기조연설 ppt
서울1.3K vistas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por 태영 이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녹색당 전환서울 2030 ver.0.1 (2015.12)
태영 이877 vistas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por ahncs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안철수의원 2014의정보고서최종
ahncs2.5K vistas
'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 por 서울
'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
'노동존중특별시 서울 2016' 기자설명회
서울1.2K vistas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por 복지 세상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2015-10 복지세상 뉴스레터
복지 세상1.2K vistas
푸른부천환경코디네아터 교육 por lee won don
푸른부천환경코디네아터 교육푸른부천환경코디네아터 교육
푸른부천환경코디네아터 교육
lee won don946 vistas
환경논총 제53권 por EPISNU
환경논총 제53권환경논총 제53권
환경논총 제53권
EPISNU76 vistas
2015 함께서울 정책박람회 기자설명회 por 서울
2015 함께서울 정책박람회 기자설명회2015 함께서울 정책박람회 기자설명회
2015 함께서울 정책박람회 기자설명회
서울1.5K vistas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por 승지 김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탐방계획서]유럽의 청년 취농 시스템 탐방 및 한국형 모델 모색
승지 김3.6K vistas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por 성훈 김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160614 국회 김현권 의원 보도자료 청년 농업 일자리 창출 방안
성훈 김9.8K vistas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por C.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행사자료집
C.188 vistas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por seekly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시장학교 특강 박원순
seekly1K vistas
환경논총 제55권 por EPISNU
환경논총 제55권환경논총 제55권
환경논총 제55권
EPISNU106 vistas
이병완 광주광역시장 후보 선거공보물 por 병완 이
이병완 광주광역시장 후보 선거공보물이병완 광주광역시장 후보 선거공보물
이병완 광주광역시장 후보 선거공보물
병완 이1.2K vistas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por C.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제4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최선영_품위 있고 인간다운 삶을 위한 주거서비스의 변화!
C.292 vistas

Destacado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por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Hanho Noh
1.6K vistas23 diapositivas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 por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cbs15min
2.1K vistas45 diapositivas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 por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DREAMTERMINAL0110
1.1K vistas30 diapositivas
디미컨 por
디미컨디미컨
디미컨tae1141
1K vistas26 diapositivas
20140516_공약발표자료 por
20140516_공약발표자료20140516_공약발표자료
20140516_공약발표자료서울
43.8K vistas43 diapositivas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 por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hyein1227
392 vistas14 diapositivas

Destacado(6)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por Hanho Noh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ASA-K 10월 회의 벤치마킹ppt (명지대 새빛모리)
Hanho Noh1.6K vistas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 por cbs15min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
세바시 15분 표창원 프로파일러, 경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 - 아동학대로부터 비롯되는 것들
cbs15min2.1K vistas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 por DREAMTERMINAL0110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
아동학대 근절 '십시일반' 캠페인
DREAMTERMINAL01101.1K vistas
디미컨 por tae1141
디미컨디미컨
디미컨
tae11411K vistas
20140516_공약발표자료 por 서울
20140516_공약발표자료20140516_공약발표자료
20140516_공약발표자료
서울43.8K vistas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 por hyein1227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
1414003 이혜인 개인과제
hyein1227392 vistas

Similar a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복지정책_140524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por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
3.1K vistas34 diapositivas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por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지협 전
821 vistas2 diapositivas
2013년 달라지는 제도 por
2013년 달라지는 제도2013년 달라지는 제도
2013년 달라지는 제도JONGNO-GU Office
1K vistas68 diapositivas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 por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JunSeop Lee
2.3K vistas12 diapositivas
Aneraofhappiness por
AneraofhappinessAneraofhappiness
AneraofhappinessPower.SW
192 vistas24 diapositivas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por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JunSeop Lee
1.1K vistas16 diapositivas

Similar a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복지정책_140524(20)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por 서울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시 베이비부머 응원_종합계획
서울3.1K vistas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por 지협 전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각 후보 공약비교 2
지협 전821 vistas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 por JunSeop Lee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을 바라며 18대 대선 아동정책발표회 PPT
JunSeop Lee2.3K vistas
Aneraofhappiness por Power.SW
AneraofhappinessAneraofhappiness
Aneraofhappiness
Power.SW192 vistas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por JunSeop Lee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I(아이)와 통하는 대통령' 제18대 대선 아동정책 제안서
JunSeop Lee1.1K vistas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por C.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기조_민소영_우리나라지원주택평가과제
C.54 vistas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5_이승연_서울시 독립지원주택 시범사업 por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5_이승연_서울시 독립지원주택 시범사업[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5_이승연_서울시 독립지원주택 시범사업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5_이승연_서울시 독립지원주택 시범사업
C.18 vistas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승연_서울시 정신장애인  독립주거 모델 제안 por C.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승연_서울시 정신장애인  독립주거 모델 제안[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승연_서울시 정신장애인  독립주거 모델 제안
[제1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3_이승연_서울시 정신장애인  독립주거 모델 제안
C.22 vistas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por Jaejung Lee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고양무지개연대2.0 시민후보 당선자 간담회 자료
Jaejung Lee881 vistas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por 서울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공약 발표]50대를 위한 원순씨의 약속_140527
서울1.8K vistas
Together With 사업계획서 por JAE HYUN KIM
 Together With 사업계획서 Together With 사업계획서
Together With 사업계획서
JAE HYUN KIM593 vistas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por Smith Kim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심용옥후보공보물(제출본)
Smith Kim1.1K vistas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por C.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제2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2_이은정_지원주택
C.54 vistas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선영_품위있고 인간다운 삶을 ᄋ... por C.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선영_품위있고 인간다운 삶을 ᄋ...[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선영_품위있고 인간다운 삶을 ᄋ...
[제3회 지원주택 컨퍼런스] 세션1_최선영_품위있고 인간다운 삶을 ᄋ...
C.37 vistas
2014년 청소년사업 안내 por 지혜 김
2014년 청소년사업 안내2014년 청소년사업 안내
2014년 청소년사업 안내
지혜 김2K vistas
10대정책2 por 숙영 김
10대정책210대정책2
10대정책2
숙영 김323 vistas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por 서울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공약] 101개의 프러포즈_140528
서울1.9K vistas
이수근 예비후보자홍보물 por gimgungaenom
이수근 예비후보자홍보물이수근 예비후보자홍보물
이수근 예비후보자홍보물
gimgungaenom1.4K vistas

Más de 서울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por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서울
789 vistas29 diapositivas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por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서울
680 vistas38 diapositivas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por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서울
2.3K vistas42 diapositivas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por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서울
1K vistas31 diapositivas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por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서울
1.2K vistas28 diapositivas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por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서울
2.5K vistas41 diapositivas

Más de 서울(20)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por 서울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서울시 '근로자이사제' 도입 기자설명회
서울789 vistas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por 서울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중국 장강상학원(CKGSB) 박사과정학생 간담회 강연
서울680 vistas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por 서울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역세권 2030 청년주택 기자설명회
서울2.3K vistas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por 서울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2016 서울시 평생학습 종합계획
서울1K vistas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por 서울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2016 서울시 청년일자리 종합계획
서울1.2K vistas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por 서울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서울 디지털기본계획2020
서울2.5K vistas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por 서울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현대자동차부지 개발방향 기자설명회
서울1K vistas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por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경제민주화특별시 서울
서울906 vistas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por 서울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서울역 7017 프로젝트 기본설계안 기자설명회
서울1.2K vistas
다시-세운 프로젝트 por 서울
다시-세운 프로젝트다시-세운 프로젝트
다시-세운 프로젝트
서울4.5K vistas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por 서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강연 (서울형 창조경제)
서울778 vistas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por 서울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한강 자연성회복 및 관광자원화 추진 방안
서울1.1K vistas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por 서울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2030이 행복한 서울, '서울리츠'로 만들겠습니다
서울2.7K vistas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por 서울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소통으로 만드는 '함께 행복한 삶의 특별시 서울' - 박원순의 소통철학과 소통시정
서울1.3K vistas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por 서울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창업하기 좋은 도시 서울' - 그간 추진실적 및 '15년 지원계획
서울2.3K vistas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por 서울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서울의료원 9대 혁신 방안
서울3K vistas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por 서울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시설공단 10대 혁신 방안
서울5.5K vistas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por 서울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2015 서울시 탄탄튼튼 예산(안) 25조 5526억원 편성
서울1.7K vistas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por 서울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서울시정 4개년 계획(14.09.04)
서울1.8K vistas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por 서울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공약 발표] 수색역 일대 서북권 광역중심시 육성 계획_140524
서울1K vistas

[공약 발표] 원순씨의 10대 복지정책_140524

  • 1. 차별없이 더불어 누리는 사람중심 도시 복지 서울“ , ” 원 순 씨 의 대 복 지 정 책1 0 2014. 5. 24.
  • 2. 목 차 .Ⅰ 복지사각지대 해소 및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실현 ①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을2 통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플래너가 가정으로 찾아갑니다. 사회복지사 명 신규 채용을 통해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 2,000 2 방문간호사 명 신규채용으로 배 확충- 400 2 동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로- ・ 1 ② 서울시민복지기준 이행 서울형기초보장제 확대를, 통한 보편복지 실현 사람이 중심인 서울 삶이 편안한 서울 을 만들겠습니다, ‘ , ’ . 부양의무자 기준완화로 서울형기초보장제 대상자 확대-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이행- 2 민 관이 함께 참여하는・③ 복지거버넌스확립,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통해 신바람나는 복지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시민 복지기관종사자 공무원의 민 관복지거버넌스 운영- ・ ・ ・ - 복지시설 종사자 평균급여 공무원 대비 수준 달성95% 복지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실시 및 노후복지시설 리모델링 지원- 3 II. 주거복지와 금융복지까지! ④ 안심주택 만호 추가 공급8 및 서울형 주거급여를 통해 집 걱정 없는 서울로 거듭납니다. 새로운 안심주택 만호 공급 추진- 8 수요자 맞춤형 서울형 주거급여제도 강화- 주민자율참여형 주거복지 기반 강화- 4 ⑤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및 청년두배통장 추진을 통해 민생을 보듬고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겠습니다, .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저소득 청년층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청년두배통장 추진- ‘ ’ 5
  • 3. III. 모두가 누리는 촘촘한 복지 실현 ⑥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30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충 치매예방기능 강화< > 1,000 , 등을 통해 어르신 돌봄을 강화하겠습니다.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 30 100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대 개 시립의료원- 1,000 (5 ) - 치매예방 위한 기억키움학교 확대< > - 요양보호사 돌봄지원센터 권역별 개소 설치4 어르신요양정보안내시스템 구축- 6 ⑦ 장애인 탈시설화 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중증장애인, , 활동지원 강화 등을 통해서 차별없는 도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장애인 탈시설 자립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최중증장애인 시간 활동지원 및 사례판정위원회 설치- 24 7 외국인 주민과 함께 만들고 누리는 다문화도시 서울⑧ 다 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多 실현하겠습니다. 외국인 주민 인권팀 신설 및 시립 외국인주민 쉼터 설치- 사법통번역서비스 지원 확대- 결혼이민자와 자녀의 장학금 지원 및 취업지원 강화- 중국동포 자립역량 강화 및 민관협의체 구성- 8 ⑨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아동학대 예방 및 우리아이 주치의1,000 , 제도를 통해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1,000 아동학대예방센터 확대 및 일시보호시설 확충- 우리아이 주치의 제도 도입- ‘ ’ 9 ⑩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생명중심 서울 동물도 함께, 보호받고 존중되는 서울형 동물보호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서울형 동물보호제도 구축을 통한 인도적 동물보호시스템 마련- 반려견 놀이터 조성 및 동물보호 관리 감독 강화- ・ 10
  • 4. - 1 - ❶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2 을 통해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복지플래너가 가정으로 찾아갑니다. 현황 및 문제점󰏚 ○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복지가 확대되는 현실에 비해 복지인력의 수는 증가하지 않고 있으며 업무과중으로 인해 복지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이 매우 높은 현실, 이와 같은 현실로 인해 현장 사회복지공무원의 자살 사건이 연이어 발생되었으○ 며 사회복지인력의 대폭적인 확대가 불가피함, ○ 송파 세모녀 자살 사건과 같이 복지사각지대 문제가 매우 심각한 현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신청주의로부터 찾아가는 복지패러다임 으로의 전환 필요‘ ’ ○ 지역사회 기반의 사회복지전달체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민 관 협력의 장 필요( )長‧ 개선방안󰏚 ○ 사회복지사 명 신규 채용을 통해2,000 사회복지인력 배 확충2 찾아가는 복지플래너를 통해 적극적으로 사각지대 발굴- 신생아 출생 시 어르신 세 도달 시 사회복지사가 가정으로 방문 맞춤형- , 70 , 복지제공 ○ 방문간호사 명 신규 채용400 으로 배 확충2 동 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 로 재편 동 주민센터를 복지와 보건 주민자치 기능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복지허브- , 로 재편 마을 단위에서 지역사회 사회복지 종사자와 복지행정공무원이 일상적이고 체- 계적인 협력 기능 강화 필요 이를 위해 주민센터 리모델링 실시,
  • 5. - 2 - ❷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이행 서울형기초보장제 확대를, 통한 보편복 지 실현 사람이 중심인 서울 삶이 편안한 서울 을 만들겠습니다, ‘ , ’ . 현황 및 문제점󰏚 중앙정부의 복지사업 및 기준은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지 않고 전국적인 평균,○ 치를 기준으로 하기때문에 대도시 서울의 특수성 반영 미흡 서울시민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 수준의 복지와 삶의 질 보장 필요○ 년 마련한 시민복지기준 설정 및 재정취약 자치구 지원확대 필요- ‘12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 계층별 연령별 등 집단 간 복지서비스 수준의 격차가, ,○ 심화되고 있으며 재정형편이 어려운 자치구일수록 복지비 부담이 높음, 서울형기초보장제 실시로 년 기준 비수급빈곤층 만 천명에게 복지급여 지2013 2 3○ 급에도 불구하고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대상자 확대 방안 필요 개선방안󰏚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으로○ 서울형기초보장제 대상자 확대 발굴 년 최저생계비 로 선정기준 확대- 2014 80% ○ 서울시민복지기준 완전 이행 년 비수급 빈곤층 지원확대를 통해 최저기준 실현 강화 적정기준 달성- 2014 , 로드맵 마련 성과지표 개 및 추진사업 개 에 대한 평가결과 공개- (36 ) (102 )
  • 6. - 3 - ❸ 민 관이 함께 참여하는・ 복지거버넌스확립, 사회복지사 처우개선을 통해 신바람나는 복지환경을 조성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사회복지 서비스를 생산을 주로 담당하는 사회복지 종사자의 의견 반영 등 민・○ 관 거버넌스의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 인프라 부족 어려운 여건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 체계를 마련하여○ 행복한 복지현장 실현 및 시민복지체감도 향상 필요 개선방안󰏚 서울시민 복지서비스 생산자 서울시청 공무원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 민 관사・ 회복지거버넌스 체계 구성 ○ 동 주민센터를 민 관협력 복지허브‧ 로 재편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평균 급여가 공무원 급여의 95%에 이를 수 있도록 추진 년(2014 ) 지역아동센터 및 여성복지시설 등 사회복지사 대비 임금 수준이 더 낮은 직종- 부터 처우개선 방안 마련 사회복지시설 전반에 대한○ 안전진단 실시 및 노후복지시설에 대한 시설 리모델링 지원
  • 7. - 4 - 안심주택 만호 추가공급8❹ 및 서울 형 주거급여를 통해 집 걱정 없는 서울로 거듭납 니다. 현황 및 문제점󰏚 가구 구조의 변화 인 가구 증가 평균 가구인원의 감소 년 기준 명 에(1 ), (2010 2.7 )○ 따라 주택시장 소형화 임대 및 월세 중심으로 주택시장 재편, 주거비 상승에 따른 가계 부담 증대○ 임차가구의 만 가구 는 소득의 이상을 주거비로 사용 만- 47.8%(98 ) 25% , 36.2%(75 가구 는 소득의 이상을 주거비로 사용) 30% 년 서울시 전세가격 평균 상승 최근 년간 상승- 2013 6.6% , 5 32.6% 개발 성장 중심에서 삶의 질을 우선하는 주거공동체 마련을 위한 지원 필요,○ 개선방안󰏚 ○ 새로운 안심주택 만호 공급8 추진 민간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준공공형 민간임대 주택 도입 용적률 인센티브 등- ( 을 통해 민간업체 참여 확대) 소규모 토지소유자 등이 참여하는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모델 시범 도입- ‘ ’ 년간 매매대금 분할납부가 가능한 분납임대주택 도입- 20~30 수요자 맞춤형○ 서울형 주거급여제도 강화를 통한 주거선택권 보장 서울형 주거급여 소득기준 완화 최저생계비 이하 를 통한 대상자 확대- ( 150% ) 및 틈새계층 발굴 지원 주거급여 지원예산 단계적 확대 년 대비 년・ , (2013 2018 까지 배 수준10 ) ○ 주민자율참여 주거복지 기반 강화 자치구별 주거복지지원센터 설립 지역사회 중심의 공동체 주거 문화 확립 지- , 원 공공토지임대형 주택협동조합 육성 및 지원,
  • 8. - 5 - ❺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및 청년두배통장 추진을 통해 민생을 보듬고 청년들의 자립을 지원하겠습니다, . 현황 및 문제점󰏚 물가상승률에 비해 실질가계소득 증가는 답보하는 반면 주거비 교육비 등 가계・○ 부담 증가하여 가계부채 조 시대 도래1,000 재무건전성 악화로 인해 중산층에서 탈락하는 가계급증 및 가계부실 심화○ 청년실업의 증가 년 기준 청년고용률 살 은 에 불과 실(2013 , 8%), (15~29 ) 39.7% ,○ 업과 구직활동으로 고민하고 방황하는 청년들에게 사회적 지원체계 마련 필요 저소득 청년층의 성장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마련 필요○ 개선방안󰏚 ○ 금융복지상담센터 확대 운영 금융복지상담센터 현 개소에서 년까지 개소로 확충- 7 ‘15 10 채무조정 이외에도 일자리 임대주택 등과 연계하여 조속한 사회복귀 지원- ・ 법원 법률구조공단 등과 협력하여 개인파산 회생 전담재판부 운영 효율화- ・ ‘ ・ ’ 저소득청년층의 자립기반 마련 지원을 위한 ‘○ 청년두배통장 추진’ - 서울시가 저소득층 대상으로 기 추진해왔던 희망플러스통장 을 청년으로 확대‘ ’ 만 세의 최저생계비 이하의 청년 명 대상- 18~35 200% 1,000 본인저축액 시비예산 민간후원 매칭 지원- (50%)+ ・ (50%) 생활경제교육과 가계부쓰기 소모임 활동을 통해 채무조정 및 재무컨설팅 병행- ,
  • 9. - 6 - ❻ 공공노인요양원 개소 설립30 및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 환자안심병원 병상 확충 치매예방기능 강화< > 1,000 , 등을 통해 어르신 돌봄을 강화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공공노인요양원 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르신들이 입소 대기 중○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서 밤늦게까지 이용할 수 있는 데이케어센터 부족○ 재가복지기관 주야간보호 의 자치구별 시설 수 차이로 인해 접근성 제약- ( ) 은평구 개소 종로구 중구 개소16 , 4※ ‧ 장기중증질환 어르신 가족 간병부담을 덜어주는 환자안심병원 부족○ 경증치매어르신의 경우 요양시설 이용에 제약○ 어르신 요양기관의 서비스의 질 이용자의 평가 대기인원 등 정보제공 시스템 부재, ,○ 요양시설종사자의 약 를 차지하는 요양보호사의 고충에 대한 사회적 관심61%○ 과 지원 부재 개선방안󰏚 ○ 공공노인요양원 개소30 설립 양질의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노인요양원을 개소 설립하여 입소대기시- 30 간 대폭 단축 ○ 데이케어센터 개소100 확충 - 프로젝트<3-TEN >를 통해 집에서 분 이내 밤 시까지 구별 최소 개10 , 10 , 10 소 이상이 될 수 있도록 데이케어센터 개소 확충100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확대 개 시립병원을 중심으로 보호자 없는 병상을 연차적으로 개 확대5 1,000– ○ 치매예방강화와 경증치매어르신 돌봄을 지원하기 위한 <기억키움학교 확대> ○ 요양보호사 돌봄지원센터 권역별 개소 설립4 ○ 어르신 요양정보 안내시스템 구축 어르신 요양기관 서비스의 질 이용자의 평가 대기인원 등 정보 제공- , ,
  • 10. - 7 - ❼ 장애인 탈시설화 지원 장애인평생학습센터 설립 중증장애인 활, , 동지원 강화 등을 통해서 차별없는 도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시설중심의 복지에서 지역사회 기반의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형태로 복지패러다○ 임 전환 장애인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장애인교육 인프라 및 프로그램 지원 부족○ 장애인 활동보조 서비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상해 사망 등 발생,○ 개선방안󰏚 ○ 장애인 탈시설 추진 및 자립지원 향후 년 이내 전체 거주시설 장애인의 약 명 까지 탈시설 추진- 5 20%( 600 ) 자립생활공동체 체험홈 자립생활가정 공동생활가정 개인독립가정 마련- , , , , ○ 장애인 학습센터 설립 및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운영비 지원・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설치 및 맞춤형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 장애인과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 복합문화공간- 어울림 플라자< > 건립 최중증 장애인○ 시간 활동지원24 ○ 장애인인권증진기본계획 이행을 통해 장애인 대상별 맞춤형 지원 확대 및 장애 인 이동권 강화 일자리 확충, 장애인 단체 및 장애인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거버넌스 운영
  • 11. - 8 - ❽ 이주 외국인 주민과 함께 만들고 누리는 다문화도시 서울・ , 다 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多 실현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년 기준 서울시 외국인 주민의 수는 약 만 명 서울 인구의 에 해당2013 40 , 3.9%○ 근로자 외국국적동포 결혼이민자 유학생29%, 20%, 12, 7%※ 이주 외국인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선진 다문화도시・○ 정책 미흡 개선방안󰏚 ○ 외국인주민 인권팀 신설로 효율적인 인권정책 추진 기반 조성 ○ 시립 외국인주민쉼터 설치 당장 거처 확보가 어려운 외국이 주민을 위해 권역별 개소 설치- 1 ○ 외국인주민 대표자회의 신설로 외국인 주민참여제도 확장 ○ 사법통번역서비스 지원 확대 사법통번역사 양성 외국인주민 법적 분쟁 발생 시 통번역 지원- , 결혼이민자 및 자녀에○ 장학금 지급 등 지원 확대 - 결혼이민자 본인과 자녀의 자립과 정착지원을 위해 대학생 결혼이민자 장학금 연 명에게 지급50 중도입국자녀들을 위한 전문취업교육 및 일자리 연계- 자방자치단체 최초로○ 외국인유학생 종합상담지원센터 설치 년 개소(‘16 ) ○ 중국동포 자립역량 강화 및 민관협의체 구성 서남권 글로벌센터를 중국동포 거점 지원센터로 운영-
  • 12. - 9 - ❾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 아동학대 예방 및 우리아이 주치의1,000 , ‘ ’ 제도를 통해 어린이가 건강하고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년 기준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은 전체의 에 불과하며 국공립어린2013 11.1% ,○ 이집의 대기자가 만 명에 달하고 있어서 입소까지 년의 시간이 걸림10 2~3 아동학대 예방 및○ 방과후 아동돌봄 공백 해소를 위한 인프라 확충 필요 아동의 출생부터 성장과정별 건강관리의 책임을 사회가 함께 나눌 수 있는 환○ 경 조성 필요 개선방안󰏚 ○ 국공립어린이집 개소 확충1,000 공공유휴공간 및 도시공원 활용 공동주택 의무보육시설 국공립화 기업 등의- , , 무상공간 등을 활용한 민 관연대방식으로 확충・ “○ 아동학대 없는 도시 서울 프로젝트” 지역 아동학대예방센터 확대 설치 구별 개소- ( 1 ) 학대 피해아동 긴급보호와 치료를 위한 일시보호시설 확충- ○ 방과후 아동돌봄 공공책임제 시행 - 공공 방과후 지원센터 허브기관 지정 및 지역아동센터의 공공성 강화 세 아동에 대한0~12 “○ 우리아이 주치의 제도” 도입 지역병원들과의 민 관협력 방식을 통한 주치의 제도 실시- ・
  • 13. - 10 - ❿ 사람과 동물이 함께 행복한 생명중심 서울 동물도 함께 보호받고, 존중되는 서울형 동물보호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현황 및 문제점󰏚 서울시 반려동물 가구의 비율은 에 이르며 동물의 권익에 대한 관심이 지27% ,○ 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추세 인간의 동반자로서 동물이 존중과 보호를 받는 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인간○ 과 동물의 올바른 관계 정립 필요 연간 만 천여 건의 발견된 동물 발생 반려동물 유기 및 비인도적 동물학대1 5 ‘ ’ .○ 사건을 방지하는 한편 유기된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필요, 개선방안󰏚 ○ 서울형 동물보호제도 구축을 통한 인도적 동물보호시스템 마련 권역별 직영 동물보호센터 개소 설치 및 길고양이 관리방안 인도적 개선- 4 동물쇼 동물체험관 동물복지 가이드라인 마련- ・ 발견된 동물 분양센터 확대 및 온라인 입양사이트 운영- ‘ ’ 인간과 동물이 함께 쉴 수 있는 반려동물이 목줄 없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반려견 놀이터 조성 년 개소 시범운영 년 연간 개소 설치 총 개소 마련- 2013 1 , 2014, 2015 2 ( 5 ) ○ 동물보호를 위한 관리 감독 강화・ 동물보호감시원의 활동을 지원하고 동물보호 구조 신고 교육 홍보 등을 담당- ・ ・ ・ 하는 동물명예감시원 확충 비인도적 동물학대에 대한 시민감시 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