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EDITION
2010 APRIL 2 Vol.55
저작권 공지
본 PDF 문서에 실린 글, 그림, 사진 등 저작권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
은 모든 자료는 발행사인 (주)동아일보사에 저작권이 있으며, 사전
동의 없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본 PDF 문서는 동아비즈니스리뷰 독자 및 www.dongabiz.com 회
원에게 (주)동아일보사가 제공하는 것으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
니다. (주)동아일보사의 허락 없이 PDF문서를 온라인 사이트 등에
무단 게재, 전재하거나 유포할 수 없습니다. 본 파일 중 일부 기능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Biz Blogosphere
1 2
3 4
New Museum의 단계별 광고
함축: 함축적인 메시지와 함께 연상할 수 있는 심벌을 노출한다.
네이버의 녹색 검색 창(그린 윈도우)에 ‘DBR’이 적혀 있다. 이는 ‘네이버 검색 창에 DBR을 입력하고 검색 결과를 확인하세
요’이라는 뜻이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한국인은 이 심벌의 의미를 안다. 이는 마케팅의 기본인 함축과 반복을 통
해 학습된 결과다. 이처럼 함축과 반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는 전설적인 광고 캠페인으로 꼽히는 앱솔루트 보드카의
초기 광고다. 이 광고는 제품 이미지와 함께 ‘ABSOLUT ATTRACTION’이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ATTRACTION은 후속
광고에서 다른 단어로 대체됐지만 ABSOLUT는 그대로 유지했다. 앞서 언
급한 네이버의 그린윈도우도 처음엔 그린윈도우와 더불어 ‘NAVER 검색
함축과 반복… 창에 ________를 쳐보세요’라는 광고 문구를 내보냈다.
심벌이 친구가 된다 반복: 비주얼 메시지가 카피를 대신할 수 있을 때까지
앱솔루트는 이런 방식의 광고를 25년간 반복했고, 네이버는 8년을 반복
했다. 앱솔루트는 광고를 시작한 1981년 이후 10년 만에 150배로 성장했
Gomting 블로거 http://theothers.tistory.com
고, 네이버도 한국의 대표 검색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했다.
물론 반복은 익숙함을 경계해야 한다. 반복은 메시지를 고객의 눈에 더 이
상 보이지 않는 투명 물체로 만든다. 따라서 앱솔루트는 병의 형태만 유지하고 예술, 패션, 도시 등의 이미지를 번갈아가
며 사용했듯 핵심은 유지하되 표현 방법은 변화해야 한다.
뉴욕에서 만난 심벌릭 마케팅의 진수: New Museum
이처럼 함축과 반복으로 마케팅을 펼친 사례가 또 있다. 미국 뉴욕에 새롭게 문을 연 현대미술관인 ‘뉴 뮤지엄(New
Museum)’이다. 건물 외관(사진1)은 네모 블록을 엉성하게 쌓아놓은 것 마냥 특이하게 생겼다. 이 미술관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 작품을 담아내는 그릇 역할을 하는 정체성(identity)을 표현하기 위해 독특한 건물 외관을 활용한 캠페인(사진2, 3, 4)
을 선보였다.
개관을 알리는 캠페인은 도시 곳곳에서 이뤄졌다. 처음에는 캘빈 클라인 광고판에 분홍색 페인트가 흐르는 듯하더니 2단
계에서는 광고판 가운데에 어떤 도형의 윤곽이 보일 듯 말 듯하다가 마지막에 도형이 완성되고 12월 1일 미술관의 개관을
알렸다. 도형은 미술관의 독특한 외관이었다.
실험적인 시도겠지만, 메시지 전달력이 뛰어나고, 입소문도 강력했다. 미술관은 광고판뿐 아니라 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필자는 현재 기업의 마케팅
의 광고판도 적극 활용해 다양한 컬러와 패턴으로 미술관의 외관을 ‘함축’한 시각적인 이미지를 ‘반복’해서 선보였다. 새
기획자로 실무에서 체득한
이야기를 ‘타인의 취향( http:// 로운 관점의 세상을 볼 수 있는 느낌으로 미술관의 특성을 담아냈다.
theothers.tistory.com)’이라는 놀라 자빠질 만한 신제품을 선보이거나, 열광적인 팬을 거느린 초강력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의 마케터가 아니라면, 유사
블로그에 소개하고 있다. 국내외
기업들의 마케팅을 관찰하고 브랜드가 넘쳐나는 정글 같은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고민을 거듭할 수밖에 없다. 무관심하거나 변덕스러운 고객들의
통찰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 마음을 얻기 위한 방법은 의외로 간단할 수 있다. 그 키워드는 ‘함축’과 ‘반복’이다.
No.55 Dong-A Business Review 129
DBR은 기존 국내 매거진과 확실히 다릅니다.
高純度 경영 콘텐츠
기존 시사 경제지의 잡식성 콘텐츠를 지양합니다. 기업경영에 초점을 맞춰 심층적인 콘텐츠를 전달합니다.
현장형 콘텐츠
DBR은 단순히 정보만을 전달하지 않습니다. 현장의 생생한 케이스와 실질적인 솔루션을 드립니다.
MBA 출신의 제작진
고급 콘텐츠 제작을 위해 경영학 박사, MBA 기자들이 모였습니다. 차별적인 맨파워로 한발 앞선 정보를 제공합니다.
생생한 해외 콘텐츠
DBR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BR) 맥킨지쿼털리와 전재 계약을 맺었습니다.
와튼스쿨 IMD INSEAD 등 14개 해외 기관의 콘텐츠도 DBR 지면에 소개됩니다.
국내 최초의 경영지식 통합 솔루션
매거진은 물론 프리미엄 온라인 사이트, e-mail 뉴스레터, 오프라인 강좌를 함께 이용할 수 있습니다.
DBR, 이렇게 신청하세요.
발행정보 | 월 2회 발행, 연 24회 발행
가격 | 낱권 12,000원, 연 288,000원
1년 정기구독료 | 240,000원
인터넷 구독 신청 | www.dongaBiz.com
온라인 투고 | DBR@donga.com
● 개인 구독 문의 |
02-721-7800
은행계좌 | 우리은행 1005-801-091411 (주)동아PDS
● 단체 구독 문의 |
02-2020-0685
은행계좌 | 우리은행 217-221493-13-002 (주)동아일보사